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062Y1 -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062Y1
KR200146062Y1 KR2019960019226U KR19960019226U KR200146062Y1 KR 200146062 Y1 KR200146062 Y1 KR 200146062Y1 KR 2019960019226 U KR2019960019226 U KR 2019960019226U KR 19960019226 U KR19960019226 U KR 19960019226U KR 200146062 Y1 KR200146062 Y1 KR 200146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corder
liquid crystal
monitor
main body
crystal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872U (ko
Inventor
김종남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19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062Y1/ko
Publication of KR980005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0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부재를 결합시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을 보여주는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는 간단한 부재들만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모니터부 끝단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모니터부를 회동시키게 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어 그 생산비가 감소될 뿐만아니라, 모니터부의 회동 후 접하게 되는 본체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없어지게 되므로 캠코더의 외양 디지인도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제1(a)도는 종래의 캠코더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1(b)도는 종래의 캠코더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2도는 종래의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제4(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4(b)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40 : 본체부 12 : 보스
14 : 간격 16 : 손걸이
18 : 전원스위치 19 : 작동스위치
20,50 : 모니터부 22 : 액정모니터
30 : 회동장치 32 : 회동편
60 : 회전장치 62 : 고정브래킷
64 : 개구 66 : 관통구
68 : 압축브래킷 69 : 체결재
70 : 와셔
본 고안은 두 부재를 결합시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상을 보여주는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모니터는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하거나 재생할 경우에 화상을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그러면, 종래의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제1(a)도는 종래의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캠코더의 정면도이고, 제1(b)도는 그 평면도이다. 캠코더는 비디오카셋재생기 및 비디오촬영기의 두가지 기능을 하나에 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캠코더는 외주면에 본체부(10)가 위치하고 있고 주요 장치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 본체부(10)의 전방면 우측에는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치(18)가 위치하고 있고, 그 측면에는 손걸이(16)가 부착되어 촬영시 사용자의 손을 고정시켜 주게 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다른 작동스위치(19)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1(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본체부(10)의 상측 끝단 일부는 종래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이하, 회동장치라함)(30)에 의해 모니터부(20)가 연결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 모니터부(20)는 캠코더의 작동시 사용자에게 화상을 보여주는 액정모니터(22)를 전방면에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캠코더의 작동시 모니터부(20)를 상·하로 회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화상을 볼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모니터부(20)와 본체부(10)의 결합부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종래의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도는 모니터부(20)가 캠코더의 본체부(10)로부터 떨어져 상향이동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모니터부(20)와 본체부(10)가 연결되는 연결부에는 회동장치(30)가 위치하고 있다. 이 회동장치(30)는 다수 개 장착될 수 있으나, 본 도에서는 하나만이 장착되어 있다. 회동장치(30)의 일단부는 본체부(10) 내부의 돌출된 보스(12)에 나사와 같은 연결부재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타단부의 모니터부(20)에 접합되는 부분에는 회동편(32)이 구성되어 있다. 이 회동편(32)은 회동장치(30)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며, 회동장치(30)의 몸체와 축결합되어 있어 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캠코더의 모니터부(20)는 본체부(10)와 회동장치(30)에 의해 연결되어 모니터부(20)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되며, 그 회동장치(30)는 필요에 따라 모니터부(20)에 다수 개 장착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회동장치(30)가 결합되어 모니터부(20)가 회동하게 되는 캠코더는 회동장치(30)가 모니터부(20)의 결합되는 일단면에 접합될 경우에 두 개이상의 회동장치(30)가 그 일단면 일부에 접합되어 전체 모니터부(20)를 지지하여 회동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모니터부(20)을 연결 지지하기 위한 장치인 회동장치(30)에 과다한 부품이 사용되어 지게 된다. 또한, 모니터부(20)가 회동될 때 두 개이상의 회동장치(30)가 동시에 같은 회전력을 갖고 회전하여야 하므로 실제로 모니터부(20)가 회동될 경우에 각각의 회동장치(30)가 서로 불균형이 발생하게 되어 모니터부(20)가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지 않고 유동하게 될 뿐만아니라, 이로인해 모니터부(20)가 본체부(10)쪽으로 이동될 때에 그 접촉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간격(14)이 생기게 되어 캠코더의 외형 디자인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정모니터가 구성되어 있는 모니터부를 캠코더의 본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속시키는 회동장치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모니터부의 결속되는 면의 대략 전면에 걸쳐 결속되도록 하는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에 있어서, 캠코더의 외면을 이루고 있고, 내부에 액정모니터에 필요한 화상정보를 인가하는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부, 일단면으로 액정모니터가 접합되어 있고, 본체부의 끝단부와 일축을 이루며 접하게 되는 대향단면에 근접하여 대략 대향단면 넓이를 갖고 양끝단면에 체결을 위한 소정의 관통구를 갖는 밀착브래킷을 구비하는 모니터부, 본체부와 일축을 이루며 접하게 되는 본체부의 끝단부에 일단부가 접합되어 있고, 일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선상에 대향단면 정도의 넓이를 갖고 양끝단에 관통구와 체결제에 의해 관통되어 체결되는 소정의 개구를 갖는 고정브래킷을 구비하는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에 의해 달성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캠코더의 몸체를 이루고 있는 본체부(40)가 액정모니터에 화상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주요장치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부(40)는 상측 끝단에 모니터부(50)가 회동가능토록 회전장치(60)에 결합되는데, 본체부(40)의 대략 표면 전면에는 액정모니터가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캠코더의 작동시 액정모니터에 화상이 맺히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시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회전 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4(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고, 제4(b)도는 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도는 회전장치(60)에 연결된 모니터부(50)가 회동되어 본체부(40)의 상측 끝단에 근접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체부(40)가 모니터부(50)와 결합되어 근접하는 본체부(40)의 끝단면에는 고정브래킷(62)의 일단면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브래킷(62)은 이 일단면에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선상에 모니터부(50)와 근접하는 면 정도의 넓이를 갖게 제작되어 있다. 그리하여, 고정브래킷(62)이 모니터부(50)를 회동시 일체로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부분의 양 끝단은 돌출되어 았고, 그 각각에는 개구(64)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개구(64)들이 구성되어 있는 고정브래킷(62)은 그 개구(64)에 맞닿는 부분에 관통구(66)를 구비한 압축브래킷(68)이 위치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 개구(64) 및 관통구(66)를 통해 나사와 같은 체결재(69)를 관통시켜 두 고정브래킷(62) 및 압축브래킷(68)을 회동가능하게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결합되어 있는 고정브래킷(62) 및 압축브래킷(68)은 서로 접합되는 부분인 관통구(66) 및 개구(64)사이에 와셔(70)가 구성되어 서로 어느 정도 마찰력을 인가받게 된다. 이리하여, 사용자가 모니터부(50)에 힘을 주어 회동시키게될 때 힘을 주지 않으면 그 위치에 정지되어 마찰력으로 인해 어느정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모나터부에 장착되어 있는 액정모니터가 상하로 이동되어 원하는 위치에 정지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캠코더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서 액정모니터를 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는 간단한 부재들만을 사용하여 구성되고, 모니터부 끝단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모니터부를 회동시키게 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어 그 생산비가 감소될 뿐만아니라, 모니터부의 회동 후 접하게 되는 본체부와의 사이에 간격이 없어지게 되므로 캠코더의 외양 디자인도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Claims (2)

  1.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에 있어서, 캠코더의 외면을 이루고 있고, 내부에 액정모니터에 필요한 화상정보를 인가하는 장치들을 구비하고 있는 본체부; 일단면에 상기 액정모니터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의 끝단부와 일축을 이루며 접하게 되는 대향단면에 근접하여 대략 상기 대향단면 넓이를 갖고 양끝단면에 체결을 위한 소정의 관통구를 갖는 밀착브래킷을 구비하는 모니터부; 상기 본체부와 일축을 이루며 접하게 되는 상기 본체부의 끝단부에 일단부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연장된 선사에 상기 대향단면 정도의 넓이를 갖고 양끝단에 상기 관통구와 체결재에 의해 관통되어 체결되는 소정의 개루를 갖는 고정브래킷을 구비하는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 및 상기 개구사이에 안내부시를 더 구비하여 상기 압축브래킷 및 상기 고정브래킷의 접촉부에 소정 크기의 마찰을 주어 상기 모니터부의 회동시 상기 모니터부가 어느정도 마찰력으로 인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KR2019960019226U 1996-06-29 1996-06-29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KR200146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26U KR200146062Y1 (ko) 1996-06-29 1996-06-29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26U KR200146062Y1 (ko) 1996-06-29 1996-06-29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872U KR980005872U (ko) 1998-03-30
KR200146062Y1 true KR200146062Y1 (ko) 1999-06-15

Family

ID=1946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226U KR200146062Y1 (ko) 1996-06-29 1996-06-29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0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87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7436B1 (ko) 가동 부재를 임의의 개방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가진 힌지 장치
KR100607505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설치구조
US7216401B2 (en) Hinge assembly and housing
KR100235888B1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US6141505A (en) Electronic device
KR100299435B1 (ko) 축체회전장치
KR200146062Y1 (ko) 캠코더의 액정모니터 회전장치
KR100595209B1 (ko) 프로젝터용 칼라휠 어셈블리
JPH11219232A (ja) 電子機器
KR200146063Y1 (ko) 캠코더의 액정패널 양방향 회전장치
KR200214798Y1 (ko) 액정 모니터 조립체
JP2001248629A (ja) 電子機器のヒンジ機構及び配線方法
KR0115331Y1 (ko) 전화기의 액정디스플레이부 각도조절장치
JP3874316B2 (ja) ヒンジ装置
KR200168678Y1 (ko)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KR960010915B1 (ko) 노트북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부 자동 오픈장치
JPH10224670A (ja) モニター付き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のチルト機構
KR100275041B1 (ko) 영상표시기기의 회전 및 경사 조절장치
JP2005100700A (ja) チルト回動機構
KR19980026831U (ko) 착탈이 용이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JP2001059989A (ja) 光学機器に着脱可能な固定用台座
KR100578173B1 (ko) 착탈식 스피커 장착 전자기기
KR200166197Y1 (ko) 회전 모니터 고정장치
JPH0614356Y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0037464A (ko)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