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974B1 - 안전 멀티탭 - Google Patents

안전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974B1
KR102293974B1 KR1020210009118A KR20210009118A KR102293974B1 KR 102293974 B1 KR102293974 B1 KR 102293974B1 KR 1020210009118 A KR1020210009118 A KR 1020210009118A KR 20210009118 A KR20210009118 A KR 20210009118A KR 102293974 B1 KR102293974 B1 KR 102293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opper
hinge
socket
hing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희
Original Assignee
최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희 filed Critical 최윤희
Priority to KR1020210009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사용 소켓을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되, 특히, 소켓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본체에 힌지편을 매개로 연결 구성되도록 해 소켓의 개폐과정에서 커버의 분실 우려를 배제하고, 커버의 간단한 회동동작만으로 소켓을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멀티탭{Safety multi-tap}
본 발명은 안전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소켓에 개별 전력 스위칭을 위한 전원스위치가 마련된 멀티탭에 있어서, 미사용 소켓을 개별적으로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되, 특히, 개방된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킬 경우 플러그 내지 플러그에서부터 연장되는 코드가 상기 전원스위치 및 소켓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서 플러그를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시키는데 무리 없이 구성하고, 아울러, 소켓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본체에 힌지편을 매개로 연결 구성되도록 해 커버의 분실 우려를 배제하고, 커버의 간단한 회동동작만으로 소켓을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이 필요한 전자제품의 수에 비해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의 수 가 부족하거나, 전원을 공급하고자 하는 전자제품과 벽면에 형성된 콘센트의 거리가 너무 먼 경우에는 콘센트 소켓을 다수 개로 확장하기 위한 멀티탭이 이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멀티탭은 전자제품의 전원 플러그가 삽입되는 소켓이 항상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먼지 등 각종 이물질 등이 쉽게 유입되어 오염되거나, 그로 인해 전기적 접속불량이나 화재 사고 등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 등이 함유된 이물질이 소켓의 전기접속부위까지 직접 유입되는 경우에는 단전이나 전기 감전사고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또한, 영·유아가 있는 가정 등에서는 아이들의 호기심이나 장난에 의해 젓가락과 같은 금속체 이물질을 소켓의 단자수용홀에 삽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접속단자가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거나, 금속체의 통전에 의한 감전 사고나 스파크 발생 등에 의한 화재도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멀티탭 자체에 각 소켓의 전력 on/off 제어를 위한 별도 스위치를 마련한다거나, 미사용 소켓을 별도 커버로 막아두는 등의 안전장치를 마련한 멀티탭이 제안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공개특허 10-2019-0059351호(이하, 종래기술)에 개시된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길이 방향으로 같은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소켓부, 멀티탭을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 멀티탭에 전기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스위치, 슬라이딩 커버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 및 고정부에 결합되어있는 슬라이딩식 커버로 구성되며, 미사용 소켓부를 상기 슬라이딩식 커버로 폐쇄해놓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종래기술은 슬라이딩식 커버를 이용해 미사용 소켓부를 폐쇄시켜놓음으로써 안전성을 도모할 수는 있지만, 슬라이딩식 커버가 소켓부로부터 탈거된 상태에서는 케이스와 슬라이딩식 커버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보관시 분실의 우려가 크고, 특히, 사용 중인 소켓부를 폐쇄하고자 할 경우, 보관해놓은 슬라이딩식 커버를 일일이 찾아 고정부에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공개특허 10-2019-005935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각각의 소켓에 개별 전력 스위칭을 위한 전원스위치가 마련된 멀티탭에 있어서, 미사용 소켓을 개별적으로 폐쇄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되, 특히, 개방된 소켓에 플러그를 결합시킬 경우 플러그 내지 플러그에서부터 연장되는 코드가 상기 전원스위치 및 소켓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서 플러그를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시키는데 무리 없이 구성하고, 아울러, 소켓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본체에 힌지편을 매개로 연결 구성되도록 해 커버의 분실 우려를 배제하고, 커버의 간단한 회동동작만으로 소켓을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면으로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켓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일측으로 전원스위치가, 타측으로 힌지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힌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편; 및 상기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켓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편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상기 힌지대에 축결합되는 제1 힌지축이, 타측에는 상기 커버에 축결합되는 제2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축의 타측으로는 제1 스톱퍼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외곽에는 상기 힌지편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는 상기 제2 힌지축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축결합구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힌지편에서 상기 커버의 정방향 상대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스톱퍼에 걸림 지지되는 제2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스톱퍼의 타단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톱퍼에는 상기 제1 사면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사면과 동일한 대각선 방향으로 제2 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사면과 제2 사면이 평행하게 대접할 시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가 상호 걸림 지지되어 상기 힌지편에서 커버의 일방향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편에는 상기 커버가 역방향 최대각으로 회동하였을 때 제2 스톱퍼의 끝단 모서리 부위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는 각각 막대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소켓을 개폐하기 위한 커버가 본체에 힌지편을 매개로 연결 구성되도록 해 커버의 분실 우려를 배제하고, 커버의 간단한 회동동작만으로 소켓을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소켓의 폐쇄를 위해 커버를 회동조작할 시 특정 각도에서 커버와 힌지편을 서로 연동되게 구성함으로써 커버의 개폐동작이 보다 간소해지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사용편의가 대폭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소켓의 개방시에는 힌지편 및 커버가 본체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밀착 구성될 수 있게 되므로, 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코드가 힌지편 및 커버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한정된 공간 내에서 플러그를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시키는데 무리가 없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소켓이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소켓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요부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힌지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소켓이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멀티탭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소켓이 개방된 상태의 멀티탭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체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커버가 폐쇄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힌지대가 소켓으로 이격 배치된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제1, 2 스톱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소켓이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으로, 소켓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요부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힌지편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소켓이 커버에 의해 폐쇄된 상태의 멀티탭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소켓이 개방된 상태의 멀티탭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체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커버가 폐쇄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멀티탭(이하 멀티탭이라 함)은 크게 본체(10), 힌지편(20) 및 커버(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본체(10)는 멀티탭의 외관을 구성하며, 상면으로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켓(11)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11)의 일측으로 전원스위치(13)가, 타측으로 힌지대(14)가 마련된다.
소켓(11)은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는 함몰된 공간으로 예시되며, 소켓(11)의 바닥면에는 전원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단자홈(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켓(11), 전원스위치(13) 및 힌지대(14) 각각은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복수 개의 소켓(11) 각각으로의 전력분배를 위한 병렬 부스바회로가 내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체(10)의 구조는 공지된 멀티탭의 구조를 따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힌지대(14)의 경우, 후술 될 힌지편(2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힌지대(14)는 힌지편(20)의 제1 힌지축(21)을 수용하기 위한 제1 축결합구(15)를 가진다.
힌지대(14)는 본체(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첨부되는 도면에는 본체(10)의 외곽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나, 모서리에서부터 내측, 바람직하게, 소켓(11)을 향하는 방향으로 근접하여 위치하여도 무관하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대(14)는 본체(10) 모서리 부위에서 소켓(11)을 향해 일정 거리(S)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힌지대(14)를 본체(10)의 모서리 부위에서 이격시킴으로써 멀티탭의 취급시 힌지대(14)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만일, 힌지대(14)가 모서리 부위에 위치하게 되면 멀티탭을 휴대, 위치이동 또는 불측으로 떨어트리는 과정에서 주변 구조물에 보다 쉽게 충돌하여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멀티탭을 책상 바닥에 두고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길질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힌지대(14) 각각은 양측으로 분절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중앙에 힌지편(20)이 수용될 수 있는 개방홈(16)을 제공한다. 힌지편(20)은 상기 개방홈(16) 내에서 정역방향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힌지편(20)은 상기 힌지대(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동시에, 커버(3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힌지편(20)은 힌지대(14)와 커버(30) 사이에서 커버(30)를 회동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이에 커버(30)는 상기 힌지편(20)을 매개로 소켓(11)을 향해 정방향 회동하여 소켓(11)을 폐쇄하거나, 또는 역방향 회동하여 소켓(11)을 개방하는 등 힌지편(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소켓(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가 미사용 소켓(11)을 폐쇄하게 되면 소켓(11) 내로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않는 밀폐구조가 갖춰지며, 플러그의 결합을 위해 커버(30)를 회동시켜 소켓(11)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힌지편(20)은 소켓(11)의 개방 또는 폐쇄상태시 본체(10)의 상면에 면 대 면으로 접촉 지지되어 커버(30)의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에는 상기 힌지대(14)의 제1 축결합구(15)에 축결합되는 제1 힌지축(21)이, 타측에는 상기 커버(30)에 축결합되는 제2 힌지축(22)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소켓(11)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외곽에는 상기 힌지편(20)이 수용되는 수용홈(31)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31)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벽(31a)에는 상기 제2 힌지축(22)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축결합구(32)가 함몰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아울러, 커버(30)에는 소켓(11) 내주면에 억지 끼움되도록 링 형태의 플랜지(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에 의해 소켓(11)이 폐쇄된 상태가 되면 상기 플랜지(34)에 의해 커버(30)가 소켓(11) 주변에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커버(30)가 회동되어 소켓(11)이 개방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소켓(11)이 개방된 상태에서 소켓(11)의 폐쇄를 위해 커버(30)를 정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일정 각도에서 커버(30)에 연동해 힌지편(20)이 함께 회동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11)의 폐쇄를 위해 커버(30)를 회동조작할 시 특정 각도에서 커버(30)와 힌지편(20)을 서로 연동되게 구성함으로써 커버(30)의 개폐동작이 보다 간소해지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힌지편(20)의 제2 힌지축(22)의 타측으로는 커버(30)의 회동을 일정 각도에서 제한하기 위한 제1 스톱퍼(2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수용홈(31) 측벽(31a)에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힌지편(20)에서 상기 커버(30)의 정방향 상대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스톱퍼(23)에 걸림 지지되는 제2 스톱퍼(33)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커버(30)가 정방향 회동되는 와중에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가 서로 걸림 지지되면 커버(30)의 회동이 제한되며, 이 상태에서 커버(30)를 정방향 강제 회동시킬 경우 커버(30)의 회동방향에 연동해 힌지편(20)이 함께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커버(30)의 회동기준점이 제2 힌지축(22)에서 제1 힌지축(21)으로 이동되면서 커버(30)가 정방향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커버(30)의 정방향 회동과정에서 힌지편(20)과 커버(30)가 서로 불특정한 방향으로 접힘 구성되지 않고 서로 평행하게 인접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커버(30)의 조작이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소켓(11)을 개방하기 위해 커버(30)를 최대 역방향 회동시킬 경우엔 커버(30)는 힌지편(20)에서 90도 간격으로 접혀 회동되어 본체(10)의 측면으로 배치구성되고, 힌지편(20)의 경우 본체(10)의 상면에 면 대 면으로 접촉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커버(30)와 힌지편(20)이 'ㄱ'자 형태로 접혀 본체(10)의 주변으로 배치구성될 수 있다.
이에, 커버(30)와 힌지편(20) 자체가 플러그를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플러그를 다양한 방향에서 소켓(11)에 결합시킬 수 있다.
만일, 커버(30)와 힌지편(20)을 본체(10) 주변에 밀착 구성하지 못하게 될 경우 플러그 내지 플러그에서부터 연장되는 코드를 간섭하게 돼, 플러그를 전원스위치(13) 및 커버(30)에 간섭되지 않는 선에서 정해진 방향으로만 결합시킬 수밖에 없게 된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힌지편(20) 및 커버(30)가 본체(10)의 상면 및 측면 주변으로 각각 밀착 구성될 수 있게 되므로, 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코드가 힌지편(20) 및 커버(30)에 간섭되지 않게 되어, 한정된 공간 내에서 플러그를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시키는데 무리가 없다.
한편,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의 대표 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도 7 및 도 10에서는 상기 제1 스톱퍼(23)의 타단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사면(23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톱퍼(33)에는 상기 제1 사면(23a)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사면(23a)과 동일한 대각선 방향으로 제2 사면(33a)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커버(30)의 정방향 회동에 따라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가 상호 걸림 지지되는 상황에서 상기 제1 사면(23a)과 제2 사면(33a)이 평행하게 대접할 시 제1 사면(23a)과 제2 사면(33a)이 서로 면 대 면으로 접촉하여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가 상호 걸림 지지되어 상기 힌지편(20)에서 커버(30)의 일방향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30)의 역방향 회동의 경우 제1 사면(23a)과 제2 사면(33a)이 서로 회동하여 이격되므로 커버(30)의 역방향 회동이 허용될 수 있다.
이때, 힌지편(20)에는 상기 커버(30)가 역방향 최대각으로 회동하였을 때 제2 스톱퍼(33)의 끝단 모서리 부위(33b)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24)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 사면(33a)에 의해 제2 스톱퍼(33)의 끝단 모서리 부위(33b)가 상대적으로 얇고 날카롭게 구성될 수 있는데, 소켓(11)의 개방을 위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30)의 역방향 최대각 회동시 이러한 얇고 날카로운 끝단 모서리 부위(33b)가 고정홈(24)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끝단 모서리 부위(33b)의 파절을 방지하고, 끝단 모서리 부위(33b)가 고정홈(24) 내에 안정적으로 삽입 고정되게 함으로써 임의로 커버(30)가 정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30)가 역방향으로 과회동되어 본체(10)의 측면에 충돌하는 것을 예방하는 등 여러 측면에서의 안전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막대 형태로 연장 형성되되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커버(30)의 정방향 회동을 특정 각도에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막대 형태의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가 서로 평행하게 대접할 시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가 상호 걸림 지지되어 상기 힌지편(20)에서 커버(30)의 일방향 회동이 제한되고, 이 상태에서 커버(30)를 정방향 강제 회동시킬 경우 커버(30)의 회동방향에 연동해 힌지편(20)이 함께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커버(30)의 회동기준점이 제2 힌지축(22)에서 제1 힌지축(21)으로 이동되면서 커버(30)가 정방향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커버(30)의 정방향 회동과정에서 힌지편(20)과 커버(30)가 서로 불특정한 방향으로 접힘 구성되지 않고 서로 평행하게 인접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커버(30)와 힌지편(20)이 개별적으로 회동되지 않고 서로 연동해 커버(30)의 조작이 보다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는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로 2조 한 쌍 분할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10c)를 통해 서로 일체로 결합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별도 도면부호는 생략하였지만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체결부재(10c)를 수용하기 체결홀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의 결합력 증대를 고려해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가 서로 맞닿는 면 주위를 초음파 가공하여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를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이때, 하부본체(10b)의 상부 둘레에는 초음파 가공을 위한 용재(10d)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용재(10d)에 초음파가 가해지면 용재(10d)가 순간적으로 용융되면서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가 서로 본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용재(10d)는 초음파에 의해 활성화되어 본딩력을 제공할 수 있는 선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합성수지군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 구성시 체결부재(10c) 및 초음파 가공이 동시에 적용되므로, 상부본체(10a)와 하부본체(10b) 양자간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멀티탭의 내구도, 내충격성, 강도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멀티탭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소켓(11)이 개방된 상태에서 커버(30)의 정방향 회동에 따라 커버(30)에 의해 소켓(11)이 폐쇄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1)이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커버(30)를 견인한다. 이에, 커버(30)는 제2 힌지축(22)을 회동기준점으로 하여 정방향 회동된다.
이어서, 커버(30)를 정방향 회동 견인하여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커버(30)를 본체(10)의 상면과 평행한 각도로 회동시키면 커버(30)가 힌지편(20)과 평행하게 접하면서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가 서로 걸림되기 시작한다.
이어서, 도 10b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커버(30)를 정방향 회동견인하게 되면 제1 스톱퍼(23)와 제2 스톱퍼(33)가 서로 걸림 지지된 탓에 커버(30)와 연동하여 힌지편(20)이 회동한다. 이때 커버(30)의 회동기준점은 제2 힌지축(22)에서 제1 힌지축(21)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제1 힌지축(21)을 회동기준점으로 하여 커버(30) 및 힌지편(20)을 정방향 회동견인하여 커버(30)의 플랜지(34)를 소켓(11) 내부로 삽입하여 커버(30)를 고정시킴으로써 소켓(11)의 폐쇄를 완료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은 커버(30)가 본체(10)에 힌지편을 매개로 연결 구성되어 있으므로 소켓(11)의 개폐과정에서 커버(30)의 분실 우려가 없으며, 더욱이, 간단한 회동동작만으로 소켓(11)을 개폐시킬 수 있어 사용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소켓(11)의 폐쇄를 위해 커버(30)를 회동조작할 시 특정 각도에서 커버(30)와 힌지편(20)을 서로 연동되게 구성함으로써 커버(30)의 개폐동작이 보다 간소해지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소켓(11)의 개방시에는 힌지편(20) 및 커버(30)가 본체(10)의 상면 및 측면 주변에 각각 밀착 구성될 수 있게 되므로, 플러그에서 연장되는 코드가 힌지편(20) 및 커버(30)에 간섭되지 않게 되므로, 한정된 공간 내에서 플러그를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시키는데 무리가 없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힌지편
30: 커버

Claims (5)

  1. 상면으로 전원 플러그가 결합되는 소켓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의 일측으로 전원스위치가, 타측으로 힌지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힌지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편; 및
    상기 힌지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소켓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편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상기 힌지대에 축결합되는 제1 힌지축이, 타측에는 상기 커버에 축결합되는 제2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축의 타측으로는 제1 스톱퍼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외곽에는 상기 힌지편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절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에서 서로 마주보는 측벽에는 상기 제2 힌지축이 삽입 결합되는 제2 축결합구가 함몰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힌지편에서 상기 커버의 정방향 상대 회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 스톱퍼에 걸림 지지되는 제2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톱퍼의 타단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진 제1 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톱퍼에는 상기 제1 사면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사면과 동일한 대각선 방향으로 제2 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사면과 제2 사면이 평행하게 대접할 시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가 상호 걸림 지지되어 상기 힌지편에서 커버의 일방향 회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편에는 상기 커버가 역방향 최대각으로 회동하였을 때 제2 스톱퍼의 끝단 모서리 부위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톱퍼와 제2 스톱퍼는 각각 막대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멀티탭.
KR1020210009118A 2021-01-22 2021-01-22 안전 멀티탭 KR102293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18A KR102293974B1 (ko) 2021-01-22 2021-01-22 안전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118A KR102293974B1 (ko) 2021-01-22 2021-01-22 안전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974B1 true KR102293974B1 (ko) 2021-08-25

Family

ID=77495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118A KR102293974B1 (ko) 2021-01-22 2021-01-22 안전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97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898A (ko) * 2008-12-15 2010-06-24 김성숙 콘센트 커버
KR20110044570A (ko) * 2009-10-23 2011-04-29 조경군 양방향 멀티탭
US20120325808A1 (en) * 2010-03-08 2012-12-27 Batchelor Thomas M Electrical box, integrated flange and cover mechanisms
KR20160000840U (ko) * 2014-09-02 2016-03-10 김한식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KR20190059351A (ko) 2017-11-23 2019-05-31 이정수 슬라이딩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KR200492489Y1 (ko) * 2020-06-08 2020-10-23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Hvdc용 콘센트
KR102210244B1 (ko) * 2019-04-03 2021-02-02 (주)위너스 콘센트 안전커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8898A (ko) * 2008-12-15 2010-06-24 김성숙 콘센트 커버
KR20110044570A (ko) * 2009-10-23 2011-04-29 조경군 양방향 멀티탭
US20120325808A1 (en) * 2010-03-08 2012-12-27 Batchelor Thomas M Electrical box, integrated flange and cover mechanisms
KR20160000840U (ko) * 2014-09-02 2016-03-10 김한식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KR20190059351A (ko) 2017-11-23 2019-05-31 이정수 슬라이딩 안전커버를 구비한 멀티탭
KR102210244B1 (ko) * 2019-04-03 2021-02-02 (주)위너스 콘센트 안전커버
KR200489862Y1 (ko) * 2019-06-18 2019-08-20 김용석 전선 구조체
KR200492489Y1 (ko) * 2020-06-08 2020-10-23 주식회사 리치이엔씨 Hvdc용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9292B2 (en) Water resistant electrical devices
US8366463B2 (en)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US7896666B2 (en) Socket with securely fixed connecting rings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2293974B1 (ko) 안전 멀티탭
CN106165211A (zh) 插座组件
AU2024202636A1 (en) Safety electrical outlet
KR200185381Y1 (ko)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WO2016055009A1 (zh) 插头装置的保险丝结构
KR100664415B1 (ko) 회전식 조립 모듈 콘센트
KR200184537Y1 (ko) 감전방지구가 구비된 안전콘센트
US20140174815A1 (en) Cable assembly having quick-locking connector and premise wiring systems utilizing same
KR20080072599A (ko) 콘센트 안전커버
KR101233437B1 (ko) 플러그와 콘센트 조립체
KR20200108537A (ko) 감전 방지형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WO2008108739A1 (en) Omni-directional power outlet cover
KR200436302Y1 (ko) 유에스비 디바이스
US20060157333A1 (en) Safety plug that is used to switch power in sequence easily and is composed of main body
KR100989404B1 (ko) 회전형 안전 콘센트
CN104767072A (zh) 墙壁插座
KR102060248B1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101511035B1 (ko) 안전 콘센트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200490628Y1 (ko) 안전 회전자가 구비된 콘센트
JP6420487B2 (ja) コンセント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