KR930008033B1 -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및 그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한 창유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및 그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한 창유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033B1
KR930008033B1 KR1019850010041A KR850010041A KR930008033B1 KR 930008033 B1 KR930008033 B1 KR 930008033B1 KR 1019850010041 A KR1019850010041 A KR 1019850010041A KR 850010041 A KR850010041 A KR 850010041A KR 930008033 B1 KR930008033 B1 KR 930008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trand
window
pane
window p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10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948A (ko
Inventor
쿠네르트 하인쯔
바나쉔 룩
코르닐스 게르트
Original Assignee
쎙-고벵 비뜨라지
지. 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쎙-고벵 비뜨라지, 지. 따시 filed Critical 쎙-고벵 비뜨라지
Publication of KR86000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6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putty, cement, or adhesiv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 B60J10/24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having tubular parts inflatable or de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44Longitudinal or transverse tubular cavity or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10T428/24793Comprising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impregnation or bo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및 그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한 창유리 조립체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부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창유리와 창틀간의 접착부의 단면도.
제 2 도는 창유리제거작업중에 있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도면.
제 3 도는 접착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창유리와 창틀간의 접착부의 단면도.
제 4 도는 창유리제거작업중에 있는 제 3 도의 실시예의 도면.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창유리와 창틀의 사이의 전이부의 단면도.
제 6 도는 공동을 갖는 접착스트랜드를 위한 도포노즐의 압축부의 단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8 도는 접착스트랜드와 이 스트랜드에 매립된 가요성 튜브를 함께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창유리 2 : 고정바
3 : 창틀 4, 14, 16, 23, 32 : 접착제스트랜드
7, 12, 18 : 튜브 8, 13, 19, 22 : 공동
9 : 중공니들 10 : 절단공구
15 : 스트립 20, 30 : 노즐
28 : 맨드릴
본 발명은 창유리의 가장자리와 창틀의 사이의 접착부의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체의 창틀속에 차창유리를 삽입하는 창유리의 가장자리와 창틀의 사이에 접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접착제스트랜드가 설비된 창유리와, 본 발명에 따른 접착부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그와 같은 접착부로 장착된 창유리를 창틀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창개구속에 창유리를 조립하는 것은 오늘날에는 점차 직접 접착식에 의하고 있으며, 그에 따르면 창유리는 양측부로부터 파지되지 않고 창틀에 단지 한 측부만을 접착해준다. 이러한 창유리 장착술은 특히 차체에 창유리를 장착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하다. 여기에서, 접착제스트랜드의 외관을 불투명 프레임으로 전방쪽으로 덮어주는 것은 공지되어 있고 통상적인 것이다. 그와 같은 차폐술은 예를들어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특허 공보 제 20 38 016 호로 공지되어 있다.
나중에, 이러한 방식으로 접착된 차창유리를 바꿀 필요가 있을때 창유리의 제거가 곤란해진다. 이 경우에 절단되어야 하는 접착제스트랜드에의 접근은 무척 곤란하다. 이를 위한 특수공구는 창개구를 둘러싸는 피복체 및 래커 코팅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기 쉽다. 접착제스트랜드는 세팅 및 경화후에 매우 강인한 성질을 갖기 때문에 접착제스트랜드의 절단은 창틀의 홈(rebate)내부의 제한된 작업공간으로 인해 짜증스러운 작업이 된다.
접착된 차창유리를 잘라내기 위해 한점에서 접착제스트랜드를 가로질러 밀어넣고, 이어서, 창유리의 가장자리를 가로질러서 접착제스트랜드를 통과하게 당겨내는 한 가닥의 와이어를 절단공구로서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창유리의 가장자리에 접착스트랜드를 도포하는 당시에 접착스트랜드의 내측이나 또는 바로 그 근처에 높은 인장강도를 갖고 필요시에 바로 절단 공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가요성 코드를 제공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절단코드에 의해 접착제스트랜드를 절단함에 있어서는 절단코드가 비교적 무딘 절단공구이고 또한 접착제스트랜드의 전폭을 가로질러 절단되어야 하므로 상당한 힘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는 과제는 창유리의 제거가 용이하게 특히 창틀에 대한 손상의 우려가 없이 적절한 절단공구에 의해 작은 힘을 가하여 행할 수 있는 창유리와 창틀의 사이에 접착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과제는 접착부를 형성하는 접착제스트랜드에 연속적인 폐쇄공동이 제공됨으로써 성취된다. 이 공동은 창유리를 철거하기 위해 대기압 이상의 압력의 매체로 충전될 수 있다.
단면도로서 상세히 묘사한 공동은 접착제스트랜드가 길이방향으로 완전한 폐쇄루프를 형성할 필요는 없고 접착제스트랜드의 처음과 끝이 서로 합체되는 접착제스트랜드이 이음매, 즉, 조인트 지점에서 중단될 수도 있다. 단지 중요한 점은 도입된 가압매체가 빠져나갈 수 없을 정도로 공동이 충분한 기밀을 유지하면서도 공동에 형성된 대기압이상의 압력이 접착스트랜드를 변형시킬 수 있어야 하며 가능하게는 파열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접착제스트랜드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파열시에 큰 변형량을 갖는 탄성물질이므로 공동내에 형성된 대기압 이상의 압력에 의해 접착제스트랜드는 크게 변형되어 창유리는 전체적으로 적절한 예리한 절단공구에 의하여 자동차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부터 작업을 하고, 이제 좁아진 단면으로 되게 변형된 접착제스트랜드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창문틀로부터 충분히 밀어낼 수 있다.
가압매체로서는 공기와 같은 기체나 물과 같은 액체가 대기압이상의 압력하에 양호하게 사용된다. 필요하다면, 절단작업에 의한 공동의 개방중에 압력이 떨어져도 그 변형된 형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시키도록 응고, 즉, 경화되는 액체를 가압매체로 사용해도 된다.
필요하다면 가압매체의 도입은 접착제스트랜드내의 공동까지 밀고 들어가는 중공형 바늘을 보조로 사용하여 행하는 것도 좋다.
접착제스트랜드의 공동은 여러 방법으로 생산된다. 예를들어, 접착제스트랜드의 재료로 전면이 둘러싸인 공동을 갖는 접착제스트랜드를 생성하는 특수노즐을 사용하여 창유리에 직접 접착성 스트랜드를 압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착제 자체가 필요한 기밀성을 가져야 한다. 반면에 압출하는 동안이나 그 직후에 탄성재료로 된 가요성 튜브를 접착제스트랜드내에 넣는 것도 가능하다. 가요성 튜브를 제공할 때는 접착제스트랜드의 단면내의 어떠한 위치에든 공동을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체에 창유리를 설치하기전에, 그리고, 적합하게는 창유리의 제조과정의 완료시에 공동을 포함하는 압축된 접착제스트랜드를 창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하는 준비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접착제스트랜드는 후에 창유리가 설치되었을때 경화된 접착스트랜드에 도포된 접착제코팅과 창유리의 사이의 매개체가 된다.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장에서의 제조시 이미 창유리에 도포된 접착제스트랜드가 창유리의 취급 및 운반중에 가장자리의 보호 및 스페이서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장점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제 1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들어, 자동차의 윈드실드(windshield), 즉, 뒷창유리인 차유리(1)가 접착제스트랜드(4)에 의해 창틀(3)의 고정바(2)에 접착된다. 창유리(1)상에는 세라믹소결래커로 된 불투명재료의 프레임형 대면체(5)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다. 접착제스트랜드(4)와 창유리(1) 및 접착제스트랜드(4)가 접착하는 고정바(2)의 면의 사이에는 하나이상의 접착촉진층이 공지의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3,779,794 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중기의 존재하에서 경화하는 단일성분의 폴리우레탄계가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접착제는 예를들어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공고 제 2,730,831 호로 알려진 바와 같이 창유리의 가장자리상에 적절한 압축노즐에 의해 폴형태로서 부착된다.
접착제스트랜드(4)내에는 적절한 플라스틱재료로 되는 탄성적 또는 소성적으로 연신될 수 있는 재료로 된 튜브(7)가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튜브(7)는 창유리에 인접한 접착제스트랜드(4)에 배치된다. 튜브(7)는 평단면을 가지나 다른 형태, 특히, 둥근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튜브(7)는 전면이 접착제로 된 충분히 두꺼운 층으로 둘러싸여 접합부에 필요한 기계강도 및 밀봉이 전 둘레에 걸쳐 제공된다.
만일 창유리(1)를 제거해야 한다면 접착제스트랜드(4)의 접착제를 통해 중공니들(9)을 튜브(7)속으로 넣으며, 적절한 튜브를 통해 압축공기원에 연결된 상기 니들(9)을 통하여 튜브(7)의 공동(8)에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가한다. 이러한 대기압 이상의 압력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료로 된 접착제스트랜드(4) 및 튜브(7)에 상당한 영구 변형을 일으킨다. 창유리(1)에 수직인 방향의 성분을 갖는 이러한 변형은 창유리가 창틀(3)의 홈으로부터 밀려나고, 변형방향을 가로지르는 접착제스트랜드(4)의 단면이 좁아지게 한다. 이렇게 하여 생긴 창유리(1)와 고정바(2)사이의 거리증가 및 접착제스트랜드의 좁아짐, 즉, 수축으로 인하여 압축공기로 채워진 튜브(7) 근처의 접착제스트랜드(4)를 절단공구(10)로 절단하는 것이 무척 간단해진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유사한 절차가 채택된다. 이 경우에도 창유리(1)와 고정바(2)간의 접착부에는 연신가능한 가요성 튜브(12)가 매립된 접착제스트랜드(4)가 제공된다. 창유리(1)가 제거될때 가요성 튜브(12)의 공동(13)은 중공니들(9)에 의해서 압축가스가 아니고 소정시간경과후 경화하고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유지할 액체로 채워진다.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액체로는 예를들어 용융된 파라핀왁스 또는 경질왁스나 2성분으로 된 플라스틱을 경화시키는 것 등이 있다.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갖는 액체의 작용으로 가요성 튜브(12)와 접착제스트랜드(4)가 늘어나며 창유리(1)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의 성분은 창문틀(3)로부터 창유리(1)를 대강 밀게 된다. 창유리(1)가 창틀의 홈으로부터 충분히 멀리 이동되었을때 접착제스트랜드(4)가 자동차의 외부로부터 절단공구(10)로 절단되기까지는 우선 튜브(12)의 공동(13)내의 액체가 경화해야 하므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이어서, 접착제스트랜드(4)는 절단공구(10)로 절단되지만, 경화된 충전재료로 채원진 튜브(12)는 경화된 충전물에 의해 창유리(1)를 소정거리에 계속적으로 유지하므로 그다지 어려움 없이 직접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스트랜드내에 관형부재를 배치하는 대신에 제 6 도 및 제 7 도를 참조하여 후술되듯이 예를들어 적절한 압출노즐을 사용하여 접착제스트랜드안에 공동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제 5 도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창유리(1)와 고정바아(2)를 결합시키는 접착제스트랜드는 두개의 부분적 스트랜드(14, 16)로 구성된다.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는 창틀형상의 코팅(5)을 사이에 두고 유리판상에 설치된다.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는 두개의 돌출된 가장자리 스트립(15)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는 U자형 단면을 가진다.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는 차체에 창유리를 접착시키는 단계의 전단계에서 창유리(1)에 도포되며, 양호하게는 창유리(1)의 제조 직후에 창유리 제조 공장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창유리(1)는 장차 경화된 접착제로 된 외곽의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를 구비하며 이는 차체에 대한 정착과정에서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장착시에 제 2의 부분적 스트랜드(16)는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의 가장자리스트립(15)에 의해 형성된 채널에 압축노즐로 배치되고, 이어서, 창유리(1)가 통상의 방법으로 장착된다.
연신가능한 재료로 된 튜브(18)가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안에 매립된다. 이 튜브(18)는 튜브단면의 일부가 접착제로 된 외곽의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의 표면밖으로 돌출되도록 매립되어 제 2의 부분적 스트랜드(16)가 튜브(18)의 돌출부와 직접 접촉하게 한다. 부분적 스트랜드(14, 16)를 이루는 접착제는 양호하게는 두 개의 부분적 스트랜드의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접착력이 각각의 부분적 스트랜드의 재료의 응집력보다 낮게 한다. 이러한 의도적인 접착력저하는 예를들어 제 2의 부분적 스트랜드(16)가 도포되기 전에 경화된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의 표면에 적절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를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두개의 부분적 스트랜드(14,16)의 사이의 경계면은 취약구역을 이루며, 튜브(18)의 공동(19)이 예를들어 압축공기 등의 가압매체로 채워질때 상기 취약구역을 따라 두개의 부분적 스트랜드가 서로로부터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는 공동(22)을 포함하는 접착제스트랜드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압출장치의 노즐(20)이 도시되어 있다. 노즐(20)은 튜브형태이고, 일례로 사각단면을 가지며, 창유리(1)상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코팅될 창유리의 가장자리영역위로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된다. 후방면상에서 벽(25)은 정확한 치수로 다듬어진 개구(26)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접착제(24)가 흘러나와 외곽의 스트랜드(23)를 형성한다. 노즐개구를 형성하는 개구(26)에 대향하여 개구(26)안으로 돌출된 맨드릴(28)은 벽(27)에 고정되어 외곽의 압출된 스트랜드(23)안에 소정의 공동(22)을 형성한다.
접착제스트랜드내의 공동은 다른 목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습식 경화용 접착제류를 사용할 때는 공동에 대한 배출부로서의 제 2의 중공니들을 제공하고 공동을 통과하는 제 1의 중공니들에 의해 수중기로 포하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접착제의 경화를 상당히 가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또한 공동이 접착제안에 매립된 가요성 튜브로 형성되는 경우에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튜브는 수증기분자가 튜브벽을 통하여 접착제안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수증기분자가 투과할 수 있어야 한다.
가요성 튜브(18)가 배치된 접착제스트랜드를 창유리에 제공할 수 있는 장치가 제 8 도에 도시되어 있다. 창유리(1)위로 화살표(f)방향으로 안내하는 압출노즐(30)은 외곽의 스트랜드(32) 형태로 공급되는 접착제가 통과하는 정교한 노즐개구를 포함한다. 노즐개구(31)에 대향하는 노즐(30)쪽에서 안내 및 가압용 롤러(34)가 노즐벽상에 회전가능하게 저널되며, 이 롤러는 그 외주면의 둘레에 오목홈을 가져 튜브(18)를 파지한다. 이러한 롤러(34)에 의하여 튜브(18)는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굴절되고 노즐(30)안으로 안내되며, 이어서, 정교한 노즐구멍(31)의 밖으로 압출되는 접착제스트랜드(32)에 배치되어 통과한다. 가요성 튜브(18)는 압출기의 헤드상에 저널된 저장릴(36)로부터 풀려서 한쌍의 이송롤러(38)에 의해 가압롤러(34)로 공급된다. 이러한 롤러(38)의 쌍은 가요성 튜브(18)를 노즐(30)이 창유리위로 화살표(F) 방향으로 이동하는 속도와 같은 속도로 가압롤러(34)에 공급하게 하는 속도로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도시된 실시예는 차체의 창틀안에 차창유리를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량이나 건물 등의 창틀에 창유리를 설치할 때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모든 장소에서의 유리장착에서 동일한 장점을 가지면서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공동을 포함한 접착제스트랜드는 창유리상에 항구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공동을 포함한 접착제스트랜드를 창틀의 고정바위에 배치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5)

  1. 창유리를 창틀에 특히, 자동차의 창유리의 가장자리를 차체의 창틀의 고정바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에 있어서, 접착부를 이루는 접착제스트랜드(4, 14, 16, 23, 32)내에 연속적이고 폐쇄된 공동(8, 13, 19, 22)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22)이 접착제스트랜드(23)의 내부경계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8, 13, 19)이 접착제스트랜드(4, 14)의 압출중에 접착제내에 매립되는 가요성 튜브(7, 12, 18)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요성 튜브(7, 12, 18)가 큰 탄성적 또는 소성적 변형율을 갖는 재료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두 개의 부분적 스트랜드(14, 16)로 구성되고,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는 창유리(1)상에 예비단계로 배치되어 상기 공동(19)을 형성하기 위한 가요성 튜브(18)가 상기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속에 배치되고, 제 2의 부분적 스트랜드(16)는 경화된 상기 제 1의 부분적 스트랜드(14)와 고정바(2)의 사이의 접착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부분적 스트랜드(14, 16)의 공통의 경계면에서의 접착력이 각각의 부분적 스트랜드(14, 16)의 재료내의 응집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스트랜드(4, 14, 16, 23, 32)가 습식 경화성의 단일성분의 폴리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8. 제 7 항에 있어서, 접착제스트랜드내에 매립된 튜브(7, 12, 18)가 수증기가 투과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9. 제 7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창유리를 차체의 창틀속에 삽입한 후 공동(8, 13, 19, 22)속에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접착제스트랜드의 경화가 촉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10. 제 5 항에 있어서, 접착스트랜드(4, 14, 16, 32)가 습식 경화성의 단일성분의 폴리우레탄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부분적 스트랜드(14, 16)의 공통의 경계면에서의 접착력이 각각의 부분적 스트랜드(14, 16)의 재료내의 응집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12. 제 8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창유리를 차체의 창틀속에 삽입한 후 공동(8, 13, 19, 22)속에 수증기를 함유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접착제스트랜드의 경화가 촉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13. 창틀에 부착되는 창유리 조립체에 있어서, 가장자리구역을 갖는 창유리와, 양측에서 창유리를 파지하는 플랜지가 없고 내부에 유체밀봉적 공동을 가지며 상기 창유리에 부착되는 면을 갖는 접착제스트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스트랜드의 일부는 상기 창유리에 부착되는 제 1 면을 갖는 경화된 접착제스트랜드이고, 유압밀봉적 관이 상기 접착제스트랜드의 상기 제 1 면에 대향하는 제 2 면에서 상기 경화된 접착스트랜드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접착제스트랜드에 제 2의 접착제스트랜드가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유리 조립체.
KR1019850010041A 1985-01-05 1985-12-31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및 그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한 창유리 조립체 KR930008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3500205 DE3500205A1 (de) 1985-01-05 1985-01-05 Klebeverbindung fuer die verklebung einer glasscheibe mit einem fensterrahmen
DE3500205.0? 1985-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948A KR860005948A (ko) 1986-08-16
KR930008033B1 true KR930008033B1 (ko) 1993-08-25

Family

ID=6259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10041A KR930008033B1 (ko) 1985-01-05 1985-12-31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및 그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한 창유리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81794A (ko)
EP (1) EP0188391B1 (ko)
JP (1) JPH0665525B2 (ko)
KR (1) KR930008033B1 (ko)
DE (2) DE3500205A1 (ko)
ES (1) ES87055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8278A1 (de) * 1986-05-30 1987-12-03 Ver Glaswerke Gmbh Glasscheibe mit im randbereich aufgesteckter profilleiste
DE3627536A1 (de) * 1986-08-13 1988-02-25 Ver Glaswerke Gmbh Fuer die direktverklebung vorgesehene glasscheibe, insbesondere autoglasscheibe
DE3730345A1 (de) * 1987-09-10 1989-03-30 Ver Glaswerke Gmbh Kraftfahrzeugfenster
DE3930414C2 (de) * 1989-09-12 2002-01-10 Saint Gobain Sekurit D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für die Direktverklebung mit dem Befestigungsflansch einer Fensteröffnung vorgesehenen Glasscheibe
US5384995A (en) * 1989-09-12 1995-01-31 St. Gobain Vitrage International Spacer for windshield bracket
DE3905906C2 (de) * 1989-02-25 1995-03-23 Gurit Essex Ag Spaltdichtung für Scheiben , insbesondere für Fahrzeugscheiben
DE3909127A1 (de) * 1989-03-20 1990-10-11 Henkel Kgaa Verfahren zum haerten feuchtigkeitshaertender klebstoffe und dichtmassen, vorrichtung zum durchfuehren des verfahrens und flexible leiste
US5095669A (en) * 1989-12-13 1992-03-17 Saint Gobain Vitrage International Spacer for windshield bracket
DE4107424A1 (de) * 1991-03-08 1992-09-10 Friedhelm Schneider Verfahren zum verkleben von metall- oder kunststoffprofilen mit glas- oder kunststoffscheiben
US5331784A (en) * 1992-06-12 1994-07-26 Agrawal Raj K Vehicular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443673A (en) * 1992-06-12 1995-08-22 Donnelly Corporation Vehicular panel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DE69430759T2 (de) * 1993-01-16 2003-02-06 Saint Gobai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zur Verklebung in einer Rahmenöffnung vorgefertigten Fahrzeugverglasung
US6926949B1 (en) 1993-02-12 2005-08-09 Essex Specialty Products, Inc. Heat-activatable modular structural member, its use and process for the direct glazing of vehicles and adhesive therefor
US5864996A (en) * 1994-02-24 1999-02-02 Donnelly Corporation Gasketed panel
JP2614833B2 (ja) * 1994-06-24 1997-05-28 メルセデス−ベンツ・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車体窓用開口部への窓ガラス接着取付け具
DE4422122C1 (de) * 1994-06-24 1995-08-31 Daimler Benz Ag Klebebefestigung von Windschutzscheiben auf einem Scheibenflansch eines Fensterausschnittes von Kraftfahrzeugkarosserien
US6001204A (en) * 1994-10-11 1999-12-14 Essex Speciality Products, Inc. Heat activatable modular structural member, its use and process for the direct glazing of vehicles and adhesive therefor
DE19537436C2 (de) * 1995-10-07 2002-01-31 Sekurit Saint Gobain Deutsch Für die Klebebefestigung vorgerüstete Glasscheibe, insbesondere für Fahrzeuge
DE19629311A1 (de) * 1996-07-20 1998-01-15 Daimler Benz Ag Mit pyrotechnischen Mitteln schnell trennbares Befestigungselement einer Kraftfahrzeug-Fensterscheibe
US5915780A (en) * 1997-03-05 1999-06-29 Excel Industries, Inc. Encapsulated plastic glazing window module
DE19951099A1 (de) * 1999-10-23 2001-06-13 Evobus Gmbh Fensterscheibe, insbesondere für Fahrzeuge
JP2003115203A (ja) * 2001-10-03 2003-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低圧水銀蒸気放電ラン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8695292B2 (en) * 2004-07-28 2014-04-15 Guardian Industries Corp. Vehicle glazing edge seal with embedded stiffener
CN101182134B (zh) * 2007-11-26 2011-01-26 天津大学 集热管玻璃-金属双口热压封接材料及方法
US9162552B2 (en) * 2014-03-05 2015-10-20 Fca Us Llc Self-locating water-soluble glass support
WO2018198106A1 (en) * 2017-04-23 2018-11-01 Plasan Re'em Ltd. Method and system for removing a windshield from an armored vehicle
FR3085026B1 (fr) 2018-08-14 2020-10-16 Psa Automobiles Sa Vehicule comprenant un element d’aspect assemble par collage et procede d’assemblage
FR3123041B1 (fr) * 2021-05-19 2023-08-25 Cie Plastic Omnium Se Panneau de carrosserie de véhicule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0196A (en) * 1950-12-28 1955-01-25 Panhard & Levassor Inflatable weather strip for mounting vehicle windows in frames
US2825941A (en) * 1955-11-14 1958-03-11 James H Lux Inflatable closure sealing and retaining means
US3331131A (en) * 1965-03-12 1967-07-18 Marvin L Perry Glass removing tool
GB1203881A (en) * 1968-01-30 1970-09-03 Wright Howard Clayton Ltd Improved means for mounting glass panes in apertures
JPS59102516U (ja) * 1982-12-27 1984-07-10 日野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ウインドウ
DE3486392T2 (de) * 1983-03-31 1996-02-01 Ver Glaswerke Gmbh Klebemontage von Scheiben in eine Öffung, insbesondere von Windschutzscheiben für Kraftfahrzeuge, zur erleichterten Demon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948A (ko) 1986-08-16
EP0188391A2 (fr) 1986-07-23
US4681794A (en) 1987-07-21
JPS61191418A (ja) 1986-08-26
ES8705556A1 (es) 1987-05-01
DE3500205A1 (de) 1986-07-10
ES550666A0 (es) 1987-05-01
EP0188391A3 (en) 1987-05-20
JPH0665525B2 (ja) 1994-08-24
DE3672150D1 (de) 1990-07-26
EP0188391B1 (fr) 199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8033B1 (ko)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및 그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한 창유리 조립체
KR970000735B1 (ko) 자동차 유리
US48761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utomobile glazing
KR0183983B1 (ko) 프로필스트립이 제공된 자동차용 창유리 및 그 제조방법과 장치
JP5792618B2 (ja) 接着剤ビーズまたはプロットでの接合
US4668556A (en) Elastomeric profiled strip for sealingly enclosing windowpanes
KR940018332A (ko) 윈도우 프레임에 접착하기 위한 자동차용 판유리 및 그 제조 방법
DE10200701042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bringen von Dichtungsprofilen
CN102725160B (zh) 顶篷面板及制造该面板的方法
EP0427381B1 (en) Integral hybrid moulding and weatherstrip
US7754128B2 (en) Window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and window pane
US6513854B2 (en) Method of applying extruded profile to corners of a window glazing
JPH02171314A (ja) 切断コード付車両用粘着固定ガラス板
DE4301026A1 (de) Für die Verklebung mit einem Fensterrahmen vorgerüstete Autoglasscheib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4133662A1 (de) Mit einem einbaurahmen aus einem elastomer vorgeruestete glasscheibe
KR101247677B1 (ko) 윤곽을 이루는 플렉시블 비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 디바이스, 및 창유리
JPS60261722A (ja) 窓への窓ガラスの接着取付
US9506565B2 (en) Method of sealing a gap
JPH0790741B2 (ja) ウエザ−ストリツプの接着方法
DE422909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undglasscheibe mit einer umlaufenden Dichtlippe aus einem Polymer
JP2003278449A (ja) 断熱アルミ形材の製造方法
KR920004870B1 (ko)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GR3022308T3 (en) Bodywindow for a motor vehicle.
FR2369407A1 (fr) Procede de fixation d'une vitre sur sa baie de vehicules
JPH11157344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