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272B1 -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272B1
KR100711272B1 KR1020060114046A KR20060114046A KR100711272B1 KR 100711272 B1 KR100711272 B1 KR 100711272B1 KR 1020060114046 A KR1020060114046 A KR 1020060114046A KR 20060114046 A KR20060114046 A KR 20060114046A KR 100711272 B1 KR100711272 B1 KR 100711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tribution line
line
power line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국주
Original Assignee
황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국주 filed Critical 황국주
Priority to KR1020060114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송배전 선로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에 설치되고,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와 외부 전력선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외부 주 전력선에 이상 발생시,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전력공급라인을 외부 보조 전력선으로 바꾸는 것만으로도 전력공급차단 문제를 즉시 해결할 수 있으므로, 보수 및 유지가 유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Electric Wire Apparatus of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 Change Possiblility }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외부 주전력선, A':외부 보조전력선,
100:케이스, 110:매립부,
120:노출부, 121:플러그 삽입구,
122:결합홈, 200:접속부,
300:전환장치, 400:커버,
410:관통공, 420:결합돌기 .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송배전 선로장치(통상 매립형 콘센트라 지칭)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송배전 선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송배전 선로장치는 벽체나, 기둥, 천정이나 바닥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전기장치의 플러그와 맞물려서, 외부 전력을 전기장치로 전달하는 수단이며, 일반적으로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가 케이스에 내설되어진 단순한 구조를 이룬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송배전 선로장치의 접속부와, 매립된 외부 전력선이 1:1로 연결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노화로 인한 단선 등의 문제가 외부 전력선에 발생한 경우, 전력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외부 전력선에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전력선을 교체하였는데, 외부 전력선은 벽체에 매립되므로, 전력선이 위치한 벽체을 뜯은 뒤 교체하거나, 전기 기술자의 요비선을 이용하여, 외부 전력선을 당기고 밀어주는 방식 등으로 교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었으며, 전기설비는 일반인이 다루기엔 위험한 설비이므로, 전기 기술자의 고용이 수반되어, 추가 비용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하여,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켜,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송배전 선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매립부와, 플러그 삽입구를 갖춘 노출부가 구비된 케이스; 케이스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를 갖춘 송배전 선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와 외부 전력선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배전 선로 장치는,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부(110)와, 플러그 삽입구(121)를 갖추고 매립부(110)의 상부에 위치해 벽 체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200,200')를 갖춘 송배전 선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접속부(20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200,200')와 외부 전력선(A,A')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300)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환장치(300)는 공지의 다양한 전환방식으로의 응용이 가능하므로 선로의 수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외부 주전력선(A) 이외에 외부 보조전력선(A')을 1개만 추가로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의해 선로의 수와, 선로를 전환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 주전력선(A)의 노화로 인한 합선, 누전, 또는 단선이 되어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환장치(300)를 조작해 외부 주전력선(A)과 접속부(200,200')를 단락시킨 뒤, 추가로 매립된 외부 보조전력선(A')으로 선로를 변경하여 다시 접속부(200,200')에 연결시키면,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 된다.
한편, 어린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가 장난으로 전환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는 염려가 있어서, 이와 같이 사용자 부주의로 인해 전환장치(300)가 조작된 경우엔, 해당 송배전 선로장치에 접속된 전기장치가 작동을 멈추거나 혹은, 정 상 선로에서 이상 선로로 외부 전력선(A,A')이 변경되어 전기장치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를 보강하였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플러그 삽입구(121)에 대응하는 관통공(410,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케이스(100)에 탈착이 가능하여, 부착시 전환장치(300)를 은폐하는 기능이 보강된다.
따라서, 선로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커버(400)를 분리시킨 뒤, 전환장치(300)를 조작하여 선로를 변경하고, 선로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커버(400)와 케이스(100)를 결합시켜, 전환장치(300)를 은폐하고, 커버(400)에 형성된 관통공(410,410')으로 인하여,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121) 접속시킴에 사용자가 불편을 느낄 수 없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스(100)의 노출부(120)에 결합홈(122)을 형성시키고, 결합홈(122)에 대응하여 커버(400)에 결합돌기(420)를 형성시켰다. 하지만, 커버(400)와 케이스(100)를 결합시키는 목적이 평상시 전환장치(300)를 은폐시키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121)에 접속시킬 경우, 불편이 없도록 함이므로, 케이스(100)와 커버(400)의 탈착 방법은 상기 목적에 맞추어 적절한 다른 방식으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기술에서 어려웠던, 이상이 발생한 외부 주전력선(A)을, 전환장치(300)로 조작하여 접속부(200,200')와 단락시키고, 복수로 매립된 외부 보조전력선(A')으로 선로를 전환시키면, 전력의 정상적인 공급이 단시간에 이루어지고, 벽체를 뜯는 등의 공사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경감되며, 복구를 위해 전기 기술자를 고용하는 등의 고용 비용이 발생하지 않아 비용 절감의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2)

  1. 매립부(110)와, 플러그 삽입구(121)를 갖춘 노출부(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200,200')를 갖춘 송배전 선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접속부(20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200,200')와 외부 전력선(A,A')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300)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의 플러그 삽입구(121)에 대응하는 관통공(410,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케이스(1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환장치(300)가 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KR1020060114046A 2006-11-17 2006-11-17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KR100711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046A KR100711272B1 (ko) 2006-11-17 2006-11-17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046A KR100711272B1 (ko) 2006-11-17 2006-11-17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272B1 true KR100711272B1 (ko) 2007-05-02

Family

ID=38269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046A KR100711272B1 (ko) 2006-11-17 2006-11-17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27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229B1 (ko) * 2018-02-28 2018-11-12 (주)혜광전기감리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KR102038870B1 (ko) 2019-08-12 2019-10-3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KR102171999B1 (ko) *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3518Y1 (ko) * 2000-05-03 2000-11-15 김정무 다기능 매립형 콘센트
KR20000075439A (ko) * 1999-05-27 2000-12-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정격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전원전압을 안정적으로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전압발생회로
KR20040009176A (ko) * 2002-07-22 2004-01-31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변전소의 주변압기 탭 변환장치 블로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5439A (ko) * 1999-05-27 2000-12-15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정격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전원전압을 안정적으로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전압발생회로
KR200203518Y1 (ko) * 2000-05-03 2000-11-15 김정무 다기능 매립형 콘센트
KR20040009176A (ko) * 2002-07-22 2004-01-31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변전소의 주변압기 탭 변환장치 블로킹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10-2004-0009176호 (2004.01.31)
공개특허공보 특2000-0075439호 (2000.12.15)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3518호 (2000.11.15)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7229B1 (ko) * 2018-02-28 2018-11-12 (주)혜광전기감리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KR102038870B1 (ko) 2019-08-12 2019-10-31 (주)진전기엔지니어링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KR102171999B1 (ko) *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7815C (e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KR101135882B1 (ko) 전동기 제어반
KR100711272B1 (ko)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GB2469223A (en) Push-fit electrical fitting
EP3254347B1 (en) Consumer units, receptacles for consumer units and consumer unit systems
KR200372972Y1 (ko) 전기설비 상시.절전콘센트 설치 시스템
CN206806798U (zh) 一种强弱一体式配电箱
HU225923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for two electrical apparatus such as a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combined with a controlled switch, and electrical apparatus adapted to such device.
CN101404387A (zh) 开关柜外接始端母线装置
JP2006338886A (ja) ブレーカユニット
CN204516661U (zh) 一种机械联锁装置
KR102171999B1 (ko)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JP2013201834A (ja) 配電盤用キーインターロック方法
CN210326613U (zh) 一种母线槽插接配电箱
CN104335424B (zh) 电路分配器
JP2018129961A (ja) 交流/直流給電システム
KR200355740Y1 (ko) 스위칭 전원콘센트
JP6652955B2 (ja) 分電盤
JP2009177969A (ja) 分電盤
KR100783505B1 (ko)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 배전반의 현장입력에 대한통신인터페이스장치
KR200336081Y1 (ko) 매립형 전원스위치 유니트
JP6843636B2 (ja) 交流/直流給電システム
US20100007210A1 (en) Green power system
CN112002592A (zh) 一种可方便更换的隔离开关用辅助开关
CN102347592B (zh) 1500v直流上网隔离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