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4368B1 -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4368B1
KR100664368B1 KR1020060081250A KR20060081250A KR100664368B1 KR 100664368 B1 KR100664368 B1 KR 100664368B1 KR 1020060081250 A KR1020060081250 A KR 1020060081250A KR 20060081250 A KR20060081250 A KR 20060081250A KR 100664368 B1 KR100664368 B1 KR 100664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outlet
safety cover
sliding rai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8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4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4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4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6Inwardly pivo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욕실에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에 샤워나 목욕에 의한 물기가 튀어 감전이나 누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의 별도 개폐 동작없이 플러그의 착탈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콘센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벽체에 내입되도록 콘센트 케이스 상부에 상,하부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힌지(11) 결합되고, 또한 콘센트(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상기 콘센트(20)의 단자부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측면 깊이를 가지며, 하부에 플러그 부분과 케이블 부분이 모두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부(12)가 형성된 안전 커버(10)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2)의 상부에 콘센트(20)의 단자부분이 드러날 수 있도록 형성된 개방부(13)와;
그 개방부(12)의 상부 및 하부에 소정의 깊이 및 수평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홈(15)과;
상기 개방부(12)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소정 틈새를 갖는 유격공간(17)과;
상기 안전 커버(10)의 내측으로 개방부(12)를 가릴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편심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 홈(15)과 결합하여 회전과 유격공간(17)으로의 직선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힌지돌기(14a)가 형성된 개폐도어(14)와;
상기 힌지돌기(14a)에 끼워지고, 일단은 개폐도어(14) 측에 걸쳐지고 타단은 슬라이딩 레일 홈(15)에 끼워져 개폐도어(14)의 여닫이 개폐력을 제어하는 토션스프링(16)과;
상기 유격공간(17) 내에 개폐도어(14)의 직동방향과 대항되게 끼워져 그 개폐도어(14)의 직동력을 제어하는 복원스프링(1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공동주택, 안전커버, 개폐도어, 스프링, 콘센트, 플러그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Outlet Safety Cover}
도 1은 종래의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측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안전 커버, 11: 힌지,
12: 요홈부, 13: 개방부,
14: 개폐도어, 14a: 힌지돌기,
15: 슬라이딩 레일 홈, 16: 토션스프링,
17: 유격공간, 18: 복원스프링,
20: 콘센트,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콘센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욕실에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에 샤워나 목욕에 의한 물기가 튀어 감전이나 누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의 별도 개폐 동작없이 플러그의 착탈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콘센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다수의 벽면 매립형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벽면 매립형 콘센트의 단자부는 통상 외부로 드러나 있는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판단력이나 주의력이 성인보다 떨어지는 유아나 아동들에게 호기심의 대상이 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감전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단자부에 절연체를 직접 꽂거나 아니면 콘센트와 함께 안전커버를 덧 구성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하는 특허 및 실용신안들이 출원되고 있다.
또한 욕실의 콘센트는 방이나 거실 등에 있는 콘센트와는 달리 습기가 충만하고, 샤워나 목욕 중에 물기가 튀는 일이 흔히 발생되는 욕실의 콘센트는 이상전류의 발생에 따른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안전커버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콘센트의 안전커버(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내입되도록 콘센트 케이스 상부에 상,하부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힌지(110) 결합되고, 또한 콘센트(20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상기 콘센트(200)의 단자부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측면 깊이를 가지며, 하부에 ㄱ자형태로 꺾인 전원케이블의 플러그 부분과 케이블 부분이 모두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래 콘센트의 안전커버는 욕실이라는 특수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매우 필요한 구성이지만 사용상 문제점이 제기된다.
첫째는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기 위해서는 항상 사용자가 안전커버를 들어올려야 한다는 사용상의 불편함이고,
둘째는 안전커버의 힌지부에 잦은 물기 및 습기의 침투로 인해 상, 하 개폐력이 원활하지 못하고 뻑뻑한 상태가 되어 플러그를 뺀 다음에도 닫히지 않고 그 상태가 유지되어 사용자가 직접 안전커버를 닫아야 하는 또 다른 사용상의 불편함은 물론 사용자가 실수로 안전커버를 닫지 않을 경우 물기나 습기와 같은 이물질이 콘센트의 단자부에 침투될 수 있으며, 그 가능성은 매우 높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공동주택의 욕실에 전원공급을 위한 콘센트에 샤워나 목욕에 의한 물기가 튀어 감전이나 누전 등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커버의 별도 개폐 동작없이 플러그의 착탈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동주택용 콘센트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에 내입되도록 콘센트 케이스 상부에 상,하부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힌지 결합되고, 또한 콘센트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상기 콘센트의 단자부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측면 깊이를 가지며, 하부에 플러그 부분과 케이블 부분이 모두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되며, 콘센트(20)의 단자부분이 드러나도록 형성된 개방부(13)에 여닫이 형식으로 한 쌍의 개폐수단을 갖는 안전 커버에 있어서,
그 개방부의 상부 및 하부에 소정의 깊이 및 수평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홈과;
삭제
상기 개방부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소정 틈새를 갖는 유격공간과;
상기 안전 커버의 내측으로 개방부를 가릴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편심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 홈과 결합하여 회전과 유격공간으로의 직선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힌지돌기가 형성된 개폐도어와;
상기 힌지돌기에 끼워지고, 일단은 개폐도어 측에 걸쳐지고 타단은 슬라이딩 레일 홈에 끼워져 개폐도어의 여닫이 개폐력을 제어하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유격공간 내에 개폐도어의 직동방향과 대항되게 끼워져 그 개폐도어의 직동력을 제어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측단면도이며, 도 6a, 도 6b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내입되도록 콘센트 케이스 상부에 상, 하부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힌지(11) 결합되고, 또한 콘센트(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상기 콘센트(20)의 단자부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측면 깊이를 가지며, 하부에 플러그 부분과 케이블 부분이 모두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부(12)가 형성된 안전 커버(10)에, 상기 안전 커버(10)를 개폐하지 않고도 플러그를 콘센트 단자에 꽂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플러그를 콘센트 단자로부터 탈거시킬 때도 자동적으로 개폐력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이 본 발명의 핵심요지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 커버(10)의 요홈부(12)의 상부에 콘센트(20)의 단자부분이 드러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개 방부(13)가 형성된다.
또한 그 개방부(12)의 상부 및 하부에 소정의 깊이 및 수평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홈(1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방부(12)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소정 틈새를 갖는 유격공간(17)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레일 홈(15)과 유격공간(17)의 자세한 작동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안전 커버(10)의 내측으로 개방부(12)를 가릴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편심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 홈(15)과 결합하여 회전과 유격공간(17)으로의 직선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힌지돌기(14a)가 형성된 개폐도어(14)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돌기(14a)에 끼워지고, 일단은 개폐도어(14) 측에 걸쳐지고 타단은 슬라이딩 레일 홈(15)에 끼워져 개폐도어(14)의 여닫이 개폐력을 제어하는 토션스프링(16)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유격공간(17) 내에 개폐도어(14)의 직동방향과 대항되게 끼워져 그 개폐도어(14)의 직동력을 제어하는 복원스프링(18)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플러그(30)를 콘센트(30) 단자에 꽂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6a의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30)를 꽂기 위해 도 6b와 같이 개폐도어(14)를 밀고 콘센트(30) 단자에 꽂게 되면 그 과정에서 상기 개폐도어(14)의 힌지돌기(14a)는 슬 라이딩 레일 홈(15)에서 회전을 하게 됨과 동시에 토션스프링(16)에 탄성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한 쌍의 개폐도어(14)는 여닫이 형태로 개방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플러그(30)를 콘센트(20)로부터 탈거하게 되면 플러그(30)의 몸체가 개방되어 있는 개폐도어(14)의 개방공간보다 크기 때문에 슬라이딩 레일 홈(15)과 안전 커버(10)의 유격공간(17)이 없이는 빠지지 않게 된다.
즉, 플러그(30)를 탈거하게 될 때 한 쌍의 개폐도어(14)는 플러그(30)의 몸체에 밀려 슬라이딩 레일 홈(15) 및 유격공간(17)에 안내되어 플러그(30)가 완전히 탈거되는 거리만큼 외측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과정에서 유격공간(17) 내에 개재된 복원스프링(18)에 탄성력이 인가된다.
최종, 플러그(30)가 콘센트(20)는 물론 개폐도어(14)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때에는 토션스프링(16) 및 복원스프링(18)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도어(14)의 완전한 닫힘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경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특히 콘센트가 습기나 물기로부 터 확실하게 차단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자의 별도 노력 없이 플러그를 콘센트에 빼는 순간 자동적으로 닫힘작동이 일어나는 개폐도어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편의성이 제공되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안전커버가 지속적으로 개방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벽체에 내입되도록 콘센트 케이스 상부에 상,하부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힌지(11) 결합되고, 또한 콘센트(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 및 상기 콘센트(20)의 단자부와 일정 간격이 유지되는 측면 깊이를 가지며, 하부에 플러그 부분과 케이블 부분이 모두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블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요홈부(12)가 형성되며, 콘센트(20)의 단자부분이 드러나도록 형성된 개방부(13)에 여닫이 형식으로 한 쌍의 개폐수단을 갖는 안전 커버(10)에 있어서,
    그 개방부(12)의 상부 및 하부에 소정의 깊이 및 수평거리를 갖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홈(15)과;
    상기 개방부(12)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소정 틈새를 갖는 유격공간(17)과;
    상기 안전 커버(10)의 내측으로 개방부(12)를 가릴 수 있도록 좌우 한 쌍으로 배치되고, 상부와 하부의 편심 위치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 홈(15)과 결합하여 회전과 유격공간(17)으로의 직선이동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힌지돌기(14a)가 형성된 개폐도어(14)와;
    상기 힌지돌기(14a)에 끼워지고, 일단은 개폐도어(14) 측에 걸쳐지고 타단은 슬라이딩 레일 홈(15)에 끼워져 개폐도어(14)의 여닫이 개폐력을 제어하는 토션스프링(16)과;
    상기 유격공간(17) 내에 개폐도어(14)의 직동방향과 대항되게 끼워져 그 개폐도어(14)의 직동력을 제어하는 복원스프링(18);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KR1020060081250A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KR100664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250A KR100664368B1 (ko)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250A KR100664368B1 (ko)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4368B1 true KR100664368B1 (ko) 2007-01-05

Family

ID=3786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250A KR100664368B1 (ko) 2006-08-25 2006-08-25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43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295B1 (ko) * 2013-06-24 2013-10-17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콘센트커버 구조
KR101673013B1 (ko) 2016-02-29 2016-11-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용 전원박스
KR101807737B1 (ko) 2016-07-01 2017-12-12 클리오주식회사 방우형 콘센트
KR101917229B1 (ko) * 2018-02-28 2018-11-12 (주)혜광전기감리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295B1 (ko) * 2013-06-24 2013-10-17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콘센트커버 구조
KR101673013B1 (ko) 2016-02-29 2016-11-04 주식회사 이린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용 전원박스
KR101807737B1 (ko) 2016-07-01 2017-12-12 클리오주식회사 방우형 콘센트
KR101917229B1 (ko) * 2018-02-28 2018-11-12 (주)혜광전기감리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368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KR100758689B1 (ko) 공동주택의 벽면 매설형 콘센트 단자함
KR102017184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 콘센트함
KR100611573B1 (ko) 방수 콘센트
KR100630388B1 (ko) 밀폐형 도어핸들의 결합구조
KR100635936B1 (ko) 건축물 내부 벽체 안전 콘센트
KR101563129B1 (ko) 도어장치
KR200218451Y1 (ko) 테이블 부설용 출몰식 다기능 콘센트
KR10075095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101180129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안전 콘센트
US20030143880A1 (en) Built-in device and system for masking an accessory, in particular an electrical connection and related electrical equipment
KR101096415B1 (ko) 안전사고 방지용 매설형 콘센트
KR101028139B1 (ko)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100943543B1 (ko) 안전형 도어록 장치
KR100759121B1 (ko)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단자함
KR101319295B1 (ko)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콘센트커버 구조
KR102243997B1 (ko)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KR102154431B1 (ko) 회전식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KR100637605B1 (ko) 건축, 주방, 목욕탕용 전기 콘센트의 누수 방지 구조
KR20160000840U (ko)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KR101203180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CN110107151A (zh) 一种内嵌式门把手及其应用的门锁
KR200341318Y1 (ko) 계량기함용 터미널블록
KR200444828Y1 (ko) 함체용 개폐문의 고정수단 덮개구조
KR100739886B1 (ko) 감전사고방지용 공동주택 실내 콘센트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