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870B1 -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870B1
KR920004870B1 KR1019840002521A KR840002521A KR920004870B1 KR 920004870 B1 KR920004870 B1 KR 920004870B1 KR 1019840002521 A KR1019840002521 A KR 1019840002521A KR 840002521 A KR840002521 A KR 840002521A KR 920004870 B1 KR920004870 B1 KR 920004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
adhesive
wire
adhesive strip
plat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7950A (ko
Inventor
쿠너트 하인쯔
코르닐스 게르트
Original Assignee
셍-꼬벵 비뜨 라지
지. 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셍-꼬벵 비뜨 라지, 지. 따시 filed Critical 셍-꼬벵 비뜨 라지
Priority to KR1019840002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870B1/ko
Publication of KR85000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6Sea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에 따른 창틀내에 고정된 전방 판유리 주위의 단면도.
제 2 도는 접착띠 속에 삽입된 와이어를 인출하는 장치를 갖는 제 1 도의 전방 판유리 주위의 단면도.
제 3 도는 보조 접착띠에 대하여 중간체의 역할을 하는 띠와 함께 조립된 판유리 주위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장착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 5 도는 와이어가 보조띠 내에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도.
제 6 도는 접착띠와 와이어를 판유리의 표면에 동시 부착시키는 장치를 도시한 도시도.
제 7 도 내지 제 10 도는 제 6 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접착띠와 와이어를 동시 부착시키는 방법의 여러 단계를 도시한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유리 2 : 가장자리
3 : 프레임 4 : 피복물
5,20,25,35 : 접착띠 6 : 와이어
29 : 장식 밴드 32 : 와이어
40 : 조인트 42 : 압출 노즐
44 : 구멍 46 : 관
50 : 홈 53 : 공급 보빈
54,55 : 안내링 56 : 전진 보빈
57 : 모터 60 : 핀셋
64 : 칼
본 발명은 판유리를 자동차 차체의 창틀에 접착에 의하여 조립하는 것으로서, 판유리를 쉽게 떼어낼 수 있는 조립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판유리와 이를 사용하기 위한 장치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앞창만에 관하여 서술하였지만 자동차의 뒷창이나 기타 창유리뿐 아니라, 건물에 판유리를 조립하는 경우에 대하여도 응용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용 판유리, 특히 앞창과 뒷창 유리를 직접 차체에 접착시키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판유리의 후면에 접착띠를 붙이고, 그 둘레에 불투명한 피복물을 붙여서 판유리의 다른쪽에서 보이지 않게 가린다. 이러한 시스템은 예를들면, 독일연방공화국 공개 공보 제20 30 016호에 기술되어 있다. 접착띠는 소성 상태에서 부착된 후 경화되어 판유리와 차체 창틀 사이를 접합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시킨 판유리를 교체할 필요가 있게 되었을 때에는 곤란한 문제들이 제기된다. 이러한 경우에, 떼내어야 할 접착띠에 접근하기가 사실상 어렵다. 상기와 같은 목적에 사용되는 공구가 판유리 둘레에 있는 피복물을 손상시킬 위험이 크다. 접착띠는 중합 반응후에는 매우 질긴 경점성(硬粘性)을 가지게 됨으로, 창틀 내부에서 작업을 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판유리를 떼어내기 위하여 접착띠를 절단하는 일이 어렵게 된다. 이에 대비하여, 한가닥의 와이어를 접착띠 속에 가로로 집어넣은 후 접착띠를 가로질러 판유리의 가장자리까지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와이어를 절단 도구로 이용하는 것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작은 그 실시에 있어서나 재료면에서 위험이 따를뿐 아니라, 그 결과도 불확실하다.
본 발명에 의한 것과 다른 판유리를 고정시키는 방식에 대하여 유럽 특허 공고 제EP-A-O 061 198호에서는 위험이 있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판유리를 창틀쪽으로 신속히 떼어낼 수 있는 구조의 이중판유리로 구성된 차량용 안전 유리를 기술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판유리는 접착에 의해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비접착성 형강 부재사이에 죄어 붙이고, 떼어낼 때에는 절단에 의해서가 아니라 판유리를 내측 피복부에 연결시키는 부재를 이중 판유리 제조 과정중 삽입 조인트내에 제공하거나, 판유리의 제조후 보강 부재를 이용하여 그 가장자리에 고정시키고, 판유리를 둘러싸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떼어낸다.
판유리를 창틀에 끼워넣기 전에, 판유리의 구조내에 분리용 와이어를 집어넣는 방법은 독일 특허출원 제673 951호에서 기술하였는 바, 이것은 철도 차량용 절연 판유리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유리를 구성하는 2장의 유리판을 가황에 의한 탄성 고무로 된 삽입 프레임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상기 프레임은 판유리와 그 판유리가 고정되는 차량의 격벽사이에 밀폐용 연결 부재를 형성한다. 프레임의 둘레에는 상기 면중 하나의 외측 또는 내측에 견인용 와이어가 가황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는 다른 면에서도 접근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위험한 경우에는 탄성 고무로된 프레임을 절단하고, 판유리를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프레임에 제공된 창틀내에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료로 된 판유리를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판유리에 판유리와 창틀 사이를 연결시키는 중간 프레임을 형성하는 절단 가능한 접착띠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절단 가능한 접착띠에는 그 측면의 외측이나 내측에 고정되어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단부를 잡아당겨서 절단 가능 요소를 절단시키고, 판유리를 창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반대 측면에서 당길 수 있는 단부가 달린 견인 와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그 주된 면들중 하나에 의하여 판유리를 유지시키는 경화성 접착띠를 이용하여 상기 방법을 판을 창틀에 고정시키는 기술에 응용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는 유연하고, 가요성이 있고, 경화성 접착띠를 부착시킬 때 이와 동시에 판유리에 부착되고, 압축 노즐을 이용하여 판 둘레에 따라 압출되는 페이스트에 의하여 판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판유리를 제조하는 제1단계에서는 판유리를 차체의 창틀내에 조립하는 단계와는 달리, 가요성 와이어가 합체되어 있는 경화성 접착띠를 판유리의 주위를 따라 압출시켜 부착시킨다. 조립시, 상기 접착띠는 경화된 후 판유리와 이를 고정시키는, 더 정확히 말하면 제1접착띠상에 부착시키는데 이용되는 경화성 접착띠 사이의 중간 삽입물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판유리의 제조공정에서 부착되는 제1접착띠가 판유리를 다루고 운반할 때 판유리에 대한 스페이서로서도 이용되고, 판유리를 보호한다는 장점도 가진다.
본 발명은 독일연방공화국 특허 DE-C-673-951에 의한 방법에 비하여, 까다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예비 제조단계와 프레임을 판유리에 조립하기 전에 절단용 와이어가 합체되어 있는 연결 프레임을 삽입하는 단계가 없고, 어떠한 형태의 판유리와 연결띠에도 신축성 있게 응용할 수 있다는 사실과 대량 생산에 더 적합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외에도, 상기 특허의 연신된 와이어와는 반대로, 본 발명의 견인 와이어는 판유리의 표면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판유리를 교체할 때 차체의 온전성을 최대한으로 유지하면서 접착띠를 깨끗하고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유리를 접착에 의하여 직접 창틀에 조립하는 방법을 개량하여 상기 판유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판유리를 접착에 의하여 창틀에 조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그 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판유리 둘레에 불투명 피복물을 부착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접착 촉진층을 부착한 다음에, 소성 상태의 성형된 접착띠가 그 위에 가해지며, 판유리는 상기 접착띠 또는 보조 접착띠에 의해 창틀에 고정되는데 상기 접착띠는 창틀에 판유리의 직접 또는 간접 접착에 관계없이 중간 접착층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된 접착띠를 같은 방향으로 부착하는 동시에 가요성 와이어, 특히 접착띠 자체 또는 그 근방에서 발생하는 견인에 견딜 수 있는 와이어를 그 주변을 따라 판유리의 중앙쪽으로 부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요성 와이어는 필요한 경우에 접착띠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는 절단 도구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려면, 미리 설정된 지점에서 와이어의 한쪽 단부를 잡고, 판유리의 주변을 따라 접착띠를 가로질러 잡아당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판유리를 차체의 창틀에 조립하기 전에, 판유리를 제조한 직후에, 판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요성 와이어가 합체된 띠를 압출에 의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그 다음에, 조립시 이미 경화된 상기 띠는 판유리와 적절한 접착띠 사이에서 중간체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판유리의 제작소에서 부착한 띠는 판유리를 다루거나 운반할 때 판유리에 대하여 스페이서와 같은 역할을 하고, 판유리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띠와의 접착성이 약하거나 접착성을 감소시키는 피복물로 피복된 가요성 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와이어에 가해지는 견인력이 거의 전부를 접착띠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피복물로 특히 적합한 것은 왁스 또는 실리콘을 기초로 하는 분리제를 예로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와이어를 떼어내는데 별로 힘이 들지 아니한다.
와이어를 점성이 강한 접착물 속으로 집어넣을 수 있을 정도의 유연성을 얻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강한 견인에도 견디어 내는 유기 섬유로 된 직물실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나일론 또는 페르롱 섬유를 예로 들 수 있으며, 폴리-P-페닐렌디아민-테레프탈아미드에 기초한 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는 견인에 대한 저항에 있어서는 사실상 철과 유사하다.
또한 와이어의 주위를 가느다란 금속 와이어로 나선상으로 감을 수 있으며, 이렇게 하면 띠의 절단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금속 와이어의 양단을 전원에 연결하여 충분히 가열시킴으로써 절단을 쉽게 할 수 있다.
연기(緣起)도 충분한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절단용실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 창틀내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는 판유리를 제공하며, 상기 판유리는 창틀과의 연결을 위한 중간 프레임을 형성하는 절단 가능한 접착띠가 부착된 투명 재료의 판을 포함하며, 상기 절단 가능한 접착띠에는 그 주위 측면의 외측이나 내측에 고정되고 반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단부가 부착된 견인 와이어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판유리는 경우에 따라서는 1차 접착층을 포함하는 불투명한 주변 피복물에 의해 상기 판의 면중 하나에 접착되므로써 상기 판에 연결된 접착 재료의 프로필이 상기 절단 가능요소에 포함되어 있고, 견인 철사가 연질이고 가요성이 있으며, 상기 판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불투명한 피복물과 접착띠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 즉, 점성이 강한 접착제를 압출시키는 구멍이 뚫려있고 가요성 와이어를 구멍까지 안내하는 관이 달려있는 압출 노즐을 포함하며 노즐에서 띠가 압출되는 동안에 공급보빈으로부터 와이어가 풀려 나오는 판유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절단용 와이어를 띠에 덧붙이는 보조띠 속에 넣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 판유리(1)는 설명의 편의상 단순히 판유리로 표시되어 있으나, 자동차 차체에 조립할 수 있게 되어있는 판유리는 어느 것이든지 하기에 기술하는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끼워넣는 고정용 밀봉부는 사용되는 판유리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창 유리는 일반적으로 판유리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우선적으로 판유리로 된 앞창 유리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 도에 있어서, 전방 판유리(이하 판유리라 한다)(1)에는 차체의 프레임(3)의 접어올린 가장자리쪽의 측부 둘레에 불투명 재료로 된 피복물(4)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피복물(4)위에는 접착띠(5)가 부착되어 있다. 와이어(6)는 접착띠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피복물(4)은 세라믹 도료나 중합체를 포함하며, 한편으로는 외부에서 판유리를 가로질러 접착제가 덮인 부분을 볼 수 없게 가리는 장식적 역할을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접착띠(5)를 자외 복사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접착띠(5)가 유리 표면에 쉽게 접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점들을 참작하여 시장에서 적당한 세라믹 페이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다른 방법에 따르면 스크린 인쇄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유리 표면에 에나멜 도료를 칠하고, 상기 에나멜 도료는 예를들어 판유리를 볼록하게 구부리는데 필요한 열처리 과정에서 연소된다.
접착띠(5)에 의하여 판유리를 차체 프레임 가장자리(2)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접착띠는 예를들면, 습기가 있는 곳에서 경화되는 부틸 고무나 폴리우레탄 고무로 구성할 수 있다.
접착띠는 판유리를 조립하기 전에 적당한 압출 노즐을 이용하여 유리 표면에 부착된다. 이를 위하여 제 6 도 내지 제 10 도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하면, 접착띠(5)와 절단용 와이어(6)를 동시에 부착할 수 있다.
접착띠(5)가 부착된 후 와이어(6)가 피복물(4)의 표면상에서 판유리의 몸체와 대면하는 가장자리(7)에 위치되도록 와이어(6)를 접착띠(5)의 단면내에 배치한다.
접착띠와 와이어로 구성된 밀봉 수단을 판유리에 부착시켜서 차체의 창틀속에 조립하려면, 접착띠를 부착하기에 앞서 와이어의 한쪽 단부(9)를 판유리의 단면(11)위로 굴곡시킨다. 그 다음에, 접착띠(5)가 와이어(6)와 함께 압출되어 판유리의 가장자리 위에 배치된다. 접착띠가 판유리의 둘레를 한바퀴 돌았을 때에는 압출 노즐에서 접착띠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그러나, 와이어는 약 10cm 정도를 더 풀어서, 상기 단부(9)와 마찬가지로, 와이어의 단부(10)(제 2 도)를 판유리의 단면(11)위로 굴곡시켜 접착띠를 가로지르거나, 그 위로 빠져나오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끝난 후 판유리를 홈(3')속에 집어넣고, 차체 금속판 가장자리(2)에 눌러끼운다. 이때 와이어의 단부(9,10)는 홈(3')과 판유리의 단면(11)사이에 있는 공간속에 위치하게 한다.
판유리를 떼어내기 위하여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유리의 단면(11)과 홈(3')사이에 있는 공간에 있는 와이어의 단부(9,10)를 편다.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세게 잡아당겨서 접착띠(5)를 두 부분으로 잘라놓으면 판유리를 쉽게 떼어낼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드릴 장치(14)를 이용하여 와이어(6)를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드릴장치의 맨드릴(15)내에 스핀들(16)을 장착하고, 상기 스핀들에는 드릴 장치의 회전축과 직각 방향으로 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의 단부(9)를 상기 구멍에 고정시킨 후, 스핀들을 천천히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스핀들에 감기면서 접착띠가 쉽게 견인된다.
제 3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판유리(1)에는 예를들어 에나멜로 이루어진 불투명 피복물(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피복물 위에 성형된 접착띠(4)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피복물 위에 성형된 접착띠(20)를 부착한다. 상기 접착띠에는 와이어(6)가 합체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는 접착띠(20)의 가장자리(7)에 도달되어 판유리의 중앙쪽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접착띠는 전방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소에서 제조된 직후에 부착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접착띠는 제 1 도의 예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적당한 압출 노즐을 이용하여 압출한다. 이러한 접착띠(20)는 부착후 빨리 경화되어, 운반이나 저장시 판유리의 모서리를 보호한다. 상기 접착띠는 본래의 접착띠(21)와 양립할 수 있고, 서로 밀착될 수 있는 소성 재료로 형성된다. 접착띠(21)는 판유리를 차체 프레임 가장자리(2)에 눌러 끼워넣기 직전에 접착띠(20)위에 또는 차체 프레임 가장자리 위에 부착된다. 접착띠(20,21)의 구성 재료는 동일한 소성 재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착띠(20)의 구성 재료를 약간 더 단단한 것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접착띠(20)는 접착띠(21)와 인접한 측면은 동일한 모양으로 하되, 프레임 가장자리(2)쪽으로 접착띠(21)가 더 이상 연장되지 못하도록 제한하기 위하여 판유리의 후방으로 배치된 돌출부(23)를 갖는다. 접착띠(21)는 단독으로 판유리를 접착시킬 때 요구되는 두께보다 두껍지 않기 때문에 더 빨리 경화되고, 조립 시간도 단축된다. 판유리와 차체사이의 접합은 접착띠(21)를 구성하는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안정된다.
절단 요소를 불투명 피복물(4)의 개재없이 직접 유리 표면에 놓은 때에는 상기 요소가 장식적 역할까지도 할 수 있다. 원하는 바에 따라 이를 채색하거나, 여러 가지의 형상을 장식할 수 있다.
제 4 도는 장식용 보조 밀봉부와 함께 조립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중간 접착띠(25)를 와이어(6)와 함께 압출에 의하여 불투명한 피복물(4)위에 부착한다. 상기 중간 접착띠(25)에는 뒤쪽으로 가늘게 된 격벽(26)이 있고, 격벽의 양측에는 보조 밴드가 끼어있다. 형강(28)이 판유리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고, 판유리 표면에 인접한 형강의 면에는 장식 밴드(29)가 있다. 그 반대쪽에는 판유리의 단면(11)과 홈(3')사이의 공간을 채우기 위하여 조인트(30)를 삽입한다. 접착띠(21)에 의하여 판유리의 일부를 차체 프레임 가장자리(2)에, 다른 일부를 중간 접착띠(25)에 접착시킴으로써 판유리를 창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 5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절단 요소인 와이어(32)는 접착에 의하여 불투명 피복물(4)의 내측 가장자리에 고정된 보조 형강속에 합체되어 있다. 형강(33)에는 트러스트의 역할을 하고 피복물(4)의 표면에 부착되는 접착띠(35)를 옆으로 연장되지 못하게 하는 돌출부(34)가 형성된다. 접착띠(35)와 형강(33)은 동시에 또는 서로 전후하여 부착할 수 있다. 와이어(32)의 양단은 판유리를 창틀에 조립한 후, 접착띠(35)의 가장자리와 창틀의 프레임(3)사이의 공간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굴곡시킨다. 프레임과 판유리 단부(11)사이의 공간은 방수용 조인트(40)로 밀봉한다. 판유리를 떼어낼 필요가 있는 때에는 제 2 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띠(35)를 절단한다.
제 6 도는 접착띠(5)의 절단용 와이어(6)를 판유리(11)의 가장자리에 동시 부착시키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압출 노즐(42)에는 4각 단면을 갖는 관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관의 출구는 접착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위쪽으로 관형 단면을 갖는 관(43)으로 뻗어 있다. 상기 관(43)은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가요성 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요성 관은 접착제를 적당한 압력으로 압출 노즐(42)수준까지 끌어올리는 펌프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다.
압출 노즐(42)을 판유리(1)위에 놓고, 판유리 위쪽에 표시된 화살표(F) 방향을 따라 균일한 속도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접착제를 일정한 양으로 노즐에 공급한다. 압출노즐의 후부에는 노즐 구멍(44)이 있고, 상기 구멍을 통하여 구멍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진 접착띠(5)가 압출된다.
노즐 구멍(44)이 뚫려있는 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는 외측으로 와이어(6)를 안내하는 장치가 있다. 상기 장치에는 노즐 입구의 약간 위쪽에서 중단되는 가느다란 관(46)이 제공된다. 관(46)의 입구(47)에서 아래쪽에 있는 노즐의 격벽(49)에는 홈(50)이 파여 있고, 관(46)에서 나오는 와이어(6)가 상기 홈을 통하여 압출 노즐에 공급된다. 압출 노즐(42)의 내부에서 와이어는 접착제로 둘러싸인 다음에, 접착띠(5)내에서 적당한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판유리의 표면과 띠의 가장자리에 의하여 형성된 가장자리에서 판유리의 중앙쪽으로 격벽(51)을 따른다. 와이어는 노즐 근방에 위치한 공급 보빈(53)으로부터 풀려나오고, 안내링(54,55)에 의하여 한쌍의 전진 보빈(56)까지 공급된 다음에, 다시 관(46)까지 공급된다. 안내링, 한쌍의 전진 보빈 및 보빈 구동 모터(57)는 관(43)에 고정되어 있다. 모터(57)는 노즐이 화살표(F)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일한 속도로 와이어가 전진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와이어와 관(46)의 내측 격벽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내에서 위쪽으로 작은 관(58)을 거쳐 공기를 주입한다. 공기가 있으면, 도관내의 와이어의 이송도 원활하게 된다.
와이어(6)의 전진과 노즐의 이동은 접착띠의 부착주기가 시작되고 끝날 때, 와이어가 접착제 없이 약간 더 길게 풀려서, 판유리에 대하여 와이어의 양 단부(9,10)을 구성하고, 판유리가 일단 창틀에 조립된 때에는 와이어의 자유단부에 의하여 접착띠를 두 부분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조정한다. 접착띠와 와이어의 이동에 관하여는 제 7 도 내지 제 10 도에 상세히 설명하였다.
압출 노즐(42)은 부착을 개시하기 전에는 다시 말하면, 제 7 도에 도시된 위치에서는 판유리의 위쪽으로 약간 외측에 있게 된다. 와이어를 약 10cm 정도 풀고, 모터(57)를 구동시키고, 공기를 관(58)속에 주입한다. 핀셋(60)으로 와이어를 잡고 압출 노즐(42)과 핀셋(60)을 동시에 화살표(a) 방향으로, 다시 말하면, 판유리의 가장자리와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판유리 가장자리의 위쪽에 위치하게 한다. 핀셋(60)이 판유리 위로(화살표 b방향) 내려와서, 와이어를 판유리 위에 유지시킨다. 그 동안에 노즐(42)은 화살표(c)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판유리 위에 내려와서 화살표(F)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압출 노즐(42)이 이동한 후, 장치의 다른 부분의 위치는 제 8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6)는 핀셋(60)에 의하여 유지된다. 압출 노즐(42)이 이동하자마자 접착제가 도달하는 시스템내의 압력이 증가되고, 접착띠(5)는 일시적으로 윗부분이 절단된 단면(62)이 된 다음에, 신속히 적절한 최종 두께로 된다. 핀셋(60)이 벌어지면서 와이어(6)를 놓아주고, 다시 올라가서 그 출발 위치를 찾는다. 압출 노즐(42)은 판유리의 가장자리를 따라 그 길을 찾아간다.
제 9 도는 접착띠를 부착하는 마지막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압출 노즐이 판유리의 둘레를 한바퀴 돌아서 부착개시점에 해당하는 부분의 단면(62)에 도달하는 즉시, 접착제에 대한 압력이 감소되어 접착띠의 양단이 중첩없이 합쳐지게 된다. 접착제의 공급이 완전히 중단된 때 노즐은 그 최종 위치에 있게 되며, 이를 화살표(e) 방향으로 들어올려서, 그 수직축 둘레로 180°회전시킨 다음에 판유리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화살표(g) 방향에 따라 이동시킨다. 그동안 와이어도 풀려서 판유리의 외측에서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끝에 버클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와이어는 핀셋에 잡혀서, 핀셋과 동시에 작동하는 칼(64)에 의하여 절단된다. 이때에 한 주기가 종료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판유리를 제거한 후, 준비된 판유리를 압출 노즐 밑으로 공급한다.
본 발명은 변형 실시할 경우 노즐(42)은 로보트의 팔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와이어의 핀셋(60) 및 칼(64)의 이동을 포함한 모든 동작을 중앙 지령 장치에서 지령하게 된다.

Claims (18)

  1. 판유리(1)에 프레임(3)과 판유리(1)을 연결시키기 위한 접착띠(5,20,35)가 부착되고, 상기 접착띠(5,20,25,35)의 주변의 측면 외측이나 내측에 고정되고 그 단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접착띠(5,20,25,35)를 절단시키고, 판유리(1)를 프레임(3)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반대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단부를 갖는 와이어(6,32)가 제공된, 차량의 창틀에의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접착띠(5,20,25,35)를 이용하여 판유리(1)를 창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기 와이어(6,32)를 연질의 가요성 와이어로 제조하고, 상기 가요성 와이어(6,32)를 경화성 접착띠(5,20,25,35)의 부착과 동시에 상기 판유리(1) 위에 부착시키고, 압축 노즐(42)을 이용하여 판유리(1) 주변에 따라 접착제를 압출하여 상기 판유리(1)를 창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 조립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불투명한 피복율(4)은 상기 가요성 와이어(6,32)가 제공된 접착띠(5,20,25,35)를 판유리(1)에 고정시키기 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와이어(6,32)는 불투명한 피복율(4)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와이어(6,32)를 고정시키는 접착띠(5)를 상기 판유리(1)위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판유리(1)와 프레임(3)의 접어올린 가장자리(2) 사이의 접착띠(5)를 판유리(1)가 더 이상 이동되지 않는 위치에 놓일때까지 누르고 접착제가 경화되기 전에 판유리(1)를 프레임(3)내에 끼워넣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와이어(6,32)를 고정시키는 접착띠(5,20,25,35)를 상기 판유리(1)위에 부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접착띠(5,20,25,35)를 경화시킨 후, 판유리(1)를 프레임(3)에 끼워넣기 전에 현장에서의 직접 압출에 의하여 접착띠(21,35)를 와이어(6,32)와 접촉시키는 단계와, 와이어(6,32)의 단부(9,10)를 판유리(1)의 가장자리(2)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프레임(3)의 가장자리(2)와 접착띠(5,20,25,35) 사이에서 상기 접착띠(21,35)를 누름으로써 판유리(3)를 프레임(1)에 배치하는 단계와 접착띠(21,35)의 접착 페이스트를 판유리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에서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접착띠(5,20,25,35) 둘레에 따라 제공된 와이어(6,32)는 상기 접착띠에 대하여 판유리(1)의 중앙 측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와이어(6,32)를 고정시키는 접착띠를 부착시키기 전에 와이어의 일단부(9)를 풀어내고, 판유리(1)를 끼워넣을 때 상기 단부(9)가 창틀의 홈(3')과 판유리(1)의 단면(11) 사이의 공간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단부를 판유리(1)의 단면(11)위로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판유리(1)의 주변 전체에 가요성 와이어(6,32)를 고정시키는 접착띠(5,20,25,35)를 부착시킨 후 판유리(1)를 조립할 때, 와이어(6,32)의 다른 단부(10)를 풀어서 상기 단부(10)가 접착띠를 가로질러 창틀의 홈(3')과 판유리(1)의 단면(11)너머의 공간내에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와이어(6,32)를 접착띠와의 점착성이 약한 것으로 하거나 점착성을 감소시키는 피복물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와이어(6,32)는 견인에 대하여 높은 저항력을 가진 유기 섬유로 된 직물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실은 폴리-p-페닐렌디아미드-테레프탈아미드에 기초한 섬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창틀과의 연결을 위한 중간 프레임을 형성하는 접착띠(5,20,25,35)가 부착된 투명한 재료로된 판유리(1)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띠(5,20,25,35)의 주변의 측면 외측이나 내측에 고정되고 반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단부가 구비된 가요성 와이어(6,32)를 갖는 차량용 판유리에 있어서, 상기 접착띠(5,20,25,35)에는 상기 판유리(1)의 면에 직접 혹은 제1접착띠가 포함된 불투명한 피복물(4)을 거쳐 판유리(1)에 연결되는 형강(33)이 포함되어 있고, 견인 와이어(6,32)는 연질의 가요성이며, 상기 와이어(6,32)는 접착띠(5,20,25,35)를 이용하여 상기 판유리(1)에 직접 또는 불투명한 피복물(4)을 거쳐 접촉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판유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6,32)는 접착띠(5,20,25,35)의 판유리의 중앙쪽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그 자유 단부는 판유리(1)의 단면(11)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14. 창틀과의 연결을 위한 중간 프레임을 형성하는 접착띠(5,20,25,35)가 부착된 투명한 재료로된 판유리(1)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띠(5,20,25,35)의 주변의 측면 외측이나 내측에 고정되고 반대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단부가 구비된 가요성 와이어(6,32)를 가지며, 상기 접착띠(5,20,25,35)에는 상기 판유리(1)의 면에 직접 혹은 제1접착띠가 포함된 불투명한 피복물(4)을 거쳐 판유리(1)에 연결되는 형강(33)이 포함되어 있고, 견인 와이어(6,32)는 연질의 가요성이며, 상기 와이어(6,32)는 접착띠(5,20,25,35)를 이용하여 상기 판유리(1)에 직접 또는 불투명한 피복물(4)을 거쳐 접촉 고정된 판유리를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점성이 강한 접착제를 압출하기 위한 구멍(44)이 뚫려있는 압출 노즐(42)과, 상기 압출 노즐(42)에 공급 보빈(53)으로부터 풀려나오는 가요성 와이어(6,32)를 안내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제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가요성 와이어(6,32)를 공급하는 장치는, 구멍(44)과 반대 측면인 압출 노즐(42)의 외측에 위치되고 하단부가 압출 노즐(42)의 격벽(49)내에 위치된 홈(50)에 이어지게 배치된 관(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와이어(6,32)에 연결되고 상기 압출 노즐(42)과 동일한 전진 속도로 이동하고 상기 관(46)의 입구에 위치된 전진 보빈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압력원에 연결된 공기 주입용 관(58)은 관(46)과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판유리(1)의 가장자리와 직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와이어(6,32)의 자유 단부를 파지하는 핀셋(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40002521A 1984-05-10 1984-05-10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KR92000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521A KR920004870B1 (ko) 1984-05-10 1984-05-10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2521A KR920004870B1 (ko) 1984-05-10 1984-05-10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50A KR850007950A (ko) 1985-12-11
KR920004870B1 true KR920004870B1 (ko) 1992-06-19

Family

ID=19233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521A KR920004870B1 (ko) 1984-05-10 1984-05-10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8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7950A (ko) 198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1276A (en) Adhesive bonding means for mounting glass sheets in a window aperture
US4704175A (en) Method of adhesive bonding and mounting glass sheets in a window aperture
EP0121480B1 (fr) Montage par collage de vitrages dans une baie, notamment de pare-brise pour véhicules automobiles, facilitant leur démontage
US48761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utomobile glazing
KR930008033B1 (ko) 창유리를 창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수단 및 그러한 접착수단을 구비한 창유리 조립체
KR0129527B1 (ko) 자동차용 판유리 및 그 조립 준비 방법
KR970000735B1 (ko) 자동차 유리
US5620648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refabricated vehicle windows
US5572790A (en) Method of making a paint roller
US5529650A (en) Method of making flocked, vehicle molding
FI109343B (fi) Profiilikehyksellä varustettu, varsinkin auton lasiruutu sekä menetelmä ja laite sellaisen lasiruudun valmistamiseksi
JPH0747368B2 (ja) 窓孔への窓ガラスの取付け方法、それを実施するための窓ガラス及びガラス窓の製造方法
DE3409903A1 (de) Verfahren zum einsetzen einer autoglasscheibe durch direktverklebung, autoglasscheibe fuer die direktverklebung,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627145A (en) Window glass mounting arrangements
KR20150089046A (ko) 접착제-배킹 웨더스트립을 도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54956A (ko) 차량 글레이징의 밀봉 시스템, 이 시스템이 제공된 글레이징 및 이 글레이징의 탑재 방법
JPH05193354A (ja) 車両用窓ガラス
KR920004870B1 (ko) 차량 창틀에의 전방 판유리 접착 조립 방법 및 장치
US10399289B2 (en) Deposition head for depositing an impregnated fiber tape, and a device for placing such a tape
CA2169148A1 (en) Seal assembly adapted for robotics application
KR20160058799A (ko) 차량 글레이징 패널 컷아웃 방법
JPS60261722A (ja) 窓への窓ガラスの接着取付
KR100897969B1 (ko) 창문 창유리
EP1567381B1 (en) Sealing, guiding and trimming strip arrangements and methods of making them
JPH02279892A (ja) 伸縮可能なセル状の遮蔽体材料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