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840U -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 Google Patents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840U
KR20160000840U KR2020140006492U KR20140006492U KR20160000840U KR 20160000840 U KR20160000840 U KR 20160000840U KR 2020140006492 U KR2020140006492 U KR 2020140006492U KR 20140006492 U KR20140006492 U KR 20140006492U KR 20160000840 U KR20160000840 U KR 201600008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witch
outlet
present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997Y1 (ko
Inventor
김한식
Original Assignee
김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식 filed Critical 김한식
Priority to KR2020140006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9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원은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 안정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내삽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구(310)를 커버링하는 캡(100); 및, 상기 캡의 하부(110)에 위치하여, 캡을 덮을 때 접속구에 내삽되는 스위치(200):를 포함하는,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의하면, 멀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미사용시 당해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만을 손쉽게 차단하여 절전을 위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캡의 단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보관에 있어서도 캡 주위에 형성되는 먼지나 오물의 위생상의 문제점을 함께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MULTI-CONCENT INSERTED SWITCH}
본원은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 안정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스위치가 내삽된 멀티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전기, 전자기구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서 일반적인 아파트나 주택의 벽면에 매몰된 콘센트로부터 출력을 받아 분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멀티캡을 구비한 멀티콘센트의 사용이 날로 증대되고 있고, 이러한 멀티콘센트의 사용은 가정의 가전화와 더불어 그 사용이 날로 증가할 것으로서 생각되어 상당한 가전 주변기기로서의 시장성이 보장되어 있는 실정이다.
멀티콘센트는 종래로 부터 다양한 디자인, 구성의 것이 존재하였고, 대부분의 구성은 출력된 교류를 병렬로서 분배하기 위한 다수의 콘센트를 단일의 케이싱에 구비한 것인데, 이 때, 유아가 멀티 콘센트의 캡 단자내에 젓가락이나 통전 가능한 물질을 삽입하거나 입을 대는 일로 인해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멀티 콘센트의 캡의 경우 단자 주위의 홈에 이물질이 끼거나, 먼지 등이 쌓여 위생상의 문제점 및 추가적인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여전하다.
한편,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에 대한 잔존전류의 사용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멀티콘센트에서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만의 플러그가 결속된 콘센트의 캡의 일부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콘센트가 제공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 2013-0003609 호는, '스위치 착탈커버가 구비된 콘센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콘센트본체의 일측에 안착되어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콘센트 스위치를 포함하는 기술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 기술은 상기 콘센트 스위치는 콘센트와 연결되어 통전되도록 다수개의 입출력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콘센트본체의 일측 내부에 다수개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며 상기 콘센트 스위치와 통전되는 통전단자가 구비된 스위치 착탈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 착탈커버는 내측에 몰딩된 기둥형상의 착탈본체와, 상기 콘센트 스위치가 착탈되도록 요입된 다수개의 요입공과, 상기 요입공에 착탈되는 입출력단자를 지지하는 십자가 형상의 단자지지부와, 상기 통전단자가 상기 요입공에 안착되도록 안내하는 단자요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은 콘센트의 몸체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콘센트 캡의 안전사고에 예방에 대한 기술에 대한 언급이나 어떠한 암시도 할 수 없는 기술이다.
따라서, 멀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미사용시 당해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만을 손쉽게 차단할 수 있고,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캡의 단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보관에 있어서도 캡 주위에 형성되는 먼지나 오물의 위생상의 문제점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제공일 필요하나, 아직 이에 대한 대안은 없는 실정이다.
본원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한 것으로서, 멀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미사용시 당해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만을 손쉽게 차단할 수 있고,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캡의 단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보관에 있어서도 캡 주위에 형성되는 먼지나 오물의 위생상의 문제점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의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구를 커버링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위치하여, 캡을 덮을 때 접속구에 내삽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접속구와 회동하는 오픈형 캡이며, 상기 스위치는 텀블러 스위치이면서, 상기 텀블러 스위치의 오프버튼이 접속구의 외주연의 플러그 가이드부와 맞물리는 위치에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의하면, 멀티 콘센트에 연결된 전자제품의 미사용시 당해 연결된 전자제품의 전원만을 손쉽게 차단하여 절전을 위한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고,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캡의 단자에 대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과 더불어, 보관에 있어서도 캡 주위에 형성되는 먼지나 오물의 위생상의 문제점을 함께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위치가 결합된 캡의 개폐동작을 나타낸 콘센트 측면도
이하,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전에" 또는 "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또는 어느 장치와 "연계"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장치)가 다른 단계(장치)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두 단계 사이에 또 다른 단계가 존재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 는 "∼를 위한 단계" 를 의미하지 않는다.
도 1은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본원의 멀티 콘센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위치가 결합된 캡의 개폐동작을 나타낸 콘센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의 제 1 측면은,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구(310)를 커버링하는 캡(100); 및, 상기 캡의 하부(110)에 위치하여, 캡을 덮을 때 접속구에 내삽되는 스위치(200):를 포함하는,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캡 내삽형 멀티 콘센트는 케이스(300) 및 다수의 캡(100)로 이루어진 멀티 콘센트로서, 멀티 콘센트는 내부의 콘센트 단자 회로를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통상의 멀티 컨센트와 같이, 본원의 캡 내삽형 멀티 콘센트는 다수의 접속구(3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구의 바닥면에는 플러그의 단자(미도시)가 삽입되는 다수의 단자홀(340)이 형성되는 멀티 콘센트 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배시키는 콘센트 형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0)는 플라스틱 재질, 기타의 절연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이다. 일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하는 것 이외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는 그에 따른 형상복원력을 가지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300)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공사장이나 공장과 같은 복잡한 작업장에서는 자재나 부품을 운반할 경우, 본원의 멀티 콘센트를 바퀴나 발로 직접 밟거나 바닥에 떨어뜨리더라도 일정한 형상복원력을 가지기 때문에 쉽게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300)는 상부케이스부재(320) 및 하부케이스부재(3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케이스(300)에서 상부케이스부재(320)의 상면에는 다수의 접속구(310)가 형성된다. 이 접속구(310)에는 각종 전기기구의 플러그 단자가 끼워지는 단자홀(340)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스부재(320) 및 하부케이스부재(330)는 서로 융착이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캡(100)은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구를 커버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그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절연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의 일 예시에 있어서, 상기 캡은 고무재질을 수 있다.
캡(100)의 케이스와의 결합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적으로, 상기 캡과 케이스와의 결합방식에 있어서는 회동방식 이외에 캡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개폐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동방식의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케이스(30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하기된 캡(100)들의 각 단부가 끼워지는 힌지축(40)이 구비되어, 힌지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300)에서 상부케이스부재(32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홈(321)이 형성되고, 이 홈(321)들에는 힌지축(40)이 케이스(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하나로 끼워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축(40)은 홈(321)들에 각각 하나씩 끼워져도 무방하다. 힌지결합의 경우, 이 힌지축(40)에는 하기 캡(100)들의 각 단부 즉, 캡(100)의 끝단부에 구비된 힌지구멍(53)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기 캡(100)은 단자홀(340)들을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300)에서 상부케이스부재(320)의 외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캡(100)은 본원의 멀티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홀(340)으로 이물질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캡(100)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끝단부에 힌지구멍(53)을 가지고, 상기 힌지구멍(53)은 상기 힌지축(40)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캡(100)의 외주면에는 파지용 손잡이(5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적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캡의 외주연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손톱으로 캡을 오픈시킬 수 있는 오픈홈(미도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51)는 캡(100)를 개폐할 경우,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캡(100)의 외주면과 수직하는 판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손잡이(51)는 필요에 따라 기타 다른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캡(100) 및 손잡이(51)는 케이스(300)와 마찬가지로 형상복원력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기능 및 작용은 케이스(300)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얻어지는 기능 및 작용과 흡사하므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원의 일 특징으로서, 상기 스위치(200)는 상기 캡의 하부(110)에 위치하여, 캡을 덮을 때 접속구(310)에 내삽되며, 멀티 콘센트에서 각각의 접속구를 통해 접속되는 플러그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본원은 스위치가 캡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플러그를 뽑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캡(100)을 닫으면, 스위치(200)까지 접속구(310)에 내삽되어 접속구 내의 단자홀에 물이 떨어지거나, 이물질이 끼거나, 어린이가 통전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차단함과 동시에, 스위치까지 상기 캡에 의해 보호되므로, 스위치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동일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스위치는 캡의 하부의 내부에서 전선(150)과 연결되고, 이 전선은 케이스에 형성된 통공(160)을 통해 멀티 콘센트 케이스 내부의 회로와 연결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캡(100)은 접속구(310)와 회동하는 오픈형 캡이며, 상기 스위치는 텀블러 스위치(200)이면서, 상기 텀블러 스위치의 오프버튼(241)이 접속구의 외주연의 플러그 가이드부(350)와 맞물리는 위치에 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통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오픈형 캡은 상하로 회동하는 방식의 캡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텀블러 스위치(200)는 누름방식에 있에 있어서, 누름 부위가 온 버튼(On button; 231)과 오프 버튼(Off button; 241)일 수 있으며, 상기 온 버튼과 오프 버튼이 하나의 버튼으로 구성되되, 한번 누르면 온(On)이 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오프(Off)가 되는 버튼 방식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가이드부(350)은 플러그가 단자(미도시)에 접속할 때, 그 접속을 원할히 해 주는 역할을 하며, 통상 원형 플러그에는 상기 플러그 가이드부가 내삽되는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플러그 가이드부(350)은 플러그를 가이드하는 단턱의 형태를 지니고 있고, 본원에서 명명하는 플러그 가이드부는 접속구의 외주연에서 단턱을 형성하여 상기 텀플러 스위치의 오프버튼(241)이 캡의 닫힘과 더불어 맞물리는 형태의 단턱을 총칭하는 개념이다.
더욱 상세히, 본원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전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본원의 캡 내삽형 멀티 콘센트 상의 플러그를 뽑고 사용자는 캡(100)을 닫게 되면 자동으로 텀블러 스위치의 오프 버튼이 상기 플러그 가이드부(350)와 맞닫게 되면서 자동으로 스위치가 꺼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플러그를 뽑은 후 실수로 스위치를 오프하지 않은 상태로 캡을 닫더라도 자동으로 해당 접속구를 통한 전원은 차단되는 편리함과 이중적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100 : 캡 110 : 캡의 하부
200 : 스위치 231 : 온 버튼(On button)
241 : 오프 버튼(Off button) 300: 케이스
310 : 접속 구 340 : 단자홀
350 : 플러그 가이드부

Claims (2)

  1. 멀티 콘센트에 있어서,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는 접속구를 커버링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위치하여, 캡을 덮을 때 접속구에 내삽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접속구와 회동하는 오픈형 캡이며,
    상기 스위치는 텀블러 스위치이면서, 상기 텀블러 스위치의 오프버튼이 접속구의 외주연의 플러그 가이드부와 맞물리는 위치에 결합된 것인,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KR2020140006492U 2014-09-02 2014-09-02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KR200479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92U KR200479997Y1 (ko) 2014-09-02 2014-09-02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492U KR200479997Y1 (ko) 2014-09-02 2014-09-02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840U true KR20160000840U (ko) 2016-03-10
KR200479997Y1 KR200479997Y1 (ko) 2016-03-30

Family

ID=5553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492U KR200479997Y1 (ko) 2014-09-02 2014-09-02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KR102293974B1 (ko) * 2021-01-22 2021-08-25 최윤희 안전 멀티탭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055Y1 (ko) 2002-03-20 2002-06-14 김인기 폴더형 콘센트 겸용 스위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KR102293974B1 (ko) * 2021-01-22 2021-08-25 최윤희 안전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997Y1 (ko)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218847A1 (en) Water resistant electrical devices
KR200479997Y1 (ko)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KR20110080111A (ko) 회전식 플러그와 이에 대응하는 콘센트
KR200442844Y1 (ko) 방우형 콘센트
KR200469505Y1 (ko) 소켓 안전덮개
KR20110044570A (ko) 양방향 멀티탭
KR101110978B1 (ko) 감전 방지용 안전콘센트
KR100664368B1 (ko)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KR101929208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유닛
JP3117134U (ja) 延長コード
KR101693650B1 (ko) 안전 콘센트
KR20100000723U (ko) 회전식 온오프플러그
KR100814734B1 (ko) 콘센트보호 커버
KR20160104360A (ko) 콘센트 커버
KR102210244B1 (ko) 콘센트 안전커버
US20030100206A1 (en) Safety device for the supply of power to electrical equipment
KR100759121B1 (ko) 감전사고 방지형 공동주택의 콘센트 단자함
US20130090015A1 (en) Double Male Adaptor
US20130112456A1 (en) Electrical outlet cover
KR101205407B1 (ko) 감전 사고를 방지하는 공동 주택용 절연 콘센트
KR200459735Y1 (ko) 수납형 콘센트
US20150249327A1 (en) Electrical outlet cover
KR20120045584A (ko) 전선길이 조절이 가능한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KR101505645B1 (ko) 절전형 안전 콘센트
AU2014100502A4 (en) Electrical outlet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