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8678Y1 -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678Y1
KR200168678Y1 KR2019990016643U KR19990016643U KR200168678Y1 KR 200168678 Y1 KR200168678 Y1 KR 200168678Y1 KR 2019990016643 U KR2019990016643 U KR 2019990016643U KR 19990016643 U KR19990016643 U KR 19990016643U KR 200168678 Y1 KR200168678 Y1 KR 2001686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angle
telepho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6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16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6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6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6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화기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고정되는 액정 표시부와, 전화기와 액정 표시부 사이에서 일측이 액정 표시부의 자유단측을 지지하고 타측의 일부가 전화기에 삽입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전화기에 지지수단이 삽입되는 위치에 지지수단을 가변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는, 액정 표시부 각도 조절시 마찰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마찰에 따른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여 액정 표시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Apparatus for angle regulation of phone LCD display}
본 고안은 액정 표시부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표시부의 각도를 정확하게 조절하고, 각도 고정부의 마모를 방지 할 수 있는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연결 전화기 또는 복합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전화기에는 전화기의 상태 여부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가 구비되는데 일반적인 액정의 특성상 액정에서 시선의 소정 각도 이상 벗어나면 액정이 잘 보이지 않으므로, 이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부를 사용자가 잘 보이는 각도로 조절하는 액정 표시부 각도 조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의 소정 위치에 일부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액정 표시부(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액정 표시부(10)가 삽입되어 액정 표시부(10)의 일측면과 접하는 하우징(40)의 일면에는 액정 표시부(10)를 각도에 따라 지지하는 걸림홈(20a)이 형성되고, 액정 표시부(10)의 측면에는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40)에 형성된 걸림홈(20a)에 삽입되도록 걸림돌기(3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 각도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전화기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보기 편한 각도로 변경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부(10)의 소정 위치를 잡고 힘을 가하여 힌지(15)를 축으로 하여 회전시켜 액정 표시부(10)의 각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액정 표시부 각도 조절장치는 액정 표시부(10)의 걸림돌기(30b)와 하우징(40)의 걸림홈(20a)의 결합 구조상 무리한 힘을 가하여야 액정 표시부(1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걸림홈(20a)과 걸림돌기(30b)의 마모 및 파손을 가져오고, 각도 조절시 걸림돌기(30b)의 걸림홈(20a) 이탈에 따른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마찰음이 발생하며, 걸림돌기(30b)가 구비된 각도 고정 지지부(2)가 액정 표시부(10)의 일측에만 구성되어 있어 액정 표시부(10)의 뒤틀림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정 표시부와 하우징 사이에 액정 지지대를 마련하고, 액정 지지대에 마련된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돌기에 레버를 구비하여 액정 지지대와 결합하여 지지함으로써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여 각도 조절장치의 수면을 연장하는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구성도
도 4는 도 2의 B-B선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인 고정부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액정 표시부 20 : 액정 지지대
20a: 고정홈 30 : 고정레버
30b: 고정돌기 35 : 고정레버 커버
40 : 하우징 S : 스프링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화기의 기기 본체와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고정되는 액정 표시부와, 상기 기기 본체와 상기 액정 표시부 사이에서 일측이 상기 액정 표시부의 자유단측을 지지하고 타측의 일부가 상기 전화기에 삽입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기기 본체에 상기 지지수단이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수단을 가변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시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작동에 의한 마모 및 파손이 적어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 각도 조절부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 각도 조절부의 주요부인 고정부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화기의 본체를 이루는 하우징(40)과, 하우징(40)의 상측 소정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15)로 고정되고, 저면에 액정 지지대(20)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액정 표시부(10)와, 하우징(40)과 액정 표시부(10) 사이에서 일측의 지지돌기(20b)가 액정 표시부(10)의 자유단측의 지지홈(10a)을 지지하고 타측의 일부가 하우징(10)에 삽입되며, 일측면에 액정 표시부(1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홈(20a)이 구비된 액정 지지대(20)와, 하우징(40)에 액정 지지대(20)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액정 지지대(20)에 마련된 고정홈(20a)에 삽입되어 액정 지지대(20)를 가변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30b)가 마련된 고정레버(30)가 구비되고, 고정레버(30)는 고정레버 커버(35)에 의해 하우징(40)에 결합되며, 액정 지지대(20)에 마련된 고정홈(20a)에 고정레버(30)에 마련된 고정돌기(30b)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고정레버(30)에 스프링(S)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시야에 액정 표시부(10)를 맞추기 위하여 하우징(40)에 구비된 고정레버(30)를 당기면 액정 지지대(20)의 고정홈(20a)에 삽입된 고정돌기(30b)가 이탈하고, 고정돌기(30b)가 이탈된 액정 지지대(20)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고정레버(30)를 놓으면 고정레버(30)는 스프링(S)의 탄성에 의해 액정 지지대(20)의 고정홈(20a)에 삽입되고, 액정 지지대(20)가 지지하는 액정 표시부(10)의 각도가 조절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액정 표시부 각도 조절시 마찰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마찰에 따른 부품의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여 액정 표시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화기의 기기 본체와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고정되는 액정 표시부와,
    상기 기기 본체와 상기 액정 표시부 사이에서 일측이 상기 액정 표시부의 자유단측을 지지하고 타측의 일부가 상기 전화기에 삽입되는 지지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기기 본체에 상기 지지수단이 삽입되는 위치에 상기 지지수단을 가변 고정되도록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부의 일측면에 상기 지지수단과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일측면에 상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상기 지지수단에 마련된 홈에 결합되어 지지하기 위한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KR2019990016643U 1999-08-13 1999-08-13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1686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43U KR200168678Y1 (ko) 1999-08-13 1999-08-13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6643U KR200168678Y1 (ko) 1999-08-13 1999-08-13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8678Y1 true KR200168678Y1 (ko) 2000-02-15

Family

ID=1958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6643U KR200168678Y1 (ko) 1999-08-13 1999-08-13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6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099B1 (ko) * 2007-10-15 2009-08-27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099B1 (ko) * 2007-10-15 2009-08-27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7312B2 (en) Display apparatus
JP2005167205A (ja) ヒンジ装置及びハウジング
JP3834821B2 (ja) 液晶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JP3859009B2 (ja) 液晶テレビ用スタンドおよび表示装置用スタンド
JP3934902B2 (ja) 電子機器
JPS63242751A (ja) 乗物用テレビジヨン装置
KR200168678Y1 (ko) 전화기 액정 표시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340243Y1 (ko) 통신단말기용 엘씨디의 각도조절 장치_
KR0115331Y1 (ko) 전화기의 액정디스플레이부 각도조절장치
JP2978790B2 (ja) 回転支持機構
KR200190053Y1 (ko) 전화기 액정표시부 각도 조절장치
KR200162134Y1 (ko) 스피커캐비닛 각도조절 고정장치
KR100299130B1 (ko) 액정표시장치의각도조절구조
JPH11284882A (ja) カメラ取付装置
KR100596465B1 (ko) 엘시디모니터 지지대용 힌지
KR100700512B1 (ko) 화상전화기의 액정패널조립체 회전지지장치
KR20010108910A (ko) 각도 조절과 높이 조절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엘시디모니터 스탠드 지지구조.
KR200291346Y1 (ko) 모니터 위치 조절용 지지대
KR200253161Y1 (ko) 영상표시기기용 케이블 커넥터의 결합구조
KR200255249Y1 (ko) 핸즈프리의 각도 조절장치
KR20060073085A (ko) 캠 구조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한이동통신단말기
KR20020086038A (ko) 전화기에서 엘씨디 하우징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JPH0283573A (ja) 揺動蓋体取付構造
KR20040037464A (ko) 액정표시기의 각도조절장치
KR900007378Y1 (ko) 액정 tv 의 경사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