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7229B1 -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7229B1
KR101917229B1 KR1020180024624A KR20180024624A KR101917229B1 KR 101917229 B1 KR101917229 B1 KR 101917229B1 KR 1020180024624 A KR1020180024624 A KR 1020180024624A KR 20180024624 A KR20180024624 A KR 20180024624A KR 101917229 B1 KR101917229 B1 KR 101917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cover
press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주)혜광전기감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광전기감리 filed Critical (주)혜광전기감리
Priority to KR102018002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7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7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7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하여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켜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의 분리 없이 전환장치를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장치를 조명하여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Electric Wire Apparatus of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Change Possiblility}
본 발명은 송배전 기술 분야 중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하여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켜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의 분리 없이 전환장치를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장치를 조명하여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선로장치는 벽체나, 기둥, 천장이나 바닥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전기장치의 플러그와 맞물려서 외부 전력을 전기장치로 전달하는 수단이며, 통상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가 케이스에 내설된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배전 선로장치는 접속부와, 매립된 외부 전력선이 1:1로 연결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노화로 인한 단선 등의 문제가 외부 전력선에 발생할 경우, 전력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외부 전력선에 이상이 발생되면 해당 전력선을 교체하였는데, 외부 전력선은 벽체에 매립되므로 전력선이 위치한 벽체을 뜯은 뒤 교체하거나, 전기 기술자의 요비선을 이용하여 외부 전력선을 당기고 밀어주는 방식 등으로 교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며, 전기설비는 일반인이 다루기엔 위험한 설비이므로 전기 기술자의 고용이 수반되어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11272호(2007.05.02.)에는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배전 선로장치는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11272호(2007.05.02.)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하여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켜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의 분리 없이 전환장치를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장치를 조명하여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립부(110)와, 플러그 삽입구(121)를 갖춘 노출부(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200,200'); 및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접속부(20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200,200')와 외부 전력선(A,A')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30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플러그 삽입구(121)에 대응하는 관통공(410,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케이스(1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환장치(300)가 은폐되는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장치(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40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방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분리없이 상기 전환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도어(500);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는 조명부(600); 및 상기 도어(500)의 개폐를 조절하는 잠금수단(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도어(500)를 향하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710a)가 형성되는 케이싱(710); 일단부가 상기 도어(50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는 가압바(721)와, 상기 가압바(72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압착판(722)을 포함하는 가압부재(720);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720)를 가압하는 스프링(730); 및 개방된 상기 케이싱(710)의 일단부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720)가 상기 케이싱(7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740)을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재(720)는, 상기 스프링(730)의 가압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도어(50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도어(50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른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500)와 접하는 한편, 상기 도어(5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730)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프링(730)은,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른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72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도어(500)의 개방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720)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500)의 닫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함으로써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케이스로부터 커버의 분리 없이 교체가 가능한 것은 물론, 전환장치를 조명함으로써 어두운 상황에서도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서 도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조명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서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잠금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711272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711272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71127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는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로 대체하고, 커버의 분리없이 전환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711272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는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부(110)와, 플러그 삽입구(121)를 갖추고 매립부(110)의 상부에 위치해 벽체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200,200')를 갖춘 송배전 선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접속부(20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200,200')와 외부 전력선(A,A')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300)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환장치(300)는 공지의 다양한 전환방식으로의 응용이 가능하므로 선로의 수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주전력선(A) 이외에 외부 보조전력선(A')을 1개만 추가로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의해 선로의 수와, 선로를 전환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 주전력선(A)의 노화로 인한 합선, 누전, 또는 단선이 되어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환장치(300)를 조작해 외부 주전력선(A)과 접속부(200,200')를 단락시킨 뒤, 추가로 매립된 외부 보조전력선(A')으로 선로를 변경하여 다시 접속부(200,200')에 연결시키면,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가 장난으로 전환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는 염려가 있어서, 이와 같이 사용자 부주의로 인해 전환장치(300)가 조작된 경우엔, 해당 송배전 선로장치에 접속된 전기장치가 작동을 멈추거나 혹은, 정상 선로에서 이상 선로로 외부 전력선(A,A')이 변경되어 전기장치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를 보강하였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플러그 삽입구(121)에 대응하는 관통공(410,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케이스(100)에 탈착이 가능하여, 부착시 전환장치(300)를 은폐하는 기능이 보강된다.
따라서, 선로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커버(400)를 분리시킨 뒤, 전환장치(300)를 조작하여 선로를 변경하고, 선로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커버(400)와 케이스(100)를 결합시켜, 전환장치(300)를 은폐하고, 커버(400)에 형성된 관통공(410,410')으로 인하여,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121) 접속시킴에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수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노출부(120)에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400)는 상기 결합홈(122)에 대응하는 결합돌기(420)가 형성된다.
하지만, 커버(400)와 케이스(100)를 결합시키는 목적이 평상시 전환장치(300)를 은폐시키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121)에 접속시킬 경우, 불편이 없도록 함이므로, 케이스(100)와 커버(400)의 탈착 방법은 상기 목적에 맞추어 적절한 다른 방식으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환장치(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40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방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분리 없이 상기 전환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도어(500),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는 조명부(600) 및 상기 도어(500)의 개폐를 조절하는 잠금부(7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커버(4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401)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500)는 상기 커버(400)에 경첩 등의 절첩부재(5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중공(401)을 개폐한다.
상기 도어(500)는 상기 중공(401)의 형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401)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기 커버(400)의 상부에 안착되거나, 상기 중공(40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면서 상기 중공(401)으로 인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0)에는 손가락 등으로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개폐돌기(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돌기(520)는 상기 도어(50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4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둘레를 이루는 가장자리가 경사면(402)을 이루며, 상기 개폐돌기(520)는 상기 경사면(402)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폐돌기(520)에 대한 인위적인 가압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500)에 대한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돌기(520) 및 상기 개폐돌기(520)와 접하는 상기 커버(400)에는 각각 자석(530)이 구비되면서 상기 개폐돌기(520)가 자력에 의해 상기 커버(400)에 결속될 수 있다.
상기 도어(500)는 상기 개폐돌기(520)가 상기 커버(4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서 평상시 안정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도어(500)의 개방만으로 상기 전환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커버(400)를 분리하는 불편함과 함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600)는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여 상기 전환장치(300)의 조작을 통한 외부 전력선(A,A')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부(600)는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램프(610), 상기 외부 전력선(A,A')과 상기 램프(610)를 연결하여 상기 외부 전력선(A,A')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램프(610)가 점등되도록 하는 전원도선(620) 및 상기 전원도선(620)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50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램프(610)가 점,소등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63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610)는 형광램프, 백열램프 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엘이디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610)는 상기 전환장치(300)와 함께 상기 전환장치(300)의 주변을 조명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전환장치(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도선(620)은 상기 외부 전력선(A,A')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램프(610)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도선(620)은 두 개의 외부 전력선(A,A')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전력선에 연결되거나, 두 개의 외부 전력선(A,A')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는, 두 개의 외부 전력선(A,A')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전력선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다른 하나의 외부 전력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램프(610)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리미트스위치(630)는 상기 도어(500)의 개폐에 따라 온(ON)/오프(OFF) 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4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400) 사이에는 상기 램프(610)와 함께 상기 리미트스위치(630)가 구비될 수 있는 정도의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트스위치(630)는 상기 도어(500)가 열림에 따라 상기 도어(500)와 접한 상태로부터 이격되면서 온(ON) 되며 상기 전원도선(620)이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램프(610)가 점등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630)는 열린 상태의 상기 도어(500)가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500)와 접하면서 오프(OFF) 되며 상기 전원도선(620)이 단선되도록 하여 상기 램프(610)가 소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도어(500)의 개방과 함께 상기 램프(610)가 자동으로 점등되면서 상기 전환장치(300)를 밝게 조명할 수 있음으로써 어두운 상황에서도 상기 전환장치(300)에 대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500)의 닫힘과 함께 상기 램프(610)가 자동으로 소등됨으로써 상기 램프(610)에 대한 소등 동작을 진행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700)는 상기 도어(500)를 향하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710a)가 형성되는 케이싱(710), 일단부가 상기 도어(50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는 가압바(721)와, 상기 가압바(72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압착판(722)을 포함하는 가압부재(720),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720)를 가압하는 스프링(730) 및 개방된 상기 케이싱(710)의 일단부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720)가 상기 케이싱(7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7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710)은 일단부가 개방되는 원통 형태를 이루며,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는 스프링(730)을 보호하면서 상기 스프링(730)의 원활한 수축,이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압부재(720)는 상기 스프링(730)의 가압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도어(50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도어(50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른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500)와 접하는 한편, 상기 도어(5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730)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가압부재(720)는 상기 가압바(721)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500)에 접하는 반구판(7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구판(723)은 반구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른 회전시 상기 도어(500)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탈방지캡(740)은 타단부가 개방되면서 개방된 상기 케이싱(710)의 일단부 외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케이싱(710)은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캡(74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면서 케이싱(710)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캡(740)은 풀림 회전에 따라 케이싱(7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스프링(730) 및 가압부재(720)가 상기 케이싱(71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이탈방지캡(740)의 분리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720) 및 상기 스프링(730)에 대한 점검과 함께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730)은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른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72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도어(500)의 개방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720)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500)의 닫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500)의 개방은 상기 개폐돌기(520)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500)의 개방 해제는 상기 개폐돌기(520)로의 인위적인 가압 해제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700)는 상기 도어(500)의 개방 해제에 따라 상기 도어(500)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00)는 상기 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수단(7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710)은 상,하부에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710b)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력조절수단(750)은 상기 스프링(730)의 타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는 조절판(752)과, 상기 조절판(752)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공(710b)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753)를 포함하는 조절부재(751) 및 상기 케이싱(71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싱(7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조절부재(75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754)를 포함한다.
즉, 상기 탄성력조절수단(750)은 상기 조절너트(754)를 인위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조절부재(751)를 상기 케이싱(7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압착판(722)과 상기 조절판(752) 간의 이격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력조절수단(750)은 상기 도어(50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730)의 수축 정도가 최대에 가깝도록 하여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500)가 개방되지 않도록 잠금할 수 있다.
100: 케이스 110: 매립부
120: 노출부 121: 플러그 삽입구
122: 결합홈 200: 접속부
300: 전환장치 400: 커버
410: 관통공 420: 결합돌기
430: 중공 500: 도어
600: 조명부 610: 램프
620: 전원도선 630: 리미트스위치
700: 가압수단 710: 케이싱
720: 가압부재 721: 가압바
722: 압착판 730: 스프링
740: 이탈방지캡 750: 탄성력조절수단
751: 조절부재 752: 조절판
753: 가이드돌기 754: 조절너트

Claims (1)

  1. 매립부(110)와, 플러그 삽입구(121)를 갖춘 노출부(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200,200'); 및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접속부(20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200,200')와 외부 전력선(A,A')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30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플러그 삽입구(121)에 대응하는 관통공(410,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케이스(1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환장치(300)가 은폐되는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장치(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40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방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분리없이 상기 전환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도어(500);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는 조명부(600); 및
    상기 도어(500)의 개폐를 조절하는 잠금수단(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4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401)이 형성되고, 둘레를 이루는 가장자리가 경사면(402)을 이루며,
    상기 도어(500)는,
    상기 커버(400)에 절첩부재(5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중공(401)을 개폐하는 한편, 개폐를 위한 개폐돌기(520)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돌기(520)는,
    상기 도어(50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4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402)에 위치되면서 상기 도어(500)에 대한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개폐돌기(520) 및 상기 개폐돌기(520)와 접하는 상기 커버(400)에는,
    각각 자석(530)이 구비되고,
    상기 도어(500)는,
    상기 개폐돌기(520)가 상기 커버(400)에 자력에 의해 부착되면서 평상시 결속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도어(500)를 향하는 일단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공간부(710a)가 형성되고, 상,하부에 일단부로부터 타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공(710b)이 형성되는 케이싱(710);
    일단부가 상기 도어(50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는 가압바(721)와, 상기 가압바(721)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압착판(722)을 포함하는 가압부재(720);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며, 상기 가압부재(720)를 가압하는 스프링(730);
    개방된 상기 케이싱(710)의 일단부로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720)가 상기 케이싱(7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캡(740); 및
    상기 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탄성력조절수단(750)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720)는,
    상기 스프링(730)의 가압에 의해 일단부가 상기 도어(50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도어(500)의 닫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른 회동에 따라 상기 도어(500)와 접하는 한편, 상기 도어(5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프링(730)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스프링(730)은,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른 회동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720)의 가압에 의해 수축되는 한편, 상기 도어(500)의 개방 해제에 따라 이완되면서 상기 가압부재(720)를 가압하여 상기 도어(500)의 닫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탄성력조절수단(750)은,
    상기 스프링(730)의 타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공간부(710a)로 수용되는 조절판(752)과, 상기 조절판(752)의 상,하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공(710b)을 통과하는 가이드돌기(753)를 포함하는 조절부재(751); 및
    상기 케이싱(710)의 외측으로 나사결합되면서 회전에 따라 상기 케이싱(7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조절부재(751)를 가압 또는 가압해제하면서 상기 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7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KR1020180024624A 2018-02-28 2018-02-28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KR101917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24A KR101917229B1 (ko) 2018-02-28 2018-02-28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624A KR101917229B1 (ko) 2018-02-28 2018-02-28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7229B1 true KR101917229B1 (ko) 2018-11-12

Family

ID=6439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624A KR101917229B1 (ko) 2018-02-28 2018-02-28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72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70B1 (ko) * 2019-08-12 2019-10-3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KR102171999B1 (ko) *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68B1 (ko) * 2006-08-25 2007-01-05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KR100711272B1 (ko) * 2006-11-17 2007-05-02 황국주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KR200442690Y1 (ko) * 2008-07-22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분전반 곁문의 자동 점등 및 계폐장치
KR200450181Y1 (ko) 2009-09-07 2010-09-08 김선호 전원스위치 안전커버가 구비된 멀티콘센트
KR101554627B1 (ko) 2013-08-19 2015-09-22 박성웅 자동 하강되는 좌변기의 변기커버
KR101570333B1 (ko) 2015-06-25 2015-11-19 (주)한중엔시에스 휴대 및 이동형 상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제어용 다중 스위치
KR101751505B1 (ko) 2015-10-26 2017-06-28 주식회사 망고소프트랩 콘세트용 안전 커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368B1 (ko) * 2006-08-25 2007-01-05 주식회사 아키덤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벽면 매립형 콘센트 안전 커버
KR100711272B1 (ko) * 2006-11-17 2007-05-02 황국주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KR200442690Y1 (ko) * 2008-07-22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분전반 곁문의 자동 점등 및 계폐장치
KR200450181Y1 (ko) 2009-09-07 2010-09-08 김선호 전원스위치 안전커버가 구비된 멀티콘센트
KR101554627B1 (ko) 2013-08-19 2015-09-22 박성웅 자동 하강되는 좌변기의 변기커버
KR101570333B1 (ko) 2015-06-25 2015-11-19 (주)한중엔시에스 휴대 및 이동형 상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 제어용 다중 스위치
KR101751505B1 (ko) 2015-10-26 2017-06-28 주식회사 망고소프트랩 콘세트용 안전 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70B1 (ko) * 2019-08-12 2019-10-3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KR102171999B1 (ko) *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6500B1 (en) Power socket device with enabling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917229B1 (ko)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KR102070673B1 (ko) 공동주택의 감전사고 방지형 콘센트 단자함
US20030092297A1 (en) Convenience light with supplemental electrical outlet
KR102038870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US4383186A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CN205752893U (zh) 转接器、光源装置和照明设备
US5095408A (en) Video camera illuminating adapter
CN105375229A (zh) 配线管道连接装置
US7255471B2 (en) Safety night light
WO2010139385A2 (en) A mains power failure indicator
KR100857012B1 (ko) 기중차단기용 인터록장치
KR101017580B1 (ko) 전원 일괄제어 장치
KR102171999B1 (ko)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KR101966873B1 (ko) 매립형 도어 핸들
KR200235471Y1 (ko) 발광램프를 구비한 안전콘센트
US20230175677A1 (en) Warning device
US11948759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KR101685988B1 (ko) 공동주택의 벽체 내설형 led 전원 배전구조물
CN214013223U (zh) 设备控制装置与垃圾处理系统
JP3561994B2 (ja) 電源ポール
CA2329042A1 (en) Switch cover plate providing automatic emergency lighting
US20240113480A1 (en) Current Signaling Wall Socket Face Plate
KR200183926Y1 (ko) 전원 플러그
US6215249B1 (en) Fluorescent lam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