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520Y1 -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520Y1
KR200421520Y1 KR2020060011377U KR20060011377U KR200421520Y1 KR 200421520 Y1 KR200421520 Y1 KR 200421520Y1 KR 2020060011377 U KR2020060011377 U KR 2020060011377U KR 20060011377 U KR20060011377 U KR 20060011377U KR 200421520 Y1 KR200421520 Y1 KR 200421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pring
insertion hole
terminal box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학
Original Assignee
임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학 filed Critical 임종학
Priority to KR2020060011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5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6Injection mou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공간 중앙에 상향돌출된 스프링고정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삽입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3)의 삽입구멍(3a)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구멍(3a)둘레에 저면이 지지되는 테두리부(15)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5)의 상면 중앙에 절개구멍(16)을 가지는 몸체(11)와; 상기 체결부(12)의 내측에서 상기 테두리부(15) 내측 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8)에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15)의 상면 절개구멍(1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9)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9) 내측에 하향돌출된 스프링끼움돌부(20)를 가지는 탄성걸림편(17)과; 상기 체결부(12)의 내측 스프링고정돌부(13)에 하단이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걸림부(19) 내측의 스프링끼움돌부(20)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걸림편(17)을 상기 몸체(11)의 내측에서 탄성지지하는 통상의 스프링(21)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12)의 양측면에 하향 경사진 걸림돌기(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1)가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인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몸체(11)를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개폐장치(10)를 도어(3)의 자유단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몸체(11)의 체결부(12)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4)가 도어(3)의 삽입구멍(3a) 내측 단부에 지지되므로 몸체(11)가 삽입구멍(3a)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스프링(21)의 상하 단이 스프링고정돌부(13) 및 스프링끼움돌부(20)에 체결되어 구비되므로 스프링(21)의 수축 및 복원시 스프링(21)이 좌우로 밀려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개폐장치(10)가 도어(3)의 삽입구멍(3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간편하게 삽입설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21)이 몸체(11)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탈됨 없이 탄성걸림편(17)의 눌림작동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개폐장치, 몸체, 탄성걸림편, 스프링

Description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A switch of door which uses a terminal box}
도 1은 본 고안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가 단자함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개폐장치가 단자함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단자함 2 ; 내측벽
2a ; 걸림구멍 3 ; 도어
3a ; 삽입구멍 10 ; 개폐장치
11 ; 몸체 12 ; 체결부
13 ; 스프링고정돌부 14 ; 걸림돌기
15 ; 테두리부 16 ; 절개구멍
17 ; 탄성걸림편 18 ; 지지부
19 ; 걸림부 20 ; 스프링끼움돌부
21 ; 스프링
본 고안은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함의 도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복도, 전기실 등의 실내에는 전화단자함, 배전함, 전기분전함, 소화전함 등의 각종 단자함이 설치된다.
이러한 단자함들은 본체가 벽면 내에 삽설되며 본체의 전면에는 본체의 내부를 여닫는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어의 자유단에는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개폐장치가 돌출설치되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도어의 자유단에 대응되는 본체의 내측벽에는 삽입구멍에 대응되는 걸림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어의 삽입구멍 내측에 설치되는 개폐장치는 도어의 자유단 내측에서 용접 또는 나사체결하여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개폐장치의 설치시 용접 또는 나사체결의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개폐장치의 설치가 매우 번거러웠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개실용신안 1998-022631호"가 고안되었는바, 이는 소화전의 엠보결합공에 완전히 삽입되는 테두리부가 일측 끝에 압착성형되고 이 테두리부의 중앙에는 끼움공이 형성된 하우징에 걸림구와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고 타측을 내향으로 오므려 경사부를 압착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개폐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스프링의 하단이 하우징의 후방의 오므려진 경사부 내측면에 밀착지지되어 도어를 여닫을시 걸림구가 눌려지는 동작에 따라 스프링의 수축 및 복원되는데, 이때 스프링은 하단이 하우징의 경사부 내측면에 단순히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스프링의 하단이 그 경사부의 내측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좌우로 밀려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에 따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걸림구가 좌우로 틀어지면서 걸림부의 일측이 끼움공에서 이탈되거나, 눌려진 걸림구가 재복원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한편, 종래의 개폐장치는 하우징을 엠보결합공에 삽입하면 개폐장치의 결합이 완료되는데, 이때 테두리부가 엠보결합공의 단부둘레에 지지되기는 하지만 하우징의 외주면 둘레에는 하우징의 후방을 엠보결합공에 지지하는 수단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개폐장치가 엠보결합공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의 테두리부를 엠보결합공에 스폿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하우징을 고정하여야만 하였다.
이에 따라, 개폐장치를 설치시 용접을 실시하여야 했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였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자함의 도어에 간편히 설치할 수 있으며, 개폐장치의 작동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는, 단자함의 내측벽에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에 대응되는 도어의 자유단에 상기 걸림구와 대응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단자함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공간 중앙에 상향돌출된 스프링고정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삽입구멍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구멍둘레에 저면이 지지되는 테두리부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중앙에 절개구멍을 가지는 몸체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서 상기 테두리부 내측 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절개구멍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 내측에 하향돌출된 스프링끼움돌부를 가지는 탄성걸림편과; 상기 체결부의 내측 스프링고정돌부에 하단이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걸림부 내측의 스프링끼움돌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걸림편을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탄성지지하는 통상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체결부의 양측면에 하향 경사진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가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몸체를 도어의 삽입구멍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개폐장치를 도어의 자유단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몸체의 체결부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가 도 어의 삽입구멍 내측 단부에 지지되므로 몸체가 삽입구멍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스프링의 상하단이 스프링고정돌부 및 스프링끼움돌부에 체결되어 구비되므로 스프링의 수축 및 복원시 스프링이 좌우로 밀려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개폐장치가 도어의 삽입구멍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간편하게 삽입설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이 몸체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탈됨 없이 탄성걸림편의 눌림작동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몸체(11), 탄성걸림편(17), 스프링(21)으로 대분된다.
몸체(11)는 체결부(12)와 테두리부(15)로 이루어지며, 체결부(12)는 내부공간을 가지면 그 내부공간 중앙에 상향돌출된 스프링고정돌부(13)가 형성되며, 테두리부(15)는 체결부(1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면 중앙에 절개구멍(16)이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11)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사출성형된다.
체결부(12)는, 단자함(1) 도어(3)의 자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3a)에 삽입되고, 테두리부(15)는 체결부(12)가 삽입구멍(3a)에 삽입되면 삽입구멍(3a) 외측으로 돌출되어 삽입구멍(3a) 둘레에 저면이 지지된다.
그리고 체결부(12)의 양측은 도1 및 도2와 같이 개방되어지는데, 이는 체결 부(12) 내측에 탄성걸림편(17) 및 스프링(21)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
탄성걸림편(17) 및 스프링(21)은 몸체(11)의 내측에 구비되는바, 탄성걸림편(17)은 체결부(12)의 내측에서 테두리부(15) 내측 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8)가 형성되고, 지지부(18)에서 연장되어 테두리부(15)의 상면 절개구멍(16)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내측에 하향돌출된 스프링끼움돌부(20)를 가지는 걸림부(19)가 형성된다.
스프링(21)은, 하단이 체결부(12)의 내측 스프링고정돌부(13)에 체결되고 상단이 걸림부(19) 내측의 스프링끼움돌부(20)에 체결되어 탄성걸림편(17)을 몸체(11)의 내측에서 탄성지지한다.
한편, 몸체(11)의 양측면에는 하향으로 경사진 다수의 걸림돌기(14)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14)는 몸체(11)가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삽입되었을시 삽입구멍(3a)의 내측 단부에 걸림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는, 단자함(1), 즉 전화단자함, 배전함, 전기분전함, 소화전함 등의 도어(3)의 자유단에 삽입설치되어 도어(3)의 개폐를 단속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개폐장치(10)를 단자함(1)의 도어(3)의 자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3a)에 삽입설치할 수 있다.
즉, 몸체(11)의 체결부(12)를 도어(3)의 자유단에 형성된 삽입구멍(3a)에 삽입하여 체결하고, 체결부(12)가 삽입되면 그 상측의 테두리부(15)는 삽입구멍(3a)의 단부 둘레에 지지되어 삽입구멍(3a)의 외측으로 돌출지지된다.
이때, 체결부(12)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4)는 도5와 같이 삽입구멍 (3a)의 단부 내측에 걸림지지되어 몸체(11)가 삽입구멍(3a)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몸체(11)를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삽입설치하는 것만으로 본 고안 개폐장치(10)는 도어(3)에 간편하게 설치된다.
도어(3)에 개폐장치(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3)를 소화전()의 내측벽(2)에 여닫으면, 몸체(11) 내측에 탄성지지된 탄성걸림편(17)이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대응되는 내측벽(2)의 걸림구멍(2a) 내측에 걸리거나, 걸림구멍(2a)에서 이탈되면서 도어(3)가 여닫힌다.
즉, 도어(3)를 내측벽(2)측으로 닫으면 탄성걸림편(17)은 내측벽(2)에 닿으면서 몸체(11)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고, 탄성걸림편(17)이 내측벽(2)을 지나 걸림구멍(2a)에 도달하면 밀려들어갔던 탄성걸림편(17)은 몸체(11) 내측의 스프링(21)이 복원되면서 몸체(11)의 외측으로 다시 돌출되어 내측벽(2)의 걸림구멍(2a) 내측에 삽입되면서 체결된다.
이와 같이 닫혀진 상태의 도어(3)를 열면, 내측벽(2)의 걸림구멍(2a)에 체결된 탄성걸림편(17)이 걸림구멍(2a)의 단부를 지나 내측벽(2)에 닿으면서 몸체(11)의 내측으로 밀려들어가고, 내측벽(2)을 지나 도어(3)가 완전히 열리면 밀려들어갔던 탄성걸림편(17)은 스프링(21)에 의해 몸체(11)의 외측으로 다시 돌출된다.
이러한 본 고안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는, 각종 단자함(1)들의 도어(3)에 몸체(11)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개폐장치를 설치하기 위해 단자함의 도어 내측에 실시되는 용접 이나 나사체결 등의 작업으로 개폐장치를 설치하였던 종래와 달리 개폐장치(10)의 설치가 매우 간편하며, 단자함의 설치 현장에서 즉시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몸체(11)의 체결부(12) 양측면에는 걸림돌기(14)가 다수 형성되어 몸체(11)의 체결부(12)가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돌기(14)가 삽입구멍(3a)의 내측단부에 지지되므로 몸체(11)를 도어(3)에 고정하기 위한 스폿용접 등의 작업 없이도 몸체(11)가 삽입구멍(3a)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몸체(11)의 내측에서 탄성걸림편(17)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1)의 상하단이 체결부(12) 내측의 스프링고정돌부(13) 및 걸림부(19) 내측의 스프링끼움돌부(20)에 체결지지되므로 스프링(21)의 수축 및 복원시 스프링(21)이 몸체(11)의 내측에서 좌우로 밀려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에 의하면, 몸체(11)를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개폐장치(10)를 도어(3)의 자유단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몸체(11)의 체결부(12)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4)가 도어(3)의 삽입구멍(3a) 내측 단부에 지지되므로 몸체(11)가 삽입구멍(3a)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스프링(21)의 상하단이 스프링고정돌부(13) 및 스프링끼움돌부(20)에 체결되어 구비되므로 스프링(21)의 수축 및 복원시 스프링(21)이 좌우로 밀려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개폐장치(10)가 도어(3)의 삽입구멍(3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간편하게 삽입설치할 수 있으며, 스 프링(21)이 몸체(11)의 내측에서 좌우로 이탈됨 없이 탄성걸림편(17)의 눌림작동이 확실히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자함의 내측벽에 걸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에 대응되는 도어의 자유단에 상기 걸림구와 대응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단자함의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가지며 그 내부공간 중앙에 상향돌출된 스프링고정돌부(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3)의 삽입구멍(3a)에 삽입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2)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도어(3)의 삽입구멍(3a)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구멍(3a)둘레에 저면이 지지되는 테두리부(15)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5)의 상면 중앙에 절개구멍(16)을 가지는 몸체(11)와;
    상기 체결부(12)의 내측에서 상기 테두리부(15) 내측 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8)에서 연장되어 상기 테두리부(15)의 상면 절개구멍(1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19)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9) 내측에 하향돌출된 스프링끼움돌부(20)를 가지는 탄성걸림편(17)과;
    상기 체결부(12)의 내측 스프링고정돌부(13)에 하단이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단이 상기 걸림부(19) 내측의 스프링끼움돌부(20)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걸림편(17)을 상기 몸체(11)의 내측에서 탄성지지하는 통상의 스프링(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12)의 양측면에 하향 경사진 걸림돌기(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가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KR2020060011377U 2006-04-27 2006-04-27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KR200421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77U KR200421520Y1 (ko) 2006-04-27 2006-04-27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377U KR200421520Y1 (ko) 2006-04-27 2006-04-27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121A Division KR20070105663A (ko) 2006-04-27 2006-04-27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520Y1 true KR200421520Y1 (ko) 2006-07-14

Family

ID=4177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377U KR200421520Y1 (ko) 2006-04-27 2006-04-27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5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9U (ko) 2021-01-25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소화전함 도어 패널 조립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449U (ko) 2021-01-25 2021-02-24 (주)현지산업개발 소화전함 도어 패널 조립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7712B2 (en) Safety covers for electric sockets and the like
GB2435554A (en) Watertight electric socket
WO2004057703A1 (ja) 電気機器の端子装置
KR10063593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US20200115923A1 (en) Appliance lock with repelling magnetic sensing switch actuation in a hydrophobic enclosure
KR200421520Y1 (ko)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KR200442844Y1 (ko) 방우형 콘센트
KR100611573B1 (ko) 방수 콘센트
KR200397191Y1 (ko) 잠금장치의 걸림쇠 수용장치
KR20070105663A (ko) 단자함용 도어 개폐장치
KR200447363Y1 (ko) 전기기기 방수커버
KR100664368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JP5875060B2 (ja) 分電盤
KR101730889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2530388B1 (ko) 전기콘센트 겸용 안전마개
KR102214004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고정형 절전장치
KR101219154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 보호함
KR100637605B1 (ko) 건축, 주방, 목욕탕용 전기 콘센트의 누수 방지 구조
KR100636290B1 (ko) 건축물용 콘크리트 벽체 안전콘센트 구조
JP4253701B2 (ja) 回路遮断器
KR200315412Y1 (ko) 슬라이딩커버를 부착한 콘센트커버
KR101783905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EP3945641A1 (en) Power socket having a base part, an aesthetic cover, and a drive member for a movable cover of the aesthetic cover
KR200430971Y1 (ko) 멀티탭의 스위치 안전 덮개
CN213460240U (zh) 一种电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709

Effective date: 20080806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