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2579A - 후크 장치 - Google Patents

후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2579A
KR20180092579A KR1020170018446A KR20170018446A KR20180092579A KR 20180092579 A KR20180092579 A KR 20180092579A KR 1020170018446 A KR1020170018446 A KR 1020170018446A KR 20170018446 A KR20170018446 A KR 20170018446A KR 20180092579 A KR20180092579 A KR 2018009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pring member
cover member
load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형
정봉원
박지훈
Original Assignee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락스(주 ) filed Critical 파이오락스(주 )
Priority to KR1020170018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2579A/ko
Publication of KR2018009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2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고리형상의 부재를 걸기 쉽게 한 후크 장치를 제공한다. 후크 장치에 있어서, 대략 'C'자 형상의 로딩 부재(18)에는 개구부(20)가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는 로딩 부재(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스프링 부재(24)는 선재를 권취하여 형성되고, 개구부(20)의 일단측의 로딩 부재(18)에 축지지된다. 커버 부재(2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 부재(24)를 수용한다. 한 쌍의 장착공은 개구부 (20)의 일단측의 제1 개구단부(30)에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24)의 양 말단부를 축지지한다. 스프링 부재(24)는 개구부(20)을 닫은 방향으로 가압한다. 커버 부재(22)는 제1 개구단부(30)를 덮어, 장착공으로부터 스프링 부재(24)의 양 말단부가 빠지는 움직임을 제한한다.

Description

후크 장치{HOOK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후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에는 후크 장치가 설치되어, 로프 등을 걸기 위해 사용된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괘지구(掛止具)는 케이스 본체, 케이스 본체를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클램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후크, 및 클램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로 구성되어 있다. 이 후크는 단(端)이 없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13-11303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후크는 단이 없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C'자 형상의 후크를 거는 것이 가능하지만, 고리 형상의 금속 고정구나 끈을 걸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리 형상의 부재를 걸기 쉽게 한 후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후크 장치는 개구부가 형성된 로딩 부재와, 로딩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와, 선재(線材)를 권취하여 형성되며, 개구부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로딩 부재의 제1 개구단부에 축지지하는 스프링 부재와,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한다. 로딩 부재는 제1 개구단부에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의 양 말단부를 축지지하는 한 쌍의 장착공을 갖는다. 스프링 부재는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커버 부재는 제1 개구단부를 덮고, 스프링 부재의 양 말단부가 한 쌍의 장착공으로부터 빠지는 움직임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리 형상의 부재를 걸기 쉽게 한 후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로딩 부재, 커버 부재 및 스프링 부재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로딩 부재에 스프링 부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로딩 부재, 커버 부재 및 스프링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은 실시예의 후크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a)는 로딩 부재(18)에 마련된 개구부(20)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는 개구부(20)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후크 장치(10)는 베이스 부재(12), 로딩 부재(18), 커버 부재(22) 및 스프링 부재(24)를 구비한다.
후크 장치(10)는, 예를 들어 차량의 바닥이나 측벽에 베이스 부재(12)를 매립하도록 설치되고, 로딩 부재(18)에 금속 고정구나 끈 등을 걸어 사용된다. 후크 장치(10)는 도 1(b)에 나타낸 로딩 부재(18)에 개구부(20)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개구부(20)를 통해서 고리 형상의 부재를 로딩 부재(18)에 거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개구부(20)를 개폐할 수 있어, 개구부(20)를 닫음으로써 로딩 부재(18)에 걸린 고리 형상의 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2)는 로딩 부재(18)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이스 부재 (12)는 케이스(14), 베어링 커버(16) 및 미도시한 베어링부를 구비한다. 케이스(14)는 직사각형의 저면과, 저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갖는다. 베어링부는 로딩 부재(18)를 축지지한 반통부(半筒部)를 갖는다. 케이스(14) 및 베어링부는 나사로 체결하여 차량에 고정된다. 베어링 커버(16)는 나사 및 베어링부를 덮은 상태에서 케이스(14)에 걸어맞춤(係止)된다.
로딩 부재(18)는 개구부(20)가 형성된 대략 'C'자 형상이며, 내하중성을 향상할 수 있는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로딩 부재(18)는 베이스 부재(12)에 수용가능하며, 사용시에 회전하여 인출된다. 로딩 부재(18)는 봉형상체를 직사각형으로 만곡한 형상이며, 그 한 변이 축지지되고, 축지지된 한 변에 서로 인접한 다른 변에 개구부(20)가 형성된다. 로딩 부재(18)의 회전 축방향과, 로딩 부재(18)에 둘러싸인 면의 면직(面直) 방향과는, 교차 또는 대략 직교한다.
스프링 부재(24)는 로딩 부재(18)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커버 부재(22) 및 스프링 부재(24)가 개구부(20)를 개폐한다. 커버 부재(22) 및 스프링 부재(24)는 개구부(20)를 개폐하는 개폐부로서 기능한다.
도 1(a)의 커버 부재(22) 및 스프링 부재(24)가 개구부(20)를 닫은 상태를 개구부(20)의 닫힌 상태라 하고, 도 1(b)에 나타낸 커버 부재(22) 및 스프링 부재(24)가 개구부(20)를 연 상태를 개구부(20)의 열린 상태라 한다. 또한, 도 1(a)의 개구부(20)의 닫힌 상태로부터, 도 1(b)의 개구부(20)의 열린 상태가 되는 스프링 부재(24)의 회전을, 스프링 부재(24)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하고, 그 반대의 회전을 스프링 부재(24)의 닫힌 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한다.
도 2는 로딩 부재(18), 커버 부재(22) 및 스프링 부재(24)의 분해도이다. 또한, 도 3은 로딩 부재(18)에 스프링 부재(24)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딩 부재(18)는 개구부(20)의 양 단에 위치하는 제1 개구단부(30) 및 제2 개구단부(32)를 갖는다. 제1 개구단부(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판 폭은 로딩 부재(18)의 본체의 직경과 같고, 판 두께는 로딩 부재(18)의 본체의 지름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제1 개구단부(30)은 제1 장착공(34a) 및 제2 장착공(34b; 이를 구별하지 않을 경우 '장착공(34)'이라고 함)와, 볼록부(36)를 갖는다. 장착공(34)은 스프링 부재(24)를 축지지하기 위해 형성되고, 제1 개구단부(30) 및 제2 개구단부(32)의 떨어지는 방향으로 멀어져 한 쌍으로 형성된다.
볼록부(36)는 제1 개구단부(30)의 양 판면(板面)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장착공(34)의 주위, 즉 장착공(34)의 근처에 위치한다. 또한, 볼록부(36)는 제1 개구단부(30)의 일측 판면에만 형성되어도 좋다. 한 쌍의 볼록부(36) 사이에 장착공(34)이 위치한다. 볼록부(36)는 커버 부재(22)의 내주면에 맞닿아서 커버 부재(22)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볼록부(36)는 커버 부재(22)가 제1 개구단부(30)의 폭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 맞닿는 한편, 커버 부재(22)의 회전 동작에 간섭하지 않도록 원호형상의 외주부를 갖는다. 제1 개구단부(30)의 판면으로부터의 볼록부(36)의 높이는 제1 개구단부(30)의 판면의 면직 방향에 있어서 제1 개구단부(30)의 판면으로부터 스프링 부재(24)까지의 최단 거리보다 낮게 형성되어, 스프링 부재(24)가 볼록부(36)를 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개구단부(32)는 반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부(32a)에서 스프링 부재(24)에 맞닿아서 스프링 부재(24)의 회전을 멈춘다. 평면부(32a)에 형성된 단부(32b)는 닫힌 상태의 커버 부재(22)에 걸어맞춤되어 커버 부재(22)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스프링 부재(24)는 금속 재료의 선재를 일회 감아 형성되어, 로딩 부재(18)의 제1 개구단부(30)에 축지지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24)의 제1말단부(40a)는 제1 장착공(34a)에 축지지되고, 제2 말단부(40b)는 제2 장착공(34b)에 축지지된다. 스프링 부재(24)의 양 말단부를 위치 어긋난 상태로 축지시킴으로써, 스프링 부재(24)는 도 1(b)과 같은 회전한 상태에서 개구부(20)를 닫은 방향으로 가압한다. 스프링 부재(24)의 폴딩부(42)는 스프링 부재(24)의 돌출단에 위치하여 제2 개구단부(32)에 맞닿는다.
커버 부재(22)는 수지재료에 의해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프링 부재(24)를 수용하다. 커버 부재(22)는 로딩 부재(18)의 본체와 같은 외경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부재(24)를 노출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후크 장치(10)의 디자인을 향상한다. 커버 부재(22)의 기단부(44)는 스프링 부재(24)를 삽입하도록 개구된다. 슬릿(46)은 기단부(44)로부터 선단부(50)로 향해서 노치(notch)되도록 형성되어, 판 형상의 제1 개구단부(30)를 삽입 가능하게 한다. 커버 부재(22)의 선단부(50)는 반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반원기둥 형상의 제2 개구단부(32)와 합쳐서 원통을 형성한다. 선단부(50)의 양 가장자리에는 제2 개구단부(32)의 단부(32b)에 걸어맞춤되는 한 쌍의 돌기부(48)가 형성된다. 한 쌍의 돌기부(48)는 개구부(20)의 닫힌 상태에서, 단부(32b)를 끼운 상태가 되고, 커버 부재(22)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제한한다. 커버 부재(22)의 폭 방향은, 장착공(34)의 축 방향, 및 스프링 부재(24)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이다.
커버 부재(22)의 선단부(50)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24)의 폴딩부(42)가 노출되도록 개구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 부재(24)의 폴딩부(42)가 로딩 부재(18)의 제2 개구단부(32)에 맞닿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서, 금속 재료끼리 맞닿게 할 수 있다.
도 4는 로딩 부재(18), 커버 부재(22) 및 스프링 부재(24)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a)의 로딩 부재(18) 등의 선분 A-A의 단면이고, 도 4(b)는 도 1(a)의 로딩 부재(18) 등의 선분 B-B의 단면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베이스 부재(12)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22) 내측에는 돌출부(54)가 형성된다. 돌출부(54)는 감긴 스프링 부재(24)의 내측으로 돌출하고, 스프링 부재(24)의 지름 방향에 중첩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2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22)의 기단부(44)로부터 스프링 부재(24)를 삽입하면, 돌출부(54)가 스프링 부재(24)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빠짐을 방지하기 때문에, 커버 부재(22)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24)의 폴딩부(42)는 제2 개구단부(32)의 평면부(32a)에 맞닿는다. 예를 들어 수지재료인 커버 부재(22)가 스프링 부재(24)의 가압력으로 세차게 제2 개구단부(32)에 닿으면, 시간 경과에 따른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지만, 금속 재료끼리 맞닿게 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개구단부(30)의 양측부는 슬릿(46)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22)가 장착공(34)의 축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부재(22)는 제1 개구단부(30)를 덮고 있어, 스프링 부재(24)의 제1 말단부(40a) 및 제2 말단부(40b)가 장착공(34)으로부터 빠지는 움직임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 부재(24)가 로딩 부재(18)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부(48)는 개구부(20)의 닫힌 상태에서, 단부 (32b)를 끼운 상태가 되고, 장착공(34)의 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제한한다. 즉, 로딩 부재(18)의 제2 개구단부(32)와 커버 부재(22)의 선단부(50)는, 개구부(20)의 닫힌 상태에서 걸어맞춤되고, 스프링 부재(24)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장착공; 34의 축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22)가 장착공(34)의 축 방향으로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부재(24)는 커버 부재(22)의 내주면에 맞닿으며, 커버 부재(22)의 내주면에 대해 커버 부재(22)의 지름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로 수용된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22)의 지름 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커버 부재(22)를 더욱 빠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공(34) 및 볼록부(36)는 커버 부재(22)에 덮여 있다. 이에 따라, 커버 부재(22)의 기단부(44) 측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각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의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각 실시예에 대해서 추가할 수 있으며, 이 같은 변형이 가해진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22)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실시형태를 나타냈지만, 이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좋다. 커버 부재(22)를 금속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부재(24)의 폴딩부(42)를 노출하는 선단 개구부(52)가 없어도 좋다.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12)가 케이스(14), 베어링 커버(16) 및 베어링부를 갖는 실시형태로 나타냈지만, 이 실시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케이스(14)에 일체로 로딩 부재(18)의 베어링 구조를 형성해도 좋다. 이 변형예에서, 케이스(14)가 수지 재료인 경우, 로딩 부재(18)도 케이스(14)와 같은 재료인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는, 로딩 부재(18)이 대략 'C'자 형상인 실시형태를 나타냈지만, 이 실시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로딩 부재(18)는 스프링 부재(24) 및 커버 부재 (22)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20)을 가지고 있다면, 대략 'C'자 형상과는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실시예에서는, 커버 부재(22)의 선단부(50)의 한 쌍의 돌기부(48)와, 제2 개구단부(32)의 단부(32b)가 걸어맞춤하여, 커버 부재(22)의 위치 어긋남을 제한하는 실시형태를 나타냈지만, 이 실시형태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2 개구단부(32)의 양 가장자리에 한 쌍의 돌기부가 마련되어, 커버 부재(22)의 선단부(50)에 그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인입되어 걸어맞춤하는 단부가 마련되어도 좋다.
10: 후크 장치
12: 베이스 부재
14: 케이스
16: 베어링 커버
18: 로딩 부재
20: 개구부
22: 커버 부재
24: 스프링 부재
30: 제1 개구단부
32: 제2 개구단부
32a: 평면부
32b: 단부
34a: 제1 장착공
34b: 제2 장착공
36: 볼록부
40a: 제1 말단부
40b: 제2 말단부
42: 폴딩부
44: 기단부
46: 슬릿
48: 돌기부
50: 선단부
52: 선단 개구부
54: 돌출부

Claims (6)

  1. 개구부가 형성된 로딩 부재와,
    상기 로딩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와,
    선재(線材)를 권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일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로딩 부재의 제1 개구단부에 축지지되는 스프링 부재와,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를 수용하는 커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로딩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양 말단부를 축지지하는 한 쌍의 장착공을 가지며,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제1 개구단부를 덮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양 말단부가 한 쌍의 상기 장착공으로부터 빠지는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권취된 상기 스프링 부재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 대해 상기 커버 부재의 지름 방향의 바깥 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단부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단부의 판면에는 한 쌍의 상기 장착공 주위로 볼록부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장착공 및 상기 볼록부는 상기 커버 부재에 덮여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후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상기 로딩 부재의 제2 개구단부와, 상기 커버 부재의 선단부는, 상기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걸어맞춤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회전축에 따른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선단부는 개구되어 상기 스프링 부재의 폴딩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스프링 부재의 폴딩부는 상기 개구부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의 타단측의 제2 개구단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크 장치.
KR1020170018446A 2017-02-10 2017-02-10 후크 장치 KR20180092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46A KR20180092579A (ko) 2017-02-10 2017-02-10 후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446A KR20180092579A (ko) 2017-02-10 2017-02-10 후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2579A true KR20180092579A (ko) 2018-08-20

Family

ID=6344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446A KR20180092579A (ko) 2017-02-10 2017-02-10 후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25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019A (ko) 2019-07-19 2021-01-27 (주)바이오테라 공기정화용 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019A (ko) 2019-07-19 2021-01-27 (주)바이오테라 공기정화용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627B2 (en) Guiding structure for moving member
US20060005356A1 (en) Hinge device having angle hold function and folding electronic appliance using same
JP3223701U (ja) ケーブル収容装置
US20060243845A1 (en)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US20050235459A1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JP6992196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WO2012067256A1 (ja) 回転コネクタ装置
US20070251786A1 (en)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KR20180092579A (ko) 후크 장치
JP6930072B2 (ja) 現像カートリッジ
WO2015140921A1 (ja) ヒンジ装置
JP6634630B2 (ja) 車両用ボードのハンドル装置
EP1980696A2 (en) Hinge unit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JP2005157158A (ja) スクリーン装置
JP2012115042A (ja) 電気接続箱
KR101382919B1 (ko) 힌지
JP3738262B2 (ja) 炊飯器の蓋ストッパ構造
TWI757500B (zh) 電動捲線器
KR200387277Y1 (ko) 휴대용단말기의 스윙장치
JP4999445B2 (ja) コンソールのヒンジ構造
WO2021117594A1 (ja) ロック解除装置
JP6873573B2 (ja) ヒンジ装置
KR101810219B1 (ko) 멀티탭 내장형 덕트
JP4201269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輪部収容ケース
JP6868457B2 (ja) グロメット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