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946B1 -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946B1
KR930007946B1 KR1019900011929A KR900011929A KR930007946B1 KR 930007946 B1 KR930007946 B1 KR 930007946B1 KR 1019900011929 A KR1019900011929 A KR 1019900011929A KR 900011929 A KR900011929 A KR 900011929A KR 930007946 B1 KR930007946 B1 KR 930007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ear
carrier
ratche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703A (ko
Inventor
다카오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나카니시 가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나카니시 가즈오 filed Critical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2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2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for underhung trolleys o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elevated railways with rigid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의 주행레일 및 이동 캐리어의 측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정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X3-X3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
제 4 도는 제 2 구동 트롤리의 확대측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X5-X5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X6-X6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7 도는 레일의 제 1 고속 주행부에서 제 1 저속 주행부로의 통과부의 확대측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X8-X8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9 도는 제 7 도의 X9-X9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0 도는 제 7 도의 X10-X1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1 도는 레일의 제 1 저속 주행부에서 내리막 구배부에의 통과부의 부분절결 확대측면도.
제 12 도는 제 11 도의 저면도.
제 13 도는 제 11 도의 X13-X13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4 도는 제 11 도의 X14-X14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15 도 내지 제 20 도는 제 11 도의 부분에 있어서의 캐리어의 기어와 주행레일의 조합 래치 갈고리와 맞물림을 차례로 도시한 부분절결 측면도.
제 21 도는 레일의 내리막 구배부에서 낮은 위치의 수평부로의 통과부의 확대 측면도.
제 22 도는 제 21 도의 X22-X22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23 도는 레일의 배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레일 2 : 이동캐리어
6 : 내리막 구배부 7 : 오르막 구배부
10 : 보조레일 11,12,48 : 마찰레일
13,51,52,53,54 : 래칫 갈고리 19 : 톱니
20 : 랙 23,24,25 : 트롤리
36,43 : 모터 37 : 클러치 장치
46 : 기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조라인 등에 설치되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조라인에 있어서, 일정한 작업 범위내에서 자동차 부품(피반송물)을 적재한 복수의 캐리어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종래부터 복식 트롤리 컨베이어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복식 트롤리 컨베이어의 경우에 체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크고 작업범위 이외의 운반영역 등에서 캐리어를 고속으로 주행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소음을 감소시키고, 캐리어의 고속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동식 캐리어를 구비한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가 제안되었으며, 종래의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의 이동 캐리어는 레일상을 이동하는 1개의 구동바퀴와, 바퀴를 구동하는 1개의 전동 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레일에 구배가 있을 경우에는 구배부에서 구동바퀴가 미끄러져 원할한 주행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에 구배를 마련하지 않고 상부 위치의 수평레일과 하부위치의 수평레일 사이에 캐리어의 리프트를 마련하든가 또는 구배부에 체인을 부가하여 체인에 의하여 캐리어를 이동시키는 체인 컨베이어(특개소 제 52-9573호 참조)등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리프트 또는 체인 컨베이어를 부가할 필요가 있어 설비비가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레일의 구배부상에 상향의 톱니를 갖는 랙(rack)을 캐리어의 구동바퀴와 동축상에 피니언을 설치하여, 구배부에서는 랙위를 피니언이 전동하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특공소 제 52-97575호 참조). 그러나 이 경우에도 구동바퀴의 축 끝의 피니언부에 하중이 걸리므로 강도상 문제가 있다. 또 피니언이 랙위에 위치되어 캐리어의 하중을 받으므로 이들의 맞물림이 원할하지 않고 마모 역시 크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본 발명 이전에 상향으로 면하는 제 1 구동바퀴 안착면과, 레일의 구배부에 하향의 복수개의 톱니를 갖는 랙, 및 레일의 구배부의 후측에 하향으로 면하는 마찰 로울러 레일의 제 1 구동바퀴 안착면 상을 전동하는 제 1 구동바퀴와, 제 1 구동바퀴를 구동하는 제 1 전동모터와, 레일의 랙의 톱니와 맞물리는 기어와, 레일의 마찰 로울러 안착면에 아래로부터 눌림되는 마찰 로울러, 및 기어와 마찰 로울러를 구동하는 제 2 전동모터를 구비하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를 제안하였다(미합중국 출원 제7/466793호, EPC 제 90101036.3호 참조).
상기 컨베이어에 있어서, 랙 혹은 마찰 로울러 안착면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컨베이어의 레일부분에 대해서는 제 1 구동바퀴 안착면 상의 제 1 구동바퀴를 제 1 전동모터로 구동함으로써 캐리어가 고속으로 주행한다. 레일에 마찰롤러 안착면이 설치되어 있는 레일부분에 대해서는 마찰 로울러 안착면에 눌리어 접하고 있는 마찰 로울러를 제 2 전동모터로 구동함으로써 캐리어가 저속으로 주행하고, 랙이 설치되어 있는 레일부분에 대해서는 랙의 톱니와 맞물려 있는 기어를 제 2 전동모터로 구동함으로써 캐리어가 활주하지 않고 저속으로 주행한다. 그리고 레일의 마찰 로울러 안착면이 설치된 부분에 대해서는 랙이 설치된 부분의 통과부에 기어와 랙의 맞물림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전후(前後) 복수의 로울러를 갖는 로울러 랙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은 로울러의 회전에 의하여 기어가 로울러와 정확히 맞물려서 랙에 잘 걸리게 되는데, 때로는 기어의 톱니가 로울러의 정상부에 접촉하면 안착되어 갈아타기가 잘되지 않는 일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울러 랙 대신에 전방향으로만 이탈되어 기어와 맞물리고 레일을 따라 배열된 전방향 래칫 갈고리(pawl)를 전후방향으로 복수개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어의 톱니가 래칫 갈고리의 정상부에 맞닿아도 래칫 갈고리가 전방향으로 이탈되기 때문에 기어와 래칫 갈고리와의 맞물림은 양호하나, 기어는 래칫 갈고리로부터의 반발력에 의하여 전방향으로 힘을 받아 랙과의 맞물림이 원할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한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컨베이어는 레일의 구배부에 하향의 여러개의 톱니를 갖는 랙이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이동캐리어를 포함하고, 각각의 캐리어는 레일의 랙 톱니와 맞물리는 기어와, 이 기어를 구동하는 전동모터를 구비하며, 랙이 설치된 레일 부분으로의 통과부에는 전방향으로만 이탈하여 캐리어의 기어와 맞물리는 전방향 래칫 갈고리와 후방향으로만 이탈되어 캐리어의 기어와 맞물리는 후방향 래칫 갈고리가 조합된 복수개의 조합 래칫 갈고리와 레일의 전후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레일의 구배부에서 전동모터가 레일의 랙과 맞물린 캐리어의 기어를 구동함으로써 캐리어가 주행하며, 이로써 구배부에서 캐리어가 미끄러지는 일은 없다. 랙이 설치된 레일의 통과부에 캐리어가 도달한 때에 기어의 톱니가 조합 래칫 갈고리의 정상부에 접촉해도 전방향 래칫 갈고리는 앞으로, 후방향 래칫 갈고리는 뒤로 각각 이탈한다. 따라서, 기어의 톱니가 래칫 갈고리에 안착되는 경우가 없고, 래칫 갈고리가 이탈되어 기어의 톱니가 래칫 갈고리와 맞물리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면, 기어가 회전하여도 추진력을 얻을 수 없으므로 곧 바로 캐리어가 감속하여 기어의 톱니가 조합 래칫 갈고리와 확실하게 맞물린다. 기어의 톱니가 조합래칫 갈고리의 2개의 래칫 갈고리와 동시에 맞물리면 전방향 래칫 갈고리와 확실하게 맞물린다. 기어의 톱니가 조합 래칫 갈고리의 2개의 래칫 갈고리와 동시에 맞물리면 전방향 래칫 갈고리에 전방향의 반발력을 받으나, 후방향 래칫 갈고리와도 맞물려 있으므로 앞으로 튀어나오는 일이 없다. 그리고 기어는 조합 래칫 갈고리와 확실히 맞물리면서 전진하고 원할하게 랙에 갈아탄다.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는 주행 레일의 구배부에서 기어와 주행 레일의 톱니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캐리어를 고속 주행시킬 수 있고, 리프트나 체인 컨베이어 등을 부가하지 않아도 구배부에 있는 캐리어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어 설비단가가 감소된다. 또 기어에 의한 주행시에 있어서도 기어는 주행 레일의 하향의 톱니와 맞물리고, 캐리어의 중량의 부하를 받지 않으므로 기어와 톱니의 맞물림이 원할하고, 이들의 마모도 감소된다. 그리고 랙이 설치된 레일의 통과부에는 전방향으로만 이탈하여 캐리어의 기어와 맞물리는 전방향 래칫 갈고리와, 후방향으로만 이탈하여 캐리어의 기어와 맞물리는 후방향 래칫 갈고리가 조합된 복수개의 조합래칫 갈고리가 레일의 세로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어와 랙의 맞물림이 원할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는 자동차 제조라인에 설치된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의 주행레일(1)과 이동 캐리어(2)의 일예를 나타내고, 제 3 도 내지 제 22 도는 그 상세를 도시한 것이다. 또 제 23 도는 주행레일(1)의 배치의 일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들 도면에 있어서 캐리어(2)의 진행방향은 화살표로 표시하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좌우는 캐리어(2)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제 23 도에는 높은 위치의 제 1 수평부(3), 그 앞에 있는 낮은 위치의 수평부(4) 및 그 앞의 높은 위치의 제 2 수평부(5)를 갖는 주행레일(1)이 도시되어 있다. 높은 위치의 제 1 수평부(3)으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통과부에는 내리막 구배부(6)이 설치되고,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부터의 높은 위치의 제 2 수평부(5)로의 통과부에는 오르막 구배부(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높은 위치의 제 1 수평부(3)은 후방의 고속 주행부(제 1 고속 주행부)(3k)와 전방의 저속 주행부(제 1 저속 주행부)(3t)로 구분되며, 높은 위치의 제 2 수평부(5)는 후방의 저속 주행부(제 2 저속 주행부)(5t)와 전방의 고속 주행부(제 2 고속 주행부)(5k)로 구분되어 있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서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주행레일(1)은 상부플랜지(1a), 하부플랜지(1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웨브(1c)로 이루어지는 단면 I형인 것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당한 위치에서 지지부재에 의해 건물의 천장에 지지된다. 상하 플랜지(1a,1b)의 사이에 있는 주행레일(1)의 웨브(1c)의 한측면에는 상하에 여러개의 배전선(8)을 갖는 배전레일(9)가 설치되고 있다.
제 7 도는 주행레일(1)의 제 1 고속 주행부(3k)로부터 제 1 저속 주행부(3t)로의 통과부를 제 11 도는 제 1 저속 주행부(3t)로부터 내리막 구배부(6)로의 통과부를, 제 21 도는 내리막 구배부(6)으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통과부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 7 도 내지 제 22 도에 상세히 도시한 대로, 제 1 저속 주행부(3t), 내리막 구배부(6), 낮은 위치의 수평부(4), 오르막 구배부(7) 및 제 2 저속 주행부(5t)의 주행레일(1)의 하부 플랜지(1b)의 밑면에는 보조 레일(10)이 고정되고 있다. 보조 레일(10)은 좌우방향으로 길고, 단면이 거의 직사각형이며, 폭방향 중앙부의 밑면은 하부 플랜지(1b)의 밑면과 동일하다.
제 7 도 및 제 10 도 내지 제 12 도에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밑면이 마찰로울러 안착면이고, 단면이 직사각형인 마찰레일(11)이 제 1 저속 주행부(3t)의 보조레일(10)의 중앙부 밑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 21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같은 낮은 위치의 수평부(4)의 보조레일(10) 중앙부 밑면에도 같은 모양의 마찰레일(12)가 고정되어 있고, 제 23 도에 간단히 도시된 바와같이 제 2 저속 주행부(5t)의 보조레일(10)의 중앙부 밑면에도 같은 모양의 마찰레일(48)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레일(10)의 밑면에도 마찰레일(11,12,48)의 하향 높이는 일정하다.
제 7 도 내지 제 9 도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처럼 제 1 고속 주행부(3k)와 제 1 저속 주행부(3t)와 제 1 저속 주행부(3t) 사이의 통과부의 보조레일(10)의 후방 단부는 제 1 래칫 갈고리부(49)를 제공한다. 제 1 래칫 갈고리부(49)의 좌우 대항측면에 여러개의 전방향 래칫 갈고리(13)의 좌우방향의 수평면(14)을 중심으로 전후로 요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되어 있다. 래칫 갈고리(13)은 통상의 자체무게로 인해 현수하여 보조레일(10)의 밑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갈고리(13)은 후방향의 힘이 적용할때는 회전 운동되지 않으나, 전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전방향의 상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래칫 갈고리(13)이 있는 부분에서 보조레일(10)의 밑면에는 마찰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 대신에 제 1 저속 주행부(3t)의 마차레일(11)이 후방단에 연장된 쐐기형 레일(15)가 설치된다. 이 쐐기형 레일(15)의 높이는 전단에서는 마찰레일(11)의 두께와 같으나 후미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낮아진다.
제 11 도 내지 제 20 도에 상세히 도시한 것처럼 제 1 저속 주행부(3t)로부터 내리막 구배부(6)으로의 통과부의 보조레일(10)은 제 2 래칫 갈고리부(51)을 제공한다. 제 2 래칫 갈고리부(51)의 조합된 복수개의 조합 래칫 갈고리(54)가 레일의 세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방향 래칫 갈고리(52)는 레일(10)의 한측에서 좌우방향의 수평면(55)을 중심으로 전후로 요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래칫 갈고리(52,53)은 통상적으로 자체무게로 인해 현수하여 보조레일(10)의 밑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정지하고 있다. 제 1 래칫 갈고리부(49)의 전방향 래칫 갈고리(13)과 마찬가지로 전방향 래칫 갈고리(52)는 현수상태에서 후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회전 운동하지 않으나, 전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전방 상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와 반대로 후방향 래칫 갈고리(53)은 현수상태에서 전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회전운동하지 않으나, 후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후방 상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현수상태에 있어서의 전방향 래칫 갈고리(52)와 후방향 래칫 갈고리(53)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일치하고 있으며, 동일 위치에 있는 전방향 래칫 갈고리(52)와 후방향 래칫 갈고리(53)는 1조의 조합 래칫 갈고리(54)를 제공한다. 그리고 1조의 조합래칫갈고리(54)를 구성하는 2개의 래칫 갈고리(52,53)은 현수상태에서 측면으로 보아 완전히 겹셔처 기어의 톱니에 상당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제 2 래칫 갈고리부(51)의 후방에 있는 보조레일(10)의 중앙부 밑면에는 마찰레일(11)에 연속하는 쐐기형 레일(18)이 고정되어 있다. 이 쐐기형 레일(18)의 높이는 후미에서는 마찰레일(11)의 높이와 같고,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낮아지고 있다.
제 11 도, 제 12 도, 제 14 도 및 제 21 도에 상세히 도시한 것처럼 내리막 구배부(6)의 보조레일(10) 좌우 양측부에는 하향의 톱니(19)를 갖는 랙(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랙(20)의 후방단은 상기 제 2 래칫 갈고리부(51)에 연속된다.
제 21 도 및 제 22 도에 상세히 도시한 것처럼 내리막 구배부(6)으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통과부에서 보조레일(10)의 좌우 양측부에는 상기 랙(20)에 연속된 동일형상의 짧은 랙(21)이 형성된다. 랙(21)에 대응된 보조레일(10)의 중앙부 밑면에는 낮은 위치의 수평부(4)에 있는 마찰레일(12)의 후방단에 연속된 쐐기형 레일(22)가 고정되며, 이 쐐기형 레일(22)는 상기 쐐기형 레일(15)와 동일한 것이다.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부터 오르막 구배부(7)로의 통과부는 제 1 저속 주행부(3t)로부터 내리막 구배부(6)으로의 통과부와 동일하며, 오르막 구배부(7)로부터 제 2 저속 주행부(5t)로의 통과부는 내리막 구배부(6)으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통과부와 동일하다.
캐리어(2)는 중간의 제 1 구동 트롤리(23)과, 전방의 제 2 구동 트롤리(24)와, 후방의 종동 트롤리(25)와, 제 1 구동 트롤리(23)과 종동 트롤리(25)사이에 매달린 행거(26)을 구비하며, 행거(26)은 자동차 부품등의 피반송물(A)를 두기 위한 피반송물 적재대(27)를 구비한다. 각각의 트롤리(23,24,25)는 주행레일(1)에 현수된 전방 프레임(23a,24a,25a) 및 후방 프레임(23b,24b,25b)를 포함하며, 이들의 하부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3c,24c,25c)에 의해 연결된다. 제 1 구동 트롤리(23)과 제 2 구동 트롤리(24)는 막대형 연결부재(28)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부재(28)에는 캐리어(2)의 주행을 제어하는 제어기(29)가 부착된다. 그리고, 캐리어(2)는 행거(26) 및 연결부재(28)의 전후의 연결부에서 상하좌우로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제 1 구동 트롤리(23)의 후방프레임(23b), 제 2 구동트롤리(24)의 전후방 프레임(24a,24b) 및 종동트롤리(25)의 전후방 프레임(25a,25b)의 상부에는 주행 레일(1)의 상부 플랜지(1a)상면을 전동하는 수직 종동 바퀴(30)과 상부 플랜지(1a)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상부 수평 흔들림 방지 바퀴(31)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의 하부에 플랜지(1b)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하부 수평 흔들림 방지 바퀴(32)가 설치된다.
제 3 도에 상세히 도시하는 것처럼, 제 1 구동 트롤리(23)의 전방 프레임(23a)에는 주행레일(1)의 상부 플랜지(1a)의 상면을 전동하는 수직의 제 1 구동바퀴(33) 및 상기와 동일한 상부수평 흔들림 방지 바퀴(34) 및 하부 수평 흔들림 방지 바퀴(35)가 설치된다. 전방 프레임(23a)의 한쪽에는 고속 주행용 제 1 전동모터(36)이 상향으로 부착되고, 이것과 제 1 구동 바퀴(33)은 클러치(clutch) 장치(37)에 의해 연결되며, 클러치 장치(37)은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구비한다. 또한 전방 크레임(23a)에는 배전 레일(9)에 대응한 집전기(38)이 설치되고, 공지된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배전선(8)에 활주가능하게 접해 있는 여러개의 상하 집전자(39)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집전자(39)를 통하여 배전선(8)로부터 제억(29)에 전력 및 제어용 신호가 공급된다.
제 4 도 내지 제 6도에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제 2 구동 트롤리(24)의 연결프레임(24c)에는 브래킷(40)이 부착되고 있다. 브래킷(40)은 좌우방향의 수평핀(41)을 중심으로 일정범위를 상하로 회전 운동하고, 용수철(42)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힘을 부과시킨다. 브래킷(40)에는 저속 및 구배부 주행용의 제 2 전동 전동모터(43)이 부착되며, 모터(43)은 주행레일(1)의 수평으로 배치되고, 모터축(44)에 제 2 구동바퀴(45)가 고정된다. 제 2 구동바퀴(45)의 좌우 양단부에는 바퀴(45)의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큰 기어(46)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고, 중앙부 외면에는 마찰 로울러(47)이 고정되어 있다. 마찰 로울러(47)은 용수철(42)에 의하여 마찰레일(11,12)의 밑면에 눌려서 접촉하도록 형성되며, 마찰레일(11,12)가 없는 부분에서는 브래킷(40)이 상한위치까지 회전운동하여도, 마찰 로울러(47)은 보조레일(10)과 접촉하지 않는다. 랙(20,21)의 톱니(19)의 피치는 기어(46)의 톱니 피치와 같고, 래칫 갈고리(13)과 조합 래칫 갈고리(54)의 피치는 기어(46)의 톱니의 피치의 정수배 예컨대 2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40)이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기어(46)은 마찰레일(11,12)를 방해하지 않고 래칫 갈고리(13,52,53) 및 랙(20,21)의 톱니(19)와만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에 있어서, 캐리어(2)는 제 1 고속 주행부(3k) 및 제 2 고속 주행부(5k)에서 제 1 구동바퀴(33)에 의하여 고속으로 주행하고, 제 1 저속 주행부(3t)와, 내리막 구배부(6)과, 낮은 위치의 수평부(4)와, 오르막 구배부(7), 및 제 2 저속 주행부(5t)에서는 제 2 구동바퀴(45)에 의하여 저속으로 주행한다.
이러한 것을 상세히 설명한다면 다음과 같다.
제 1 고속 주행부(3k)에 있어서는 제 2 모터(43)은 정지하고 제 1 모터(36)은 구동되어서, 클러치 장치(37)을 접속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 1 구동바퀴(33)은 구동되어 캐리어(2)가 주행 레일(1)을 따라서 주행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캐리어(2)가 제 1 저속 주행부(3t)로의 통과부에 도달하면, 제 7 도의 쇄선(S8) 및 제 8 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 2 구동바퀴(45)의 기어(46)은 래칫 갈고리(13)에 충돌한다. 래칫 갈고리(13)은 기어(46)와 충돌하면 전방향 위쪽에서 회전운동하여 이탈하나, 기어(46)의 톱니가 통과하면 다시 자체 무게로 인해 현수된다. 제 2 구동바퀴(38)이 갈고리(13)부분에 도달하면, 제 1 모터(36)은 정지함과 동시에 클러치 장치(37)이 차단되어서,제 1 구동바퀴(33)은 자유롭게 되어 제 2 모터(43)은 구동된다. 이 때문에, 제 2 구동 바퀴(45)가 제 7 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46)은 래칫 갈고리(13)과 맞물려서 전방향의 힘을 받음으로써, 캐리어(2)가 전진한다. 캐리어(2)가 어느정도 전진하면, 제 7 도의 쇄선(S9) 및 제 9 도에 도시한 대로, 제 2 구동바퀴(45)의 마찰 로울러(47)은 쐐기형 레일(15)의 중간부의 밑면과 접촉하고, 래칫 갈고리(13)과 기어(46)의 맞물림에 의하여 캐리어(2)는 전지한다. 마침내 제 7 도의 쇄선(S10) 및 제 10 도에 도시한 대로, 마찰 로울러(47)은 쐐기형 레일(15)로부터 마찰레일(11)에 옮겨져 기어(46)이 래칫 갈고리(13)에서 떨어진다. 그리고, 이와같은 상태에서, 마찰 로울러(47)의 회전에 따라 캐이어(2)는 주행레일(1)을 따라서 저속으로 주행한다.
이때, 래칫 갈고리(1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기어(46)이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가 있고, 또한 래칫 갈고리(13)과 기어(46)의 맞물림에 의하여 제 2 구동바퀴(45)를 전진시켜서 확실하게 마찰 로울러(47)를 마찰레일(11)에 접촉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저속 주행용의 제 2 모터(43)에 의하여 마찰 로울러(47)이 구동됨으로써, 구동토크가 부족한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캐리어(2)가 제 1 저속 주행부(3t)를 주행하여 내리막 구배부(6)으로의 통과부에 도달하면, 제 2 구동바퀴(45)의 마찰 로울러(47)은 마찰레일(11)에서 쐐기형 레일(18)로 이동하고, 기어(46)이 제 2 래칫 갈고리부(51)의 조합 래칫 갈고리(54)와 맞물리기 시작한다. 따라서, 제 11 도의 쇄선(S13) 및 제 13 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마찰 로울러(47)은 쐐기형 레일(18)에서 이탈하여 기어(46)이 조합 래칫 갈고리(54)와 맞물리고 계속하여 랙(20)과 맞물린다. 그리고, 제 11 도의 쇄선(S13) 및 제 14 도에 도시한 것처럼 기어(46)과 랙(20)의 맞물림에 의하여, 캐리어(2)는 내리막 구배부(6)의 주행레일(1)을 따라서 저속으로 주행한다.
이때, 랙(20)의 바로 앞에 제 2 래칫 갈고리부(51)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같이, 기어(46)과 랙(20)의 맞물림이 원할하게 된다. 또 랙(20)과 기어(46)의 맞물림에 의하여 내리막 구배부(6)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어(2)는 미끄러지는 일이 없다. 그리고 기어(46)이 랙(20)의 하향의 톱니(19)와 맞물려서 캐리어(2)의 중량은 제 1 구동바퀴(33) 및 종동바퀴(30)에서 수용되어 기어(46)과 랙(20)의 맞물림은 원할하고 이들의 마모도 적다.
다음에 제 15 도 내지 제 20 도를 참조하여 캐리어(2)의 기어(46)과 제 2 래칫 갈고리(51)의 래칫 갈고리(52,53)의 맞물림을 차례로 설명한다.
제 15 도는 캐리어(2)가 제 2 래칫 갈고리부(51)에 도달하고 기어(46)의 톱니가 최후방의 래칫 갈고리(52,53)의 정상부에 맞닿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기어(46)의 톱니가 각각의 래칫 갈고리(52,53)의 정상부에 맞닿으면 제 16 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방향 래칫 갈고리(52)는 전방향으로 후방향 래칫 갈고리(53)은 후방향으로 각각 이탈하고, 기어(46)이 회전하면서 전진함으로써 제 17 도에 도시한 것처럼 래칫 갈고리(52,53)은 더욱 이탈된다. 동시에 기어(46)의 전방 톱니가 후방에서 두번째의 래칫 갈고리(52,53)의 정상부에 맞닿아 이들 래칫 갈고리(52,53)도 전후로 이탈된다. 기어(46)이 더 전진하면 제 18 도에 도시한 것처럼 최후방의 전방향 래칫 갈고리(52)는 현수 상태에 가까운 위치까지 복귀한다. 이어서 제 19 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방향 래칫 갈고리(52)가 현수상태로 복귀하는 동시에 후방에서 두번째의 전방향 래칫 갈고리(52)도 현수상태로 복귀하여 이들로부터 기어(46)이 전방향의 추진력을 받는다. 이때 최후방의 후방향 래칫 갈고리(52)도 현수상태로 복귀하여 이들로부터 기어(46)이 전방향의 추진력을 받는다. 이때 최후방의 후방향 래칫 갈고리(53)은 현수상태로 복귀하고 뒤이어 후방에서 두번째의 후방향 래칫 갈고리(53)도 현수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기어(46)은 후방에서 두번째에 있는 2개의 래칫 갈고리(52,53)과 맞물리며, 제 20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현수상태의 후방에서 세번째에 있는 두개의 래칫 갈고리(52,53)과 정확히 맞물린다. 기어(46)이 두개의 래칫 갈고리(52,53)과 동시에 맞물리면 전방향 래칫 갈고리(52)는 전방향의 반발력을 기어(46)에 전달하나, 후방향 래칫 갈고리(53)과도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전방향으로 뛰어 나오는 일이 없고, 이후 기어(46)은 랙을 따라 전진하기 위해 랙(20)의 톱니(19)와 정확히 맞물리도록 앞에 있는 래칫 갈고리(52,53)과 확실히 맞물리면서 전진한다.
이와같이 기어(46)의 톱니가 최초에 래칫 갈고리(52,53)의 정상부에 닿은 경우에도, 래칫 갈고리(52,53)은 전후로 이탈하기 때문에 기어(46)의 톱니가 래칫 갈고리(52,53)에 안착되는 경우가 없다. 그리고 래칫 갈고리(52,53)이 이탈하여 기어(46)의 톱니가 래칫 갈고리(52,53)과 맞물리지 않는 상태가 계속되면, 기어(46)이 회전해도 추진력이 얻어지지 않으므로, 이동한 캐리어(2)는 감속하여 기어(46)의 톱니가 조합 래칫 갈고리(54)와 확실히 맞물리고, 조합래칫 갈고리(54)의 작용으로 기어(46)은 랙(20)과 원할하게 맞물린다.
캐리어(2)가 내리막 구배부(6)을 따라 주행하여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통과부에 도달하면, 제 21 도의 쇄선(S22) 및 제 22 도에 도시한 대로, 마찰 로울러(47)은 쐐기형 레일(22)에 접촉하고, 기어(46)과 랙(21)의 맞물림에 따라 마찰 로울러(47)이 쐐기형 레일(22)에서 이탈하여 마찰레일(12)와 접촉한다. 그리고, 제 1 저속 주행부(3t)의 경우와 같이 마찰 로울러(47)에 의하여 캐리어(2)가 저속으로 주행한다.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부터 오르막 구배부(7)로의 통과부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어도 제 11 도 내지 제 10 도에서 설명한 동작과 같게 된다.
이때도, 기어(46)과 랙(20)이 맞물림에 따라서 캐리어(2)가 오르막 구배부(7)를 주행함으로, 캐리어(2)는 미끄러지는 일등은 없게 된다.
오르막 구배부(7)로부터 제 2 저속 주행부(5t)로의 통과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어로 제 21 도 및 제 22 도에서 설명한 동작과 같다.
캐리어(2)가 제 2 저속 주행부(5t)를 주행하여 제 2 도 고속 주행부(5k)로의 통과부에 도달하면, 로울러(47)에 대한 마찰레일(48)이 없어지고, 제 2 모터(43)이 정지하며, 이와 동시에 제 1 모터(36)이 구동되어 클러치 장치(37)를 접속시킨다. 이로인하여 제 1 구동바퀴(33)이 회전하여, 캐리어(2)가 제 2 고속 주행부(5k)를 주행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낮은 위치의 수평부(4) 전체를 따라 캐리어(2)가 저속으로 주행하고 있으나, 낮은 위치의 수평부(4)의 양단부를 저속 주행부, 그리고 중간부를 고속 주행부로 하여도 된다.

Claims (1)

  1. 레일(1)을 따라서 주행하는 복수개의 이동 캐리어(2)를 구비한 컨베이어로서, 레일(1)의 구배부(6,7)에는 아래 방향의 복수개의 톱니(19)를 갖는 랙(20)이 설치되고 각각의 캐리어(2)에는 레일(1)의 랙(20)의 톱니(19)와 맞물리는 기어(46)과 이 기어(46)을 구동하는 전동모터(43)이 설치되어 있고, 레일(1)의 랙(20)이 설치된 부분으로의 통과부에는 전방향으로만 이탈되어 캐리어(2)의 기어(46)과 맞물리는 전방향 래칫 갈고리(52)와 후방향으로만 이탈되어 캐리어(2)가 기어(46)과 맞물리는 후방향 래칫 갈고리(53)이 조합된 복수개의 조합래칫 갈고리(54)가 레일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KR1019900011929A 1989-07-31 1990-09-29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KR930007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90919U JP2509486Y2 (ja) 1989-07-31 1989-07-31 キャリヤ自走式コンベヤ
JP1-90919 1989-07-31
JP(U)90919 198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703A KR910002703A (ko) 1991-02-26
KR930007946B1 true KR930007946B1 (ko) 1993-08-25

Family

ID=1401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929A KR930007946B1 (ko) 1989-07-31 1990-09-29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165348A (ko)
EP (1) EP0411517B1 (ko)
JP (1) JP2509486Y2 (ko)
KR (1) KR930007946B1 (ko)
AU (1) AU617255B2 (ko)
CA (1) CA2022217C (ko)
DE (1) DE690045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46080B1 (es) * 1991-07-10 1995-11-16 Nakanishi Metal Works Co Transportador con ruedas motrices.
ES2038910B1 (es) * 1991-09-30 1995-05-01 Nakanishi Metal Works Co Sistema de control de la velocidad de marcha de un vehiculo autopropulsado.
DE102009019741A1 (de) * 2009-05-02 2010-11-11 Thyssenkrupp Drauz Nothelfer Gmbh Anlage zur Montage von Karosserieteilen
EP2316716B1 (de) * 2009-10-29 2012-05-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montageeinrichtung
CN102070082B (zh) * 2010-12-27 2012-10-24 江苏天奇物流系统工程股份有限公司 双摩擦驱动装置
CN102602805B (zh) * 2012-03-28 2014-04-16 长治市永华机械有限公司 乳化液缸吊车行走装置
CN103387120A (zh) * 2012-05-11 2013-11-13 佛山市仨联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高速往复小车
DE102015003736A1 (de) * 2015-03-21 2016-09-22 Eisenmann Se Transportwagen und 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JP6192240B2 (ja) * 2015-10-29 2017-09-0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搬送システム
JP6429029B2 (ja) * 2015-12-01 2018-11-28 株式会社ダイフク ラックギヤ駆動可能な搬送装置
US10526030B2 (en) * 2016-05-10 2020-01-07 The Hi-Tech Robotic Systemz Ltd. Climb structure for a robot
CN111216700B (zh) * 2020-01-08 2021-03-26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齿轨列车的制动控制方法及设备
CN113047093B (zh) * 2021-02-08 2022-06-10 中铁二院工程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纵向可移动式入齿过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24A (en) * 1886-09-21 Rack rail foe railways
US569097A (en) * 1896-10-06 fryer
US862080A (en) * 1904-11-07 1907-07-30 Goodman Mfg Co Electric haulage system.
US3429280A (en) * 1966-04-01 1969-02-25 Dashaveyor Co Rack and pinion vehicle propulsion system
DE1755926A1 (de) * 1968-07-11 1972-01-05 Sybron Corp Fahrwerk fuer Haengebahnen
DE2545907C3 (de) * 1975-10-14 1983-11-17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Förderbahn mit an einer Schiene geführten Katze
DE2558876C3 (de) * 1975-12-27 1980-03-13 Willy Huenibach Bei Thun Habegger (Schweiz) Einschienenzahnradbahn
JPS5297575A (en) * 1976-02-10 1977-08-16 Nissei Ltd Truck climbing device in transslift and monorail transportation system
DE3128824C2 (de) * 1981-07-21 1985-07-18 Georg 8200 Rosenheim Uttscheid Elektrohängebahn
DD208118A1 (de) * 1981-12-24 1984-03-28 Ba Der Ddr Inst F Technologie Haengebahn mit eigenantrieb des foerderwagens
EP0090160A3 (de) * 1982-03-30 1984-05-16 Högg-Handels AG Fördereinrichtung
DE3243914A1 (de) * 1982-11-25 1984-05-3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Fahrwerk eines auf profilschienenstraengen laufenden foerderwagens
JPS59186757A (ja) * 1983-04-06 1984-10-23 株式会社ダイフク 台車式搬送装置
DE3403460A1 (de) * 1984-02-01 1985-08-08 Georg 8200 Rosenheim Uttscheid Elektrohaengebahn
GB2175555B (en) * 1985-04-17 1989-02-01 Daifuku Kk Cart type conveying apparatus
JP2709619B2 (ja) * 1989-01-19 1998-02-04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キャリヤ自走式コンベヤ
JPH05297575A (ja) * 1992-04-21 1993-11-12 Toray Ind Inc 湿し水不要平版印刷用原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8967U (ko) 1991-03-22
EP0411517A1 (en) 1991-02-06
KR910002703A (ko) 1991-02-26
JP2509486Y2 (ja) 1996-09-04
EP0411517B1 (en) 1993-11-10
CA2022217C (en) 1994-06-14
DE69004516T2 (de) 1994-05-19
AU617255B2 (en) 1991-11-21
DE69004516D1 (de) 1993-12-16
CA2022217A1 (en) 1991-02-01
US5165348A (en) 1992-11-24
AU6002790A (en) 199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946B1 (ko)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KR0149176B1 (ko)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JP4976774B2 (ja) 天井クレーン
CN101327901A (zh) 啮合链式升降装置
KR101098524B1 (ko)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
WO1986007322A1 (en) Automatic, rail-based transportation system
CN211038010U (zh) 载车平台及立体停车库
CN111775977B (zh) 轨道车的助推阻尼系统与轨道车运行控制方法
CN2453072Y (zh) 垂直循环式停车设备
JP2890012B2 (ja) 車両立体格納設備
CN214151500U (zh) 轨道摩擦与链轮链条混合传动的巡检机器人
JP2000302031A (ja) 単軌条運搬車用レール
JPS642036Y2 (ko)
CN2164382Y (zh) 电液直线推车机
CN2347843Y (zh) 有轨车辆的传送装置
JPS642917Y2 (ko)
JP2001031355A (ja) 乗客コンベヤ装置
KR960014370B1 (ko) 엘리베이트식 입체 주차 장치의 횡행 구동장치
JP2003306143A (ja) 吊り下げ搬送設備
JP2599224Y2 (ja) 懸架式リフトコンベヤ装置
CN117228203A (zh) 立体库穿梭车齿轮选型方法
JPH0813641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JPH09189090A (ja) 開閉式屋根の開閉機構
JPS63101159A (ja) 連続輸送システム
JPH05113051A (ja) 垂直循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