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055A -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 Google Patents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055A
KR20080099055A KR1020070044674A KR20070044674A KR20080099055A KR 20080099055 A KR20080099055 A KR 20080099055A KR 1020070044674 A KR1020070044674 A KR 1020070044674A KR 20070044674 A KR20070044674 A KR 20070044674A KR 20080099055 A KR20080099055 A KR 20080099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hole
desk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4603B1 (ko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070044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4603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본 발명은 내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접지용단자가 형성되고 상,하측으로 단자공을 형성한 단자몸체에 플러그와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상하측에 적층 된 상태로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플러그를 안내하는 플러그홀을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홀의 저면에 플럭단자공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접지편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의 상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상부매립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매립몸체 상측면에는 상기 플러그홀과 대응되도록 상부케이스홀을 형성하며 상측면의 외측에는 걸림편을 외향되게 형성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저면에 고정되며 내부케이스의 하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의 하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하부매립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매립몸체 하측면에는 상기 플러그홀과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에 수용되는 단자부와 연결되는 전원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락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 상측면과 상부케이스의 상부케이스홀의 외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 형성된 덮개로 형성된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DOUBLE OUTLET FOR DESK INSER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자부 11 : 단자몸체
12 : 단자공 20 : 내부케이스
21 : 플러그홀 22 : 플럭단자공
23 : 접지편 30 : 상부케이스
31 : 상부매립몸체 32 : 상측면
33 : 상부케이스홀 34 : 걸림편
40 : 하부케이스 41 : 하부매립몸체
42 : 하측면 43 : 하부케이스홀
50 : 스위치부 60 : 덮개부
61 : 덮개 70 : 전선안내구
80 : 전화선콘센트 90 : 가이드홈
91 : 걸림홈 100 : 고정구
101 : 가이드봉 102 : 걸림돌기
103 : 걸림편 104 : 받침편
105 : 이격손잡이 106 : 완충돌기
본 발명은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이나 테이블의 상판에 매립하여 상판의 상측 및 하측에서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전선 안내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전선을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오물에 의한 합선의 위험성도 배제한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원과 연결하여 전기기구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꽂아서 사용하는 배선기로서 상기 콘센트는 설치 구조에 따라 벽속에 매입하는 콘센트를 매입형 콘센트, 벽 외부에 노출시켜 사용하는 콘센트를 노출형 콘센트로 분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의 위치와 전기기구의 케이블이 짧아 전원콘 센트에 연결하지 못할 경우 별도의 케이블을 길게 연장한 콘센트를 전원콘센트에 연결하여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사무용 책상 상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 등의 전기기구는 전원콘센트와 책상 상판에 설치된 전기기구를 연결해야 함으로써 책상 상판에 전선안내구를 형성하고 상기 전선안내구를 통과한 케이블을 책상 측판에 형성된 배전덕트를 거쳐 전원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센트는 책상 상판에 설치하기가 불편했으며 책상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생산된다고 하여도 콘센트가 책상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이물질이 콘센트에 유입되어 합선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상기의 콘센트를 바닥에 설치하여도 콘센트의 파손 및 이물질에 의한 합선의 위험성이 있었다.
한편, 전화 또는 랜선의 콘센트를 별도로 형성하고 상기 전기적이나 통신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별도의 전선안내구를 통하여 책상에 형성된 덕트 내부에 배선하여 사용함으로써 배선의 불편하였으며 다양한 전기콘센트 와 전화선콘센트 및 전선안내구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무용 가구의 상판에 매립하여 콘센트를 가구 상판의 상측 및 하측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전선 안내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전선을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콘센트에 오물 유입을 방지하여 합선의 위험성도 배제한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접지용단자가 형성되고 상,하측으로 단자공을 형성한 단자몸체에 플러그와 접속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상하측에 적층 된 상태로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플러그를 안내하는 플러그홀을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홀의 저면에 플럭단자공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접지편을 형성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의 상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상부매립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매립몸체 상측면에는 상기 플러그홀과 대응되도록 상부케이스홀을 형성하며 상측면의 외측에는 걸림편을 외향되게 형성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저면에 고정되며 내부케이스의 하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의 하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하부매립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매립몸체 하측면에는 상기 플러그홀과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홀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 및 상부케이스에 수용되는 단자부와 연결되는 전원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락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에 형성된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 상측면과 상부케이스의 상부케이스홀의 외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 형성된 덮개로 형성된 덮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일측에는 상호 연통 되도록 전선안내구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타측에는 전화선이 연결될 수 있는 전화선콘센트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제공한 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양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가이드홈 내측으로는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책상상판을 개재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봉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상기 걸림홈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걸림편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 상측으로는 직각으로 받침편을 형성한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다른 전기기기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접지용 단자가 형성된 단자부(10)를 형성한다.
상기 전원단자와 접지용단자는 단자부(10)의 단자몸체(11)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몸체(11)의 상,하측으로 단자공(12)을 형성하여 각각의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단자부(10)의 상하측에는 상기 단자부에 플러그가 안내되어 삽입되도록 내부케이스(20)를 형성한다.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상기 단자공(12)과 일직선상에 플러그홀(21)의 저면에 형성된 플러그단자공(22)이 위치하도록 단자부(10)의 표면에 적층 된 상태로 접촉하며 플러그홀(21) 양측에는 접지편(23)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상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10)의 상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상부케이스(3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상부케이스(30)는 하측이 개방되도록 상부매립몸체(3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매립몸체(31) 상측면(32)에는 상기 플러그홀(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부케이스홀(33)을 형성하며 상측면(32)의 외측에는 책상의 상판에 걸리도록 걸림편(34)을 외향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저면에는 하부케이스(40)를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하부케이스(40)는 상기 내부케이스(20)의 하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10)의 하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하부매립몸체(4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매립몸체(41) 하측면(42)에는 상기 플러그홀(21)과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홀(4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40) 및 상부케이스(30)에 수용되는 단자부(20)와 연결되는 전원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락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30)에 형성된 스위치부(5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스위치부(50) 상측면과 상부케이스(30)의 상부케이스홀(33) 에는 덮개부(6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덮개부(60)는 상부케이스홀(33)의 외측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로 형성된 덮개(61)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의 일측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전선안내구(7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의 타측에는 전화선이 연결될 수 있는 전화선콘센트(80)를 형성한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의 양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9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40)의 가이드홈(90) 내측으로는 다수의 걸림홈(91)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9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를 책상상판(1)을 개재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홈(90)에 삽입되는 가이드봉(10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상기 걸림홈(91)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102)가 형성된 걸림편(103)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103) 상측으로는 직각으로 받침편(104)을 형성한 고정구(100)를 더 형성한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편(103)의 외측에는 이격손잡이(105)을 형성하고 받침편(104)의 상측면에는 완충돌기(106)를 형성하는 것이 사용하기 더욱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단자가 형성된 단자부(10)의 단자몸체(11)에 전원을 연결한 후 상기 단자몸체(11)의 상하측에 형성된 단자공(12)과 플럭단자공(22)이 일치하도록 내부케이스(20)를 단자몸체(11)의 상하측에 면 접촉한 상태에서 상부케이스(30)와 하 부케이스(40)에 내설한 상태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를 책상상판(1)에 형성된 설치공(2)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는 상부케이스(30)에 형성된 걸림편(34)이 책상상판(1)에 걸림된 상태로 삽입 고정된다.
이렇게 책상상판(1)에 걸림된 상태로 삽입 고정된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는 상기 책상상판(1)을 개재한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100)를 가이드홈(90)에 삽입하여 책상상판(1) 저면을 받혀주면서 고정한다.
책상상판(1)의 저면을 받혀주는 고정구(100)는 가이드홈(90)에 가이드봉(101)을 삽입하여 고정구(1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구(100)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편(103) 내측에 형성된 걸림돌기(102)가 걸림홈(91)에 걸쳐져서 고정되며 상기 고정구(100)의 하측을 가압하면 걸림편(103)의 탄성으로 걸림홈(91)에 걸림돌기(102)가 걸림 및 해제를 반복하면서 고정구(10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고정구(100)가 가이드홈(90)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책상상판(1) 저면에 받침편(104)과 접촉하게 되면서 책상매립형 이중콘센트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구(100)의 받침편(104)에 형성된 완충돌기(106)가 책상상판(1) 저면에 받침편(104)이 접촉할 때 완충작용을 하며 상기 책상매립형 이중콘센트를 분리할 땐 상기 이격손잡이(105)를 잡아서 걸림편(103)을 당겨서 걸림돌기(102)를 걸림홈(91)에서 이격시켜 고정구(100)를 하측으로 이동하여 고정구(100) 를 분리한 후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를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책상상판(1)에 고정된 책상매립형 이중콘센트는 책상상판(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플러그를 결합하여 전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화콘센트(80) 또한 상하측으로 형성되어 있어 통신용 플러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50)를 통하여 전원을 전체적으로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책상상판(1)에 연결되는 전선은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에 연통되게 형성된 전선안내구(70)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어 전선을 정리하기도 편리하며 상부케이스(30)에 형성된 덮개부(60)의 개폐로 상기 상부케이스홀(33)을 개폐할 수 있어 ㅍ플러그홀(21)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무용 가구의 상판에 매립하여 콘센트를 가구 상판의 상측 및 하측에서 사용할 수 있고 전선 안내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전선을 정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콘센트에 오물 유입을 방지하여 합선의 위험성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단자몸체(11) 내부에는 전원과 연결되는 전원단자와 접지용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몸체(11)의 상,하측으로 단자공(12)을 형성하여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부(10)와,
    상기 단자부(10)의 상하측에 적층 된 상태로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플러그를 안내하는 플러그홀(21)을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홀(21)의 저면에 플럭단자공(22)을 형성하며 양측에는 접지편(23)을 형성한 내부케이스(20)와,
    상기 내부케이스(20)의 상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10)의 상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하측이 개방된 상부매립몸체(3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매립몸체(31) 상측면(32)에는 상기 플러그홀(21)과 대응되도록 상부케이스홀(33)을 형성하며 상측면(32)의 외측에는 걸림편(34)을 외향되게 형성한 상부케이스(30)와,
    상기 상부케이스(30)의 저면에 고정되며 내부케이스(20)의 하측 내부케이스와 단자부(10)의 하측면을 수용하여 고정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하부매립몸체(41)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매립몸체(41) 하측면(42)에는 상기 플러그홀(21)과 대응되도록 하부케이스홀(43)이 형성된 하부케이스(40)와,
    상기 하부케이스(40) 및 상부케이스(30)에 수용되는 단자부(20)와 연결되는 전원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락시킬 수 있도록 상부케이스(30)에 형성된 스위치부(50)와,
    상기 스위치부(50) 상측면과 상부케이스의 상부케이스홀(33)의 외측으로 개 폐할 수 있도록 일측이 힌지 형성된 덮개(61)로 형성된 덮개부(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의 일측에는 상호 연통되도록 전선안내구(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의 타측에는 전화선이 연결될 수 있는 전화선콘센트(8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
  4.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의 양측으로 한 쌍의 가이드홈(9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40)의 가이드홈(90) 내측면으로는 다수의 걸림홈(91)을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홈(90)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면서 상부케이스(30)와 하부케이스(40)를 책상상판(1)을 개재한 상태로 고정하도록 상기 가이드홈(90)에 삽입되는 가이드봉(101)을 양측으로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상기 걸림홈(91)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102)가 형성된 걸림편(103)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편(103) 상측으로는 직각으로 받침편(104)을 형성한 고정구(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책상매립형 이중 콘센트.
KR1020070044674A 2007-05-08 2007-05-08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10092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674A KR100924603B1 (ko) 2007-05-08 2007-05-08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674A KR100924603B1 (ko) 2007-05-08 2007-05-08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055A true KR20080099055A (ko) 2008-11-12
KR100924603B1 KR100924603B1 (ko) 2009-11-02

Family

ID=40286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674A KR100924603B1 (ko) 2007-05-08 2007-05-08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46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91Y1 (ko) * 2014-10-07 2015-02-24 (주)에니바스 욕실장용 멀티콘센트박스
KR101497959B1 (ko) * 2013-11-26 2015-03-11 장근대 멀티탭
WO2017119866A1 (en) * 2016-01-04 2017-07-1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wer distribution units with receptacles on both surfaces
US10181704B2 (en) 2016-06-06 2019-01-1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wer distribution units with receptacles on one surface and branch rated circuit protection devices on an opposite surface
KR102079326B1 (ko) * 2018-08-14 2020-02-19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고전압용 멀티콘센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0Y1 (ko) * 2013-02-18 2014-04-08 (주)유피스 매립형 전원콘센트
KR200474858Y1 (ko) * 2013-08-01 2014-10-22 (주)코스모 콘센트 기구
KR102521747B1 (ko) * 2020-11-02 2023-04-17 박창호 빌트인 콘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836U (ko) * 1999-03-30 2000-10-25 김만석 휴대용 멀티 콘센트 박스
KR200270405Y1 (ko) * 2001-12-14 2002-04-03 장근대 콘센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59B1 (ko) * 2013-11-26 2015-03-11 장근대 멀티탭
KR200476291Y1 (ko) * 2014-10-07 2015-02-24 (주)에니바스 욕실장용 멀티콘센트박스
WO2017119866A1 (en) * 2016-01-04 2017-07-13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wer distribution units with receptacles on both surfaces
US10181704B2 (en) 2016-06-06 2019-01-1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wer distribution units with receptacles on one surface and branch rated circuit protection devices on an opposite surface
KR102079326B1 (ko) * 2018-08-14 2020-02-19 동양전자산업 주식회사 고전압용 멀티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4603B1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200440437Y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US4770643A (en) In-floor fitting
KR200468311Y1 (ko) 전기제품에 연결된 여유전선의 정리가 편리한 멀티 콘센트
KR101200287B1 (ko) 멀티탭
KR100875879B1 (ko) 책상용 전선정리장치
KR100946416B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
US7244128B2 (en) Waterproof simplex receptacle
US20140284326A1 (en) Utility box and lid assembly
KR20090122816A (ko) 전선 정리함
KR100750957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공동주택의 전기 배전구조
KR102005774B1 (ko) 슬라이드형 덮개가 구비된 바닥 매설형 시스템 박스
KR20080112043A (ko) 배선보호용 덕트
KR200440761Y1 (ko) 책상 매립형 멀티콘센트용 케이스
KR101773831B1 (ko) 공동주택의 콘센트 전용 매설형 전원박스장치
KR101028139B1 (ko) 공동주택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200421888Y1 (ko) 전선정리용 멀티박스
KR200472130Y1 (ko) 매립형 전원콘센트
KR101710648B1 (ko) 다전원 통합분전반
KR101314548B1 (ko) 콘센트의 내장함을 갖는 책상
KR200384336Y1 (ko) 책상용 배선덕트
KR200349547Y1 (ko) 책상용 배선덕트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KR100427847B1 (ko) 슬라이드 모빌 콘센트
KR200488703Y1 (ko) 책상용 덕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책상용 상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