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926Y1 - 전원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926Y1
KR200183926Y1 KR2019990026747U KR19990026747U KR200183926Y1 KR 200183926 Y1 KR200183926 Y1 KR 200183926Y1 KR 2019990026747 U KR2019990026747 U KR 2019990026747U KR 19990026747 U KR19990026747 U KR 19990026747U KR 200183926 Y1 KR200183926 Y1 KR 200183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lug
terminal
power supply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6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홍
Original Assignee
김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홍 filed Critical 김지홍
Priority to KR2019990026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센트(10)에 끼워지는 삽입부(11)상에 전원선 연결단자(5)가 각각 구비된 두개의 전원단자(3)와 접지단자(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속이빈 'ㄱ'자형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상방 개구부상에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자들의 노출을 방지하는 뚜껑체(2)로 이루어지는 전원 플러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내에는 상기 전원단자(3)와 전원선 연결단자(5)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거나 단락시켜 줄 수 있는 전원 스위치(7)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7)의 두 접속단자(71) 사이에는 보호저항(9)을 구비한 전원램프(8)를 설치하여 각종 전기,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자할시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코도 가능토록 하여 플러그의 사용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전기,전자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일부 전원전압을 소비하므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해당 기기로의 전원전압 공급여부를 육안을 통해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원 플러그{Plug}
본 고안은 전원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상세히는,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설치되어 콘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원 플러그상에 전원 스위치와 전원 램프를 설치하여 각종 전기,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자할시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코도 가능토록 하여 사용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전기,전자기기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일부 전원전압을 소비하므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또 해당 기기로의 전원전압 공급여부를 육안을 통해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전력의 교류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 전기,전자기기에는 전원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고(물론, 대전력의 구동전압을 요하는 전기,전자기기는 전원선을 입입선이나 배전반 등에 직접 연결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 이와같은 전원 플러그는 벽이나 바닥등지에 매설 또는 돌출되게 설치된 콘센트에 선택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원 플러그에는 전기,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단속시킨다든가 현재 해당 전기,전자 기기로 교류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 또는 기구물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대부분의 전기,전자기기에서는 비록 전체 구성품들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하더라도 일부 구성부(예를들어 파워단 또는 예열부 등)에서 소정량의 소비전력을 갖게 됨에 따라 어떠한 전기,전자기기는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지 않을시 전원전압의 공급을 차단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풀러그에는 이러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때 마다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켜 주었다가 다시 작동시키고자 할시에는 또 다시 콘센트에 플러그를 결합시켜 주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소정의 전기,자기기를 작동시키고자 해당 기기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스위치를 '온'시켰는데도 불구하고 구동되지 않을시 해당 기기가 고장이 났는지 아니면 해당 기기의 플러그가 꽂혀져 있는 콘센트의 라인 자체가 단락등에 의해 전원전압이 아예 공급되지 않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해당 기기 자체가 고장난 것으로 인식하고 써비스를 요하거나 해당 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뽑아내고 테스터 등을 이용하여 콘센트까지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직접 확인해야만 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전원 플러그의 내부에 전원 스위치와 전원 램프를 설치하여 각종 전기,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자할시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코도 가능하게 하여 사용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당 전기,전자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일부 전원전압을 소비하므로 인해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또 해당 기기로의 전원전압 공급여부를 육안을 통해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전원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에 끼워지는 삽입부상에 전원선 연결단자가 각각 구비된 두개의 전원단자와 접지단자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속이빈 'ㄱ'자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상에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뚜껑체로 이루어져 콘센트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전원 플러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내에는 상기 전원단자와 전원선 연결단자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거나 단락시켜 주는 전원 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전원 스위치의 접속단자 사이에는 보호저항을 구비한 전원램프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전기,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자할시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코도 가능하여 플러그의 사용성 및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 해당 전기,전자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기기로 전원전압이 공급되는지의 여부를 육안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도 3의 (a)(b)는 본 고안 플러그에 설치한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보인 요부 절취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플러그 중 전원 램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몸체부 2 : 뚜껑체
3 : 전원단자 4 : 접지단자
5 : 전원선 연결단자 6 : 접지판
7 : 전원 스위치 8 : 전원 램프
9 : 보호저항 10 : 콘센트
71 : 접속단자 72 : 조작레버
73 : 작동레버 74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플러그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의 (a)(b)는 본 고안 플러그에 설치한 전원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보인 요부 절취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 플러그 중 전원 램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콘센트(10)에 끼워지는 삽입부(11)상에 전원선 연결단자(5)가 각각 구비된 두개의 전원단자(3)와 접지단자(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속이빈 'ㄱ'자형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상방 개구부상에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자들의 노출을 방지하는 뚜껑체(2)로 이루어지는 전원 플러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내에는 상기 전원단자(3)와 전원선 연결단자(5)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거나 단락시켜 줄 수 있는 전원 스위치(7)를 설치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 스위치(7)는 일단부가 전원선 연결단자(5)에 고정된 체 타단부가 작동레버(73)의 구동에 부응하여 상기 전원단자(3)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한쌍의 판스프링형 접속단자(71)와; 전원램프 통과공(721)을 구비하고 저부로 돌출된 힌지봉(722)의 중간부가 상기 몸체부(1)내의 접지판(6)에 형성된 힌지편(61)에 축지되어 뚜껑체(2)에 형성시킨 통공(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부응하여 시소작동하는 조작레버(72)와; 저단부에 접속단자 걸림편(731)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72)와 함께 상단부가 상기 접지판(6)의 힌지편(61)에 축지되어 조작레버(72)의 작동이 있을시 스프링(74)의 휨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접지판(6)이 전원단자(3)에 접속 또는 비접속되도록 하는 작동레버(73)와; 상기 조작레버(72)의 힌지봉(722) 저부와 작동레버(73)의 하단 중앙부 사이에 설치되어 조작레버(72)의 회전운동과 반대방향으로 작동레버(73)가 회동운동토록 하는 스프링(74)으로 구성된 것을 부가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 스위치(7)의 두 접속단자(71) 사이에는 보호저항(9)을 구비한 전원램프(8)를 설치하되, 상기 보호저항(9)과 전원 램프(8)의 각 외측단자는 상기 두 접속단자(71)의 중간부분에 절결 형성시킨 고정편(711)에 의해 압착 고정시킨 것을 또 다른 부가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10)에 꽂는 과정에서 전기,전자기기에 과부하가 인가될 우려가 있으므로 플러그상에 설치되어 전원 스위치(7)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는 것이 좋다.
이와같이 전원 스위치(7)를 '오프'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는 상기 전원 스위치(7)의 접속단자(7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램프(8)에도 전원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소등상태를 유지한다.
즉, 뚜껑체(2)의 통공(21)을 통해 돌출된 시소형 조작레버(72)를 '오프'위치로 조작하면 스프링(74)을 통해 연결된 작동레버(73)가 도 3의 (b)와 같이 조작레버(72)의 회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여 그의 걸림편(731)상에 자유단부가 끼워져 있는 접속단자(71)를 전원단자(3)로 부터 이격시켜 주게 되므로 콘센트(10)내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전원단자(3)와 전기,전자기기의 전원선과 접속상태에 있는 연결단자(5)를 상기 접속단자(71)가 전기적으로 단선시켜 주게 되어 전기,전자기기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단자(7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램프(8)로의 전원전압 공급도 차단상태가 되므로 전원 램프(8)가 소등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해당 전기,전자기기로 전원전압을 공급시켜 주기 위해 상기 뚜껑체(2)의 통공(21)을 통해 돌출된 시소형 조작레버(72)를 '온'위치로 조작하면 스프링(74)을 통해 연결된 작동레버(73)가 도 3의 (a)와 같이 조작레버(72)의 회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어 접속단자(71)의 자유단부를 전원단자(3)에 접속시켜 주게 되므로 콘센트(10)내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는 상기 전원단자(3)가 접속단자(71)를 통해 전원선 연결단자(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해당 전기,전자기기에 전원전압이 공급됨은 물론 상기 접속단자(71)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 램프(8)에도 전원전압이 공급되어 상기 전원 램프(8)가 점등된다(물론, 상기 콘센트(10) 까지 정상적으로 전원접압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전재부로 할때).
따라서, 사용자는 이 전원 램프(8)의 점등상태를 보고 해당 전기,전자기기에 전원전압이 정확히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 램프(8)에는 보호저항(9)이 직렬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전원 램프(8)를 과전류로 부터 보호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콘센트(10)상에 전원 플러그를 꽂고 전원 스위치(7)를 '온'시켜 소정의 전기,전자기기를 작동시키던 중 장기간 또는 비록 단기간이라 하더라도 해당 전기,전자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차단시켜야할 사항이 발생되었을시에는(물론, 해당 전기,전자기기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는 제외) 상기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그 상태에서 전원 스위치(7)만 '오프'시켜 주면 된다.
즉, 각종 전기,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자할에는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전원 스위치(7)만을 '오프'시켜주는 동작만으로 차단시킬 수 있음에 따라, 플러그의 사용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해당 전기,전자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장기간 동안 불필요하게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종 전기,전자기기에 설치되는 전원 플러그의 내부에 전원 스위치와 전원 램프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각종 전기,전자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자할시 플러그를 콘센트로 부터 분리시키지 않코도 가능하게 하여 플러그의 사용성 및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전기,전자기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일부 전원전압을 소비하므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또 해당 기기로의 전원전압 공급여부를 육안을 통해 손쉽게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콘센트(10)에 끼워지는 삽입부(11)상에 전원선 연결단자(5)가 각각 구비된 두개의 전원단자(3)와 접지단자(4)가 설치된 구성을 갖는 속이빈 'ㄱ'자형 몸체부(1)와; 상기 몸체부(1)의 상방 개구부상에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단자들의 노출을 방지하는 뚜껑체(2)로 이루어지는 전원 플러그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내에는 상기 전원단자(3)와 전원선 연결단자(5)를 선택적으로 연결시켜 주거나 단락시켜 줄 수 있는 전원 스위치(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7)는 일단부가 전원선 연결단자(5)에 고정된 체 타단부가 작동레버(73)의 구동에 부응하여 상기 전원단자(3)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한쌍의 판스프링형 접속단자(71)와; 전원램프 통과공(721)을 구비하고 저부로 돌출된 힌지봉(722)의 중간부가 상기 몸체부(1)내의 접지판(6)에 형성된 힌지편(61)에 축지되어 뚜껑체(2)에 형성시킨 통공(2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부응하여 시소작동하는 조작레버(72)와; 저단부에 접속단자 걸림편(731)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72)와 함께 상단부가 상기 접지판(6)의 힌지편(61)에 축지되어 조작레버(72)의 작동이 있을시 스프링(74)의 휨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며 접지판(6)이 전원단자(3)에 접속 또는 비접속되도록 하는 작동레버(73)와; 상기 조작레버(72)의 힌지봉(722) 저부와 작동레버(73)의 하단 중앙부 사이에 설치되어 조작레버(72)의 회전운동과 반대방향으로 작동레버(73)가 회동운동토록 하는 스프링(7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 스위치(7)의 두 접속단자(71) 사이에는 보호저항(9)과 전원램프(8)를 직렬 연결시킨 형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플러그.
KR2019990026747U 1999-12-01 1999-12-01 전원 플러그 KR200183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47U KR200183926Y1 (ko) 1999-12-01 1999-12-01 전원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6747U KR200183926Y1 (ko) 1999-12-01 1999-12-01 전원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926Y1 true KR200183926Y1 (ko) 2000-06-01

Family

ID=1959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6747U KR200183926Y1 (ko) 1999-12-01 1999-12-01 전원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03A (ko) * 2001-09-28 2003-04-07 김보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503A (ko) * 2001-09-28 2003-04-07 김보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6500B1 (en) Power socket device with enabling switch and method of operation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WO2000051207A3 (en) Improved electrical socket and plug
US4679884A (en) Fused electrical plug
US4013330A (en) Dual-standard electric plug
US8766761B2 (en) Rocker switch unit with fuse
US8215993B2 (en) Socket
KR200183926Y1 (ko) 전원 플러그
US5315475A (en) Electrician's free power cord
KR20180061244A (ko) 식별 수단을 갖는 리셉터클
KR20060006750A (ko) 매립형 콘센트에 장착하는 스위치가 부설된 콘센트
KR200173819Y1 (ko) 커넥터의 퓨즈설치구조
CN219144585U (zh) 插座
KR200185369Y1 (ko)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KR200151974Y1 (ko) 멀티형 콘센트
CN201122746Y (zh) 一种过载保护插座
KR200153241Y1 (ko) 어댑터와 플러그의 접속구조
KR200243855Y1 (ko) 퓨즈가 장착된 형광등용 커넥터
JP4696005B2 (ja) 電力量計
KR20010019838A (ko) 엘이드를 부착한 퓨즈 내장 플러그
KR200301787Y1 (ko) 콘센트겸용 전원플러그
JP2002260789A (ja) 電源入力機構及び電気機器
KR950001464Y1 (ko) 플러그
KR20220005789A (ko) 전원단자를 구비한 누전차단기
KR200343331Y1 (ko)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