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959B1 - 멀티탭 - Google Patents

멀티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959B1
KR101497959B1 KR20130144875A KR20130144875A KR101497959B1 KR 101497959 B1 KR101497959 B1 KR 101497959B1 KR 20130144875 A KR20130144875 A KR 20130144875A KR 20130144875 A KR20130144875 A KR 20130144875A KR 101497959 B1 KR101497959 B1 KR 101497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ion terminal
cover
cap
termin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4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장근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대 filed Critical 장근대
Priority to KR2013014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8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hand-driv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멀티탭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멀티탭은: 복수개의 노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노출홀에 각각 결속되도록 독립되어 구성되는 접속단자부와, 접속단자부를 노출홀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접속단자부의 저면을 커버하도록 하우징에 결속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탭{MULTI-TAP}
본 발명은 멀티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단자부가 독립적으로 블럭화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접속단자부를 구비하여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 가정에 매입설치된 콘센트의 경우 대부분 2구 내지는 3구의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어서 여러개의 전기기기를 연결할 수가 없으며, 특히, 컴퓨터의 경우, 모니터, 프린터, 스피커, 스캐너 등 여러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다수의 콘센트가 구비된 멀티탭을 따로 구입하여 컴퓨터 본체 및 각 주변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멀티탭은 대개 4구 내지는 6구 등 다수의 콘센트를 구비하여, 이 콘센트에 컴퓨터와 그 주변장치 이외에도 TV와 VTR, 앰프 등 여러개의 전기기기들이 한군데 모여있는 곳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특2000-0030155호(공개일:2000.06.05)에는 "개별 스위치를 구비한 책상부착형 멀티탭"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단자부를 독립적으로 블럭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다양한 단자를 연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접속단자부가 하나의 하우징에 의해 피고정물에 매립됨으로써, 케이블 관리가 용이하고, 주변환경을 단정하고 간결하게 조정할 수 있는 멀티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은: 복수개의 노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노출홀에 각각 결속되도록 독립되어 구성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접속단자부를 상기 노출홀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접속단자부의 저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속되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부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부 및 데이터케이블이 연결되는 데이터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단자부는 플러그가 결속되는 상부캡과, 상기 상부캡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의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접지단자가 고정되는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자와 접지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에는 상호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오조립방지부는 상기 상부캡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 및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캡에 형성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홀의 저면 가장자리에 접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에 결속되도록 상기 노출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후크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단자부의 상단둘레면에 접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백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결속된 상기 접속단자부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백커버는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노출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개폐작동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힌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홈부는 상기 힌지축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힌지축의 수직이동 시 상기 커버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은 접속단자부를 독립적으로 블럭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접속단자부가 전원단자부 뿐만 아니라 데이터단자부가 구비되어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에는 커버부가 구비되어 사용이 없을 때는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키며,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하우징에 수용되는 구조에 의해 커버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백커버를 제거한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전원단자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접속단자부와 하우징의 연결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커버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백커버를 제거한 저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전원단자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접속단자부와 하우징의 연결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의 커버부의 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100)은 하우징(110), 접속단자부(120), 고정부(160) 및 백커버(17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 이격되는 복수개의 노출홀(112)이 형성되고, 피고정물에 볼팅되어 결합되도록 저면에 복수개의 보스(115)가 형성된다.
접속단자부(120)는 노출홀(112)에 각각 결속되도록 독립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접속단자부(120)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부(130) 및 데이터케이블이 연결되는 데이터단자부(140)를 포함한다. 전원단자부(130)와 데이터단자부(140)는 블럭화되어 독립적으로 노출홀(112)에 각각 결합되며, 전원단자부(130)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단자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전원과 전원단자부(130)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15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150)의 온/오프에 의해 외부전원과 전원단자부(130)의 전기적인 연결은 단속된다.
데이터단자부(140)는 컴퓨터 등에 연결되는 데이터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전후면에 대응되는 단자연결구(14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자연결구(142)는 랜케이블이 연결되는 랜케이블단자와, USB케이블이 연결되는 USB단자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스테레오 단자 등 전자기기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단자연결구(142)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단자부(13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가 결속되는 상부캡(132)과, 상부캡(132)의 하부에 결합되며, 플러그의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134)와 접지단자(135)가 고정되는 하부캡(133) 및 하부캡(133)과 상부캡(132) 사이에 구비되어 하부캡(133)으로부터 접속단자(134)와 접지단자(135)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136)을 포함한다.
상부캡(132)과 하부캡(133)에는 상호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부(137)가 구비된다. 오조립방지부(137)는 접속단자(134)와 접지단자(135)의 방향성에 대응되도록 상부캡(132)과 하부캡(133)의 조립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부캡(132)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138) 및 끼움돌기(138)가 대응되도록 하부캡(133)에 형성되는 끼움홈부(139)를 포함한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캡(132)의 양측에 마련되는 끼움돌기(138)는 상호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고, 끼움홈부(139) 또한 끼움돌기(138)와 대응되도록 상호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상부캡(132)과 하부캡(133)의 조립방향이 맞지 않으며 조립되지 않는 구조를 지닌다.
고정부(160)는 접속단자부(120)를 노출홀(112)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노출홀(112)의 저면 가장자리에 접하는 플랜지(162)와, 플랜지(162)에 결속되도록 노출홀(1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후크(164) 및 하우징(110)의 저면에 구비되어 플랜지(162)의 둘레면에 접하는 지지리브(166)를 포함한다. 지지리브(166)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단자부(120)의 모서리 둘레면에 접하여 접속단자부(120)의 유동을 방지한다.
즉, 플랜지(162)와 후크(164)에 의해 접속단자부(120)의 상하이동을 방지하고, 지지리브(166)에 의해 수평이동을 방지하여 접속단자부(120)를 고정한다.
백커버(170)는 접속단자부(120)의 저면을 커버하도록 하우징(110)에 결속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10)에 결속된 접속단자부(120)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백커버(170)는 연결부(17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연결부(175)는 백커버(17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홈부(177) 및 백커버(170)의 타측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76)로 이루어진다. 또한, 백커버(170)의 연결부위에는 상호 대응되는 단턱부(178)가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에는 노출홀(112)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180)가 더 구비된다. 커버부(180)는 하우징(110)으로부터 개폐작동부(185)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개폐작동부(185)는 커버부(18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축(186)과, 힌지축(186)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우징(110)에 형성되는 힌지홈부(187)를 포함한다. 힌지홈부(187)는 힌지축(186)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홈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10)에는 힌지축(186)이 수직이동 시 커버부(180)를 수용하는 수용부(189)가 형성된다.
즉,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80)는 힌지홈부(187)에 끼워진 힌지축(186)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상태에서 힌지축(186)이 하방으로 이동되고, 커버부(180)는 수용부(189)에 수용되어 노출홀(112)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힌지홈부(187)의 하면에는 힌지축(186)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완충패드(188)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1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각각의 전원단자부(130)와 데이터단자부(140)를 구비하여 하우징(110)의 노출홀(112)에 결합한다. 전원단자부(130)는 하부캡(133)에 접속단자(134)와 접지단자(135)를 안착시킨 후 하부캡(133)의 상부에 상부캡(132)을 결속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부캡(132)과 하부캡(133) 사이에는 이탈방지편(136)이 구비되어 하부캡(133)에 안착된 접속단자(134)와 접지단자(135)의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부캡(132)과 하부캡(133)은 오조립방지부(137)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된다. 오조립방지부(137)는 상호 대응되는 끼움돌기(138)와 끼움홈부(139)로 이루어지는데, 상부캡(132)과 하부캡(133) 양측에 각각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대응되므로 조립방향을 지시할 수 있어 오조립이 방지된다.
데이터단자부(140)에는 데이터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는 데이터단자구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처럼 마련된 각각의 접속단자부(120)는 독립적으로 블럭화되어 노출홀(112)에 고정부(160)에 의해 장착된다.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접속단자부(120)를 가압하면, 접속단자부(12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플랜지(162)가 하우징(110)의 저면에 접하고, 노출홀(112)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후크(164)가 플랜지(162)에 결속되어 접속단자부(120)가 고정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저면에 형성된 지지리브(166)가 플랜지(162)의 각 모서리에 접하므로 접속단자부(12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노출홀(112)에 장착된 전원단자부(130)는 각각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이때, 전원단자부(130) 중 어느 하나는 스위치(150)로 이루어져 각각의 전원단자부(130)로 전달되는 외부전원을 단속할 수 있다.
이후, 접속단자부(120)의 하면을 커버하도록 하우징(110)의 저면에 백커버(170)를 결합한다. 백커버(170)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10)에 구비되는 보스(115)에 볼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각각의 백커버(170)는 상호 대응되는 체결홈부(177)와 체결돌기(176)에 의해 상호 연이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각각의 접속단자부(120)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노출홀(112)에 장착되므로 사용자가 요구하는 개수에 맞게 구성할 수 있다. 접속단자부(120)가 결합되지 않는 노출홀(112)은 별도의 마감캡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은 책상 등과 같은 피고정물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인접거리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책상의 경우, 보다 넓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정리가 용이하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노출홀(112)의 상부를 커버하는 커버부(180)가 구비되어 멀티탭(100)의 사용이 없을 경우에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커버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미감을 향상시킨다. 커버부(180)는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8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힌지축(186)은 장홈으로 이루어진 힌지홈부(187)를 따라 기립된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어 노출홀(112)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커버부(180)는 하우징(110)의 수용부(189)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80)의 개방시 힌지홈부(187)의 하면에는 완충패드(188)가 구비되어 힌지축(186)의 파손을 방지하고 개방시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에 의하면, 접속단자부를 독립적으로 블럭화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개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접속단자부가 전원단자부 뿐만 아니라 데이터단자부로 이루어져 사용사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멀티탭 110 : 하우징
112 : 노출홀 115 : 보스
120 : 접속단자부 130 : 전원단자부
132 : 상부캡 133 : 하부캡
134 : 접속단자 135 : 접지단자
136 : 이탈방지편 137 : 오조립방지부
138 : 끼움돌기 139 : 끼움홈부
1140 : 데이터단자부 142 : 단자연결부
150 : 스위치 160 : 고정부
162 : 플랜지 164 : 후크
166 : 지지리브 170 : 백커버
175 : 연결부 176 : 체결돌기
177 : 체결홈부 178 : 단턱부
180 : 커버부 185 : 개폐작동부
186 : 힌지축 187 : 힌지홈부
188 : 완충패드 189 : 수용부

Claims (9)

  1. 복수개의 노출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노출홀에 각각 결속되도록 독립되어 구성되는 접속단자부;
    상기 접속단자부를 상기 노출홀에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접속단자부의 저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속되는 백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노출홀의 저면 가장자리에 접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에 결속되도록 상기 노출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후크; 및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단자부의 상단둘레면에 접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백커버는 상기 하우징에 결속된 상기 접속단자부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ㄷ'자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백커버는 연결부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노출홀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개폐작동부에 의해 개폐 가능하고;
    상기 개폐작동부는 상기 커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힌지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홈부는 상기 힌지축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힌지축의 수직이동 시 상기 커버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단자부; 및
    데이터케이블이 연결되는 데이터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부는 플러그가 결속되는 상부캡;
    상기 상부캡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의 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와, 접지단자가 고정되는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과 상부캡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캡으로부터 상기 접속단자와 접지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과 상기 하부캡에는 상호 오조립을 방지하는 오조립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오조립방지부는 상기 상부캡의 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복수개의 끼움돌기; 및
    상기 끼움돌기와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캡에 형성되는 끼움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탭.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130144875A 2013-11-26 2013-11-26 멀티탭 KR101497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875A KR101497959B1 (ko) 2013-11-26 2013-11-26 멀티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44875A KR101497959B1 (ko) 2013-11-26 2013-11-26 멀티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959B1 true KR101497959B1 (ko) 2015-03-11

Family

ID=5302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44875A KR101497959B1 (ko) 2013-11-26 2013-11-26 멀티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6093A (zh) * 2023-05-07 2023-06-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沂水县供电公司 变电站二次端子排精益化防护盖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055A (ko) * 2007-05-08 2008-11-12 주식회사 퍼맥스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20090006701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위너스 노출형 1 구 콘센트
KR20110086669A (ko) * 2010-01-23 2011-07-29 김진만 전기 콘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9055A (ko) * 2007-05-08 2008-11-12 주식회사 퍼맥스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20090006701A (ko) * 2007-07-12 2009-01-15 주식회사 위너스 노출형 1 구 콘센트
KR20110086669A (ko) * 2010-01-23 2011-07-29 김진만 전기 콘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16093A (zh) * 2023-05-07 2023-06-2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沂水县供电公司 变电站二次端子排精益化防护盖
CN116316093B (zh) * 2023-05-07 2024-04-19 国网山东省电力公司沂水县供电公司 变电站二次端子排精益化防护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8662B1 (en) Horizontal and vertical in-use electrical device cover
CA2577211C (en) Electric distributing system
US10749292B2 (en) Water resistant electrical devices
US7598453B1 (en) Horizontal and vertical mountable electrical device cover
CA2688044C (en) Pivoting while-in-use electrical box and cover
US9203222B2 (en) While in use weatherproof cover for an electrical box
CN103887669A (zh) 适配器结构
CA2676110C (en) Multi-piece coverplate assembly and modular device assembly
CA2776116A1 (en) Cover and hinge assembly for electrical device
US20140094044A1 (en) Protective device for an electrical socket outlet
KR101306175B1 (ko) 콘센트장치
US9331436B2 (en) Multi-outlet capable of conveniently organizing cables connected to electric appliances
EP2780994B1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KR101497959B1 (ko) 멀티탭
CN105374591A (zh) 熔断器式隔离开关
KR101200287B1 (ko) 멀티탭
CA2857918C (en) While-in-use outdoor cover with recessed electrical device
KR101323598B1 (ko) 멀티탭
CA2976631C (en) Retractable recessed electrical outlet and data port assembly
KR102531545B1 (ko) 커넥터
KR102280288B1 (ko) 회동 가능한 멀티콘센트
KR101159483B1 (ko) 선박용 전기/통신 네트워크 통합 분배상자
KR20170119420A (ko) 이동확장 가능한 트랙 모듈 어셈블리
US20200112155A1 (en) Flush mounted electrical floor outlet
KR20160129508A (ko) Usb 허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