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219B1 - 멀티탭 내장형 덕트 - Google Patents

멀티탭 내장형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219B1
KR101810219B1 KR1020170051456A KR20170051456A KR101810219B1 KR 101810219 B1 KR101810219 B1 KR 101810219B1 KR 1020170051456 A KR1020170051456 A KR 1020170051456A KR 20170051456 A KR20170051456 A KR 20170051456A KR 101810219 B1 KR101810219 B1 KR 101810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ivot pin
elastic member
li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퍼맥스 filed Critical (주)퍼맥스
Priority to KR1020170051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탭 내장형 덕트에 관한 것으로, 멀티탭이 내부에 장착되고 멀티탭의 사용을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개방측을 개폐하는 덮개, 및 덮개를 하우징에 힌지 연결하고 하우징의 개방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덮개가 하우징의 개방측을 덮도록 유도하는 탄성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멀티탭을 구비한 하우징에 덮개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멀티탭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를 외력으로 개방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하우징을 덮도록 함으로써 멀티탭 사용을 위해 자주 개폐되는 덮개의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탭 내장형 덕트{DUCT HAVING MULTI-TAP}
본 발명은 멀티탭 내장형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탭을 구비한 하우징에 덮개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멀티탭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를 외력으로 개방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하우징을 덮도록 함으로써 멀티탭 사용을 위해 자주 개폐되는 덮개의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 매입 설치된 콘센트의 경우 대부분 2구 내지는 3구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전기기기를 연결할 수가 없으며, 특히,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스캐너 등 여러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다수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을 따로 구입하여 컴퓨터 본체 및 각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탭은 대개 4구 내지는 6구 등 다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이 콘센트에 컴퓨터와 그 주변장치 이외에도 TV와 VTR, 앰프 등 여러 개의 전기기기들이 한군데 모여 있는 곳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특2000-0030155호(공개일:2000.06.05)에는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책상부착형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책상부착형 멀티탭은 책상 상판에 설치되는 하우징에 장착되는데, 하우징은 개폐되는 덮개를 구비하지 않아 이물질 유입을 초래하거나 또는 멀티탭에 플러그를 꼽거나 빼기 위해 덮개를 개방 후 닫는 별도의 동작을 행해야 함에 따라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멀티탭을 구비한 하우징에 덮개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멀티탭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덮개를 외력으로 개방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하우징을 덮도록 함으로써, 멀티탭 사용을 위해 자주 개폐되는 덮개의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내장형 덕트는: 멀티탭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멀티탭의 사용을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를 상기 하우징에 힌지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상기 덮개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을 덮도록 유도하는 탄성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덮개는 평면적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 평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힌지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의 힌지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시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뒤틀림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힌지부는,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피벗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벗핀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을 유도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힌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벗핀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개방측으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벗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하고; 상기 피벗핀은 상기 캡에 일측이 탄성 지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지지턱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으로 하고, 탄성복원력 증가를 위해 직경을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피벗핀은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슬리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단면상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리브에서 돌출되는 상기 피벗핀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의 단면과 동일한 수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는 상기 덮개에 면접되는 체결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체결편 각각의 위치 설정과 지지를 위해 칸막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내장형 덕트는 종래 기술과 달리 멀티탭을 구비한 하우징에 덮개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멀티탭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덮개를 외력으로 개방 후 외력 제거시 탄성적으로 하우징을 덮도록 함으로써, 멀티탭 사용을 위해 자주 개폐되는 덮개의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내장형 덕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내장형 덕트의 하우징으로부터 탄성힌지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 내장형 덕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내장형 덕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 내장형 덕트의 하우징으로부터 탄성힌지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힌지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2) 내장형 덕트(10)는 하우징(20), 덮개(30) 및 탄성힌지부(1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덕트(10)는 책상이나 테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배선을 안내하고, 멀티탭(2)을 내부에 설치하여 멀티탭(2)의 노출에 따른 어지러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하우징(20)은 책상이나 테이블의 상판(도시하지 않음)에 거치되고, 멀티탭(2)의 설치 및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0)은 배선을 위해 하측이나 측면 일부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0)은 필기구 등 소형물품을 보관하기 위해 보관홈(26)을 형성할 수도 있다.
물론, 하우징(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덮개(30)는 이물질이 하우징(20) 내부로, 특히 멀티탭(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20)을 덮는 역할을 한다.
이때, 멀티탭(2)에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꼽거나 빼는 등, 멀티탭(2)의 사용 빈도가 높을 수 있기 때문에, 덮개(30)는 용이하게 하우징(20)의 개방측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덮개(30)는 개폐시 편리성을 위해 손잡이를 돌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손잡이로 인해 간섭이 발생되거나 손잡이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덮개(30)는 평면적이 하우징(20)의 개방측 평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덮개(30)가 하우징(20)을 덮을 경우에도, 덮개(30)의 개방을 위해 하우징(20) 내부로 손가락을 삽입 가능하도록, 파지구(32)가 형성된다. 이때, 파지구(32)의 형성 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덕트(10) 전체의 높이를 줄이도록, 덮개(30)는 하우징(20)의 내부공간(22)에 삽입된 채 하우징(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30)가 하측으로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20)은 덮개(30)를 지지하기 위해 내부공간(22)에 지지리브(24)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지지리브(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지지리브(24)는 내부공간(22)을 구획할 수도 있다.
한편, 덮개(30)는 양측이 하우징(20)의 내측에 힌지 연결된다. 이때, 멀티탭(2)의 사용을 위해, 덮개(30)는 자주 개폐 작동됨에 따라, 덮개(30)는 사용상 편의성 제공을 위해 탄성적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탄성힌지부(100)는 덮개(30)를 하우징(20)에 힌지 연결한다. 그리고, 탄성힌지부(100)는 하우징(20)의 개방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덮개(30)가 하우징(20)의 개방측을 탄성적으로 덮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탄성힌지부(100)는 덮개(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덮개(30)의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편의상, 탄성힌지부(100)는 덮개(3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우징(2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덮개(30)의 타측은 보조힌지부(200)를 배치하여 하우징(2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탄성힌지부(100)는 탄성부재(110), 피벗핀(120), 슬리브(130) 및 캡(140)을 포함한다.
탄성부재(110)는 하우징(20)과 덮개(30)의 힌지 부위에 배치되어, 덮개(30)의 개방시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뒤틀림력에 의해 탄성 복원됨으로써 덮개(30)가 탄성적으로 하우징(20)의 개방측을 덮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10)는 코일스프링으로 적용한다. 이때, 탄성부재(110)로 적용되는 코일스프링은 토션스프링 역할을 한다.
특히, 탄성부재(110)가 뒤틀림력을 받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 양측이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피벗핀(120)과 슬리브(130)가 구비된다.
즉, 피벗핀(120)은 탄성부재(110)의 일측을 연결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피벗핀(120)은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110)에 축 삽입됨에 따라 탄성부재(110)의 측방향 휨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피벗핀(120)은 하우징(20)에 고정된다. 따라서, 피벗핀(120)은 하우징(20)에 고정된 채 탄성부재(110)의 일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덮개(30)를 하우징(20)에 힌지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피벗핀(120)은 다양한 방식으로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로서, 피벗핀(120)은 일측 가장자리가 슬리브(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슬리브(130) 내측에 축 삽입되며, 단면상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0)은 슬리브(130)에서 돌출되는 피벗핀(120)의 일측을 삽입하여 고정하기 위해 피벗핀(120)의 단면과 동일한 수용부(28)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피벗핀(120)은 하우징(2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수용부(28)에 삽입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편의상, 피벗핀(120)과 수용부(28)는 사각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또한, 슬리브(130)는 탄성부재(110)와 피벗핀(120)을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고, 탄성부재(110)가 뒤틀어진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도록 탄성부재(110)의 타측을 연결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슬리브(130)는 덮개(30)에 고정된다. 따라서, 슬리브(130)가 덮개(30)에 고정되고, 피벗핀(120)이 하우징(20)에 고정되며, 탄성부재(110)는 일측이 피벗핀(120)에 고정됨과 아울러 타측이 슬리브(130)에 고정됨으로써, 피벗핀(120)은 하우징(20)에 대해 덮개(30)를 힌지 연결하고, 탄성부재(110)는 원주 방향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여 덮개(30)가 하우징(20)의 개방측을 덮도록 작용하게 된다.
물론, 슬리브(13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특히, 슬리브(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덮개(3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로서, 덮개(30)는 안착홈부(34)를 함몰 형성하여 슬리브(130)를 안착하고, 슬리브(130)는 덮개(30)에 면접되는 체결편(132)을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결속부재(134)가 체결편(132)과 덮개(30)를 결속한다. 그래서, 슬리브(130)는 덮개(3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결속부재(134)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하고, 체결편(132)의 형상 및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덮개(30)는 체결편(132) 각각의 위치 설정과 결속된 상태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칸막이(36)를 구비한다. 칸막이(36)는 체결편(132)의 테두리와 접하여 탄성부재(110)의 뒤틀림시 슬리브(130)의 회전되려는 힘을 더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칸막이(36)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캡(140)은 탄성부재(110)와 피벗핀(120)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개방측으로 탄성부재(110)와 피벗핀(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130)의 개방측에 구비된다.
특히, 캡(140)은 피벗핀(120)의 둘레면에 돌출된 지지턱(122)에 접하여 피벗핀(120)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즉, 탄성부재(110)는 일측이 피벗핀(120)의 후측에 연결 고정되고, 타측이 캡(140)에 탄성 지지된다. 그리고, 캡(140)은 지지턱(122)의 타측에 접한 채 슬리브(130)의 개방측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피벗핀(120)은 축 방향으로 이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캡(140)은 피벗핀(120)을 외측으로 돌출 허용해야 함에 따라 양측으로 개방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물론, 캡(14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지지턱(122)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탄성부재(110)는 타측이 슬리브(13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캡(14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110)는 탄성복원력 증가를 위해 직경을 달리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슬리브(130) 또는 캡(14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110)의 일측의 직경(D1)은 피벗핀(120)의 후측에 연결되는 탄성부재(110)의 타측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된다.(D1>D2)
이로 인해, 덮개(30)가 외력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동시, 탄성부재(110)의 일측의 큰 직경(D1) 부분이 더 확경된다. 이때, 탄성부재(110)의 타측의 작은 직경(D2) 부분은 큰 직경(D1) 부분보다 현저히 덜 확경된다. 그래서, 덮개(30)를 개방하는 외력 제거시, 탄성부재(110)는 작은 직경(D2) 부분에 의해 큰 직경(D1) 부분의 탄성 복원력이 증가됨으로써, 덮개(30)의 닫힘 응답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탄성부재(110)는 작은 직경(D2) 부분이 피벗핀(120)의 후측에 연결됨으로써 피벗핀(120)과의 연결 부위 길이를 줄일 수 있음에 따라 피벗핀(120)에 연결되는 부위의 변형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힌지부(200)는 케이싱(210), 힌지핀(220), 힌지홀(230) 및 회전방지부(240)를 포함한다.
특히, 보조힌지부(200)는 덮개(30)의 타측을 하우징(20)에 단순히 힌지 연결한다.
케이싱(210)은 덮개(30)에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30)가 하우징(20)의 내측에 위치하여 덮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210)은 축 방향으로 인접한 하우징(2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핀(220)은 케이싱(210)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힌지핀(2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힌지홀(230)은 힌지핀(220)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하우징(20)에 형성된다. 이때, 힌지핀(220)은 힌지홀(230)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히, 덮개(30)가 개폐 작동시, 힌지핀(220)이 케이싱(2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이 경우, 힌지핀(220)이 케이싱(2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우징(20)의 내측면에 접함에 따라, 덮개(30)의 개폐 작동감이 좋지 않게 된다.
그래서, 회전방지부(240)가 힌지핀(220)을 케이싱(210)에 구속하여 힌지핀(220)의 원주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전방지부(240)는 돌부(242) 및 끼움홈(244)을 포함한다.
돌부(242)는 힌지핀(220)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홈(244)은 케이싱(2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돌부(242)를 끼움한다. 그래서, 힌지핀(220)은 케이싱(210)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된다.
물론, 돌부(242)의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덕트 20: 하우징
22: 내부공간 24: 지지리브
28: 수용부 30: 덮개
34: 안착홈부 36: 칸막이
100: 탄성힌지부 110: 탄성부재
120: 피벗핀 122: 지지턱
130: 슬리브 132: 체결편
140: 캡 200: 보조힌지부
210: 케이싱 220: 힌지핀

Claims (9)

  1. 멀티탭이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멀티탭의 사용을 위해 일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을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덮개를 상기 하우징에 힌지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을 개방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상기 덮개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을 덮도록 유도하는 탄성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힌지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덮개의 힌지 부위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의 개방시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뒤틀림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연결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피벗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벗핀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덮개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연결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을 유도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리브에서 돌출되는 상기 피벗핀의 일측을 삽입하여 회전 방지하기 위해 수용부를 형성하고,
    상기 피벗핀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코일스프링 형상의 상기 탄성부재에 축 삽입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측방향 휨에 대해 지지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복원력 증가를 위해 직경을 달리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덮개를 지지하기 위해 내부공간에 지지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평면적이 상기 하우징의 개방측 평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힌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벗핀을 수용하기 위해 개방된 개방측으로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피벗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핀은 상기 캡에 일측이 탄성 지지되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탄성 지지하기 위해 지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핀은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슬리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단면상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덮개에 면접되는 체결편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체결편 각각의 위치 설정과 지지를 위해 칸막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내장형 덕트.
KR1020170051456A 2017-04-21 2017-04-21 멀티탭 내장형 덕트 KR101810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56A KR101810219B1 (ko) 2017-04-21 2017-04-21 멀티탭 내장형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456A KR101810219B1 (ko) 2017-04-21 2017-04-21 멀티탭 내장형 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219B1 true KR101810219B1 (ko) 2017-12-18

Family

ID=60922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456A KR101810219B1 (ko) 2017-04-21 2017-04-21 멀티탭 내장형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2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7656Y1 (ko) * 1996-06-08 1999-10-01 김상순 회로부품 수납용 보관함
KR100277599B1 (ko) * 1992-04-06 2001-01-15 빈센트 알. 페트레카 개폐식 전기 콘센트와 같은 전기장치용 하우징
JP6006663B2 (ja) * 2013-03-13 2016-10-1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液体吐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599B1 (ko) * 1992-04-06 2001-01-15 빈센트 알. 페트레카 개폐식 전기 콘센트와 같은 전기장치용 하우징
KR200157656Y1 (ko) * 1996-06-08 1999-10-01 김상순 회로부품 수납용 보관함
JP6006663B2 (ja) * 2013-03-13 2016-10-12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液体吐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4336B2 (en) Pop-up desktop receptacle
US7596001B2 (en) Expansion card retention assembly
US8911034B2 (en) Housing having quick-dismounting structure
US20050237706A1 (en) Computer enclosure
US8598456B2 (en) Cover and hinge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
US20140331452A1 (en) Electronic device and hinge structure
WO2019206093A1 (zh) 闭门器及具有该闭门器的冰箱
US9201473B2 (en) Push button assembly, chassis, and operating method of chassis
JP4407612B2 (ja) テーブルタップ
KR101810219B1 (ko) 멀티탭 내장형 덕트
GB2408631A (en) Pivotal bay cover on computer chassis front panel
JP3746757B2 (ja) バスポート接続装置
JP4016503B2 (ja) 開閉蓋を有する電子機器
US20080198537A1 (en) Case of extending base for electronic device
JP4513711B2 (ja) テーブルタップ
KR101794334B1 (ko) 유압식 힌지장치
JP4748040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2019053419A (ja) 情報処理装置
JP2009097162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蝶番構造
US20110116216A1 (en) Electronic device
KR200412632Y1 (ko) 콘센트 커버조립체
KR100776652B1 (ko)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KR100634653B1 (ko) 컵 지지대 어셈블리 구조를 갖춘 컵 홀더
US11940854B2 (en) Replacemen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H08135644A (ja) つまみねじ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