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244B1 - 콘센트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콘센트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244B1
KR102210244B1 KR1020190039284A KR20190039284A KR102210244B1 KR 102210244 B1 KR102210244 B1 KR 102210244B1 KR 1020190039284 A KR1020190039284 A KR 1020190039284A KR 20190039284 A KR20190039284 A KR 20190039284A KR 102210244 B1 KR102210244 B1 KR 10221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sertion hole
plug insertion
cover par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7326A (ko
Inventor
김훈이
Original Assignee
(주)위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너스 filed Critical (주)위너스
Priority to KR1020190039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24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1 커버부와 또 다른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2 커버부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되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의 경계부위로 제2 커버부가 제1 커버부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 및 제2 커버부가 플러그 삽입공들을 동시에 폐쇄할 수 있고, 제1 커버부는 그대로 삽입공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2 커버부를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플러그 삽입공 개방과 폐쇄가 용이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 안전커버{SAFETY COVER FOR ELECTRIC OUTLET}
본 발명은 콘센트에 장착되어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의 노출을 방지하는 콘센트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1 커버부와 또 다른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2 커버부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되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의 경계부위로 제2 커버부가 제1 커버부의 일측에서 회동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 및 제2 커버부가 플러그 삽입공들을 동시에 폐쇄할 수 있고, 제1 커버부는 그대로 삽입공을 폐쇄한 상태에서 제2 커버부를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플러그 삽입공 개방과 폐쇄가 용이한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 커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콘센트는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가전기기 등에 구비된 플러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 전원이 가전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벽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매립형과 또 다른 콘센트에 연결되어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플러그 연결을 위한 분리형이 있다. 그리고 분리형 콘센트의 대부분은 다수 개의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는 형태로서 일명 '멀티탭'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매립형이든 분리형이든 하나의 플러그 삽입공을 구비하는 것보다는 둘 이상의 삽입공을 구비하는 콘센트가 일반적이며, 이 경우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안전상 요구된다.
이에 소위 콘센트 안전 커버 내지 덮개라고 불리는 제품들이 생산/판매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콘센트 안전 커버는 커버 본체에 연결 형성된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이 플러스 삽입공 내측에 구비된 접속공에 삽입되고 커버 본체가 플러그 삽입공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젓가락, 못 등을 플러그 접속공에 꽂지 못하게 하고 개방된 플러그 삽입공으로 먼지나 습기 등이 유입되어 접속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콘센트 안전 커버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0-0486875호 (2018.07.03), 공개특허 제10-2017-0042932호(2017.04.20),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856호 (2011.01.27) 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실용신안등록 제20-0486875호는 둘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을 구비한 콘센트에 사용될 수 있는 콘센트 안전 커버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제안을 하고 있는데, 플러그 삽입공을 덮는 둘 이상의 커버 본체가 플렉시블 힌지를 통해서 접착띠에 연결된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의 커버 본체를 연결하는 접착띠는 콘센트 본체에 구비된 접착밴드에 부착되어 플러그 삽입공을 덮는 둘 이상의 커버 본체를 선택적으로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시켜 플러그 삽입공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콘센트를 사용할 때 뽑아 놓은 안전 커버가 분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0486875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접착띠와 접착밴드의 구조는 복잡하고, 제품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제품을 교체해야하는 경우 콘센트에는 접착밴드의 흔적이 남아 있게 되어 외관에 있어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둘 이상의 플러그 삽입공을 구비하고 있는 콘센트에 사용되는 콘센트 안전 커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콘센트 안전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물론, 우수한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제품 구조가 단순한 콘센트 안전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품의 기능만이 아니라 제품에 따른 외관 역시 소비자의 제품 선택에있어 중요 요소로 기능하고 있는 현 시점을 고려하여, 사용의 편의가 증진된 안전커버를 제공함과 동시에 콘센트 사용시 또는 콘센트 비사용시 안전 커버의 사용에 따른 외관이 우수하여 인테리어적인 요소에도 기여할 수 있는 콘센트 안전 커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는,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연결형성되고, 제1 커버부가 커버하는 플러그 삽입공과 이웃하는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플러그 삽입공을 개폐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의 경계부위에 회동을 위한 절개컷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를 형성하는 하나의 몸체는 저면으로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후부(厚部)와 경계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후부(厚部)를 구비하고,
제2 커버부의 일측에는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제2 커버부 분리를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제1 후부(厚部)를 단절시키며 몸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구비하여 손잡이면이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는 몸체의 외곽보다 돌출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커버부에는 제1 커버부에 형성된 노출공에 장착되어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캡이 구비되고, 상기 캡은 노출콩에 탈착되는 구조이고, 삽입공 폐쇄시 플러그의 접속공에 삽입되는 삽입핀을 구비하고, 제2 커버부는 플러그 삽입공에 삽입되어 탄지되는 다수의 탄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에 의하면,
우선 콘센트 사용시 제1 커버부가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한 상태는 그대로 두면서 고정된 제1 커버부의 일측으로 제2 커버부를 회동시켜 제2 커버부의 플러그 삽입공 폐쇄상태를 해제하고 사용할 수 있어 콘센트 사용시 안전 커버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거나 분리되어 분실되는 1차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면서 경계부위에 형성된 절개컷을 기준으로 제2 커버부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콘센트 사용시 안전커버가 분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내지 구조를 도입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 사용시 인테리어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에서 제1 커버부의 분해사시도, 부분 확대된 [A]는 캡의 저면을 도시한 것이고. [C]는 손잡이부의 저면을 도시한 것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매립형으로 사용되는 콘센트를 살펴보면 보통 플러그 삽입공이 두 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 경우 사용자는 두 개를 모두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용 패턴을 보면 하나에서만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방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물론, 두 개 모두가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는 경우 또한 있으며,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두 개의 플러그 삽입공 모두를 폐쇄시키고, 하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되지 않는 플러그 삽입공 하나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플러그 삽입공을 개방시켜 사용하게 되는 방식의 콘센트 안전 커버가 요구된다.
한편 분리형 콘센트 즉, 다수 개의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는 형태의 멀티탭에 있어서도 동일한 이유로 콘센트 안전 커버의 사용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다수 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개별적으로 하나하나 개폐시키는 타입보다는 하나의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1 커버부(10)와 이웃하는 다른 하나의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2 커버부(20)가 하나의 몸체(B)로 이루어져,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1 및 제2 커버부가 모두 플러그 삽입공을 덮고 있다가 하나의 콘센트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제1 커버부(10)의 폐쇄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2 커버부(20)의 폐쇄상태를 해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강조한 것을 제1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일반적 사용자들의 사용 패턴을 살펴보면, 두 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가진 콘센트에서 동시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고, 하나를 일시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안전 커버 사용 편의 및 분실 방지를 위해 제1 커버부(10)가 주로 고정 타입으로 기능하면서 제2 커버부(20)가 손쉽게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구조가 제안된다.
이러한 컨셉을 가지고 디자인된 구조이기에 본 발명에서는 고정타입으로 주로 기능하게 되는 제1 커버부(10)는 플러그 삽입공과의 좀 더 안정된 결합 상태 유지를 위해 안전 커버로 보편화된 구조인 플러그 접속공에 삽입되는 삽입핀(17)이 형성되어 제1 커버부(10)가 플러그 삽입공(P1)을 폐쇄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사용 여부에 따라 수시로 플러그 삽입공(P1)을 개방시키게 되는 제2 커버부(20)는 제1 커버부에 비해서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질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게 된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두 개의 플러그 삽입공(P1)을 덮을 수 있는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로 이루어진 콘센트 안전 커버에 대해서 설명이 이루어지지만, 제2 커버부와 연결된 제1 커버부의 반대편으로 제3 커버부를 형성하여 세 개의 플러그 삽입공을 동시에 폐쇄시킬 수 있는 타입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는,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P1)을 폐쇄하는 제1 커버부(10)와, 상기 제1 커버부와 연결 형성되고 제1 커버부가 폐쇄하는 플러그 삽입공과 이웃하는 플러그 삽입공(P1)을 폐쇄하는 제2 커버부(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는 하나의 몸체(B)로 형성되어,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의 경계부위(L)에 회동을 위한 절개컷(30)이 형성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는 제1 커버부(10)를 기준으로 제2 커버부(20)가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되는 구조를 가진다(물론, 보는 기준에 따라서는 '제2 커버부를 기준으로 제1 커버부가 일정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되는 구조를 가진다'라고도 표현할 수있다)
즉, 콘센트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제1 및 제2 커버부 모두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고 있다가, 하나의 콘센트 사용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제1 커버부(10)가 플러그 삽입공을 막고 있는 고정된 상태에서 이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제2 커버부(20)를 들어올리고 일측으로 회동시켜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제2 커버부를 분리시켜 콘센트를 사용하게 된다.
물론 이때 제1 커버부(10)는 플러그 삽입공에 끼워져 있기에 콘센트를 사용하더라도 콘센트 안전 커버가 분실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콘센트 사용이 완료되면 플러그를 뽑고 제2 커버부(20)를 회동시켜 플러그 삽입공에 꽂아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시킨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 커버부(10)를 기준으로 제1 커버부 일측으로 제2 커버부(20)를 회동시키기 위해,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의 경계부위(L)에 절개컷(30)을 형성하여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회동되는 각의 범위를 일정 부분 규정할 수 있는 'v'자형 절개컷 즉, 단면이 'v'자형으로 형성되는 절개컷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표면에서 내측으로 깎이면서 'v'자형 절개컷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제1 커버부(10)와 제2 커버부(20)를 형성하는 하나의 몸체(B)를 살펴보면, 저면(콘센트 장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콘센트와 마주하는 면)에는 저면의 외곽을 따라 다른 면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1 후부(厚部)(B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절개컷(30)이 형성되는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의 경계부위(L)를 따라서도 저면에는 다른 면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2 후부(厚部)(B2)가 형성되어 콘센트를 안전 커버가 콘센트를 덮으면 제1 후부 및 제2 후부(B1 B2)로 인해 돌출된 면이 콘센트 표면과 접촉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후부로 인해 몸체의 저면에는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는 공간(S)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는 제1 커버부(10)를 기준으로 제2 커버부(20)를 회동시켜 사용하는 구조이기에 안전 커버를 콘센트에 꽂을 때 몸체 저면의 전면(全面)을 콘센트와 접촉시키는 것보다는 제1 및 제2 후부(B1, B2)를 이용하여 저면 일부를 접촉시키는 것이 안전 커버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 안정된 접촉 상태를 보장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즉, 인위적으로 커버 저면의 모든 면을 콘센트 표면과 접촉시키려고 하다보면 일측이 들떠버리는 현상이 발생된다).
물론, 몸체 저면의 일부가 콘센트와 접촉되기에 제2 커버부(20)를 회동시켜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 역시 용이하다.
다음으로 제2 커버부(20)의 일측에는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제2 커버부 분리시 사용자가 제2 커버부를 잡기 위한 손잡이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40)는 제1 후부(B1)를 단절시키며 몸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부(45)를 구비하여 손잡이면(40A)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부(45)에 의해 사용자가 손잡이면 접촉을 위한 적절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특히 도 3의 [C[ 참조).
또한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손잡이부를 잡기 위해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47)는 몸체의 외곽보다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안전 커버의 제1 커버부(10)는 콘센트 사용을 위해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보다는 제2 커버부(20)를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시켜 사용자가 콘센트를 사용할 때 제1 커버부는 그대로 플러그 삽입공에 삽입된 채로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 커버가 콘센트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주로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1 커버부(10)는 플러그 삽입공에 형성된 접속공(P2)으로 삽입되는 삽입핀(17)이 구비되는 구조임을 전술한 바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커버부(10)에는 플러그 삽입공과 비슷한 크기의 노출공(11)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공에 장착되어 플러그 삽입공(P1)을 폐쇄하는 캡(15)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캡(15)의 저면으로는 플러그 삽입공에 형성된 접속공으로 삽입되는 삽입핀(17)이 형성된다.
상기 캡(17)은 노출공(11)에 탈착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데, 캡을 노출공의 내측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식으로 캡을 노출공에 탈착시킬 수 있다.
상기 노출공(11)의 경우 끼워지는 캡(17)을 아래에서 받쳐줄 수 있는 턱부(1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몸체의 저면에서 노출공 주변으로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제3 후부(B3)가 형성되는데 상기 턱부(13)는 제3 후부에서 형성된다.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에 형성되는 접속공의 배열은 두 개의 접속공이 수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측이 상대적으로 내려간 (또는 올라간) 경사 형태로 이루어지는 등 콘센트 제품마다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안전 커버의 경우 캡(15)이 노출공(11)에 탈착되는 구조이기에,
사용자는 캡의 삽입핀(17)이 접속공(P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공의 배열에 맞추어 캡의 회전시킨 후 노출공에 장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턱부(13)에는 일정 간격으로 돌기들(11a)이 형성되고, 캡이 노출공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턱부와 접하는 캡의 저면에는 상기 돌기들 사이에 위치되는 대응 돌기(15a)가 형성되어 캡의 단계적인 회전을 유도할 수도 있다(도 3의 [A] 및 [B] 참조).
다음으로 제2 커버부(2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시로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분리되어져야하기에 플러그 삽입공에 대한 제1 커버부의 결합력보다는 약한 결합력을 형성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제2 커버부(20)는 저면으로 플러그 삽입공의 지름보다는 작거나 거의 동일한 크기의 지름으로 이루어진 원형 벽체(21)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에 다수의 절개부(22)를 형성하여 상기 원형 벽체가 탄지편으로 기능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다수의 탄지편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제2 커버부를 들어올리면 탄지편이 쉽게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도 제2 커버부가 를러그 삽입공을 덮을 때에는 삽입공 내측으로 일정 힘의 탄지력을 발휘할 수 있는 구조이면 충분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 커버부
11: 노출공 11a: 돌기
15: 캡 15a: 대응돌기
20: 제2 커버부
30: 절개컷
40: 손잡이부 40A: 손잡이면
45: 유입부 47: 단부
B: 몸체
B1: 제1 후부(厚部) B2: 제2 후부(厚部)
B3: 제3 후부(厚部)
L: 경계부위
S: 함몰공간

Claims (4)

  1. 콘센트의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1 커버부; 및
    상기 제1 커버부와 연결형성되고, 제1 커버부가 커버하는 플러그 삽입공과 이웃하는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제2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플러그 삽입공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저면에는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제1 후부(厚部)와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의 경계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제2 후부(厚部)를 구비하여, 몸체의 저면에는 제1 및 제2 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내측으로 함몰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제1 커버부에 대한 제2 커버부의 회동을 위한 절개컷이 커버 표면에서 내측으로 깎이면서 제2 후부(厚部)에 단면이 V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커버부에는 플러그 삽입공을 노출시키는 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노출공에 장착되어 플러그 삽입공을 폐쇄하는 캡이 구비되되, 상기 캡은 노출공에 탈착되는 구조로 플러그 삽입공 폐쇄시 플러그의 접속공에 삽입되는 삽입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 커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의 일측에는 플러그 삽입공으로부터 제2 커버부 분리를 위한 손잡이부가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는 제1 후부(厚部)를 단절시키며 몸체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입부를 구비하여 손잡이면이 제공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는 몸체의 외곽보다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 커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부는 플러그 삽입공에 삽입되어 탄지되는 다수의 탄지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안전 커버.
KR1020190039284A 2019-04-03 2019-04-03 콘센트 안전커버 KR10221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284A KR102210244B1 (ko) 2019-04-03 2019-04-03 콘센트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284A KR102210244B1 (ko) 2019-04-03 2019-04-03 콘센트 안전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26A KR20200117326A (ko) 2020-10-14
KR102210244B1 true KR102210244B1 (ko) 2021-02-02

Family

ID=7284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284A KR102210244B1 (ko) 2019-04-03 2019-04-03 콘센트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974B1 (ko) * 2021-01-22 2021-08-25 최윤희 안전 멀티탭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243U (ja) * 1992-12-24 1994-07-22 杉本電器株式会社 一体に形成した安全キヤップ
KR20080002744U (ko) * 2007-01-16 2008-07-21 박도현 콘센트 장치
KR200469505Y1 (ko) * 2009-07-20 2013-10-1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소켓 안전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974B1 (ko) * 2021-01-22 2021-08-25 최윤희 안전 멀티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326A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765B1 (ko) 방수 안전 콘센트
US5320563A (en) Safety construction of receptacle plugs
US20080068822A1 (en) Light device
KR102210244B1 (ko) 콘센트 안전커버
KR200469505Y1 (ko) 소켓 안전덮개
US20180109046A1 (en) Fuse Structure for a Plug Device
JP5834172B2 (ja) コンセント用プレート及びこれを含む埋込コンセント
KR101929208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유닛
KR200218451Y1 (ko) 테이블 부설용 출몰식 다기능 콘센트
KR200328988Y1 (ko) 콘센트 안전 보호 플레이트
KR20110044570A (ko) 양방향 멀티탭
TWM518414U (zh) 電子鎖的電池盒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KR200479997Y1 (ko)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JP2006236677A (ja) コンセントカバー装置
CN108666800A (zh) 一种可更换功能模块的开关插座
KR200287965Y1 (ko) 안전 덮개가 구비된 콘센트
KR20090010287U (ko) 덮개를 갖는 멀티탭
US6790086B1 (en) Electrical plug
KR200218582Y1 (ko) 개폐용회전판을갖는콘센트어셈블리
TWI398054B (zh) 萬用插座結構
KR101497959B1 (ko) 멀티탭
KR20130030166A (ko) 회전형 멀티 콘센트
JP3115122U (ja) コネクターの改良構造
JP2004259694A (ja) 平板状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