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1035B1 - 안전 콘센트 - Google Patents

안전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1035B1
KR101511035B1 KR20140179043A KR20140179043A KR101511035B1 KR 101511035 B1 KR101511035 B1 KR 101511035B1 KR 20140179043 A KR20140179043 A KR 20140179043A KR 20140179043 A KR20140179043 A KR 20140179043A KR 101511035 B1 KR101511035 B1 KR 101511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utlet
socket
piec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79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창욱
Original Assignee
(주) 성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성우산업 filed Critical (주) 성우산업
Priority to KR20140179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1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1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1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체인 플러그의 단자부 한 쌍이 삽입되는 한 쌍의 콘센트 홀을 구비한 콘센트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하나에 도체인 이물질이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나머지 콘센트 홀측으로 통전되게 하여 상기 콘센트 본체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안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유아나 어린이의 부주의로 금속성 이물질을 실수로 삽입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 콘센트{SAFETY CONCENTIC PLUG}
본 발명은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나 어린이의 부주의로 금속성 이물질을 실수로 삽입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콘센트는 건축물 내에서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종 전자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옥내 배선측의 접속기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콘센트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꽂게 되는 단자삽입구가 노출된 사양이 주종을 이루며, 이러한 단자삽입구의 노출은 성인이나 전기의 위험성을 숙지한 어린이들에게는 문제를 일으킬 만한 요인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기 감전 사고의 위험성을 깨닫지 못한 어린이들에게 콘센트는 그 존재 자체만으로 호기심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호기심은 젓가락 등과 같은 뾰쪽한 도구를 이용하여 단자삽입구에 끼우게 되는 행동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특히, 110V용 콘센트의 삽입구에 비해 직경이 크고 원형으로 된 220V용 콘센트의 단자삽입구는 여러 종류의 도구 및 이물질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감전 사고의 유발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00-0000980호 특허출원 제10-2006-0114098호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1292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의 부주의로 금속성 이물질을 실수로 삽입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체인 플러그의 단자부 한 쌍이 삽입되는 한 쌍의 콘센트 홀을 구비한 콘센트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하나에 도체인 이물질이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나머지 콘센트 홀측으로 통전되게 하여 상기 콘센트 본체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안전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의 내측 단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가 접촉되면 상기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과 접촉 또는 이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에 각각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이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통전편 중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접근하면서 상기 전원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내주면에 각각 장착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상기 이물질의 삽입에 따라 각각 반대측 통전편측으로 이동되는 스프링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 쌍의 콘센트 홀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과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는, 일단부는 상기 콘센트 홀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콘센트 홀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상기 일단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경사편과, 상기 콘센트 홀의 내주면 내측 단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경사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편은 상기 통전편과 직교를 이루며, 상기 경사편의 압력 수용에 따른 탄성 변형으로 상기 통전편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유닛은,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홀 내측 단부와 대면하고 회동 동작을 허용하며, 일단부가 상기 이물질의 단부와 접촉하면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저면을 향하여 하강하면서 타단부가 상승하는 경사 회동편과, 상기 경사 회동편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저면을 거쳐 상기 경사 회동편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상기 경사 회동편의 일단부가 하강하면 상기 경사 회동편의 일단부가 배치된 쪽의 통전편과 반대측 통전편에 접촉되는 제1 연장 지지편과, 상기 경사 회동편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저면을 거쳐 상기 경사 회동편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연정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상기 경사 회동편의 타단부가 하강하면 상기 경사 회동편의 타단부가 배치된 쪽의 통전편과 반대측 통전편에 접촉되는 제2 연장 지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경사 회동편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연장 지지편 및 상기 제2 연장 지지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인 단자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경사 회동편의 중간부가 회동 결합되는 회동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홀 내측 단부와 대면하고 회전 동작을 허용하며, 일단부가 상기 이물질의 단부와 접촉하면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가 배치된 쪽의 통전편과 반대측 통전편을 향하여 회전하여 이동하는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한 쌍의 콘센트 홀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과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편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편의 양단부는 상기 통전편과 직교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아나 어린이의 부주의로 금속성 이물질을 실수로 삽입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난타낸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콘센트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체인 플러그의 단자부 한 쌍이 삽입되는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을 구비한 콘센트 본체(200)에 내장되는 안전 유닛(100)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안전 유닛(100)은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 중 하나에 도체인 이물질(500, 이하 도 2 참조)이 삽입되면,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 중 나머지 콘센트 홀(210, 210)측으로 통전되게 하여 콘센트 본체(200)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 케이블(4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콘센트 본체(200)에 구비된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의 내측 단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단자부가 접촉되면 전원 케이블(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편(300, 300)을 더 구비하며, 안전 유닛(100)은 한 쌍의 통전편(300, 300)과 접촉 또는 이격하게 된다.
여기서, 안전 유닛(100)은 한 쌍의 통전편(300, 300)에 각각 인접하게 장착되어 이물질(500)이 삽입되면, 한 쌍의 통전편(300, 300) 중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접근하면서 전원 케이블(4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안전 유닛(100)은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 내주면에 각각 장착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이물질(500)의 삽입에 따라 각각 반대측 통전편(300, 300)측으로 이동되는 스프링부(110)를 각각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A-A'선 참조)은, 스프링부(110)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통전편(300, 300)과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스프링부(110)는 경사편(111)과 접촉편(112)을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경사편(111)은 일단부는 콘센트 홀(210, 210)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콘센트 홀(210, 210)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일단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것이다.
접촉편(112)은 콘센트 홀(210, 210)의 내주면 내측 단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경사편(111)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스프링편은 통전편(300, 300)과 직교를 이루며, 경사편(111)의 압력 수용에 따른 탄성 변형으로 통전편(300, 300)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물질(500)을 콘센트 홀(210, 210) 중 일측에 삽입하였더라도, 이물질(500)과 접촉한 경사편(111)은 접촉편(112)을 반대측 통전편(300)과 접촉시켜 이물질(500)을 통한 사용자의 신체로 통전이 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는 안전 유닛(100)은 도 2와 같이 경사 회동편(120)과 제1, 2 연장 지지편(121, 122)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경사 회동편(120)은 양단부가 한 쌍의 홀 내측 단부와 대면하고 회동 동작을 허용하며, 일단부가 이물질(500)의 단부와 접촉하면 콘센트 본체(200)의 저면을 향하여 하강하면서 타단부가 상승하는 것이다.
제1 연장 지지편(121)은 경사 회동편(120)의 일단부로부터 콘센트 본체(200)의 저면을 거쳐 경사 회동편(120)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경사 회동편(120)의 일단부가 하강하면 경사 회동편(120)의 일단부가 배치된 쪽의 통전편(300, 300)과 반대측 통전편(300, 300)에 접촉되는 것이다.
제2 연장 지지편(122)은 경사 회동편(120)의 타단부로부터 콘센트 본체(200)의 저면을 거쳐 경사 회동편(120)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연정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경사 회동편(120)의 타단부가 하강하면 경사 회동편(120)의 타단부가 배치된 쪽의 통전편(300, 300)과 반대측 통전편(300, 300)에 접촉되는 것이다.
여기서, 안전 유닛(100)은 플러그(이하 미도시)의 단자부와 정상적인 통전을 위하여 경사 회동편(120)의 양단부 상면에 각각 구비되고, 제1 연장 지지편(121) 및 제2 연장 지지편(1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체인 단자편(123, 12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안전 유닛(100)은 경사 회동편(120)의 회동 동작을 지지하기 위하여, 콘센트 본체(200)의 저면에 구비되어 경사 회동편(120)의 중간부가 회동 결합되는 회동 지지 브라켓(12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유닛(100)은 도 3과 같이 양단부가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 내측 단부와 대면하고 회전 동작을 허용하며, 일단부가 이물질(500)의 단부와 접촉하면 타단부는 일단부가 배치된 쪽의 통전편(300, 300)과 반대측 통전편(300, 300)을 향하여 회전하여 이동하는 회전편(13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유닛(100)은 회전편(130)의 일단부가 접촉 가압되면 회전편(13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편(130)의 일단부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 경사면(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유닛(100)은 회전편(130)의 타단부가 접촉 가압되면 회전편(13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편(130)의 일단부에 제1 경사면(131)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 경사면(1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유닛(100)은 회전편(130)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편(13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1 스프링(13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안전 유닛(100)은 회전편(130)의 타측에 결합되어 회전편(13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발생하는 제2 스프링(134)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한 쌍의 콘센트 홀(210, 210)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B-B'선 참조)은 전술한 회전편(130)의 회전 동작에 따른 통전 차단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통전편(300, 300)과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편(130)의 일단부 또는 타단부가 회전하면 회전편(130)의 양단부는 통전편(300, 300)과 직교를 이루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의 부주의로 금속성 이물질을 실수로 삽입하더라도 통전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안전 유닛
110...스프링부
111...경사편
112...접촉편
120...경사 회동편
121...제1 연장 지지편
122...제2 연장 지지편
123, 123...단자편
124...회동 지지 브라켓
130...회전편
131...제1 경사면
132...제2 경사면
133...제1 스프링
134...제2 스프링
200...콘센트 본체
210, 210...콘센트 홀
300, 300...통전편
400...전원 케이블
500...이물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도체인 플러그의 단자부 한 쌍이 삽입되는 한 쌍의 콘센트 홀을 구비한 콘센트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하나에 도체인 이물질이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나머지 콘센트 홀측으로 통전되게 하여 상기 콘센트 본체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안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의 내측 단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가 접촉되면 상기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과 접촉 또는 이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통전편에 각각 인접하게 장착되어 상기 이물질이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통전편 중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접근하면서 상기 전원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4. 도체인 플러그의 단자부 한 쌍이 삽입되는 한 쌍의 콘센트 홀을 구비한 콘센트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하나에 도체인 이물질이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나머지 콘센트 홀측으로 통전되게 하여 상기 콘센트 본체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안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의 내측 단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가 접촉되면 상기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과 접촉 또는 이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내주면에 각각 장착되어 탄성 변형을 허용하며, 상기 이물질의 삽입에 따라 각각 반대측 통전편측으로 이동되는 스프링부를 각각 포함하고,
    한 쌍의 콘센트 홀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과 경사를 이루며,
    상기 스프링부는, 일단부는 상기 콘센트 홀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콘센트 홀의 내주면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며 상기 일단부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경사편과,
    상기 콘센트 홀의 내주면 내측 단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상기 경사편의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통전편과 직교를 이루며, 상기 경사편의 압력 수용에 따른 탄성 변형으로 상기 통전편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접촉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5. 삭제
  6. 도체인 플러그의 단자부 한 쌍이 삽입되는 한 쌍의 콘센트 홀을 구비한 콘센트 본체에 내장되고,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하나에 도체인 이물질이 삽입되면,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중 나머지 콘센트 홀측으로 통전되게 하여 상기 콘센트 본체와 외부로부터 연결된 전원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안전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전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안전 콘센트는,
    상기 콘센트 본체에 구비된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의 내측 단부와 이격하여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가 접촉되면 상기 전원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통전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 유닛은 상기 한 쌍의 통전편과 접촉 또는 이격하도록 구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콘센트 홀 내측 단부와 대면하고 회전 동작을 허용하며, 일단부가 상기 이물질의 단부와 접촉하면 타단부는 상기 일단부가 배치된 쪽의 통전편과 반대측 통전편을 향하여 회전하여 이동하는 회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콘센트.
  7. 삭제
KR20140179043A 2014-12-12 2014-12-12 안전 콘센트 KR101511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9043A KR101511035B1 (ko) 2014-12-12 2014-12-12 안전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79043A KR101511035B1 (ko) 2014-12-12 2014-12-12 안전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035B1 true KR101511035B1 (ko) 2015-04-13

Family

ID=5303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79043A KR101511035B1 (ko) 2014-12-12 2014-12-12 안전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10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827B1 (ko) * 2017-06-09 2018-12-19 정호진 감전 방지용 안전 콘센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17Y1 (ko) 2001-05-12 2002-02-19 윤정현 감전방지용 안전 콘센트
KR20130123773A (ko) * 2012-05-03 2013-11-13 (주)영진테크 방수 안전 전기 확인 콘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17Y1 (ko) 2001-05-12 2002-02-19 윤정현 감전방지용 안전 콘센트
KR20130123773A (ko) * 2012-05-03 2013-11-13 (주)영진테크 방수 안전 전기 확인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827B1 (ko) * 2017-06-09 2018-12-19 정호진 감전 방지용 안전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608338U (zh) 插座保护盖结构
KR101511035B1 (ko) 안전 콘센트
KR100904219B1 (ko) 콘센트 안전커버
CN203883262U (zh) 一种具有防漏和儿童保护的电子安全插座
KR20150124628A (ko) 감전방지용 콘센트와 플러그
CN204011858U (zh) 一种弹力良好的电源插座
JP2009199989A (ja) コンセントの安全回路装置
CN204538307U (zh) 新型防儿童触电插座内部结构
CN208352657U (zh) 一种交叉式控制的防触电电源插座
TWM501660U (zh) 安全插座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CN102544821B (zh) 便携式插销插座
CN204696290U (zh) 插座及其插头
KR200468109Y1 (ko) 플러그 및 콘센트용 어댑터
CN204424518U (zh) 环形多用插座
CN105514706A (zh) 一种防范儿童触电的安全插座
KR101436309B1 (ko) 케이블 릴의 멀티 콘센트
US20060157333A1 (en) Safety plug that is used to switch power in sequence easily and is composed of main body
CN202068019U (zh) 多功能隐形电源插座
CN206195007U (zh) 一种带钩的安全插座
CN208015013U (zh) 一种智能家用防漏电墙壁插座
CN107611670B (zh) 一种基于零火线插片驱动的保护门组件
CN102255163B (zh) 用于地热地板的电缆连接线及插座
CN205724241U (zh) 一种四防电源插座
CN205790546U (zh) 一种电源耦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