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363Y1 - 전기기기 방수커버 - Google Patents
전기기기 방수커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7363Y1 KR200447363Y1 KR2020090013274U KR20090013274U KR200447363Y1 KR 200447363 Y1 KR200447363 Y1 KR 200447363Y1 KR 2020090013274 U KR2020090013274 U KR 2020090013274U KR 20090013274 U KR20090013274 U KR 20090013274U KR 200447363 Y1 KR200447363 Y1 KR 20044736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opening
- closing plate
- locking
- locking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기기 방수커버에 관한 것으로, 그 주요구성은 전기기기가 설치된 외벽체에 부착되는 기대; 상기 기대의 일측단에 힌지에 의해 일측단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기대의 일측에 스냅식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하단부분 배면에 세워져 상기 걸림수단의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버튼하우징;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 위에 덮은 때 상기 기대에 걸려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 위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고리;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 위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된 때 상기 걸림고리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기대에 걸려 있는 상기 걸림고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푸시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개방을 위해 개폐판을 파지할 때 파지와 동시에 푸시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걸림고리에 의한 개폐판과 기대의 걸림을 쉽게 해제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걸림고리가 걸림공에 스냅 결합되도록 함에 있어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장기간 폐쇄 상태로 방치한 경우에도 걸림고리에 의한 걸림 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전기기기, 콘센트, 방수커버, 걸림고리, 푸시버튼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기기기 방수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푸시버튼에 의해 스냅식으로 걸림수단에 의한 기대와 개폐판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고, 장기간 방치하여 걸림해제동작이 원활히 되지 않을 때에도 간단하게 걸림수단을 비상해제할 수 있게 되는 전기기기 방수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 방수커버와 같은 전기기기 방수커버는 전기기기 즉, 콘센트나 스위치 등의 전기기기를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전기기기에 습기 또는 물기가 침투하여 누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목욕탕이나 화장실 등 습기가 많은 곳 또는 날씨의 영향을 받는 옥외에 사용되거나 특히, 고압의 물을 분사하여 내벽면을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터널 등에 콘센트를 설치할 때 함께 사용된다.
따라서, 전기기기 방수커버는 콘센트와 같은 전기기기에 대한 수밀을 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103)의 기기구멍(121) 주위로 소정 높이의 제1 방수턱(141)이 개폐판(105)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기대(103)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개폐판(105)에는 폐쇄 상태에서 제1 방수턱(141)과 접촉함으로써 전기기기(10) 주위를 외부와 차단하는 제1 방수패킹(142)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개폐판(5)의 제1 방수패킹(142)의 둘레에는 제2 방수턱(143)이 기대(103)를 향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고, 기대(103)에는 폐쇄 상태에서 제2 방수턱(143)과 접촉함으로써 제1 방수턱(141) 주위를 중첩적으로 외부와 차단하는 제2 방수패킹(144)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기기기 방수커버(101)는 폐쇄 시 제1 및 제2 방수턱(141,143)과 제1 및 제2 방수패킹(142,144)의 접촉에 의해 전기기기(10)의 수밀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바, 기대(103) 위에 개폐판(105)이 덮인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105) 하단의 안쪽면에 기대(103)를 향하여 걸림고리(113)가 돌출되어 있고, 기대(103)는 이 걸림고리(113)와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고리(113)와 스냅식으로 결합/해제되는 걸림공(137)이 관통되어 있다.
따라서, 전기기기 방수커버(101)는 개폐판(105)을 기대(103) 위에 덮을 때 폐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개폐판(105)의 걸림고리(113)가 기대(103)의 걸림공(137)에 삽입되어 스냅식으로 걸리도록 하며, 반대로 걸림을 풀 때는 걸림공(137)에 걸려 있는 걸림고리(113)를 손으로 밀어 걸림고리(113) 선단의 훅이 걸림공(137)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전기기기 방수커버(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걸림고리(113)가 개폐판(105)의 손잡이(153) 저면에 단독으로 돌출되어 있어 내구성능이 매우 취약하고, 걸림고리(113)에 의한 걸림을 풀 때도 개폐판(105)을 들어 올려 걸림공(137)에 삽입되어 걸려 있던 걸림고리(113)를 걸림공(137)에서 스냅식으로 빼 내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걸림고리(113)의 강도가 약화되는 등 내구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걸림 상태가 장기간 계속됨으로 인해 주위의 오염물질이 걸림고리(113)와 걸림구멍(137)의 접촉 부위에 또는 그 주위에 누적되는 경우, 걸림고리(113)의 탄력이 저하되거나 걸림고리(113)의 탄력적인 변형이 방해됨으로써 손잡이(153)를 들어 올려도 걸림고리(113)가 걸림공(137)에서 스냅식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여 사용불능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전기기기 방수커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걸림고리를 푸시버튼과 함께 하나의 걸림수단이 되도록 함으로써 푸시버튼의 가압 조작을 통해 걸림고리에 의한 기대와 개폐판의 걸림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상태로 장기간 방치하더라도 쉽게 걸림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기기 방수커버의 내구성과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기기가 설치된 외벽체에 부착되되, 상기 전기기기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기기구멍이 관통되어 있는 기대; 상기 기대의 일측단에 힌지에 의해 일측단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의 타측단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기대의 일측에 스냅식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개폐판의 하단부분 배면에 세워져 상기 걸림수단의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버튼하우징; 상기 버튼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개폐판 하단 부분에 관통된 버튼구멍의 테두리 부분 일측에서 상기 버튼하우징 밖으로 노출되도록 길게 연장되어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 위에 덮은 때 상기 기대에 걸려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 위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고리; 외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하우징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버튼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판을 상기 기대 위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된 때 상기 걸림고리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기대에 걸려 있는 상기 걸림고리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푸시버튼;으로 구성되는 전기기기 방수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은 그 몸체의 상기 걸림고리로 면한 측면 상에 가압빗면을 갖는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는 상기 가압빗면과 맞닿음되도록 형성된 수압빗면을 갖는 수압돌기가 그 중간 부분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푸시버튼이 가압되어 상기 가압빗면에 의해 상기 수압빗면이 가압될 때 상기 걸림고리가 탄력적으로 휘어져 상기 기대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대는 개폐판을 덮은 때 상기 걸림고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리와 대응하는 지점에 걸림공이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걸림고리를 밀어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기대와의 걸림이 해제되게 할 수 있는 위치의 상기 버튼하우징 벽면에 비상해 제홈이 관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전기기기 방수커버에 의하면, 기대의 걸림공에 스냅식으로 걸림 또는 해제되는 걸림고리가 걸림수단의 일부로서 푸시버튼과 함께 개폐판의 손잡이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걸림고리 자체의 내구 강도를 높여 걸림수단의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대 위에 개폐판을 덮을 때는 걸림고리가 걸림공에 삽입되어 스냅식으로 결합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대로부터 개폐판을 개방할 때는 푸시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걸림고리가 걸림공으로부터 스냅식으로 걸림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걸림수단의 걸림 또는 해제 동작을, 더 나아가 기대에 대한 개폐판의 개폐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전기기기 방수커버의 사용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도 걸림고리를 스냅식으로 걸림공에 걸림 또는 해제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매연 또는 먼지나 수분 등의 오염물질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환경에 사용되더라도 스프링의 오손으로 인한 작동불능 상태를 염려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내구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터널 내부와 같은 극한 오염 환경에 폐쇄된 상태로 장기간 노출되어 푸시버튼의 가압 조작에 의해서도 걸림고리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도 가는 드라이버나 송곳 등과 같은 물건을 비상해제홈으로 집어넣어 걸림고리를 안쪽으로 밀어 넣어 쉽게 걸림고리에 의한 걸림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방수커버의 유지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 방수커버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기기기 방수커버는 도 2 및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와 같은 전기기기(10)를 습기나 물기로부터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크게 기대(3), 개폐판(5), 및 걸림수단(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기대(3)는 넓적한 상자 형태로 된 방수커버(1)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지하터널이나, 습기나 염분이 많은 지역의 전기기기(10)가 설치된 외벽체 또는 이러한 지역에 설치되는 콘센트함과 같은 전기기기함 등의 외벽체(20)에 외부로 노출된 콘센트 또는 스위치 등과 같은 전기기기(10)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는 보호덮개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기기(10) 즉, 콘센트와 대응하는 지점에 전기기기(10)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기기구멍(21)이 관통되어 있다. 또한, 기기구멍(21) 주위에는 전기기기(10)의 수침을 막기 위한 제1 방수벽(41)이 돌출되어 있고, 제1 방수벽(41)의 둘레에는 개폐판(5)의 외곽에 돌출된 제2 방수벽(43)과 접촉하여 수밀을 이루는 제2 방수패킹(44)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상단 부분에 외측 힌지부(45)가 돌출되어 있다. 특히, 기대(3)는 외측 힌지부(45) 대향측 즉, 하단 부분에 걸림고리(13)를 걸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바, 걸림고리(13) 의 훅(47)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자체로 기대(3)에 걸려 고정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개폐판(5)을 덮은 때 걸림고리(13)와 대응하는 하단 중앙지점에 걸림공(37)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걸림고리(13)가 보다 쉽고 확실하게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개폐판(5)은 기대(3) 위를 덮는 덮개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대(3)의 상단에 형성된 외측 힌지부(45)와 짝을 이루는 내측 힌지부(46)가 상단에 형성되어 힌지(23)를 구성함으로써 기대(3)의 상단에 힌지(23)를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힌지(23)는 일반적인 힌지와 같이 단지 외측 힌지부(45)와 내측 힌지부(46) 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49) 상에 비틀림 스프링(51)을 장착하여 개폐판(5)의 피벗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개폐판(5)은 상기한 바와 같이 테두리 부분에 제2 방수벽(43)이 돌출되고, 그 안쪽에 기대(3)의 제1 방수벽(41)과 접촉하여 수밀을 이루는 제1 방수패킹(42)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걸림수단(7)은 기대(3) 위에 덮인 개폐판(5)을 기대(3)에 스냅식으로 고정 및 해제하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나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5)을 상기 기대(3)를 향해 가압할 때 걸림고리(13) 자체의 탄력만으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스냅식으로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크게 버튼하우징(11), 걸림고리(13), 및 푸시버튼(15)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버튼하우징(11)은 걸림수단(7)의 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5)의 하단부분에 돌출되어 있는 손잡이(53) 저면에 직육면체 형태로 세워져 있으며, 버튼하우징(11)으로 둘러싸인 바닥면에는 버튼구멍(25)이 관통되어 있어 이 버튼구멍(25)으로 끼워지는 푸시버튼(15)을 그 내부에서 미끄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개구부를 가로벽(55)이 막고 있어 고정나사(57)에 의해 푸시버튼(15)이 버튼구멍(25)을 통해 위쪽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림고리(13)는 개폐판(5)을 기대(3) 위에 덮은 때 기대(3)에 직접적으로 걸려 개폐판(5)을 기대(3) 위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부분으로, 예컨대, 버튼구멍(25)의 테두리 부분 안쪽에서 위쪽으로 길게 뻗은 막대 모양의 몸체 위에 버튼하우징(11) 안쪽을 향해 돌출된 훅(47)을 구비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때, 걸림고리(13)는 기대(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훅(47)이 버튼하우징(11) 밖으로 노출될 수 있는 높이까지 위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 푸시버튼(15)은 기대(3) 위에 덮여 있는 개폐판(5)을 들어올려 개방할 때 걸림수단(7)에 의한 걸림을 풀 수 있도록 사용자가 개폐판(5)을 파지할 때 동시에 누르도록 되어 있는 걸림해제수단으로서, 버튼하우징(11)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버튼구멍(25)에 삽입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26)와, 사용자가 개폐판(5)을 개방하기 위해 파지할 때 파지와 동시에 가압할 수 있도록 몸체(26)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된 평평한 판 모양의 헤드(27)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푸시버튼(15)은 사용자에 의해 눌린 때 걸림고리(13)를 가압하여 걸림고리(13)에 의한 걸림 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푸시버튼(15)은 그 몸체(26)의 걸림고리(13)로 면한 측면 상에 가압빗면(31)을 갖는 가압돌기(29)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고리(13)는 이 가압빗면(31)과 맞닿음되도록 형성된 수압빗면(33)을 갖는 수압돌기(35)가 그 중간 부분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고리(13)는 푸시버튼(15)이 가압되어 가압빗면(31)에 의해 수압빗면(33)을 가압할 때 수압빗면(33)이 훅(47) 돌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감에 따라 함께 탄력적으로 휘어져 훅(47)에 의한 기대(3)와의 걸림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걸림수단(7)의 버튼하우징(11)은 예컨대,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벽면의 에지 부분에 반원형의 비상해제홈(39)이 절결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이 비상해제홈(39)을 통해 걸림 상태에 있는 걸림고리(13)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는 바, 기대(3)와 개폐판(5)의 폐쇄 상태가 장기간 계속되어 외부 오염물질 등으로 인해 걸림수단(7)의 해제동작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외부에서 가늘고 긴 송곳 같은 물건으로 비상해제홈(39)을 통해 걸림고리(13)를 밀어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기대(3)와의 걸림이 해제되게 할 수 있다.
이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기기 방수커버(1)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기기기 방수커버(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해서는 먼저 외벽체(20)의 전기기기(10)와 기기구멍(21)이 정렬되도록 하여 기대(3)를 외벽체(20) 위에 나사못 등을 통해 결합한다.
이와 같이 방수커버(1)를 전기기기(10) 주위에 장착하게 되면, 콘센트와 같 은 전기기기(10)에 플러그를 꽂을 때 기대(3)로부터 개폐판(5)을 들어 올린 후 전기기기(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 되고, 반대로 전기기기(1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대(3) 위에 개폐판(5)을 덮어 걸림수단(7)에 의해 기대(3)와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걸림고리(1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기대(3)의 걸림공(37) 안으로 삽입되어 훅(47)과 수압돌기(35) 사이에 걸림공(37) 내부에 돌출된 걸림턱(38)이 걸려 들어가면서 스냅식으로 고정된다. 이때, 제1 방수벽(41)은 제1 방수패킹(42) 위에 눌리고, 제2 방수벽(43)은 제2 방수패킹(44) 위에 눌림으로써 전기기기(10)에 대한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위와 같이 개폐판(5)이 폐쇄된 상태에서 걸림수단(7)에 의한 걸림을 해제하고 개폐판(5)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검지와 중지로 손잡이(53) 안쪽면을 감아쥐면서 동시에 반대쪽에서 엄지로 푸시버튼(15)의 헤드(27)를 내리 누른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15)이 버튼하우징(11)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압빗면(31)이 수압빗면(33)과 맞닿음되어 있는 가압돌기(29)가 수압빗면(33)을 통해 걸림고리(13)를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걸림고리(1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훅(47)이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며, 걸림공(37)의 걸림턱(38)에 걸려 있던 훅(47)도 걸림턱(38)에서 빠져나가면서 걸림고리(13)와 걸림공(37)에 의한 기대(3)와 개폐판(5)의 걸림이 해제된다.
이렇게 해서 걸림수단(7)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손잡이(53)를 자연스레 들어 올림으로써 기대(3)로부터 개폐판(5)을 개방하면 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기기 방수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기기 방수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푸시버튼 및 걸림고리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기대 위에 개폐판이 폐쇄된 상태로 도 2의 전기기기 방수커버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개폐판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푸시버튼에 의해 걸림고리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기기 방수커버 3 : 기대
5 : 개폐판 7 : 걸림수단
10 : 전기기기(콘센트) 11 : 버튼하우징
13 : 걸림고리 15 : 푸시버튼
20 : 외벽체 21 : 기기구멍
23 : 힌지 25 : 버튼구멍
27 : 헤드 29 : 가압돌기
31 : 가압빗면 33 : 수압빗면
35 : 수압돌기 37 : 걸림공
38 : 걸림턱 39 : 비상해제홈
41, 43 : 제1 및 제2 방수벽 42, 44 : 제1 및 제2 방수패킹
47 : 훅 53 : 손잡이
Claims (4)
- 전기기기(10)가 설치된 외벽체(20)에 부착되되, 상기 전기기기(10)가 노출되도록 하는 기기구멍(21)이 관통되어 있는 기대(3);상기 기대(3)의 일측단에 힌지(23)에 의해 일측단이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개폐판(5); 및상기 개폐판(5)의 타측단 부분에 장착되어 상기 개폐판(5)을 상기 기대(3)를 향해 가압할 때 상기 기대(3)의 일측에 스냅식으로 걸림으로써 상기 개폐판(5)을 상기 기대(3)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수단(7);으로 이루어지며,상기 걸림수단(7)은,상기 개폐판(5)의 하단부분 배면에 세워져 상기 걸림수단(7)의 외체를 형성하고 있는 버튼하우징(11);상기 버튼하우징(11) 내측에서 상기 개폐판(5) 하단 부분에 관통된 버튼구멍(25)의 테두리 부분 일측에서 상기 버튼하우징(11) 밖으로 노출되도록 길게 연장되어 상기 개폐판(5)을 상기 기대(3) 위에 덮은 때 상기 기대(3)에 걸려 상기 개폐판(5)을 상기 기대(3) 위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걸림고리(13);외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버튼하우징(11) 내주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버튼구멍(25)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판(5)을 상기 기대(3) 위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압된 때 상기 걸림고리(13)를 동시에 가압하여 상기 기대(3)에 걸려 있는 상기 걸림고리(13)의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푸시버튼(15);으로 구 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방수커버.
-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푸시버튼(15)은 그 몸체(26)의 상기 걸림고리(13)로 면한 측면 상에 가압빗면(31)을 갖는 걸림고리(1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고리(13)는 상기 가압빗면(31)과 맞닿음되도록 형성된 수압빗면(33)을 갖는 수압돌기(35)가 그 중간 부분 일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푸시버튼(15)이 가압되어 상기 가압빗면(31)에 의해 상기 수압빗면(33)이 가압될 때 상기 걸림고리(13)가 탄력적으로 휘어져 상기 기대(3)와의 걸림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방수커버.
- 제2 항에 있어서,상기 기대(3)는 개폐판(5)을 덮은 때 상기 걸림고리(13)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고리(13)와 대응하는 지점에 걸림공(37)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방수커버.
- 제1 항 내지 제3 항에 있어서,상기 걸림수단(7)은 상기 걸림고리(13)를 밀어 탄력적으로 휘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기대(3)와의 걸림이 해제되게 할 수 있는 위치의 상기 버튼하우징(11) 벽면에 비상해제홈(39)이 관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방수커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3274U KR200447363Y1 (ko) | 2009-10-13 | 2009-10-13 | 전기기기 방수커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3274U KR200447363Y1 (ko) | 2009-10-13 | 2009-10-13 | 전기기기 방수커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7363Y1 true KR200447363Y1 (ko) | 2010-01-20 |
Family
ID=4421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3274U KR200447363Y1 (ko) | 2009-10-13 | 2009-10-13 | 전기기기 방수커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7363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8651Y1 (ko) | 2010-06-16 | 2012-03-13 | 해경 기 | 원터치 방수콘센트 |
KR101794334B1 (ko) * | 2017-05-10 | 2017-11-06 | (주)퍼맥스 | 유압식 힌지장치 |
WO2021020625A1 (ko) * | 2019-07-31 | 2021-02-04 |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 원포드 지퍼락용 클램프 모듈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51101A (en) | 1982-06-21 | 1984-05-29 | Davis Thomas A | Cover plate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
KR200247496Y1 (ko) | 2001-01-11 | 2001-10-27 | 이영만 | 원터치콘센트 |
-
2009
- 2009-10-13 KR KR2020090013274U patent/KR20044736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51101A (en) | 1982-06-21 | 1984-05-29 | Davis Thomas A | Cover plate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
KR200247496Y1 (ko) | 2001-01-11 | 2001-10-27 | 이영만 | 원터치콘센트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8651Y1 (ko) | 2010-06-16 | 2012-03-13 | 해경 기 | 원터치 방수콘센트 |
KR101794334B1 (ko) * | 2017-05-10 | 2017-11-06 | (주)퍼맥스 | 유압식 힌지장치 |
WO2021020625A1 (ko) * | 2019-07-31 | 2021-02-04 | 주식회사 성엔지니어링 | 원포드 지퍼락용 클램프 모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76112B2 (en) | Safety cover | |
US8022298B2 (en) | Weatherproof outlet and gasket assembly | |
KR200447363Y1 (ko) | 전기기기 방수커버 | |
KR100227192B1 (ko) |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설치구조 | |
KR200442844Y1 (ko) | 방우형 콘센트 | |
KR101360778B1 (ko) |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 |
KR100875879B1 (ko) | 책상용 전선정리장치 | |
KR101219154B1 (ko) | 공동주택용 스위치 보호함 | |
JP6214320B2 (ja) | バスダクト分岐装置及びバスダクト分岐構造 | |
KR200472372Y1 (ko) | 자동문용 터치 스위치 | |
KR200421520Y1 (ko) |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 |
KR200430971Y1 (ko) | 멀티탭의 스위치 안전 덮개 | |
KR101360779B1 (ko) | 플러그와 안정하게 결속되는 공동주택의 콘센트 | |
JP2011060578A (ja) | 電池ホルダ用防水構造 | |
JP2008075310A (ja) | 配線収納部材 | |
KR20070105663A (ko) |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 |
KR101786036B1 (ko) | 벽체 스위치 유닛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벽면 스위치 장치 | |
CN213212487U (zh) | 一种防水型插座开关 | |
KR200368149Y1 (ko) | 보호덮개가 설치된 멀티탭 | |
KR100666036B1 (ko) |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 |
JP2007042361A (ja) | 防水型押釦スイッチ装置 | |
CN215686746U (zh) |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 |
JP4840985B2 (ja) | コンセントカバー | |
KR20150125119A (ko) | 전기자동차의 인렛 | |
CN213460240U (zh) | 一种电插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