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176B1 -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9176B1 KR0149176B1 KR1019900000503A KR900000503A KR0149176B1 KR 0149176 B1 KR0149176 B1 KR 0149176B1 KR 1019900000503 A KR1019900000503 A KR 1019900000503A KR 900000503 A KR900000503 A KR 900000503A KR 0149176 B1 KR0149176 B1 KR 01491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carrier
- driving
- friction
- low spe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4—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elevated railways with rigid rai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의 주행 레일 및 이동 캐리어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 Ⅲ-Ⅲ선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2구동 트롤리(trolly)의 확대측면도.
제5도는 제4도 Ⅴ-Ⅴ선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 Ⅵ-Ⅵ선의 단면도.
제7도는 레일의 제1고속 주행부로부터 제1저속 주행부로의 이행부분의 확대측면도.
제8도는 제7도 Ⅷ-Ⅷ선의 단면도.
제9도는 제7도 Ⅸ-Ⅸ선의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 Ⅹ-Ⅹ선의 단면도.
제11도는 레일의 제1저속 주행부로부터 내리막구배부에 이르는 이행부분의 확대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 ⅩⅡ-ⅩⅡ선의 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 ⅩⅢ-ⅩⅢ선의 단면도.
제14도는 레일의 내리막구배부로부터 저소 수평부에 이르는 이행부분의 확대측면도.
제15도는 제14도 ⅩⅤ-ⅩⅤ선의 단면도.
제16도는 레일의 배치의 일부를 보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레일 1a : 상부 플랜지
2 : 이동캐리어 6 : 내리막구배부
7 : 오르막구배부 10 : 보조레일
11,12,48 : 마찰레일 13 : 래치 갈고리
15,18,22,50 : 쐐기형레일 18,19 : 이
17,20,21 : 래크 33 : 제1구동바퀴
36 : 제1전동모터 43 : 제2전동모터
45 : 제2구동바퀴 46 : 톱니바퀴
47 : 마찰롤러 49 : 래치갈고리부
51 : 롤러래크부
본 발명은, 예를들자면 자동차의 제조라인 등에 설치되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제조라인에 있어서, 일정한 작업 범위내에서 자동차부품(피반송물)을 적재한 여러개의 캐리어를 일정한 차간거리를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종래에서부터 복식트롤리 컨베이어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복식트롤리 컨베이어의 경우에는, 체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크고, 작업영역 이외의 운반 영역 등에 있어서, 캐리어를 고속으로 주행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소음을 감소시키고 캐리어의 고속화를 위하여, 여러개의 이동식 캐리어를 갖춘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가 제안된다.
종래의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의 이동캐리어는 레일상을 전동하는 1개의 구동바퀴와, 이것을 구동하는 1개의 전동모터를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레일에 구배가 있는 경우, 구배부에서 구동바퀴가 미끄러져 원활한 주행을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에 구배를 만들지 않고 높은 위치의 수평레일과, 낮은 위치의 수평레일 사이에 캐리어의 리프트를 설치하거나, 구배부에 체인 컨베이어를 첨가시켜 체인에 의하여 캐리어를 이동하게 하는것(특개소52-97573호 참조)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것에서는 리프트 또는 체인 컨베이어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설비비가 비싸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레일의 구배부에 상향의 톱니를 갖는 래크를 설치하여, 캐리어에 구동바퀴와 동축의 피니온을 설치하여, 구배부에서는 래크위를 피니온이 전동하도록 하는 것도 제안되었다(특공소 52-97575호 참조).
그러나, 이 경우에는 구동바퀴의 축끝의 피니온 부분에 하중이 걸림으로, 강도상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피니온이 래크위에 놓여져 캐리어의 하중을 받음으로써, 이들의 맞물림이 원활하지 않고, 마모 역시 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캐리어의 주행속도가 고속과 저속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경우에 종래와 같이 1개의 모터로 구동바퀴를 구동한다면, 저속 주행시에 구동토크가 부족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는 레일에 따라서 주행하는 여러개의 이동 캐리어를 갖춘 컨베이어에 있어서, 레일에 상향의 제1구동바퀴 안착면이 설치됨과 동시에, 적어도 레일의 구배부에 하향의 여러개의 톱니가 설치되고, 각 캐리어에, 레일의 제1의 구동바퀴 안착면상을 전동하는 제1구동바퀴와. 이 제1구동바퀴를 구동하는 제1전동모터와, 레일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바퀴와, 이 톱니바퀴를 구동하는 제2전동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레일의 적당한 위치에 하향의 마찰롤러 안착면이 설치되고, 각 캐리어가 이 마찰롤러 안착면에 밑에서 눌려져 접하며 또한 제2전동모터로서 구동되는 마찰롤러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자동차 제조라인에 설치된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의 주행레일(1)과 이동캐리어(2)의 한예를 보이며, 제3도 내지 제15도는 그 상세도를 도시한다. 또한 제16도는 주행레일(1)의 배치의 일부를 도시한다. 그리고, 이들 도면에 있어서, 캐리어(2)의 진행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으며, 다음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란 캐리어(2)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제16도에서는, 주행레일(1)의 높은 위치의 제1수평부(3), 앞에 있는 낮은 위치의 수평부(4) 및 높은 위치의 제2수평부(5)가 도시되고 있다. 높은 위치의 제1수평부(3)으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이행부분에는 내리막구배부(6)가.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부터 높은 위치의 제2수평부(5)로의 이행부분에는 오르막구배부(7)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높은 위치의 제1수평부(3)는 뒤쪽의 고속주행부(제1고속주행부)(3k)와 앞쪽의 저속주행부(제1저속주행부)(3t)로 구분되며, 높은 위치의 제2수평부(5)는 뒤쪽의 저속주행부(제2저속주행부)(5t)와 앞쪽의 고속주행부(제2고속주행부)(5k)로 구분되어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주행레일(1)은 상부플랜지(1a), 하부플랜지(1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웨브(1c)로 이루어지는 1단면형인 것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적당한 위치에서 지지부재에 의해 건물의 천장에서 지지된다. 주행레일(1)의 웨브(1c) 평면의 상하플랜지(1a,1b)의 사이에, 상하에 여러개의 배전선(8)을 갖는 배전레일(9)이 설치되고 있다.
제7도는 주행레일(1)의 제1고속주행부(3k)로부터 제1저속주행부(3t)로의 이행부분, 제1도는 제1저속주행부(3t)로부터 내리막구배부(6)로의 이행부분, 제1도는 내리막구배부(6)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이행부분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7도 내지 제15도에서 상세히 도시한 대로, 제1저속행부(3t), 내리막구배부(6), 낮은 위치의 수평부(4), 오르막구배부(7) 및 제2저속주행부(5t)의 주행레일(1)의 하부플랜지(1b)의 밑면에, 보조레일(10)이 고정되고 있다. 보조레일(10)은 좌우방향으로 긴, 거의 직방체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그 폭방향 중앙부의 밑면은 하부플랜지(1b)의 밑면과 평행하다.
제7도 내지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제1저속주행부(3t)의 보조레일(10)의 중앙부 밑면에, 단면이 직방체인 마찰레일(11)이 고정되고 있다. 또한, 제14도 및 제15도에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낮은 위치의 수평부(4)의 보조레일(10) 중앙부 밑면에도, 같은 모양의 마찰레일(12)이 고정되고 있다. 제16도에서 간단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저속주행부(5t)의 보조레일(10) 중앙부 밑면에도, 같은 같은 모양의 마찰레일(12)이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보조레일(10) 밑면까지 마찰레일(11,12,48)이 하향 높이는 일정하다.
제7도 내지 제9도에서 상세히 도시한 것처럼 제1고속주행부(3k)로부터 제1저속주행부(31)로의 이행부분의 보조레일(10) 뒷쪽단부와, 래치갈고리부(13)는 자체무게로 수하하여, 보조레일(10)의 밑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갈고리(13)에 뒤쪽방향의 힘이 작용하여도 갈고리(13)는 회전운동되지는 않으나, 앞쪽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 앞쪽의 상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래치갈고기(13)의 어느 부분에서 보조레일(10)의 밑면에는 마찰레일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이 대신에 제1저속주행부(3t) 마찰레일(11)의 뒤쪽단에 연속된 쐐기형 레일(15)이 설치된다.
이 쐐기형레일(15)의 높이는 전단에서는 마찰레일(11)의 높이와 같으며, 뒤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낮아진다.
제11도 및 제12도에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제1저속주행부(3t)로부터 내리막구배부(6)로의 이행부분의 보조레일(10)은 롤러래크부(51)로 되어 있다. 롤러래크부(51)의 좌우 양측부에 여러개의 하향의 톱니(16)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톱니(16)에 좌우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롤러(17)가 부착된다. 이들 롤러(17)에 대응하는 보조레일(10)의 중앙부 밑면에, 마찰레일(11)에 연속된 쐐기형레일(18)이 고정되어 있다. 이 쐐기형레일(18)의 높이는 후단에서는 마찰레일(11)의 높이와 같으며, 앞으로 감에 따라서 서서히 낮아진다.
제1도 내지 제15도에 상세히 도시한 대로, 내리막구배부(6)의 보조레일(10) 좌우 양측부에. 하향의 톱니(19)를 갖은 래크(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20)의 후단은 상기 롤러래크부(51)에 연속된다.
제14도 및 제15도에 상세히 도시한 대로, 내리막구배부(6)으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이행부분의 보조레일(10) 좌우 양측부에 상기 래크(20)에 연속된 동일형상의 짧은 래크(21)가 설치된다. 이 래크(21)에 대응된 보조레일(10) 중앙부 하면에는 낮은 위치의 수평부(4) 마찰레일(12)의 후단에 연속된 쐐기형레일(22)이 고정된다. 이 쐐기형레일(22)는, 상기 쐐기형레일(15)과 동일한 것이다.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부터 오르막구배부(7)로의 이행부분은 제1저속주행부(3t)로부터 내리막구배부(6)로의 이행부분과 동일하다. 오르막구배부(7)로부터 제2저속주행부(5t)로의 이행부분은 내리막구배부(6)로부터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이행부분과 동일하다.
캐리어(2)는 중간의 제1구동트롤리(23)과 앞쪽의 제2구동트롤리(24)와. 뒤쪽의 종동트롤리(25)와, 제1구동트롤리(23)와 종동트롤리(25)의 사이에 매달린 행거(26)를 갖추어 있고, 행거(26)에는 자동차 부품 등의 피반송물(A)을 얹는 피반송물 적재대(27)가 설치된다. 각 트롤리(23,24,25)는 주행레일(1)에 매달려 앞틀(23a,24a,25a) 및 뒤틀(23b,24b,25b) 그리고 이들의 하부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들(23c,24c,25c)에 의해 연결된다. 제1구동트롤리(23)와 제2구동트롤리(24)는 막대형연결부재(28)로서 연결되며, 이 연결부재(28)에는 캐리어(2)의 주행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9)가 부착된다. 그리고, 캐리어(2)는 행거(26) 및 연결부재(28)의 전후의 연결부분에서 상하좌우로 굴곡되도록 형성된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제1구동트롤리(23)의 뒤틀(23b), 제2구동트롤리(24) 전후의 틀(24a),(24b), 및 종동트롤리(25) 전후의 틀(25a,25b)의 상부에는 주행레일(1)의 상부플랜지(1a)윗면을 전동하는 수직 종동바퀴(30)와 상부플랜지91a)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상부수평흔들림방지바퀴(31)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들의 하부에 하부플랜지(1b)를 좌우 양쪽으로부터 끼우는 하부수평흔들림방지바퀴(32)가 설치된다.
제3도에 상세히 도시하는 것처럼, 제1구동트롤리(23)의 앞틀(23a)에는 주행레일(1)의 상부플랜지(1a) 상면을 전동하는 수직의 제1구동바퀴(33) 및 상기와 동일한 상부수평흔들림방지바퀴(34) 및 하부수평흔들림방지바퀴(35)가 설치된다. 앞틀(23a)의 한쪽에는 고속주행용 제1전동모터(36)가 상향으로 부착되고, 이것과 제1구동바퀴(33)가 크래치장치(37)를 통하여 연결되고 있다. 크래치장치(37)에는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크래치와 브레이크가 내장된다. 또한 앞틀(23a)에는 배전레일(9)에 대응하여. 집전기(38)가 설치되고, 여기에는 공지된 적절한 수단에 의해 배전선(8)에 미끄럼 가능하게 접해있는 여러개의 상하 집전자(39)를 통하여, 컨트롤러(29)에 전력 및 제어용 신호가 공급된다.
제4도 내지 제6도에 상세히 도시되는 것처럼 제2구동트롤리(24)의 연결틀(24c)에는 브라켓(40)이 부착되고 있다. 이 브라켓(40)은 좌우방향의 수평 핀(41)을 중심으로 일정범위로 상하로 회전운동하고, 용수철(42)에 의하여 상향으로 힘을 부과시킨다. 브라켓(40)에는 저속 및 구배부 주행용의 제2전동모터(43)가 부착되며, 이 모터(43)는 좌우방향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고, 모터축(44)에 제2구동바퀴(45)가 고정된다. 제2구동바퀴(45)의 좌우 양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외경이 큰 톱니바퀴(46)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고, 중앙부 외면에는 마찰롤러(47)가 휘어져 부착된다. 마찰롤러(47)는 용수철(42)에 의하여 마찰레일(11,12)의 밑면에는 눌려져 접하며, 또한 마찰레일(11,12)이 없는 부분에서는 브라켓(40)이 상한위치까지 회전운동하여도, 마찰롤러(47)가 보조레일(10)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브라켓(40)이 어떤 위치에 있는 경우라도, 톱니바퀴(46)는 마찰레일(11,12)과 간섭함이 없고, 단지 래치 갈고리(13), 롤러(17) 및 래크(20,21)의 톱니(19)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컨베이어에 있어서, 캐리어(2)는 제1고속주행부(3k) 및 제2고속주행부(5k)에서는 제1구동바퀴(33)에 의하여 고속으로 주행하고, 제1저속주행부(3t), 내리막구배부(6), 낮은 위치의 수평부(4), 오르막구배부(7) 및 제2저속주행부(5t)에서는 제2구동바퀴(45)에 의하여 저속으로 주행한다.
이러한 것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고속주행부(3k)에 있어서는 제2모터(43)가 정지하고 있으며. 제1모터(36)가 구동되어서, 크래치장치(37)를 접속시킨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제1구동바퀴(33)가 구동되고, 캐리어(2)가 주행레일(1)에 따라서 주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캐리어(2)가 제1저속주행부(3t)로의 이행부분에 도달하면, 제7도의 쇄선(s8) 및 제8도에 도시한 대로 제2구동바퀴(45)의 톱니바퀴(46)가 래치갈고리(13)에 충돌하며, 래치갈고리(13)는 톱니바퀴(46)가 충돌하면 앞부분 위쪽에서 회전운동하여 빠지나, 톱니바퀴(46)의 톱니가 통과하면 다시 자체무게로 인해 수하된다. 제2구동바퀴(38)가 래치갈고리(13) 부분에 도달하면, 제1모터(36)가 정지함과 동시에 크래치장치(37)가 절단되어서, 제1구동바퀴(33)가 자유롭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모터(43)가 구동된다. 이 때문에 제2구동바퀴(45)가 제7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톱니바퀴(46)가 래치갈고리(13)와 맞물려 앞방향의 힘을 받음으로써, 캐리어(2)가 전진한다. 캐리어(2)가 어느 정도 전진하면, 제7도의 쇄선(s9) 및 제9도에 도시한대로, 제2구동바퀴(45)의 마찰롤러(47)가 쐐기형레일(15)의 중간부 밑면과 접촉을 시작한다. 마찰롤러(47)가 쐐기형레일(15)과 접촉한 상태에서, 래치갈고리(13)와 톱니바퀴(46)의 맞물림에 의하여 캐리어(2)는 더욱 전진하고, 마침내, 제7도의 쇄선(s10) 및 제10도에 도시한대로, 마찰롤러(47)가 쐐기형레일(15)로부터 마찰레일(11)에 옮겨져 톱니바퀴(46)가 래치갈고리(13)에서 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마찰롤러(47)의 회전에 따라 캐리어(2)가 주행레일(1)을 따라서 저속으로 주행한다.
이때, 래치갈고리(13)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톱니바퀴(46)가 충돌했을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가 있고, 또한 래치갈고리(13)와 톱니바퀴의 맞물림에 의하여 제2구동바퀴(45)를 전진시켜서 마찰롤러(47)를 확실하게 마찰레일(11)에 접촉시킬수가 있다. 그리고, 저속주행용의 제2모터(45)에 의하여 마찰롤러(47)가 구동됨으로써, 구동토크가 부족한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캐리어(2)가 제1저속주행부(3t)를 주행하여 내리막구배부(6)로의 이행부분에 달하면, 제11도의 쇄선(s12) 및 제12도에 도시한 대로, 제2구동바퀴(45)의 마찰롤러(47)가 마찰레일로부터 쐐기형레일(18)에 옮겨짐과 동시에 톱니바퀴(46)가 롤러래크부(51)의 롤러(17)와 맞물려, 이에 따라 캐리어(2)가 전진한다. 캐리어(2)가 어느정도 전진하면, 마찰롤러(47)가 쐐기형레일(18)로부터 떨어져, 톱니바퀴(46)가 롤러(17)로부터 래크(20)에 옮겨진다. 그리고, 제11도의 쇄선(s13) 및 제13도에 도시한 대로 톱니바퀴(46)와 래크(20)의 맞물림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래크(20) 톱니바퀴(46)의 맞물림에 의하여, 캐리어(2가 내리막구배부(6)의 주행레일(1)을 따라서 저속으로 주행한다.
이때, 래크(20)의 바로 앞에 롤러(17)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톱니바퀴(46)의 맞물림의 원활하게 된다. 또한, 래크(2) 톱니바퀴(46)의 맞물림에 의하여 내리막구배부(6)를 주행함으로, 캐리어(2)가 미끄러지는 일은 없다. 그리고, 톱니바퀴(46)가 래크(20)의 하향의 톱니(19)와 맞물려. 캐리어(2) 중량은 제1구동바퀴(33) 및 종동바퀴(30)에서 수용됨으로써 톱니바퀴(46)와 래크(20)의 맞물림이 원활하고, 이들의 마모도 적어진다.
캐리어(2)가 내리막구배부(6)를 주행하여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의 이행부분에 달하면, 제14도의 쇄선(s15) 및 제15도에 도시한 대로, 마찰롤러(47)가 쐐기형레일(22)에 접촉하고, 톱니바퀴(46)와 래크(21)사이의 맞물림에 따라서 마찰롤러(47)가 쐐기형레일(22)로부터 마찰레일(12)에 확실히 옮겨진다. 그리고, 제1저속주행부(3t)의 경우와 같이, 마찰롤러(47)에 의하여 캐리어(2)가 저속으로 주행한다,
낮은 위치의 수평부(4)로부터 오르막구배부(7)로의 이행부분에 있어서의 동작은, 제11도 내지 제13도에서 설명한 동작과 같게 된다.
이때도, 톱니바퀴(16)와 래크(20)의 맞물림에 따라서 캐리어(2)가 오르막구배부(7)를 주행함으로, 캐리어(2)가 미끄러지는 일등은 없게 된다.
오르막구배부(7)로부터 제2저속 주행부(5t)로의 이행부분에서의 동작은 제14도 및 제15도에서 설명한 동작과 같다.
캐리어(2)가 제2저속주행부(5t)를 주행하여 제2고속주행부(5k)로의 이행부분에 도달하면, 마찰레일(48)이 없어지고, 제2모터(43)가 정지하고, 이와 동시에, 제1모터(36)가 구동되어서 크래치장치(37)를 접속시킨다. 이 때문에, 제1구동바퀴(33)가 회전하여, 캐리어(2)가 제2고속주행부(5k)로 주행한다.
설명한 것처럼, 낮은 위치의 수평부(4) 전체에 있어서, 캐리어(2)를 저속으로 주행시키고 있으나, 낮은 위치의 수평부(4) 양단부와 저속주행부, 그리고 중간부를 고속주행부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레일의 평부분에 있어서 제1전동모터로 제1구동바퀴를 구동함으로써 캐리어를 고속으로 주행시킬수가 있고, 구배부에 있어서는 제2구동모터로 톱니바퀴를 구동함으로써 톱니바퀴와 주행레일의 톱니를 맞물리게 함으로 캐리어를 저속으로 주행시킬수가 있다. 이 때문에 리프트나 체인컨베이어 등을 부가하지 않아도, 구배부에 있어서 캐리어가 미끄러지는 일이 없고, 설비비가 싸게 된다. 또, 톱니바퀴에 의한 저속 주행시에 있어서도, 톱니바퀴가 주행레일의 하향의 톱니와 맞물려, 캐리어의 중량은 제1구동바퀴 등에 수용됨에 짐으로 톱니바퀴와 톱니의 맞물림의 원활하여, 이들의 마모도 적게 된다.
또, 레일의 적당한 위치에 아래방향의 마찰롤러 안착면을 설치하고, 각 캐리어에, 이 마찰롤러 안착면에 아래로부터 눌려져 접하고, 또한 제2전동모터로 구동되는 마찰롤러를 설치하면, 저속 주행시에는 이 마찰롤러로서 캐리어를 주행시킬수가 있기 때문에, 구동토크가 모자라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2)
-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여러개의 이동 캐리어를 갖춘 컨베이어에 있어서, 레일에 상향의 제1구동바퀴 안착면이 설치됨과 동시에, 적어도 레일의 구배부에 아래방향의 여러개의 톱니가 설치되고, 각 캐리어에, 레일의 제1의 구동바퀴 안착면상을 전동하는 제1구동바퀴와. 제1구동바퀴를 구동하는 제1전동모터와, 레일의 톱니와 맞물리는 톱니바퀴와, 이 톱니바퀴를 구동하는 제2전동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 제1항에 있어서, 레일의 적당한 위치에 하향의 마찰롤러 안착면이 설치되고, 각 캐리어에 이 마찰롤러 안착면에 밑으로부터 눌려져 접하며, 또한 제2전동모터로서 구동되는 마찰롤러가 설치되어 있는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11300A JP2709619B2 (ja) | 1989-01-19 | 1989-01-19 | キャリヤ自走式コンベヤ |
JP1-11300 | 1989-01-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1654A KR900011654A (ko) | 1990-08-01 |
KR0149176B1 true KR0149176B1 (ko) | 1998-10-15 |
Family
ID=11774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0503A KR0149176B1 (ko) | 1989-01-19 | 1990-01-17 |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5174217A (ko) |
EP (1) | EP0379206B1 (ko) |
JP (1) | JP2709619B2 (ko) |
KR (1) | KR0149176B1 (ko) |
AU (2) | AU630918B2 (ko) |
CA (1) | CA2008023C (ko) |
DE (1) | DE69010515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09486Y2 (ja) * | 1989-07-31 | 1996-09-04 |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 キャリヤ自走式コンベヤ |
ES2038910B1 (es) * | 1991-09-30 | 1995-05-01 | Nakanishi Metal Works Co | Sistema de control de la velocidad de marcha de un vehiculo autopropulsado. |
IT1255806B (it) * | 1992-08-07 | 1995-11-16 | Giorgio Deandrea | Impianto di trasporto a rotaia sospesa |
US6557676B2 (en) | 2001-01-23 | 2003-05-06 | Daimlerchrysler Rail Systems (Technology) | Innovia vehicle lock-on device |
US7467723B2 (en) * | 2005-03-18 | 2008-12-23 | Zaguroli Jr James | Electric motor driven traversing balancer hoist |
KR100791524B1 (ko) | 2005-09-28 | 2008-01-04 | (주)영광산업개발 | 용ㆍ배수로 보수 및 보강을 위한 조립식 대차 |
JP4976774B2 (ja) * | 2006-07-28 | 2012-07-18 | Ihi運搬機械株式会社 | 天井クレーン |
JP5206035B2 (ja) * | 2008-03-11 | 2013-06-12 | 中西金属工業株式会社 | 傾斜経路に対応した搬送車走行装置 |
CN104003303B (zh) * | 2014-05-14 | 2016-02-24 | 昆明理工大学 | 一种轨道升降穿梭车 |
DE102015003736A1 (de) * | 2015-03-21 | 2016-09-22 | Eisenmann Se | Transportwagen und Anlage zum Transportieren von Gegenständen |
DE102015111124A1 (de) | 2015-05-08 | 2016-11-10 | AFT Automatisierungs- und Fördertechnik GmbH & Co. KG | Mechanisch-elektrischer Antrieb |
US10526030B2 (en) * | 2016-05-10 | 2020-01-07 | The Hi-Tech Robotic Systemz Ltd. | Climb structure for a robot |
CN108382979B (zh) * | 2018-02-23 | 2019-12-17 |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吊具自动转接系统 |
CA3039328A1 (en) * | 2018-04-06 | 2019-10-06 | Sst Systems, Inc. | Conveyor system with automated carriers |
CN109775562B (zh) * | 2019-01-27 | 2020-03-24 | 李楠 | 一种吊运车凸轮摩擦驱动的整线驱动控制结构 |
CN111284508A (zh) * | 2020-04-14 | 2020-06-16 | 辽宁鑫丰矿业(集团)有限公司 | 一种电机驱动的牵引车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9097A (en) * | 1896-10-06 | fryer | ||
DE229383C (ko) * | ||||
US601296A (en) * | 1898-03-29 | Of car wheels upon grades | ||
US1704958A (en) * | 1926-01-11 | 1929-03-12 | Bbc Brown Boveri & Cie | Electric railway system |
US3033152A (en) * | 1958-01-27 | 1962-05-08 | Tourneau Robert G Le | Canal towing apparatus |
US3356040A (en) * | 1964-05-11 | 1967-12-05 | Borgs Fabriks Ab | Device for conveyor systems |
US3429280A (en) * | 1966-04-01 | 1969-02-25 | Dashaveyor Co | Rack and pinion vehicle propulsion system |
FR1490620A (fr) * | 1966-06-20 | 1967-08-04 | Noirot Et Fils Et Cie | Perfectionnements aux transporteurs aériens suspendus |
DE1755926A1 (de) * | 1968-07-11 | 1972-01-05 | Sybron Corp | Fahrwerk fuer Haengebahnen |
US3648617A (en) * | 1969-08-11 | 1972-03-14 | Security Pacific National Bank | Resilient gripping railway traction system |
DE2153185A1 (de) * | 1971-10-26 | 1973-05-03 | Messerschmitt Boelkow Blohm | Anordnung zur messung und regelung von sicherheitsabstaenden bei gleisgebundenen fahrzeugen |
JPS4937892U (ko) * | 1972-07-06 | 1974-04-03 | ||
DE2343502A1 (de) * | 1973-08-29 | 1975-04-03 | Demag Ag | Auf einem traeger verfahrbare katze |
DE2545907C3 (de) * | 1975-10-14 | 1983-11-17 |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 Förderbahn mit an einer Schiene geführten Katze |
JPS5297575A (en) * | 1976-02-10 | 1977-08-16 | Nissei Ltd | Truck climbing device in transslift and monorail transportation system |
JPS5297573A (en) * | 1976-02-10 | 1977-08-16 | Nissei Ltd | Truck climbing device in transslift and monorail transportation system |
LU78204A1 (de) * | 1977-09-29 | 1979-05-25 | Bleichert Foerderanlagen Gmbh | Einschienenfoerderanlage |
IT1172886B (it) * | 1978-04-07 | 1987-06-18 | Fata Spa Ora Fata Europ Group | Dispositivo di trasporto aereo monorotaia |
US4428298A (en) * | 1981-12-14 | 1984-01-31 | Si Handling Systems, Inc. | Vehicle speed control transition module |
DE3243914A1 (de) * | 1982-11-25 | 1984-05-30 |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 Fahrwerk eines auf profilschienenstraengen laufenden foerderwagens |
DE3403460A1 (de) * | 1984-02-01 | 1985-08-08 | Georg 8200 Rosenheim Uttscheid | Elektrohaengebahn |
US4628823A (en) * | 1984-06-04 | 1986-12-16 | Si Handling Systems, Inc. | Vehicle speed control transition module and method |
GB2162137B (en) * | 1984-06-18 | 1988-07-20 | Daifuku Kk | Conveying system |
-
1989
- 1989-01-19 JP JP1011300A patent/JP270961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
- 1990-01-17 KR KR1019900000503A patent/KR01491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0-01-18 EP EP90101035A patent/EP037920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1-18 US US07/466,792 patent/US5174217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1-18 DE DE69010515T patent/DE69010515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0-01-18 CA CA002008023A patent/CA2008023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0-01-19 AU AU48686/90A patent/AU630918B2/en not_active Ceased
- 1990-01-19 AU AU48687/90A patent/AU631172B2/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174217A (en) | 1992-12-29 |
CA2008023A1 (en) | 1990-07-19 |
DE69010515T2 (de) | 1994-11-24 |
EP0379206A2 (en) | 1990-07-25 |
JP2709619B2 (ja) | 1998-02-04 |
AU630918B2 (en) | 1992-11-12 |
EP0379206B1 (en) | 1994-07-13 |
CA2008023C (en) | 2001-07-03 |
AU631172B2 (en) | 1992-11-19 |
AU4868790A (en) | 1990-07-26 |
JPH02193889A (ja) | 1990-07-31 |
AU4868690A (en) | 1990-07-26 |
KR900011654A (ko) | 1990-08-01 |
EP0379206A3 (en) | 1991-03-27 |
DE69010515D1 (de) | 1994-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49176B1 (ko) |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 |
US4642018A (en) | Automatic device for loading the total volume of a transport vehicle | |
US4508484A (en) | Installation for the automatic removal and reception of loads through the intermediary of transport vehicles | |
KR930007946B1 (ko) | 캐리어 이동식 컨베이어 | |
US5092249A (en) | Electric overhead trolley system with auxiliary rail and driven auxiliary wheel for traction | |
WO1986007322A1 (en) | Automatic, rail-based transportation system | |
EP0339136B1 (en) | Horizontal circulation type parking apparatus | |
US3724390A (en) | Car wash conveyor | |
EP0582348B1 (en) | Suspended rail conveyance system | |
JPH07317366A (ja) | フォーク式立体駐車装置 | |
CN214151500U (zh) | 轨道摩擦与链轮链条混合传动的巡检机器人 | |
US5016543A (en) | Freight system | |
US3315612A (en) | Transportation system | |
US3744431A (en) | Conveyor systems | |
JPH0813641B2 (ja) |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 |
JPS60215977A (ja) | 多段型駐車装置 | |
JP3197228B2 (ja) | 多層箱型循環式駐車装置 | |
JPS63101159A (ja) | 連続輸送システム | |
JPH0249095Y2 (ko) | ||
JPS642036Y2 (ko) | ||
GB2161125A (en) | Rail vehicle | |
JP2599224Y2 (ja) | 懸架式リフトコンベヤ装置 | |
SU565854A1 (ru) | Напольна транспортна система | |
JP2962106B2 (ja) | 吊下搬送装置 | |
JPH0381472A (ja) | 機械式駐車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30 Year of fee payment: 1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