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505Y1 - 소켓 안전덮개 - Google Patents

소켓 안전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9505Y1
KR200469505Y1 KR2020090009379U KR20090009379U KR200469505Y1 KR 200469505 Y1 KR200469505 Y1 KR 200469505Y1 KR 2020090009379 U KR2020090009379 U KR 2020090009379U KR 20090009379 U KR20090009379 U KR 20090009379U KR 200469505 Y1 KR200469505 Y1 KR 200469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cover
safety cover
base cover
socke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856U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2020090009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950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8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8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5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2Rotating shut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켓 안전덮개를 개시한다. 상기 소켓 안전덮개(1)는, 저면에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소켓의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11)과,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는 중공형 보스(12)와, 상기 중공형 보스와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된 인너 핑거홀(10a)을 포함하는 베이스 커버(10); 및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고 축선을 따라 분할된 형태를 이루며, 선단부의 양측에 후크(21a)를 갖는 중공형 지지축(21)과, 상기 중공형 지지축과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인너 핑거홀(10a)과 대응 가능한 아웃터 핑거홀(20a)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지지축(21)이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중공형 보스(12)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 커버(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휠 커버(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어린이들이 전기 소켓으로부터 소켓 안전덮개를 쉽게 분리할 수 없게 하면서 어른들이 상기 소켓을 사용하고자 할 때 문구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인출공구 없이도 손가락을 이용하여 소켓 안전덮개를 소켓으로부터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소켓, 콘센트, 아웃렛, 안전덮개

Description

소켓 안전덮개{Socket safety cover}
본 고안은 소켓 안전덮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소켓의 구멍 내부에 어린이들이 쇠젓가락 등을 삽입하여 발생하게 되는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아울러, 플라스틱이나 금속 조각 등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에 의해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이동형 콘센트(consent), 벽에 설치되는 고정형 아웃렛(outlet) 등의 소켓에 편리하게 삽입 또는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소켓 안전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형 콘센트, 벽의 고정형 아웃렛 등의 소켓에는 합성수지재의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소켓 안전덮개가 고정되는 데, 상기 소켓 안전덮개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소켓 안전덮개의 구조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이 소켓의 구멍을 막아주고 커버본체가 소켓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어린이들이 젓가락, 못 등을 소켓의 구멍에 꽂지 못하게 하고 개방된 소켓의 구멍으로 먼지나 습기 등이 유입되어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는 단순히 커버본체와 그 커버본체의 저면에 구비된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소켓을 사용하고자할 때 문구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인출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소켓을 분리할 수 밖에 없는 불편이 수반되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는 커버본체의 저면에 구비된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이 소켓의 접속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었기 때문에, 어린이들 중의 집착력을 보이는 일부가 문구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인출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커버본체에 약간의 분리력을 가할 경우 상기 소켓 안전덮개가 상기 소켓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우려가 높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어린이들이 소켓으로부터 소켓 안전덮개를 쉽게 분리할 수 없게 하면서 어른들이 상기 소켓을 사용하고자 할 때 문구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인출공구 없이도 손가락을 이용하여 소켓으로부터 소켓 안전덮개를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하는 소켓 안전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린이들 중의 집착력을 보이는 일부가 문구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인출공구를 이용하여 소켓의 커버본체를 들어올려 소켓으로부터 소켓 안전덮개를 분리하는 것을 매우 어렵게 하는 소켓 안전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켓 안전덮개의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이 소켓의 접속단자에 과다한 탄성력으로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접속단자의 탄성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소켓 안전덮개가 약간의 외부충격에도 상기 소켓으로부터 들뜨거나, 사용중인 경우 플러그와의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소켓 안전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저면에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소켓의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과,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는 중공형 보스와, 상기 중공형 보스와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된 인너 핑거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커버; 및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고 축선을 따라 분할된 형태를 이루며, 선단부의 양측에 후크를 갖는 중공형 지지축과, 상기 중공형 지지축과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인너 핑거홀과 대응 가능한 아웃터 핑거홀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지지축이 상기 베이스 커버의 중공형 보스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한 휠 커버;를 포함하는 소켓 안전덮개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위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커버의 각 삽입핀은 축선을 따라 분할된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커버의 저면 양측에는 소켓 안전덮개가 소켓에 결합된 경우 상기 소켓 내에 구비된 양측 판스프링 형태의 어스단자와 일정 탄성 밀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벽부(lower wall part)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두 하벽부와의 간섭이 없는 상기 베이스 커버의 저면 양측에는 소켓 안전덮개가 소켓에 결합된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가 소켓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소켓의 양측 내부에 중심 방향으로 뻗은 돌출부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차단돌기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휠 커버를 일정깊이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휠 커버 수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커버의 휠 커버 수용홈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4개소에 각각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휠 커버의 각각의 대응 내벽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인너 핑거홀을 갖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아웃터 핑거홀을 갖는 휠 커버를 포함하는 소켓 안전덮개를 제공하여, 어린이들이 전기 소켓으로부터 소켓 안전덮개를 쉽게 분리할 수 없게 하면서 어른들이 상기 소켓을 사용하고자 할 때 문구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인출공구 없이도 손가락을 이용하여 소켓 안전덮개를 소켓으로부터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켓의 내부 양측에 제공된 결함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저면 양측에 하벽부를 갖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한 휠 커버를 갖는 소켓 안전덮개를 제공하여, 어린이들 중의 집착력을 보이는 일부가 기존에 문구용 칼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인출공구를 이용하여 소켓으로부터 소켓 안전덮개를 분리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축선으로 따라 분할된 삽입핀을 갖는 베이스 커버와 상기 베이스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한 휠 커버를 갖는 소켓 안전덮개를 제공하여, 소켓 안전덮개의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이 소켓의 접속단자에 과다한 탄성력으로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접속단자의 탄성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소켓 안전덮개가 약간의 외부충격에도 상기 소켓으로부터 들뜨거나, 사용중인 경우 플러그와의 접속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와 상기 소켓 안전덮개가 끼워지는 벽의 고정형 아웃렛 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 게 베이스 커버(10)와 휠 커버(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커버(10)는 저면에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소켓(30)의 구멍(31)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11)과,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는 중공형 보스(12)와, 상기 중공형 보스(12)와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된 인너 핑거홀(10a)을 포함한다. 상기 인너 핑거홀(10a)의 사이즈는 소비자 또는 사용자의 평균 사이즈의 손가락, 예컨대 검지손가락이 여유있게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이면 되고, 상기 인너 핑거홀(10a)의 형태는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휠 커버(20)는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고 축선을 따라 분할된 형태를 이루며, 선단부의 양측에 후크(21a)를 갖는 중공형 지지축(21)과, 상기 중공형 지지축(21)과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인너 핑거홀(10a)과 대응(facing each other) 가능한 아웃터 핑거홀(20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휠 커버(20)는 상기 중공형 지지축(21)이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중공형 보스(12)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 커버(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베이스 커버-휠 커버 구조에서, 사용자는 소켓 안전덮개(1)를 소켓(30)에 부착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삽입핀(11)을 소켓(30)의 대응 구멍(31)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휠 커버(20)의 아웃터 핑거홀(20a)이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인너 핑거홀(10a)과 엇갈리도록 상기 휠 커버(20)를 상기 베이스 커버(10)에 대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두면 된다.
그와는 반대로, 소켓 안전덮개(1)를 소켓(3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휠 커버(20)의 아웃터 핑거홀(20a)이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인너 핑거홀(10a)과 대응하도록 상기 휠 커버(20)를 상기 베이스 커버(10)에 대해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휠 커버(20)의 아웃터 핑거홀(20a)과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인너 핑거홀(10a)에 의해 발생되는 개방공간을 통해 손가락(예컨대, 검지손가락)을 밀어 넣어 상기 소켓(30)으로부터 상기 소켓 안전덮개(1)를 분리시키면 된다.
또한, 상기 중공형 지지축(21)의 분할길이는 상기 중공형 지지축의 두 절반부재가 상기 중공형 지지축(21)의 축선 내측 또는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상기 중공형 지지축(21)의 선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또는 그 하단부에 인접한 부분까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웃터 핑거홀(20a)의 사이즈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입출 가능하도록 상기 인너 핑거홀(10a)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각 삽입핀(11)은 상기 베이스 커버의 삽입핀(11)이 상기 소켓(30) 내에 판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는 접속단자(미도시)에 오랜동안 끼워져 있음으로 인해 상기 접속단자의 탄성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축선을 따라 분할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 참조).
일시시예로,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저면 양측에는 소켓 안전덮개(1)가 소켓(30)에 결합된 경우 상기 소켓(30) 내에 구비된 양측 판스프링 형태의 어스단자(32)와 일정 탄성 밀착력을 유지하도록 하벽부(13)가 더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 조).
이러한 소켓의 어스단자-소켓 안전덮개의 하벽부 구조는 소켓 안전덮개(1)의 삽입핀(11)과 접속단자(미도시) 간의 탄성 밀착력에다 상기 어스단자(32)와 하벽부(13) 간의 탄성 밀착력을 더하여 의도하지 않은 외부충격에 의해 상기 소켓 안전덮개(1)가 소켓(30)으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두 하벽부(13)와의 간섭이 없는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저면 양측에는 소켓 안전덮개(1)가 소켓(30)에 결합된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10)가 소켓(3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소켓(30)의 양측 내부에 중심 방향으로 뻗은 돌출부(33)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차단돌기(14)를 더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과 도 2 참조).
이러한 소켓의 돌출부-소켓 안전덮개의 차단돌기 구조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한 상기 소켓 안전덮개(1)가 소켓(30)에 대해 자유롭게 좌 또는 우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상부에는 상기 휠 커버(20)를 일정깊이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휠 커버 수용홈(15)이 더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2 참조).
일실시예로,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휠 커버 수용홈(15)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4개소에 각각 잠금홈(15a)이 형성되고 상기 휠 커버(20)의 각각의 대응 내벽에는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러한 베이스 커버의 잠금홈-휠 커버의 돌기 구조는 상기 휠 커버(20)가 상기 베이스 커버(10)에 대해 일 정간격의 구간단위로 이동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 커버(20)의 아웃터 핑거홀(20a)의 주위에는 주변의 상면보다 오목하고 테두리선이 직선 또는 곡선,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인 장식 또는 미끄럼 방지용 단차홈(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홈(22) 내에는 장식 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돌기(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홈 또는 돌기, 또는 이들의 조합된 구조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의 외적 미관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휠 커버(20)의 단차홈(22)과 손가락, 또는 돌기(23)와 손가락, 또는 단차홈(22) 및 돌기(23)와 손가락 간의 마찰력을 주어 상기 휠 커버(20)를 상기 베이스 커버(10)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의 바람직한 조립과정 및 그 작동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소켓 안전덮개(1)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 커버(10)의 중공형 보스(12)의 상부에 휠 커버(20)의 중공형 지지축(21)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휠 커버(20)와 상기 베이스 커버(10)를 상호 밀착되게 누른다(도 2 참조).
그러면, 상기 휠 커버(20)의 중공형 지지축(21)이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중공형 보스(12)에 끼워져 상기 중공형 지지축(21)의 선단부의 양측 후크(21a)에 의해 상기 휠 커버(20)와 상기 베이스 커버(10)가 일체화 된다(도 1 참조). 이로써, 상기 베이스 커버(10)와 상기 휠 커버(20)로 구성되는 소켓 안전덮개(1)의 조 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조립 완료된 소켓 안전덮개(1)를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이동형 콘센트(consent), 또는 벽에 설치되는 고정형 아웃렛(outlet) 등의 소켓에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11)을 소켓(30)의 대응 구멍(31)에 정렬시킨 상태에서 상기 소켓 안전덮개(1)를 상기 소켓(30) 쪽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삽입핀(11)이 상기 소켓(30)의 대응 구멍(31)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도 1과 도 3 참조).
이때,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삽입핀(11)은 상기 소켓(30) 내의 해당 접속단자(미도시)에 각각 끼워져 해당 접속단자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소켓(30)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1)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밀착 고정상태에서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양측에 구비된 하벽부(13)와 상기 소켓(30)의 해당 어스단자(32) 간의 탄성 작용력에 의해 상기 소켓(30)에 더 밀착되게 고정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 경우,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두 하벽부(13)는 상기 소켓(30)의 해당 어스단자(32)를 상기 소켓(30)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두 하벽부(13)가 상기 소켓(30)의 해당 어스단자(32)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소켓(30)에 더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저면 양측에 차단돌 기(14)가 구비된 경우,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두 차단돌기(14)가 상기 소켓(30)의 해당 돌출부(33)의 전면에 각각 끼워지게 됨으로써 상기 소켓 안전덮개(1)에 대해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상기 소켓 안전덮개(1)는 상기 소켓(30)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소켓 안전덮개(1)를 상기 소켓(30)에 대해 무리하게 잡아 비틀어 분리시키려할 때 상기 소켓 안전덮개(1)의 삽입핀(11)으로부터 상기 소켓(30)의 접속단자(미도시)에 또는 그 반대로 가해질 수 있는 물리적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이동형 콘센트(consent), 또는 벽에 설치된 고정형 아웃렛(outlet) 등의 소켓(30)으로부터 안전소켓(1)을 분리시키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휠 커버(20)의 아웃터 핑거홀(20a)이 베이스 커버(10)의 인너 핑거홀(10a)과 마주하도록 손가락의 끝단부를 휠 커버(20)의 상면부분에 일정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상기 휠 커버(20)를 일측으로 회전시킨다(도 4 참조).
그런 다음, 상기 휠 커버(20)의 아웃터 핑거홀(20a)과 상기 베이스 커버(10)의 인너 핑거홀(10a)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아웃터 핑거홀(20a)과 상기 인너 핑거홀(10a)에 의해 발생된 개방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밀어 넣어 소켓 안전덮개(1)를 소켓(30)으로부터 잡아당겨 분리하면 된다(도 5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와 상기 소켓 안전덮개가 끼워지는 벽의 고정형 아웃렛 간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를 벽의 고정형 아웃렛의 소켓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전 손가락을 이용하여 휠 커버를 회전시킴을 통해 상기 휠 커버의 아웃터 핑거홀이 베이스 커버의 인너 핑거홀과 정렬되어진 분리준비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도.
도 5는 휠 커버의 아웃터 핑거홀과 베이스 커버의 인너 핑거홀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핑거홀들에 의해 개방된 공간을 통해 손가락을 밀어 넣어 소켓 안전덮개를 분리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켓 안전덮개가 벽의 고정형 아웃렛의 소켓에 끼워져 있으면서 휠 커버의 아웃터 핑거홀이 베이스 커버의 인너 핑거홀로부터 벗어난 평시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켓 안전덮개 10: 베이스 커버
10a: 인너 핑거홀 11: 삽입핀
12: 중공형 보스 13: 하벽부
14: 차단돌기 15: 휠 커버 수용홈
20: 휠 커버 20a: 아웃터 핑거홀
21a: 후크 21: 중공형 지지축
22: 단차홈 23: 돌기

Claims (6)

  1. 저면에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되고 소켓의 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삽입핀과,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는 중공형 보스와, 상기 중공형 보스와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된 인너 핑거홀을 포함하는 베이스 커버; 및
    저면의 중앙부분에 하방으로 뻗고 축선을 따라 분할된 형태를 이루며, 선단부의 양측에 후크를 갖는 중공형 지지축과, 상기 중공형 지지축과 외부 테두리 사이의 일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인너 핑거홀과 대응 가능한 아웃터 핑거홀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지지축이 상기 베이스 커버의 중공형 보스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베이스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한 휠 커버;
    를 포함하는 소켓 안전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각 삽입핀은 축선을 따라 분할된 형태를 이루는 것인 소켓 안전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저면 양측에는 소켓 안전덮개가 소켓에 결합된 경우 상기 소켓 내에 구비된 양측 판스프링 형태의 어스단자와 일정 탄성 밀착력을 유지하 도록 하벽부(lower wall part)가 더 형성된 것인 소켓 안전덮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두 하벽부와의 간섭이 없는 상기 베이스 커버의 저면 양측에는 소켓 안전덮개가 소켓에 결합된 경우 상기 베이스 커버가 소켓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소켓의 양측 내부에 중심 방향으로 뻗은 돌출부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차단돌기를 더 갖는 것인 소켓 안전덮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휠 커버를 일정깊이로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휠 커버 수용홈이 더 형성된 것인 소켓 안전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휠 커버 수용홈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4개소에 각각 잠금홈이 형성되고 상기 휠 커버의 각각의 대응 내벽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인 소켓 안전덮개.
KR2020090009379U 2009-07-20 2009-07-20 소켓 안전덮개 KR200469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79U KR200469505Y1 (ko) 2009-07-20 2009-07-20 소켓 안전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379U KR200469505Y1 (ko) 2009-07-20 2009-07-20 소켓 안전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56U KR20110000856U (ko) 2011-01-27
KR200469505Y1 true KR200469505Y1 (ko) 2013-10-16

Family

ID=4420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379U KR200469505Y1 (ko) 2009-07-20 2009-07-20 소켓 안전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95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427B1 (ko) * 2011-04-22 2013-02-15 정현출 콘센트 안전 커버
KR101894146B1 (ko) * 2016-10-20 2018-08-31 윤홍식 콘센트 안전 커버
KR101992691B1 (ko) * 2017-12-22 2019-06-25 곽창용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2039590B1 (ko) * 2018-03-19 2019-11-01 곽창용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2210244B1 (ko) * 2019-04-03 2021-02-02 (주)위너스 콘센트 안전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307A (en) 1978-11-29 1983-04-19 Dart Industries Inc. Dispensing devices
KR200162180Y1 (ko) 1996-07-25 1999-12-01 이흥연 콘센트 안전덮개
KR20020055035A (ko) * 2000-12-28 2002-07-08 김원철 콘센트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0307A (en) 1978-11-29 1983-04-19 Dart Industries Inc. Dispensing devices
KR200162180Y1 (ko) 1996-07-25 1999-12-01 이흥연 콘센트 안전덮개
KR20020055035A (ko) * 2000-12-28 2002-07-08 김원철 콘센트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856U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505Y1 (ko) 소켓 안전덮개
US7300297B1 (en) Power supply with a changeable plug
US5988375A (en) Disc box structure
US7168969B1 (en) Adjustable right angle electrical plug with an interchangeable plug assembly
US7008246B2 (en) Electric plug with replaceable head unit
JP3040622U (ja) 差込みピンパネルを交換することができるコンバータ装置
US7011535B2 (en) Safety device for electrical plugs and a method of attaching same
US10522939B2 (en) Cover assembly for a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EP2831956A1 (en) Dust cap for a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US5997318A (en) Structure of an electrical socket
KR102039590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US6305956B1 (en) Replaceable panel for receptacles
KR200486875Y1 (ko) 콘센트 안전 덮개
KR101179290B1 (ko) 탈거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GB2416432A (en) Electrical plug with plunger to assist removal
US7806707B1 (en) Socket protection cover structure
KR101894146B1 (ko) 콘센트 안전 커버
KR100852853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2210244B1 (ko) 콘센트 안전커버
KR200479997Y1 (ko) 캡 내삽형 스위치 멀티 콘센트
KR101992691B1 (ko) 콘센트용 안전커버
KR101132892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CN215777413U (zh) 烹饪器具
CN210167547U (zh) 一种触摸式五孔插座
KR0122171Y1 (ko) 콘센트 안전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