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334B1 - 유압식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식 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4334B1 KR101794334B1 KR1020170058295A KR20170058295A KR101794334B1 KR 101794334 B1 KR101794334 B1 KR 101794334B1 KR 1020170058295 A KR1020170058295 A KR 1020170058295A KR 20170058295 A KR20170058295 A KR 20170058295A KR 101794334 B1 KR101794334 B1 KR 1017943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ver
- elastic member
- hinge
- open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유압개폐부에 의해 커버가 외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이 개방되고, 커버를 회동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커버가 복귀되어 하우징의 개방 부위가 폐쇄되는 작동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멀티탭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멀티탭 사용을 위해 자주 개폐되는 커버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식 힌지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압식 힌지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멀티탭을 사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을 탄성적으로 폐쇄시키는 유압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유압식 힌지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멀티탭을 사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힌지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개방을 탄성적으로 폐쇄시키는 유압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압식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개폐부에 의해 커버가 외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이 개방되고, 커버를 회동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커버가 복귀되어 하우징의 개방 부위가 폐쇄되는 작동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멀티탭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멀티탭 사용을 위해 자주 개폐되는 커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식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 매입 설치된 콘센트의 경우 대부분 2구 내지는 3구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전기기기를 연결할 수가 없으며, 특히,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스캐너 등 여러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다수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을 따로 구입하여 컴퓨터 본체 및 각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다수의 콘센트는 전자 기기의 플러그를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공이 항상 개방되어 있어 어린 아이들이 호기심에 의해 젓가락과 같은 도전성 물체의 삽입을 시도할 경우 감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진과 같은 미세먼지가 단자 삽입공에 유입된 상태에서 플러그를 삽입시킬 경우 미세먼지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하면서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 특2000-0030155호(2000. 06. 05. 공개, 명칭: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책상부착형 멀티탭)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유압개폐부에 의해 커버가 외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이 개방되고, 커버를 회동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커버가 복귀되어 하우징의 개방 부위가 폐쇄되는 작동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멀티탭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멀티탭 사용을 위해 자주 개폐되는 커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압식 힌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는 내부에 수용된 멀티탭을 사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힌지 연결하고, 외력 제거시 상기 커버가 유압을 이용한 탄성력으로 상기 하우징의 닫힘 또는 열림을 안내하는 유압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힌지장치.
또한, 상기 유압개폐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힌지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개방시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뒤틀림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개폐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힌지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고정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을 유도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개폐부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슬리브의 개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는 일측이 상기 캡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부가 잠기도록 내부에 점성유체가 저장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속도가 늦춰지는 저항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시 상기 점성유체의 유동에 부딪히는 저항날개가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성유체의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압개폐부는 상기 캡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점성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멀티탭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커버가 구비되어 이물질이 멀티탭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압개폐부에 의해 커버가 외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이 개방되고, 커버를 회동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커버가 복귀되어 하우징의 개방부위가 폐쇄되는 작동구조를 가짐으로써, 멀티탭의 잦은 사용을 위해 개폐되는 커버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유압개폐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유압개폐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의 하우징으로부터 유압개폐부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개폐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압식 힌지장치(1)는 하우징(100), 커버(200) 및 유압개폐부(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덕트(1)는 책상이나 테이블(미도시)에 설치되어 배선을 안내하고, 멀티탭(2)을 내부에 설치하여 멀티탭(2)의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멀티탭(2)의 설치를 위한 내부공간(110)이 형성되고,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상측이 개방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배선을 위해 저면이나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필기구 등 소형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홈(1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우징(100)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커버(200)는 이물질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110)에 수용된 멀티탭(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상측을 덮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커버(200)는 사용에 따라 멀티탭(2)에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사용 빈도가 높을 수 있으므로, 하우징(100)의 개방 부위를 용이하게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특히, 커버(200)는 개폐시 편의성을 위해 별도의 손잡이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손잡이로 인해 간섭이 발생되거나 커버(200)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손잡이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커버(200)의 면적이 하우징(100)의 개방부위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써, 커버(200)가 하우징(100)을 덮을 경우에는 커버(200)의 개방을 위해 하우징(100)의 내부로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커버(200)와 하우징(100) 사이에 파지구(210)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구(210)의 형성 위치는 커버(200)를 개방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200)는 덕트(100)의 전체 높이가 줄어들도록 하우징(100)의 내부공간(110)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0)가 하측으로 휘어질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내부공간(110)에는 커버(2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리브(12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리브(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 경우에 따라 내부공간(110)을 구획할 수도 있다.
한편, 유압개폐부(300)는 커버(200)가 외력으로 회동되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때 커버(200)를 회동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커버(200)가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하우징(100)의 내부공간(110)을 폐쇄시키도록 하우징(100)과 커버(200)를 힌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유압개폐부(300)는 커버(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고, 커버(200)의 어느 일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유압개폐부(300)는 편의상 커버(200)의 일측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커버(200)의 타측은 보조개폐부(400)를 배치하여 하우징(10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유압개폐부(300)는 탄성부재(31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10)는 하우징(100)이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100)가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되어 하우징(100)의 개방 부위를 폐쇄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뒤틀림력에 의해 커버(20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탄성부재(310)는 토션스프링 역할을 수행하는 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310)는 하우징(100)이 개방되도록 커버(100)가 회동되면 뒤틀림력을 받기 때문에 축 방향으로 양측이 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압개폐부(300)는 힌지부(320)와, 슬리브(3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부(32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되, 코일스프링 형상을 갖는 탄성부재(310)에 축 삽입된 상태로 탄성부재(310)의 일측에 연결되어 탄성부재(310)의 휨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힌지부(320)는 고정부재(321)와, 연결부재(3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321)와 연결부재(322)는 경우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321)는 일측이 슬리브(3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타측이 슬리브(330)의 내부에서 탄성부재(310)에 축 삽입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으로, 단면이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00)에는 슬리브(330)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321)가 삽입 고정되기 위해 고정부재(321)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수용부(14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321)는 수용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연결부재(322)는 일측이 고정부재(321)에 연결되고, 타측이 탄성부재(310)에 연결되어 탄성부재(310)의 일측을 고정한다.
이때, 연결부재(322)는 힌지부(320)가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도록 단부가 슬리브(330)의 내측면에 접하게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슬리브(330)는 탄성부재(310)와 힌지부(320)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커버(200)에 고정되어 탄성부재(310)와 힌지부(320)를 보호하고, 탄성부재(310)가 뒤틀어진 상태에서 원주 방향으로 탄성 복원되도록 탄성부재(310)의 타측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310)의 일측이 힌지부(320)에 고정되고, 탄성부재(310)의 타측이 슬리브(330)에 고정된 상태로 힌지부(32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슬리브(330)는 커버(200)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00)과 커버(200)는 힌지부(320)에 의해 힌지 연결되고, 탄성부재(310)는 탄성 복원력을 통해 커버(200)가 하우징(100)의 개방 부위를 탄성적으로 폐쇄하도록 작용된다.
이때, 슬리브(33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커버(2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00)에는 슬리브(330)가 안착되도록 안착홈부(220)가 함몰 형성되고, 슬리브(330)에는 별도의 체결부재(332)를 통해 커버(200)에 결합되는 체결편(331)이 형성된다.
즉, 슬리브(330)가 안착홈부(2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332)에 의해 커버(200)와 체결편(331)이 결속됨으로써, 커버(200)와 슬리브(33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체결부재(332)는 볼트나 스크류인 것으로 하고, 체결편(331)의 형상 및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커버(200)에는 체결편(331)의 위치 설정과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칸막이(2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칸막이(230)는 체결편(331)의 테두리와 접하여 탄성부재(310)의 뒤틀림시 슬리브(330)가 회전하려는 힘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칸막이(23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압개폐부(300)는 슬리브(330)의 내부에 수용되는 탄성부재(310)와 힌지부(3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슬리브(330)의 개방된 부위에 고정되는 캡부재(3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재(340)는 고정부재(321)의 일측이 슬리브(3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허용해야 하므로, 고정부재(321)가 관통되도록 관통홀부(341)가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재(310)는 타측이 슬리브(33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캡부재(340)에 고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 탄성 복원력의 증가를 위해 직경이 달리 형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슬리브(330) 또는 캡부재(340)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10)의 일측의 직경(D1)은 연결부재(322)에 연결되는 탄성부재(310)의 타측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된다.(D1>D2)
즉, 외력에 의해 하우징(100)이 개방되도록 커버(200)가 회동되면 탄성부재(310)의 일측의 큰 직경(D1) 부분이 더 확경된다. 이때, 탄성부재(310)의 타측의 작은 직경(D2) 부분은 큰 직경(D1) 부분보다 현저히 덜 확경된다.
그래서, 커버(200)를 회동시키는 외력을 제거하면 탄성부재(310)는 작은 직경(D2) 부분에 의해 큰 직경(D1) 부분의 탄성 복원력이 증가됨으로써, 커버(200)의 닫힘 응답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322)와 연결되는 부위의 변형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슬리브(330)의 내부에는 탄성부재(310)와 힌지부(320)가 잠기도록 점성유체(333)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슬리브(330) 내부에서 탄성부재(310)가 점성유체(333)에 잠긴 상태로 위치되면, 탄성부재(310)가 뒤틀렸다가 탄성 복원되는 과정에서 점성유체(333)의 저항력에 의해 탄성 복원력이 감쇠되므로, 탄성부재(310)의 복원 속도가 늦춰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321)는 점성유체(333)와의 저항력이 증가되도록 외측에 저항날개(32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321)는 탄성부재(210)가 뒤틀렸다가 탄성 복원될 때 슬리브(330)도 함께 회동되므로, 슬리브(300) 내부에 저장된 점성유체(333)가 유동되면 저항날개(321)가 점성유체(333)와 부딪혀 점성유체(333)의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을 폐쇄하도록 회동되는 커버(200)의 속도가 늦춰지게 되므로, 하우징(100)의 개방 부위가 폐쇄될 때 발생되는 소음이 현저하게 줄어들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과 커버(200)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여도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압개폐부(300)는 캡부재(340)와 고정부재(321)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슬리브(330)에 저장된 점성유체(333)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350)는 탄성을 갖는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캡부재(34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내주면이 고정부재(32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고정부재(321)에는 패킹부재(350)가 고정부재(321)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되도록 패킹부재(350)를 지지하는 지지턱(321b)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보조개폐부(400)는 케이싱(410), 힌지핀(420), 힌지홀(430) 및 회전방지부(440)를 포함한다.
특히, 보조개폐부(400)는 커버(200)의 타측을 하우징(100)에 단순히 힌지 연결한다.
케이싱(410)은 커버(200)에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200)가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여 덮고 있는 상태에서 케이싱(410)은 축 방향으로 인접한 하우징(10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핀(420)은 케이싱(410)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힌지핀(4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힌지홀(430)은 힌지핀(420)의 일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하우징(100)에 형성된다. 이때, 힌지핀(420)은 힌지홀(430)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히, 커버(200)가 개폐 회동시, 힌지핀(420)이 케이싱(410)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나, 이 경우, 힌지핀(420)이 케이싱(41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함에 따라, 커버(200)의 개폐 작동감이 좋지 않게 된다.
그래서, 회전방지부(440)가 힌지핀(420)을 케이싱(410)에 구속하여 힌지핀(420)의 원주 방향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회전방지부(440)는 돌부(441) 및 끼움홈(442)을 포함한다.
돌부(441)는 힌지핀(420)의 둘레면에 축 방향으로 연속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끼움홈(442)은 케이싱(4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돌부(441)를 끼운다. 그래서, 힌지핀(420)은 케이싱(410)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된다.
물론, 돌부(442)의 개수 및 형상은 다양하게 적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덕트 2: 멀티탭
100: 하우징 110: 내부공간
120: 지지리브 130: 보관홈
140: 수용부 200: 커버
210: 파지구 220: 안착홈부
230: 칸막이 300: 유압개폐부
310: 탄성부재 320: 힌지부
321: 고정부재 322: 연결부재
330: 슬리브 331: 체결편
332: 결속부재 333: 점성유체
340: 캡부재 341: 관통홀부
350: 패킹부재 400: 보조개폐부
410: 케이싱 420: 힌지편
430: 힌지홀 440: 회전방지부
100: 하우징 110: 내부공간
120: 지지리브 130: 보관홈
140: 수용부 200: 커버
210: 파지구 220: 안착홈부
230: 칸막이 300: 유압개폐부
310: 탄성부재 320: 힌지부
321: 고정부재 322: 연결부재
330: 슬리브 331: 체결편
332: 결속부재 333: 점성유체
340: 캡부재 341: 관통홀부
350: 패킹부재 400: 보조개폐부
410: 케이싱 420: 힌지편
430: 힌지홀 440: 회전방지부
Claims (8)
- 내부에 수용된 멀티탭을 사용하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 부위를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를 힌지 연결하고, 외력 제거시 상기 커버가 유압을 이용한 탄성력으로 상기 하우징의 닫힘 또는 열림을 안내하는 유압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압개폐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힌지 부위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의 개방시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뒤틀림력에 의해 탄성 복원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힌지부;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고정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을 유도하는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개방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캡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일측이 상기 캡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힌지부가 잠기도록 내부에 점성유체가 저장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뒤틀렸다가 탄성 복원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 속도가 늦춰지는 저항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힌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복원시 상기 점성유체의 유동에 부딪히는 저항날개가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성유체의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힌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개폐부는, 상기 캡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점성유체의 누수를 방지하는 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식 힌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8295A KR101794334B1 (ko) | 2017-05-10 | 2017-05-10 | 유압식 힌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8295A KR101794334B1 (ko) | 2017-05-10 | 2017-05-10 | 유압식 힌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4334B1 true KR101794334B1 (ko) | 2017-11-06 |
Family
ID=6038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8295A KR101794334B1 (ko) | 2017-05-10 | 2017-05-10 | 유압식 힌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433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306A (ko) * | 2021-12-08 | 2023-06-1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콘센트 커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363Y1 (ko) * | 2009-10-13 | 2010-01-20 | 백종현 | 전기기기 방수커버 |
KR101008847B1 (ko) | 2010-04-20 | 2011-01-19 | (주)하이텍파츠 | 힌지용 개폐장치 |
KR101738095B1 (ko) | 2016-04-07 | 2017-05-19 | 이종득 | 안전 콘센트 조립체 |
-
2017
- 2017-05-10 KR KR1020170058295A patent/KR1017943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7363Y1 (ko) * | 2009-10-13 | 2010-01-20 | 백종현 | 전기기기 방수커버 |
KR101008847B1 (ko) | 2010-04-20 | 2011-01-19 | (주)하이텍파츠 | 힌지용 개폐장치 |
KR101738095B1 (ko) | 2016-04-07 | 2017-05-19 | 이종득 | 안전 콘센트 조립체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86306A (ko) * | 2021-12-08 | 2023-06-15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콘센트 커버 |
KR102695671B1 (ko) * | 2021-12-08 | 2024-08-14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 콘센트 커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14336B2 (en) | Pop-up desktop receptacle | |
KR101921496B1 (ko) | 케이스 장치 | |
KR100664765B1 (ko) | 방수 안전 콘센트 | |
US7596830B2 (en) | Hinge | |
KR100989090B1 (ko) |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 |
KR960009534A (ko) |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힌지장치 | |
WO2008153224A1 (en) | Hinge damper | |
KR101794334B1 (ko) | 유압식 힌지장치 | |
JP4407612B2 (ja) | テーブルタップ | |
US5177672A (en) | Structure for covering interconnection of a folding electronic device | |
KR200173283Y1 (ko) | 힌지 장치 | |
KR101823404B1 (ko) | 모듈화 책상 | |
KR101810219B1 (ko) | 멀티탭 내장형 덕트 | |
KR100801622B1 (ko) | 힌지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냉장고 | |
KR101650535B1 (ko) | 케이블 정리구 | |
JP4016503B2 (ja) | 開閉蓋を有する電子機器 | |
JP5454922B2 (ja) | デスクおよびダクトカバー | |
JP2019053419A (ja) | 情報処理装置 | |
US6690579B1 (en) | Door for computing apparatus | |
KR20190000917U (ko) | 배전반의 도어 | |
KR101588356B1 (ko) | 도어용 힌지 조립체 | |
KR200366241Y1 (ko) | 휴대용정보기기의 정전기 방지장치 | |
CN217085616U (zh) | 皮套键盘 | |
JP7244459B2 (ja) | 炊飯器 | |
CN211690593U (zh) | 前置按钮式滑座固定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