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7436B1 - 가동 부재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진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가동 부재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진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7436B1
KR930007436B1 KR1019900009234A KR900009234A KR930007436B1 KR 930007436 B1 KR930007436 B1 KR 930007436B1 KR 1019900009234 A KR1019900009234 A KR 1019900009234A KR 900009234 A KR900009234 A KR 900009234A KR 930007436 B1 KR930007436 B1 KR 93000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shaft
diameter portion
hinge devic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9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206A (ko
Inventor
다카이치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1000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동 부재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진 힌지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힌지 장치를 장착한 퍼스널 컴퓨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힌지 장치를 퍼스널 컴퓨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중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힌지 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퍼스널 컴퓨터의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연결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퍼스널 컴퓨터의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8도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추지(樞支)하는 레그 단면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연결 구조에 있어서 케이스와 디스플레이 유닛과의 사이에 배선된 케이블의 삽통 계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제7도중 X-X선에 따른 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유닛의 축부의 추착구조(樞着構造)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제6도와 제7도에 도시된 연결 구조에 있어서의 축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힌지 장치의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힌지 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제1부재 8 : 제2부재
63 : 힌지 축 64 : 지지 수단(브래킷)
65a,65b : 축받이편 66 : 고정부
73a : 대경부 77,100 : 스프링 수단
73b : 소경부
본 발명은 랩 톱형 또는 휴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에 사용되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 부재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을 임의의 개방 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합중국 특허 제 4,571,456 호 명세서에는 휴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퍼스널 컴퓨터는 사각형 상자 모양을 이루는 본체 케이스를 갖추고 있다. 이 본체 케이스에는 키보드가 장착되고 플레이트 패널형이 디스플레이 유닛이 본체 케이스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즉 이 디스플레이 유닛은 키보드를 덮는 폐쇄 위치와 이 키보드의 조작시에 키보드에 대하여 기립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에 힌지 장치를 개재하여 지지되고 있다. 이 힌지장치에는 마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유닛을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와의 사이의 임의의 설정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가 장착되어 있다.
이 마찰식의 정지 기구를 구비한 힌지 장치의 1예가 「특개소 59-99111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의 힌지 장치는 힌지 축의 외주상에 코일 스프링이 감겨지고, 이 힌지 축의 외주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이동으로 말미암아 단단히 감으면 이 코일 스프링이 힌지 축의 외주에 밀착하고 이들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마찰력이 디스플레이 유닛의 자유로운 회동을 억제하는 브레이크 힘이 되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설정 위치를 손으로 조정한 후에 이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손을 떼어도 디스플레이 유닛은 소정의 설정 위치에 정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 장치에는 코일 스프링이 권체될 때의 체부력(締付力)을 이용함으로써 힌지 축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이 코일 스프링과 힌지 축과의 밀착성이 극히 중요하게 된다. 따라서 힌지 축의 외경 치수와 코일 스프링의 내경 치수를 정밀하게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그 만큼 가공이 번잡해지고, 조립 작업에 수고가 많고 힌지 장치 자체가 고가로 되는 등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엄격한 치수의 정밀도가 필요하지 않고 조립이나 가공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힌지 장치를 얻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축선과 그축 방향에 따른 일단부를 가지고 이 일단부가 제1의 부재에 연결되는 힌지 축과, 이 힌지 축에 설치되어 이 힌지 축의 축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2의 부재를 지지하는 수단과, 이 지지 수단과 힌지 축과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끼워들어간 링형의 스프링 수단을 구비하고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가 힌지 축의 축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될 때에 지지 수단과 힌지 축과의 사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켜서 제1의 부재와 제2의 부재의 자유로운 회전을 억제하는 스프링 부재로 구성되는 힌지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링모양의 스프링 수단을 힌지 축과 지지 수단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 작업만으로 이 힌지 축과 지지 수단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부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힌지 축의 외주와 스프링 수단의 내주와의 밀착성을 높일 필요는 없고 종래에 비하여 힌지 축 및 스프링 수단의 치수 관리를 쉽게 행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랩톱 또는 휴대 가능한 퍼스널 컴퓨터(1)에는 합성 수지제의 본체 케이스(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2)는 평면 형상이 직사각형 모양을 한 얇은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 케이스(2)는 바닥판이 되는 하부 케이스(3)와, 이 하부 케이스(3)의 후방부 상면을 덮는 상부 커버(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 커버(4)에 연결되는 하부 케이스(3)의 전방부에는 키보드(5)가 장착되어 있다. 상부 커버(4)는 키보드(5)의 면에서 단을 붙여서 형성되고 이 상부 커버(4)의 키보드(5)측의 각부에는 좌우 한쌍의 리세스(recess)(6a, 6b)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2)의 내부에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7)이 수용되어 있다. 프린트 배선 기판(7)에는 다수의 회로부품(도시 생략)이 실장되어 있다.
키보드(5)의 후방에는 플레이트 패널형의 디스플레이 유닛(8)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8)의 디스플레이 하우징(9)은 평판상의 베이스 패널(10a)과 이 베이스 패널(10a)의 전면을 덮는 전면 패널(10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베이스 패널(10a)과 전면 패널(10b)은 서로 겹쳐지고 그 겹쳐진 부분의 네 구석부가 나사(도시생략)을 개재하여 체결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 패널(10a)과 전면 패널(10b)과의 사이에는 평탄한 액정 표시 장치(11)가 수용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11)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화면(12)을 갖추고 있다. 이 액정 표시 화면(12)은 전면 패널(10b)의 개구부(13)를 통하여 외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8)은 키보드(5)를 상방에서 덮는 폐쇄 위치와 이 키보드의 후방에 있어서 설정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 걸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본체 케이스(2)에 지지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8)은 폐쇄 위치로 넘어질때 키보드(5)를 덮어 감추는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디스플레이 유닛(8)을 폐쇄 위치로 넘어지게 한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유닛(8)의 상면 및 좌우 측면이 상부 커버(4)의 상면 및 좌우 측면에 동일면으로 연속하고, 이 디스플레이 유닛(8)이 본체 케이스(2)와 함께 휴대 가능한 비교적 편평한 상자 모양으로 변화된다.
디스플레이 하우징(9)에는 제2도 및 제6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본체 케이스(2)를 향해서 한쌍의 지지용레그부(15a, 15b)가 돌설되어 있다. 이들 지지용 레그부(15a, 15b)는 본체 케이스(2)의 리세스(6a, 6b)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한쪽의 레그부(15a)는 제6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 패널(10a)에서 일체적으로 연출된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와, 이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덮인 전방 레그 세그먼트(17)로 구성된다.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에 의하여 닫혀지는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의 합면에는 거는 갈고리(18)가 형성되어 있다. 거는 갈고리(18)는 전방 레그 세그먼트(17)를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에 걸친 때에 이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의 측면에 거는 갈고리(18)에 대응하여 형성된 록 구멍(19)에 끼워 맞추고, 이 감합(嵌合)에 의하여 양자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들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와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와의 사이에는 코드 삽통용의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에는 다시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내부에 들어가는 코드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1)의 선단부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내부에 개구하는 연통공(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공(22)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내부와 통로(20)가 연통되어 있다.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에는 이것을 베이스 패널(10a)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설편(24)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설편(24)은 베이스 패널(10a)의 내면의 보스부(23)에 겹쳐져 있다. 이 고정 설편(24)에는 이것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구멍(25)에는 고정 설편(24)을 보스부(23)에 겹친때에 베이스 패널(10a)측에서 뻗는 위치 맞춤용의 돌기(26)가 끼워지고 이 감합에 의하여 보스부(23)와 고정 설편(24)이 위치 맞춤되고 이 고정 설편(24)은 나사(27)를 개재하여 보스부(23)에 체결 고정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부(21)의 외표면에 연속하는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의 단부에는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의 내측에 까지 개구하는 감합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감합공(28)에는 전면 패널(10b)을 베이스 패널(10a)에 겹친때에 이 전면 패널(10b)측에서 뻗는 설편(29)이 끼워지고 이 감합에 의하여 전면 패널(10b)과 베이스 패널(10a)과의 위치 맞춤이 이루어진다.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와 전방 레그 세그먼트(17)가 서로 맞붙는 연부에는 각각 반원 형상의 절결(30a, 30b)를 갖는 반원통부(31a, 31b)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30a, 30b)은 레그부(15a)의 도면중 좌측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방 및 후방 레그 세그먼트(16, 17)가 맞추어진 때에 이 반원통부(31a, 31b)는 레그부(15a)의 좌측에, 하나의 축선을 갖는 중공원통상의 추축(樞軸)(32)을 구성한다. 추축(32)의 내부에는 축방향에 따르는 삽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삽통로(33)는 절결(30a, 30b)을 통하여 레그부(15a)내의 통로(20)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6도에 도시한 구조의 경우 원호상을 이루는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축의 반원통부(31a)는 서로 대향하는 한쪽의 연출단(延出端) (34a)과 다른쪽의 연출단(34b)을 가지고 있다. 이들 일단(34a)과 타단(34b)은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의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와의 합면보다도 전방 레그 세그먼트(17)내에 들어가도록 원호상 밖으로 내밀고 있다. 이 때문에 제12도에 보이는 바와같은 반원통부(31a)의 일단(34a)과 타단(34b)과의 사이의 개구폭 L1은 추축(32)의 내경 L2보다도 작아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레그부(15a)는 본체 케이스(2)의 한쪽의 리세스(6a)에 들어가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세스(6a)내에는 케이스(2)내에 개구하는 개구부(38)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8)는 리세스(6a)내에서 본체 케이스(2)의 좌측의 내측면에 개구하는 측면 개구부(39)와 이 측면 개구부(39)에 연속하여 리세스(6a)내에서 본체 케이스(2)로 개구하는 바닥면 개구부(40)로 구성된다. 측면 개구부(39)의 상연부에는 추축(32)의 외주면이 축회전 방향으로 섭동(攝動)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반원형상의 수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8)에는 상부 커버(4)의 내측에서 합성 수지제의 축받이 부재(43)가 부착되어 있다. 축받이 부재(43)는 측면 개구부(39)를 덮은 측판부(44)와 바닥면 개구부(40)을 덮는 저판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측판부(44)에는 축받이 부재(43)를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부(4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랜지부(46)가 상부 커버(4)의 내면의 보스부(47)에 나사(48)를 개재하여 착탈가능하게 체결 고정되어 있다.
측판부(44)의 상연부에는 추축(32)이 축회전 방향으로 섭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반원형상의 감합 凹부(50)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 凹부(50)는 리세스(6a)측의 수납부(41)와 대향하여 원형의 축받이공(51)을 구성하고 있다. 이 축받이공(51)에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추축(32)이 축회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고 있다. 또 측판부(44)에는 추축(32)의 단부를 받는 가이드벽(52)이 설치되어 있다.
축받이공(51)은 추축(32)내의 삽통로(33)를 개재하여 레그부(15a)내의 통로(20)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체 케이스(2)의 내부와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내부와는 축받이공(51), 통로(20) 및 삽통로(33)를 개재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축받이공(51), 통로(20) 및 삽통로(33)를 통하여 액정 표시 장치(11)와 프린트 배선 기판(7)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케이블(53)이 배선되어 있다. 케이블(53)은 유연성을 지니고, 이 플렉시블 케이블(53)의 일단과 타단에는 제7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각각 코넥터(54a, 54b)가 접속되어 있다. 코넥터(54a, 54b)는 축받이공(51)의 구경보다도 큰 사이즈를 지니는 가늘고 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케이블(53)의 한쪽의 코넥터(54a)는 본체 케이스(2)내로 안내되어 프린트 배선 기판(7)에 접속되어 있다. 케이블(53)의 다른쪽의 코넥터(54b)는 디스플레이 하우징(9)내로 안내되어 액정 표시 장치(11)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케이블(53)을 본체 케이스(2)와 디스플레이 하우징(9)에 걸쳐서 배선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배선 작업은 디스플레이 하우징(9)와 본체 케이스(2)가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행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베이스 패널(10a)에서 전면 패널(10b)과 전방 레그 세그먼트(17)를 떼는 동시에 본체 케이스(2)의 상부 커버(4)로 부터도 축받이 부재(43)를 떼어둔다.
축받이 부재(43)를 떼낸 상태에서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리세스(6a)내의 좌측면에서 바닥면까지의 넓은 범위에 걸쳐서 개구부(38)가 개구된다. 이 때문에 케이블(53)의 일단과 타단에 큰 코넥터(54a, 54b)가 접속되어 있어도 이 케이블(53)을 개구부(38)에 통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개구부(38)의 개구 부분에 상부 커버(4)의 내측에서 축받이 부재(43)를 삽입하고 그 플랜지부(46)를 나사(48)로 보스부(47)에 고정한다. 이 고정에 의하여 축받이 부재(43)의 감합 凹부(50)와 리세스(6a)의 수납부(41)가 합치하고 축받이 구멍(51)이 구성된다. 이때 케이블(53)을 수납부(41)와 감합 凹부(50) 사이에 유도하여 축받이 구멍(51)에 통하게 해준다.
이 상태에서는 레그부 15a의 후방 레그 세그먼트(16)를 리세스(6a)에 끼워넣고 반원통부(31a)를 축받이공(51)에 끼워 맞춘다. 이때 미리 축받이공(51)에 통해 있는 케이블(53)을 반원통부(31a)의 일단(34a)과 타단(34b)의 사이에 밀어 넣는다. 이 반원통부(31a)의 일단(34a)과 타단(34b)의 사이의 개구폭 L1은 축받이공(51)의 내경 L2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반원통부(31a)의 내측에 일단 케이블(53)을 밀어 넣은 이후는 이 케이블(53)의 외주 표면이 일단(34a)과 타단(34b)에 걸리고, 이 케이블(53)의 반원통부(31a)로부터 빠지는 것이 저지된다.
다음에 케이블(53)을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의 내측을 통하여 베이스 패널(10a)상으로 유도하고, 이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에 전방 레그 세그먼트(17)를 씌워서 나사(27)로 고정한다. 그리고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의 반원통부(31b)를 축받이공(51)에 끼우고, 이 반원통부(31b)와 후방 레그 세그먼트(16)측의 반원통부(31a)로 추축(32)을 구성한다.
그러면 추축(32)의 내측의 삽통로(33)에 케이블(53)이 삽통 배치되고 이 케이블(53)은 전방 레그 세그먼트(17)의 내측의 통로(20)를 통하여 베이스 패널(10a)상에 도출된다. 따라서 본체 케이스(2)와 디스플레이 하우징(9)에 걸치는 케이블(53)은 리세스(6a)와 레그부(15a)와의 추지 부분을 통하여 배선된다.
그런데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디스플레이 하우징(9)의 다른쪽의 레그부(15b)는 한쪽의 레그부(15a)와 같이 베이스 패널(10a)과 일체를 이루는 후방 레그 세그먼트(60)와, 전면 패널(10b)과 일체를 이루는 전방 레그 세그먼트(61)가 겹쳐서 구성된다. 이 레그부(15b)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한쪽의 레그부(15a)의 좌우 방향의 길이 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레그부(15b)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하우징(9)을 본체 케이스(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추지하는 힌지 장치(62)가 수용되어 있다.
힌지 장치(62)는 하나의 레그부(15b)내의 좌우 한쌍이 설치되어 있다. 힌지 장치(62)는 디스플레이 하우징(9)을 본체 케이스(2)에 회동 가능하게 추지할 뿐만 아니라 이 디스플레이 하우징(9)을 폐쇄 위치와 개방위치와의 사이의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지고 있다. 이 힌지 장치(62)는 좌우 동일한 구성이므로 한쪽을 대표하여 설명한다.
즉, 힌지 장치(62)는 하나의 축선을 가지는 쪽곧은 힌지 축(63)과 이 힌지 축(63)을 지지하는 판금제의 브래킷(64)을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64)은 힌지 축(63)의 축방향으로 이간한 좌우 한쌍의 축받이편(65a, 65b)이고, 이들 축받이편(65a, 65b)을 연결하고 힌지 장치(62)를 본체 케이스(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6)로 구성된다. 축받이편(65a, 65b)은 서로 대향되고 이들 축받이편(65a, 65b)에는 각각 관통공(67)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67)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고 이 관통공(67)내를 힌지 축(63)의 일단과 타단이 축회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서 통하게 되어 있다.
힌지 축(63)의 축방향에 따른 일단면에는 평와셔(Plain Washer)(70) 및 스프링 와셔(71)를 통하여 나사(72)가 비틀어 박혀지고 있다. 평와셔(70), 스프링 와셔(71) 및 나사(72)의 헤드(72a)는 관통공(67)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나사(72)를 비틀어 박으면 평와셔(70)가 한쪽의 축받이편(65a)의 외측면에 당접하여 이들 평와셔(70), 스프링 와셔(71) 및 나사(72)가 힌지 축(63)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힌지 축(63)은 하나의 축선상에 대경부(大徑部)(73a)와, 이 대경부(73a)의 양단면(74)에서 각각 뻗는 소경부(小徑部)(73b)를 가지고 있다. 한쪽의 소경부(73b)는 축받이편(65b)의 관통공(67)에 끼워서 통하고, 다른쪽의 소경부(73b)는 대경부(73b)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지고 있는 평와셔(75) 및 대경부(73a)의 지름과 거의 같은 링 모양을 이루는 2장의 파형 와셔(72)에 끼워 통하여 다시 축받이편(65a)의 관통공(67)에 끼워 통하고 있다.
따라서 평와셔(75)가 대경부(73a)의 한쪽의 단면(74)에 당접된다. 그위에 파형 와셔(77)가 평와셔(75)와 브래킷(64)의 축받이편(65a)과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끼워지고 파형 와셔(77)는 그 스프링성에 의하여 평와셔(75)와 축받이편(65a)에 각각 눌러 붙여지고 있다. 이 파형 와셔(77)의 눌러 붙임에 의하여 힌지 축(63)측의 평와셔(75)와 브래킷(64)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 마찰력이 힌지 축(63)과 브래킷(64)과의 상대적인 자유로운 회동이 억제한다.
또 파형 와셔(77)는 2장을 겹쳐서 수용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1장 혹은 3장 이상이어도 좋다.
레그부(15b)의 후방 레그 세그먼트(60)의 내면에는 제2도에 보이는 바와같이 한쌍의 힌지 장치(62)의 각각에 대응하여 좌우 한쌍의 보스부(80)가 돌설되어 있다. 이들 보스부(80)의 선단면에 브래킷(64)의 고정부(66)가 2개의 나사(81)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66)를 보스부(80)에 고정하는 나사(81)중의 한쪽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면 패널(10b)의 전방 레그 세그먼트(61)를 관통하고 이 전방 레그 세그먼트(61)를 후방 레그 세그먼트(60)에 같이 조이고 있다. 또 전방 레그 세그먼트(61)의 전면에는 나사(81)의 헤드(81a)를 덮어 감추는 화장 커버(82)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힌지 축(63)의 소경부(73b)는 레그부(15b) 및 리세스(6b)내의 본체 케이스(2)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85)을 관통하여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 도입되어 있다. 소경부(73b)의 본체 케이스(2)내에의 도입단에는, 각주상의 계지부(係止部)(8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 케이스(2)의 내부에는 리세스(6b)의 양극에 대향하여 지지 금속 부재(87)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금속 부재(87)에 각공(角孔)(88)이 형성되고, 이 각공(88)에 힌지 축(63)의 계지부(86)가 감합하여, 힌지 축(63)이 회전 고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유닛(8)의 일단부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추축(32)과 축받이공(51)과의 감합에 의하여 본체 케이스(2)에 추지되고, 또 디스플레이 유닛(8)의 타단부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힌지 장치(62)를 개재하여 본체 케이스(2)에 지지되고 있다.
다음에 상기 힌지 장치(62)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유닛(8)을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를 향해서 회동시키면 베이스 패널(10a)에 고정된 힌지장치(62)의 브래킷(64)의 힌지 축(63)의 외주상을 축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때문에 디스플레이 유닛(8)은 힌지 축(63)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로 회동하고, 이 디스플레이(8)의 액정 표시 화면(12)를 보기 쉬운 위치에 설정시킬 수 있다.
이때 힌지 축(63)상의 평와셔(75)와 브래킷(64)의 축받이편(65a)과의 사이에는 2장의 파형 와셔(77)가 압축 상태로 끼워 들어가 있으므로 힌지 축(63)측의 평와셔(75)와 브래킷(64)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마찰력이 힌지 축(63)과 브래킷(64)과의 상대적인 회동을 규제하는 브레이크 힘으로서 가능하고 힌지 축(63)과 브래킷(64)과의 상대적인 자유로운 이동이 억제된다.
이결과 디스플레이 유닛(8)의 기립 각도를 조정한 후에 이 디스플레이 유닛(8)에서 손을 떼어도 디스플레이 유닛(8)은 기립 각도를 유지한 채로 정지된다.
상기 힌지 장치(62)에서는 2장의 파형 와셔(77)를, 힌지 축(63)상의 평와셔(75)와 브래킷(64)의 축받이편(65a)과의 사이에 끼워 넣는 작업만으로 이 힌지 축(63)과 브래킷(64)과의 사이에 마찰력을 부여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힌지 축(63)의 외주와 파형 와셔(77)의 사이에 치수 관리를 쉽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파형 와셔(77)를 힌지 축(63)의 외주상에 장착함에 있어 엄격한 치수 정도가 요구되는 일도 없고 그 만큼 힌지 장치(62)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이 힌지 축에 대한 코일 스프링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마찰력을 얻는 구성의 경우에는 이 코일 스프링의 감는 길이를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고 그만큼 코일 스프링의 전체 길이가 길어진다.
그런데 상기 구성으로는 힌지 축(63)의 소경부(73b)의 외주에 두께가 얇은 파형 와셔(77)를 장착하면 되므로 이 파형 와셔(77)가 점하는 스페이스는 힌지 축(63)의 축방향에 따른 극히 좁은 범위가 된다. 이 때문에 힌지 축(63)의 축방향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고 힌지 장치(62)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13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상기 평와셔(75) 대신에 대경부(73a)의 소경부(73b)측의 단부 외주에 대경부(73a)보다도 더욱 외경이 큰 플랜지부(91)를 일체로 형성한데에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는 플랜지부(91)와 브래킷(64)의 축받이편(65a)과의 사이에 2장의 파형 와셔(77)가 끼워지고 있다.
제14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제3실시예에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파형와셔(77) 대신에 접시 스프링(bellevile spring) (100)을 사용한데에 있다. 이 접시 스프링(100)이외의 기본적인 구성과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힌지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용에 한정하지 않고 예컨대 워드프로세서나 시이트의 리크라이닝 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청구 범위의 각 구성 요소에 병기한 도면 참조 번호는 본원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한정하는 의도로 병기한 것은 아니다.

Claims (11)

  1. 하나의 축선과 그 축방향으로 따르는 일단부를 가지고 이 일단부가 제1부재(2)에 연결되는 힌지 축(63)과 ; 이 힌지 축(63)에 설치되어 이 힌지 축(63)의 축 회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2부재(8)를 지지하는 수단(64)과 ; 지지 수단(64)과 힌지 축(63)과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끼워진 링 모양의 스프링 수단(77, 100)으로서, 제1부재(2)와 제2부재(8)가 힌지 축(63)의 축회전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지지 수단(64)과 힌지 축(63)과의 사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켜서 제1부재(2)와 제2부재(8)와의 자유로운 이동을 억제하는 스프링 수단(77, 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77, 100)은 파형 와셔(7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77, 100)은 접시 스프링(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 와셔(77)는 힌지 축(63)의 축 방향으로 복수장이 겹쳐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64)은 제2부재(8)에 고정되는 브래킷(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64)은 힌지 축(63)의 축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된 한쌍의 축받이편(65a, 65b)과, 이들 축받이편(65a, 65b)을 상호 연결하고 브래킷(64)을 제2부재(8)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편(65a, 65b)은 힌지 축(63)의 일단과 타단이 축회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관통하는 관통공(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축(63)은 힌지 축(63)의 외주면 보다도 지름 방향 외측으로 뻗고 있는 스토퍼 수단(75, 91)을 가지며 이 스토퍼 수단(75, 91)에 스프링 수단(77, 100)이 밀어 붙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75, 91)은 힌지 축(63)의 하나의 축선상에 설치된 대경부(73a) 및 이 대경부(73a)의 단면(74)에서 뻗는 소경부(73b)와, 소경부(73b)의 외주에 설치되고 대경부(73a)보다도 큰 외경을 가지는 평와셔(75)로서, 대경부(73a)와 소경부(73b)와의 경계 부분에서 대경부(73a)의 단면(74)에 걸쳐 있는 평와셔(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75, 91)은 힌지 축(63)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플랜지부(9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11. 하나의 축선 및 그 축방향에 따른 일단부를 가지고, 이 일단부가 키보드(5)를 가지는 본체 케이스(2)에 연결되는 힌지 축(63)과 ; 이 힌지 축(63)에 설치되어, 이 힌지 축(63)의 축 회전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디스플레이 유닛(8)을 지지하는 수단(64)과 ; 이 지지 수단(64)과 힌지 축(63)과의 사이에 압축 상태로 끼워들어간 링형의 스프링 수단(77, 100)으로서, 디스플레이 유닛(8)이 본체 케이스(2)에 대하여 이동될 때에, 지지 수단(64)과 힌지 축(63)과의 사이에 마찰 저항을 발생시켜서 디스플레이 유닛(8)의 자유로운 이동을 억제하는 스프링 수단(77, 10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스널 컴퓨터의 힌지 장치.
KR1019900009234A 1989-06-23 1990-06-22 가동 부재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진 힌지 장치 KR930007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162227 1989-06-23
JP16222789A JP2880729B2 (ja) 1989-06-23 1989-06-23 小型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206A KR910001206A (ko) 1991-01-30
KR930007436B1 true KR930007436B1 (ko) 1993-08-10

Family

ID=1575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9234A KR930007436B1 (ko) 1989-06-23 1990-06-22 가동 부재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진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081742A (ko)
EP (1) EP0404166B1 (ko)
JP (1) JP2880729B2 (ko)
KR (1) KR930007436B1 (ko)
DE (1) DE6902263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0427A (en) * 1989-06-23 1993-08-31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apparatus having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display unit and base unit
US5238421A (en) * 1989-06-23 1993-08-24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apparatus having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display unit and base unit
JP2786677B2 (ja) * 1989-06-23 1998-08-13 株式会社東芝 小型電子機器
US5217316A (en) * 1990-10-12 1993-06-08 Nhk Spring Co., Ltd. Slow-acting rotation shaft device
DE9203183U1 (ko) * 1992-03-10 1993-07-15 Siemens Nixdorf Informationssysteme Ag, 4790 Paderborn, De
JPH0589762U (ja) * 1992-05-11 1993-12-07 株式会社ニフコ ヒンジ装置
US5279907A (en) * 1992-05-11 1994-01-18 Emerson Electric Co. Safety vent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552967A (en) * 1993-04-30 1996-09-03 Kabushiki Kaisha Toshib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housing for containing circuits board and functional components
US5583744A (en) * 1994-09-06 1996-12-10 Citizen Watch Co., Ltd. Portable computer with detachable battery pack
US5772351A (en) * 1995-01-24 1998-06-30 Chih Ching Industry Ltd. Pivot joint
US5566424A (en) * 1995-05-08 1996-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ilt adjustment mechanism
US5542152A (en) * 1995-05-08 1996-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haft assembly for a tilt adjustment mechanism
US5652694A (en) * 1996-02-01 1997-07-29 Canon Business Machines, Inc. Friction hinge including compressed friction washer
KR19980034367A (ko) * 1996-11-03 1998-08-05 김광호 스탠드부에 전원 및 신호부를 갖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00212313B1 (ko) 1996-11-06 1999-08-02 윤종용 와이어 꼬임이 없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34365A (ko) * 1996-11-06 1998-08-05 김광호 균형유지가 되는 액정디스플레이장치
DE69832752T2 (de) * 1997-05-06 2006-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won Schwenkbare Vorrichtung und tragbarer Rechner mit schwenkbarer Vorrichtung
KR100256971B1 (ko) * 1997-05-24 2000-05-15 구본준 노트북 퍼스날컴퓨터의 액정표시모듈 고정방법 및 장치
KR19990024492U (ko) * 1997-12-12 1999-07-05 윤종용 틸트(tilt)동작을 위한 힌지장치가 보강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US6018847A (en) * 1998-07-02 2000-02-01 Lu; Sheng-Nan Hinge axle device for a LCD monitor
US6198625B1 (en) * 1999-06-03 2001-03-06 Micron Electronics, Inc. Hinge assembly for a portable computer
US6388351B1 (en) * 1999-12-30 2002-05-14 General Electric Company Bearing load washer
FI112705B (fi) 2000-06-29 2003-12-31 Nokia Corp Saranat
KR100364732B1 (ko) * 2000-07-08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용 힌지 어셈블리
US6430777B1 (en) * 2001-04-04 2002-08-13 Lu Sheng-Nan Pivot device for a notebook computer
US20030089832A1 (en) * 2001-11-02 2003-05-15 Gold Robert J. Multi-function accessory for handheld electronics
TW511860U (en) 2001-11-08 2002-11-21 Wistron Corp Electronic equipment with side-fixed apparatus for anti-deviation
MXPA04003744A (es) * 2001-12-24 2004-07-23 Lg Electronics Inc Montaje de bisagra para aparato de visualizacion de tablero plano.
KR100443613B1 (ko) * 2001-12-27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구조
TW566580U (en) * 2002-01-30 2003-12-11 Chung-Nan Hsieh Pivotal hinge and slit-type conical elastic pad
US6859980B2 (en) 2002-06-06 2005-03-01 Austin R. Baer Covered pinned hinge
US6796541B2 (en) * 2002-08-29 2004-09-28 Shin Zu Shing Co., Ltd. Support for an LCD monitor
US6804859B2 (en) * 2003-01-10 2004-10-19 Shin Zu Shing Co., Ltd. Securing device for a laptop computer hinge to avoid damping of a screen when the screen is away from mainframe of the laptop computer
US20050039301A1 (en) * 2003-08-22 2005-02-24 Lu Sheng-Nan Hinge assembly
US20050268431A1 (en) * 2004-05-19 2005-12-08 Huan-Chen Lo Support and angle adjustable device for monitors
US7089628B2 (en) * 2004-09-16 2006-08-15 Quanta Computer, Inc. Hinge design for a computer
CN100445584C (zh) * 2005-08-26 2008-12-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铰链装置
US20070174997A1 (en) * 2006-01-27 2007-08-02 Shin Zu Shing Co., Ltd. Suspension hinge
TWI292643B (en) * 2006-09-01 2008-01-11 Compal Electronics Inc Hinge structure and fodable apparatus using the same
JP6513501B2 (ja) * 2015-06-15 2019-05-15 大豊工業株式会社 ワッシャの製造方法及びワッシャ
DE112016004339B4 (de) * 2015-09-24 2019-02-07 Sugatsune Kogyo Co., Ltd. Scharnier
US11113095B2 (en) 2019-04-30 2021-09-07 Automation Anywhere, Inc. Robotic process automation system with separate platform, bot and command class loader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099A (en) * 1910-02-14 1910-05-24 Frank O Anderson Pivotal support for mirrors.
US1004237A (en) * 1911-02-06 1911-09-26 Arthur Brandes Friction-locked hinge.
US1734005A (en) * 1928-01-11 1929-10-29 Gen Motors Corp Windshield-stanchion joint
BE490570A (ko) * 1948-09-01
BE510993A (ko) * 1951-04-30
CH330405A (de) * 1955-05-25 1958-06-15 Aluco Bauelemente Patentgesell Drehlageranordnung an Raumabschlusselementen mit schwenkbarem Flügel
CH493751A (de) * 1968-07-11 1970-07-15 Dalcher Willy Maschinenmeister Verstellbare Gelenkverbindung
DE2402815A1 (de) * 1974-01-22 1975-07-24 Braun Ag Gehaeuse fuer elektronische geraete
US4018104A (en) * 1975-03-17 1977-04-19 Caterpillar Tractor Co. Frictionally held control linkage for engine throttle controls and the like
US4571456B1 (en) * 1982-10-18 1995-08-15 Grid Systems Corp Portable computer
JPS5999111A (ja) * 1982-11-29 1984-06-07 Nhk Spring Co Ltd 軸ロツク装置
US4730364A (en) * 1985-10-29 1988-03-15 Bondwell Holding Ltd. Data processor flush hinge assembly
FR2614077A1 (fr) * 1987-04-17 1988-10-21 Treves Ets Perfectionnements au montage d'axe d'artic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2636D1 (de) 1995-11-02
US5081742A (en) 1992-01-21
DE69022636T2 (de) 1996-03-21
EP0404166A2 (en) 1990-12-27
KR910001206A (ko) 1991-01-30
EP0404166B1 (en) 1995-09-27
EP0404166A3 (en) 1991-12-11
US5473794A (en) 1995-12-12
JP2880729B2 (ja) 1999-04-12
JPH0328481A (ja) 1991-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436B1 (ko) 가동 부재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진 힌지 장치
EP0404165B1 (en) A portable apparatus having a divided portion for suitably guiding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a base unit and a display unit pivotably coupled to the base unit
US5923528A (en) Pitvotal apparatus for flat display panel
KR100235888B1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KR930005794B1 (ko) 키보드를 구비한 소형 전자기기
US4980676A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board
JP2788332B2 (ja) ラッチ装置およびラッチ装置を有する携帯形情報機器
JPH0394318A (ja) 携帯用電子機器
KR20050037101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5238421A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display unit and base unit
JP3076265B2 (ja) 電子機器のヒンジ構造
JP4141249B2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US20020050024A1 (en) Brake hing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the brake hinge
US5240427A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display unit and base unit
JP2512631Y2 (ja) 表示器の取付構造
JP2000141974A (ja) リング綴じ具
JP2517748Y2 (ja) スイッチ装置の押釦構造
JP2000333101A (ja) ビデオモニタの垂直回転支持機構
JPH02248987A (ja) 電子機器の回転傾斜機構
KR200146062Y1 (ko)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KR20180092579A (ko) 후크 장치
KR920005286B1 (ko)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KR200304362Y1 (ko) 모니터장치
JP2501846B2 (ja) 電子機器
JP3377158B2 (ja) ロータリー式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