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870B1 -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870B1
KR102038870B1 KR1020190098125A KR20190098125A KR102038870B1 KR 102038870 B1 KR102038870 B1 KR 102038870B1 KR 1020190098125 A KR1020190098125 A KR 1020190098125A KR 20190098125 A KR20190098125 A KR 20190098125A KR 102038870 B1 KR102038870 B1 KR 10203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xternal power
power line
switching devi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전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진전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9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하여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켜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의 분리 없이 전환장치를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장치를 조명하여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electric line join device of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하여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켜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의 분리 없이 전환장치를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장치를 조명하여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선로장치는 벽체나, 기둥, 천장이나 바닥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어 전기장치의 플러그와 맞물려서 외부 전력을 전기장치로 전달하는 수단이며, 통상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가 케이스에 내설된 단순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배전 선로장치는 접속부와, 매립된 외부 전력선이 1:1로 연결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노화로 인한 단선 등의 문제가 외부 전력선에 발생할 경우, 전력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외부 전력선에 이상이 발생되면 해당 전력선을 교체하였는데, 외부전력선은 벽체에 매립되므로 전력선이 위치한 벽체을 철거한 후 교체하거나, 전기 기술자의 요비선을 이용하여 외부 전력선을 당기고 밀어주는 방식 등으로 교체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며, 전기설비는 일반인이 다루기엔 위험한 설비이므로 전기 기술자의 고용이 수반되어 추가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11272호(2007.05.02.)에는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송배전 선로장치는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711272호(2007.05.02.)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하여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켜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커버의 분리 없이 전환장치를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장치를 조명하여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매립부와, 플러그 삽입구를 갖춘 노출부가 구비된 케이스; 케이스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 및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고,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와 외부 전력선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플러그 삽입구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케이스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환장치가 은폐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일측에 고정공이 형성되고, 둘레를 이루는 가장자리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커버; 상기 전환장치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방에 따라 상기 커버의 분리없이 상기 전환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에 절첩부재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중공을 개폐하는 한편, 개폐를 위하여 상기 커버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개폐돌기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되어 평상시 결속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절첩부재가 설치된 후방에 돌출되게 가압돌기가 형성된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환장치를 조명하는 조명부; 및 상기 절첩부재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안내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형성된 안내공을 따라서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면은 가압돌기에 긴밀히 접촉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탄력 지지하도록 수용부에 내장된 가압스프링과, 상기 가압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하우징의 하단에 조절볼트가 나사 결합된 잠금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외부 전력선의 매립시 선로를 1개 이상 즉, 복수의 선로를 형성한 뒤 매립함으로써 외부 전력선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간단히 전환장치를 조작하여 이상이 있는 외부 전력선을 접속부에서 분리시키고, 정상 전력선으로 선로를 변경 및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일반인이 간편하고 손쉬운 방법으로 단시간에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외부 전력선으로부터의 전원공급 차단에 따른 다른 외부 전력선으로의 교체시, 케이스로부터 커버의 분리없이 교체가 가능한 것은 물론, 전환장치를 조명함으로써 어두운 상황에서도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서 도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3에서 조명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서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잠금부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711272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711272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711272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로 대체하고, 커버의 분리없이 전환장치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711272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는 벽체에 매립되는 매립부(110)와, 플러그 삽입구(121)를 갖추고 매립부(110)의 상부에 위치해 벽체 밖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되는 접속부(200,200')를 갖춘 송배전 선로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접속부(20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200,200')와 외부 전력선(A,A')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300)가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전환장치(300)는 공지의 다양한 전환방식으로의 응용이 가능하므로 선로의 수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주전력선(A) 이외에 외부 보조전력선(A')을 1개만 추가로 형성하였지만, 필요에 의해 선로의 수와, 선로를 전환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 주전력선(A)의 노화로 인한 합선, 누전, 또는 단선이 되어 전력 공급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전환장치(300)를 조작해 외부 주전력선(A)과 접속부(200,200')를 단락시킨 뒤, 추가로 매립된 외부 보조전력선(A')으로 선로를 변경하여 다시 접속부(200,200')에 연결시키면,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한편, 어린아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아이가 장난으로 전환장치(300)를 조작할 수 있는 염려가 있어서, 이와 같이 사용자 부주의로 인해 전환장치(300)가 조작된 경우엔, 해당 송배전 선로장치에 접속된 전기장치가 작동을 멈추거나 혹은, 정상 선로에서 이상 선로로 외부 전력선(A,A')이 변경되어 전기장치의 작동에 문제가 발생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0)를 보강하였다.
즉, 상기 케이스(100)의 플러그 삽입구(121)에 대응하는 관통공(410,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케이스(100)에 탈착이 가능하여, 부착시 전환장치(300)를 은폐하는 기능이 보강된다.
따라서, 선로변경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커버(400)를 분리시킨 뒤, 전환장치(300)를 조작하여 선로를 변경하고, 선로변경이 요구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커버(400)와 케이스(100)를 결합시켜, 전환장치(300)를 은폐하고, 커버(400)에 형성된 관통공(410,410')으로 인하여,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121) 접속시킴에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100)는 노출부(120)에 결합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400)는 상기 결합홈(122)에 대응하는 결합돌기(420)가 형성된다.
하지만, 커버(400)와 케이스(100)를 결합시키는 목적이 평상시 전환장치(300)를 은폐시키되,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121)에 접속시킬 경우, 불편이 없도록 함이므로, 케이스(100)와 커버(400)의 탈착 방법은 상기 목적에 맞추어 적절한 다른 방식으로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커버(400)의 분리 없이 상기 전환 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도어(500), 상기 도어(500)의 개방에 따라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는 조명부(600) 및 상기 도어(500)의 개폐를 조절하는 잠금수단(70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커버(400)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40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401)의 일측에는 고정공(403)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500)는 상기 커버(400)에 경첩 등의 절첩부재(5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중공(401)을 개폐한다.
상기 도어(500)는 상기 중공(401)의 형태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중공(401)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40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500)에는 손가락 등으로의 개폐가 용이하도록 개폐돌기(5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돌기(520)는 상기 도어(50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커버(4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0)는 둘레를 이루는 가장자리가 경사면(402)을 이루며, 상기 개폐돌기(520)는 상기 경사면(402)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개폐돌기(520)에 대한 인위적인 가압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500)에 대한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개폐돌기(520)의 하부에는 걸림돌기(521)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걸림돌기(521)는 커버(400)에 형성된 고정공(40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500)는 커버(400)에 결속되는 것이다.
즉, 상기 도어(500)는 상기 걸림돌기(521)가 상기 커버(400)에 형성된 고정공(403)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평상시 안정된 결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돌기(520)가 형성된 반대방향에는 가압돌기(5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500)의 개방만으로 상기 전환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상기 커버(400)를 분리하는 불편함과 함께 상기 커버(400)가 상기 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600)는 상기 도어(500)가 개방되면 램프(610)가 점등되어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게 되므로 상기 전환장치(300)의 조작을 통한 외부 전력선(A,A')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조명부(600)는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도록 상기 케이스(100)에 구비되는 램프(610), 상기 외부 전력선(A,A')과 상기 램프(610)를 연결하여 상기 외부 전력선(A,A')으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램프(610)가 점등되도록 하는 전원도선(620) 및 상기 전원도선(620)에 연결되며 상기 도어(500)의 개폐에 따라 상기 램프(610)가 점,소등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630)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610)는 형광램프, 백열램프 등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엘이디램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610)는 상기 전환장치(300)와 함께 상기 전환장치(300)의 주변을 [0046] 조명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전환장치(3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도선(620)은 상기 외부 전력선(A,A')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상기 램프(610)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도선(620)은 두 개의 외부 전력선(A,A')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전력선에 연결되거나, 두 개의 외부 전력선(A,A')에 동시에 연결되면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는, 두 개의 외부 전력선(A,A') 중 어느 하나의 외부 전력선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다른 하나의 외부 전력선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램프(610)가 점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리미트스위치(630)는 상기 도어(500)의 개폐에 따라 온(ON)/오프(OFF) 되도록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4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0)와 상기 커버(400) 사이에는 상기 램프(610)와 함께 상기 리미트스위치(630)가 구비될 수 있는 정도의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트스위치(630)는 상기 도어(500)가 열림에 따라 상기 도어(500)와 접한 상태로부터 이격되면서 온(ON)되며 상기 전원도선(620)이 접선되도록 하여 상기 램프(610)가 점등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630)는 열린 상태의 상기 도어(500)가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500)와 접하면서 오프(OFF) 되며 상기 전원도선(620)이 단선되도록 하여 상기 램프(610)가 소등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상기 도어(500)의 개방과 함께 상기 램프(610)가 자동으로 점등되면서 상기 전환장치(300)를 밝게 조명할 수 있음으로써 어두운 상황에서도 상기 전환장치(300)에 대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500)의 닫힘과 함께 상기 램프(610)가 자동으로 소등됨으로써 상기 램프(610)에 대한 소등 동작을 진행할 필요가 없는 것은 물론, 불필요한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700)은 상기 절첩부재(510)의 하부에 하우징(710)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710)의 내부에는 수용부(712)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안내공(7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공(711)은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등간격이 유지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710)의 상부에는 가압판(720)이 설치되어 있되, 상기 가압판(720)은 하우징(710)의 상부에 상하부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외측 둘레면 하부에는 상기 안내공(711)에 끼워지는 안내돌기(7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내돌기(721)는 적어도 2개 이상 복수개가 등간격이 유지되게 형성되어 있되, 안내공(711)과 동일한 개수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710)에 형성된 수용부(712)에는 가압스프링(730)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스프링(730)의 상부는 가압판(720)의 저면에 긴밀히 접촉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판(720)을 탄력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710)의 하부에는 가압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조절볼트(74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500)가 닫혀진 상태이며, 이때에는 걸림돌기(521)는 고정공(403)에 삽입된 상태로서, 도어(500)가 닫혀진 상탤를 유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판(720)은 가압스프링(7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되는 것이고, 상기 가압판(720)은 도어(500)에 형성된 가압돌기(53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도어(5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500)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에는 개폐돌기(520)를 당기면 걸림돌기(521)는 고정공(403)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도어(500)는 절첩부재(51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500)가 회전되면 가압돌기(530)가 함께 회전되면서 가압판(720)을 하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고, 상기 도어(500)가 완전히 개방되면 가압판(720)은 가압스프링(730)의 복원력에 의해서 가압돌기(530)를 탄력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도어(50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710)에 나사 결합된 조절볼트(740)를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볼트(740)의 단부가 하우징(7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이동되므로 가압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압스프링(730)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어(500)를 개방시킬 때 가해지는 힘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의 분리 없이 전환장치를 통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환장치를 조명하여 외부 전력선에 대한 교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00 : 케이스 110 : 매립부
120 : 노출부 121: 플러그 삽입구
122 : 결합홈 200 : 접속부
300 : 전환장치 400 : 커버
410 : 관통공 420 : 결합돌기
430 : 중공 500 : 도어
600: 조명부 610: 램프
620 : 전원도선 630 : 리미트스위치
700 : 가압수단 710 : 하우징
720 : 가압판 730 : 가압 스프링
740 : 조절볼트

Claims (1)

  1. 매립부(110)와, 플러그 삽입구(121)를 갖춘 노출부(120)가 구비된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에 내설되어,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부(200,200'); 및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고, 접속부(200,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외부 전력선(A,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부(200,200')와 외부 전력선(A,A')과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전환하는 전환장치(30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플러그 삽입구(121)에 대응하는 관통공(410,410')이 형성된 커버(400)가 케이스(100)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전환장치(300)가 은폐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중공(401)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401)의 일측에 고정공(403)이 형성되고, 둘레를 이루는 가장자리가 경사면(402)으로 형성된 커버(400);
    상기 전환장치(3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커버(400)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방에 따라 상기 커버(400)의 분리없이 상기 전환장치(30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버(400)에 절첩부재(51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중공(401)을 개폐하는 한편, 개폐를 위하여 상기 커버(4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개폐돌기(520)와, 상기 커버(400)에 형성된 고정공(403)에 삽입되어 평상시 결속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돌기(521)와 상기 절첩부재(510)가 설치된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저면의 하향 돌출되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가압돌기(530)가 형성된 도어(500);
    상기 도어(500)가 개방되면 상기 전환장치(300)를 조명하도록 램프(610)가 점등되는 조명부(600); 및
    상기 절첩부재(5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용부(712)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안내공(711)이 형성된 하우징(710)과, 상기 하우징(710)의 상측에 형성된 안내공(711)을 따라서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면은 가압돌기(530)에 긴밀히 접촉되는 가압판(720)과, 상기 가압판(720)을 탄력 지지하도록 수용부(712)에 내장된 가압스프링(730)과, 상기 가압스프링(730)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하우징(710)의 하단에 조절볼트(740)가 나사 결합된 잠금수단(7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KR1020190098125A 2019-08-12 2019-08-12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KR10203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25A KR102038870B1 (ko) 2019-08-12 2019-08-12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125A KR102038870B1 (ko) 2019-08-12 2019-08-12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870B1 true KR102038870B1 (ko) 2019-10-31

Family

ID=68420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8125A KR102038870B1 (ko) 2019-08-12 2019-08-12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999B1 (ko)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72B1 (ko) 2006-11-17 2007-05-02 황국주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KR200442690Y1 (ko) * 2008-07-22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분전반 곁문의 자동 점등 및 계폐장치
KR101917229B1 (ko) * 2018-02-28 2018-11-12 (주)혜광전기감리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72B1 (ko) 2006-11-17 2007-05-02 황국주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송배전 선로장치
KR200442690Y1 (ko) * 2008-07-22 2008-12-05 주식회사 라이트 제림 분전반 곁문의 자동 점등 및 계폐장치
KR101917229B1 (ko) * 2018-02-28 2018-11-12 (주)혜광전기감리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999B1 (ko) 2020-02-17 2020-10-30 주식회사 이레기술단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1108C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necting a light emitting diode light fixture to a mains power conductor
KR101625079B1 (ko) 전원공급제어를 위한 공동주택의 배전함
US9167667B2 (en) Removable night light
US7806557B2 (en) Lighting unit, receptacle unit, and assembly thereof
CN111316509B (zh) 活动盖板
US20060120073A1 (en) Emergency ballast
DK2348522T3 (en) Mounted installation or -trykknap with a tilt with a light output of an illumination
KR101596115B1 (ko) 조명의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라인 타입 조명장치
KR102038870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연결 장치
KR20110073914A (ko) 슬라이딩 체결 및 접점구조를 갖는 천장용 조명등
TW201738503A (zh) 具有電池備用功能之電燈
CN102155701B (zh) 暗装式led光源
KR101917229B1 (ko) 송배전의 전선연결 변경이 가능한 선로장치
US4383186A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US11473766B2 (en) Exit light with plug-in housing
KR101853187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TWM400154U (en) Wall type emergency lighting and charging module
US20090135598A1 (en) Electrical lamp system
US20130155662A1 (en) Modular Lighting System
CN102859628B (zh) 发光插件和电布线开关
JP2011070945A (ja) 直流配電用コンセント、照明器具および直流配電システム
KR102171999B1 (ko) 배전선로의 연결시스템
JP6624549B2 (ja) 非常用照明装置
GB2220531A (en) Branching adaptor for ceiling rose outlet
KR101685988B1 (ko) 공동주택의 벽체 내설형 led 전원 배전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