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286B1 -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286B1
KR920005286B1 KR1019890011872A KR890011872A KR920005286B1 KR 920005286 B1 KR920005286 B1 KR 920005286B1 KR 1019890011872 A KR1019890011872 A KR 1019890011872A KR 890011872 A KR890011872 A KR 890011872A KR 920005286 B1 KR920005286 B1 KR 920005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electronic device
case
projec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270A (ko
Inventor
히데오 노무라
모또지 다께모또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하워드 지.피거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36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422B2/ja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하워드 지.피거로아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00005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에서 키보드가 인출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의 케이스에 키보드가 장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키보드의 각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는 케이스 저부의 측부에 형성된 오목부를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제5도는 키보드의 배면에 설치되는 스토퍼 조작용 슬라이드 스위치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제6도는 키보드의 회전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7도는 키보드의 회전이 종료하여 퍼스날 컴퓨터의 위치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8도는 각 부재를 회동가능하게 하기 위한 조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9도는 각 부재의 회동을 나타내는 측면도.
제10도는 각 부재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성의 한 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제11도는 각 부재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설치된 키보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2는 제11도상태의 키보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 8 : 케이스
10 : 키보드 12A, 12B : 각부재
14 : 저부 18 : 코드 수납구
18A, 18B : 오목부 22A, 22B : 선단부
24A, 24B : 오목부 32A, 32B : 받침면
34A, 34B : 단부 30 : 전원 스위치
31 : 돌기
본 발명은 키보드의 키 설치면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키보드를 직립 상태로서 케이스에 장착가능한, 예를들면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와 같은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실개소 60-158228호(실원소 59-45620호)는 디스플레이 케이스의 전면하부 양측과 키보드 후부양측을 돌기상축과 이 돌기 상축을 안내하는 구 및 이 구의 종단에 설치한 상기 돌기상축이 감입하는 감합부에 의하여 떼어내어 자유로이 결합하고, 키보드가 비사용시에 디스플레이의 화면 개상에 수납시키도록한 키보드 비사용시의 수납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실개소 63-39734(실원소 61-129878호)는 성형품에서 되는 키보드와 성형품에서 되는 디스플레이장치 본체의 한쪽에 돌기를 형성하고 다른쪽에 돌기 회동 지지부재를 형성하고, 돌기회동 지지부재에는 돌기의 압입을 허가하는 간격과 압입후 돌기가 그중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락하는 회전 스페이스를 설치하고, 돌기와 돌기 회동 지지부재의 조합을, 이음매로서 기능시키는 디스플레이 부착 키보드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2개의 종래 기술은 어느것도 키보드를 회동시켜 키 설치면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치하는 것이지만, 키보드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면까지 회동시켰을 때 키보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면과 평행으로 키조작이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키보드의 키 설치면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키보드를 직립 상태로서 케이스에 장치가능한 예를들면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와 같은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에서 키보드가 직립 상태에서 회전하여 전자기기 위치면까지 회동하였을 때에, 키보드에 소요의 경사를 부여 할 수 있는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면을 이루는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오목부를 각각 가지는 1대의 각 부재를 키보드의 양측에 설치하고, 케이스의 하부에서 케이스의 양측부에서 전면에 돌출하도록 저부를 형성하며, 각 부재의 선단부 곡면이 활동가능한 받침면과, 각 부재의 오목부와 감합 가능한 단부를 각각 가지는 1대의 오목부를 저부의 양측부에 형성하고, 각 부재의 선단부 곡면을 저부에 형성시킨 오목부의 받침면을 활동시켜 키보드가 각 부재의 소정점을 지점으로서 직립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위치면까지 회동시켰을 때, 각 부재의 오목부를 저부의 오목 단부에 감합되어 키보드에 소요의 경사를 부여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도는 본 발명은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에 적용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1도는 키보드가 케이스에서 인출되어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의 위치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제2도는 키보드가 케이스 장치된 상태의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서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2)의 케이스(8)에는 프라즈마 디스플레이에서 이루는 평면형 디스플레이(4)와, 프로피 디스크 구동장치(6)가 조입되어 있다. 키보드(10)는 케이스(8)에 장치 가능 및 분리 자재로 되어 있다. 키보드(10)가 케이스(8)에 장치된 상태에서는 키보드(10) 및 제2도에 나타내어 있듯이 케이스의 일부를 구성하고,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2)는 지수(16)에 의하여 운반할 수 있다. 키보드(10)의 양측부 후단부에는 1대의 각 부재(12A) 및 (12B)가 설치되어 있다. 각 부재(12A) 및 (12B)는 제3도에 나타나 있듯이 각각 원형상의 선단부(22A) 및 (22B)와 이들의 선단부에 연속되어 형성된 오목부(24A) 및 (24B)를 가지고 있다. 원형상의 선단부(22B)의 반경(R)은 키보드(10)의 측부폭과 동일하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렇게 함으로서 키보드(10)를 케이스(8)에 장치했을 때에 각 부재(12A) 및 (12B)이 돌출하지 않고 완료하며, 각 부재에 키보드를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한번 케이스(8)의 하부에는 그 케이스의 양측부(8A) 및 (8B)에서 전면에 돌출하도록 저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저부(14)의 양측부에는, 1대의 오목부(18A) 및 (18B)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는 케이스(8)의 측부(8A)측에 형성된 저부(14)의 오목부(18A)를 나타낸다. 오목부(18A)는 각 부재(12A)의 선단부(22A)의 곡면이 활동가능한 받침면(32A)과, 각 부재(12A)의 오목부(32A)와 감합 가능한 단부(34A)를 가지고 있으며, 케이스(8)의 측부(8B)측에 형성된 저부(14)의 오목부(18B)도 마찬가지로, 각 부재(12B)의 선단부(22B)의 곡면이 활동가능한 받침면(32B)과, 각 부재(12B)와 감합가능한 단부(34B)를 가지고 잇다(제10도 참조).
각 부재(12A) 및 (12B)의 선단부(22A) 및 (22B)는 키보드(10)의 후단부(26)에서 돌출하도록 장치되어 있으며, 키보드(10)가 제2도에 나타내어 있듯이 직립 상태에서 케이스(8)에 장착되었을때, 키보드의 후단부(26)가 케이스(8)의 저부(14) 상면(28)과 접속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저부(14)의 상면(28)에는 전원스위치(30)가 설치되어 있다. 키보드(10)를 제2도에 나타나듯이 직립 상태로 장치되었을 때 전원 스위치(30)를 오프할 수 있도록, 키보드(10)의 후단부(26)에는 전원 스위치(30)의 위치에 대응시켜 돌기(31)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돌기(31)가 전원 스위치(30)를 열므로써 스위치(30)가 오프 상태로 된다. 키보드(10)의 키 설치면의 후부에는 코드(20)를 수납하기 위한 구(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키보드(10)의 회동 동작 즉 장치 및 분리 동작중 코드가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키보드(10)의 배면 우전단부에는 스토퍼 조작용 슬라이드 스위치(3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대응시켜 케이스(8)의 측부(8A)에는 스토퍼봉 수용 오목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제5도에 나타나듯이 키보드(10)를 직립상태로 하여 스토퍼 조작용 슬라이드 스위치(32A)를 우로 슬라이드 시키면, 스토퍼봉(38A)이 오목부(36A)에 인입하여, 키보드(10)가 케이스(8)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키보드(10)의 배면 좌전단부에도 스토퍼 조작용 슬라이드 스위치(32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대응시켜 케이스(8)의 측부(8B)에, 스토퍼봉 수용 오목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제2도와 같이 케이스(8)에 직립 상태로 장치된 키보드(10)를 인출하는데는 우선 키보드(10)의 배면에 설치된 스토퍼 조작용 슬라이드 스위치(32A) 및 (32B)를 각각 좌 및 우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스토퍼 봉을 오목부(36A) 및 (36B)에서 뽑아진다. 이어서, 제6도에 나타내듯이 키보드(10)의 각 부재(12A) 및 (12B)의 선단부(22A) 및 (22B)의 곡면을 저부(14)의 받침면(32A) 및 (32B)상을 활동시켜 각 부재(12A) 및 (12B)의 선단부(22A) 및 (22B)의 중심(100)을 기점으로서 키보드(10)를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2)의 위치면(50)으로 붙여 회동시킨다. 키보드(10)의 전단부(52)가 위치판(50)상에 접촉할 수 있고, 각부재(12A) 및 (12B)의 오목부(24A) 및 (24B)각 케이스(8)의 저부(14) 오목부의 단부(34A) 및 (34B)와 감합하고, 제 7 도에 나타나듯이 키보드(10)에 소요의 경사를 부여할 수 있다.
각부(12A) 및 (12B)에는 제 8 도에 나타나 있듯이 각각 우 및 좌방향으로 움직임으로서, 제9도에 나타나듯이, 키보드(10)에 대하여 90도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0도는 상술의 각부재 회동동작을 가능하게 함으로 각부재(12B)에 설치된 기구를 나타낸다. 각부(12B)의 선단부(22B)와는 반대측에 설치된 회동축(60)의 외주에는 회동각도 규제용 돌기(63) 및 (65)와 이들 돌기(63) 및 (65)사이에 배치되는 회동규제용 돌기(64)가 설치된다. 회동각도 규제용 돌기(63)와 회동규제용 돌기(64)사이 및 회동 각도 규제용 돌기(65)와 회동 규제용 돌기(64)사이에는 각각 각부재 고정용구(62) 및 (66)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60)은 키보드(10)의 코드 수납구(18)가 형성되는 후단부재(10R)의 개구(74) 및 키보드(10)에 설치된 공동(68)을 관통하고, 회동축(60)중 공동(68)에서 돌출한 부분에는 코일 스프링(78)이 권장된다. 회동축(60)의 내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78)이 권장된 상태의 회동축(60)의 선단부에는 링(8)이 나사(82)에 의하여 고정된다. 이때 구(62)가 공동(68)의 돌기(70)와 감합된 상태에 있으며, 코일 스프링(78)은 벽(84)과 링(80)사이에서 각부재(12B)를 화살표 A는 반대 방향으로 바이어스한다.
각부재(12B)를 회동시키는데는 각부재(12B)를 회동축(60)에 따라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인출하고, 구(62)와 돌기(70)의 계합을 해체한다. 이렇게 하면, 각 부재(12B)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동하지만, 90도 회동하면, 돌기(70)가 돌기(65)와 당접한다. 이때 각 부재(12B)를 분리하면, 돌기(70)가 구(66)와 감합하고, 각 부재(12B)는 90도 회동한 위치에서 고정된다. 제10도중, 각 부재(12B)의 출(72)은 키보드(10)의 후단부재(10R)의 공동(76)으로 삽입되어, 각부재(12B)의 회동과 함께 후단부재(10R)를 90도 회전시키는 것이다.
제11도는 각 부재(12A) 및 (12B)가 90도 회동한 상태에서 키보드(10)를 퍼스날 컴퓨터(2)의 위치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키보드(10)와 각부재(12A)에서 이루는 각도 θ는 90도이므로, 키보드의 측부 길이(W)와 각부재(12A)의 길이(V)가 결정되면, 키보드(10)에 배치면(50)에 대하는 경사각(1o)이 결정된다.
제12도는 키보드(10)를 제11도와 같이 각부재(12A)를 90도 회동시킨 상태에서 퍼스날 컴퓨터(2)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렇게 상기 실시예에 의해 각부재(12A) 및 (12B)를 키보드(10)와 평행상태로 지지하여 각부재(12A) 및 (12B)의 오목부(24A) 및 (24B)를 각각 저부(14)의 오목부 단부(34A) 및 (34B)에 감합시켜(제7도 참조), 키보드(10)의 제1경사각을 설정할 수 있고, 각 부재(12A) 및 (12B)를 회동시켜(제12도 참조), 키보드(10)의 제 2 경사각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부재(12A) 및 (12B)의 선단부(22A) 및 (22B)를 원형으로 한 것이 반드시 원형으로 할 필요는 없고, 선단부(22A) 및 (22B)가 저부(14)의 받침면(32A) 및 (32B)상을 활동하여 키보드(10)가 회동할 수 있는 곡면이 형성되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좋다.
각부재(12A) 및 (12B)를 회동시키는 기구는 제10도에 나타낸 것외에 실개소 61-164533호(실원 60-47078호), 실개소 62-28241호(실원 60-120479호) 및 실개소 59-166324호(실원 58-60550호)등 여러 가지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각 부재(12A) 및 (12B)를 소요각도로 회동할 수 있고, 소요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으로도 좋다.
본 발명은 각부재(12A) 및 (12B)가 회동가능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 부재(12A) 및 (12B)가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고정되어 있어도 각부재(12A) 및 (12B)의 오목부(24A) 및 (24B)를 저부(14)의 오목부 단부(34A) 및 (34B)에 각각 감합시킴으로서, 키보드(10)에 소요의 경사각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실시예는 가반형 퍼스날 컴퓨터에 관한 것이지만, 거치형의 퍼스날 컴퓨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로는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은 퍼스날 컴퓨터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컴퓨터 또는 워드 프로세서등 다른 전자기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도 당업자로는 분명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밝히듯이 본 발명은 키보드의 양측부에서 설치되는 1대의 각부재의 선단부에 곡면을 형성하고, 이 선단부에 연속되어 오목부를 형성하는 한편 케이스의 하부에서 케이스의 양측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저부의 양측부에, 상기 각 부재의 선단부 곡면이 활동가능한 받침면과, 각 부재의 오목부와 감합 가능한 단부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각부재의 곡면이 상기 저부에 형성시킨 받침면상을 활동하여 키보드가 전자기기의 위치면까지 회동했을 때에 각 부재의 오목부가 상기 저부의 오목부 단부와 감합함으로 키보드로 소요의 경사를 부여할 수 있다.

Claims (6)

  1. 키보드의 키 설치면이 내부에 수납되도록 상기 키보드를 직립 상태에서, 케이스에 장치가능한 키보드 부착 전자 기기에 있어서, 곡면을 이루는 선단부와, 이 선단부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오목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키보드의 양측부에 설치되는 1대의 각 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서 그 케이스의 양측부에서 전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저부와, 상기 각 부재의 선단부 곡면이 활동가능한 받침면과, 상기 각 부재의 오목부와 감합가능한 단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저부의 양측부에 형성된 1대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부재의 선단부 곡면이 상기 저부에 형성시킨 오목부의 받침면상을 활동하여, 상기 키보드가 상기 각부재의 소정점을 지점으로서 직립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위치면까지 회동했을 때에 상기 각 부재의 오목부가 상기 저부의 단부와 감합하여 상기 키보드에 소요의 경사를 부여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부착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가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의 곡면을 이루는 선단부 측면이 원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가 상기 키보드의 후단부에서 돌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부재가 상기 키보드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의 후단부에 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저부의 상면에 전원 스위치가 설치되며, 상기 키보드가 직립 상태로서 상기 케이스에 장치되었을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전원 스위치를 오프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KR1019890011872A 1988-09-22 1989-08-21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KR920005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36292A JPH061422B2 (ja) 1988-09-22 1988-09-22 キーボード付き電子機器
JP236292 1988-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270A KR900005270A (ko) 1990-04-13
KR920005286B1 true KR920005286B1 (ko) 1992-06-29

Family

ID=16998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872A KR920005286B1 (ko) 1988-09-22 1989-08-21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920005286B1 (ko)
CN (2) CN2112174U (ko)
GB (1) GB8912166D0 (ko)
MY (1) MY104997A (ko)
PH (1) PH260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983A (ko) * 1999-12-30 2000-05-06 민윤배 향신성 채소 특히 마늘, 생강, 양파, 정제와 그 조미식품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461A (zh) 1990-04-18
CN1016290B (zh) 1992-04-15
PH26039A (en) 1992-01-29
CN2112174U (zh) 1992-08-05
GB8912166D0 (en) 1989-07-12
MY104997A (en) 1994-07-30
KR900005270A (ko) 199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0676A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keyboard
KR100199777B1 (ko) 패널유닛의 회전기구
US5473794A (en)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a hinge having a ring-shaped spring for generating friction
CA1273096A (en) Tilt adjusting mechanism
US6097592A (en) Supporting legs for a portable computer
JP2734033B2 (ja) 表示装置の支持機構
US5433620A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display unit and base unit
KR100536587B1 (ko) 잠금장치를 갖는 휴대형 컴퓨터
JPH10333594A (ja) 薄型表示装置用台座
JP2001227229A (ja) 二軸ヒンジ装置
JPH10331838A (ja) 電子機器のヒンジ構造
KR920005286B1 (ko) 키보드 부착 전자기기
JPH09282051A (ja) 180°回転式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6430776B1 (en) Hinge mechanism
JPH05119867A (ja) 液晶デイスプレイ型パーソナルコンピユータ
JP4016503B2 (ja) 開閉蓋を有する電子機器
KR930008109Y1 (ko) 포터블 컴퓨터용 lcd 패널의 회전 제한장치
JPH0544852Y2 (ko)
CN110584323B (zh) 翻转器和具有翻转器的桌子
KR100299130B1 (ko) 액정표시장치의각도조절구조
JPH08121460A (ja) 軸部材
JPH08320738A (ja) 情報処理装置の載置機構
US5560719A (en) Positioning mechanism for a typewriter display panel
KR0135884Y1 (ko) 노트북 컴퓨터용 키보드 경사각 조절장치
KR0133863Y1 (ko) 액정프로젝터의 콘버젼스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