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503A -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503A
KR20030027503A KR1020010060818A KR20010060818A KR20030027503A KR 20030027503 A KR20030027503 A KR 20030027503A KR 1020010060818 A KR1020010060818 A KR 1020010060818A KR 20010060818 A KR20010060818 A KR 20010060818A KR 20030027503 A KR20030027503 A KR 20030027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lug
built
powe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환
Original Assignee
김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환 filed Critical 김보환
Priority to KR102001006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7503A/ko
Publication of KR2003002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50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는 전기제품 및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고 난 후 전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지 않고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고, 전원을 간단한 스위치 동작으로 차단하므로서 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플러그의 몸체부의 두부에 형성된 방수돌조가 콘센트에 타이트하게 빈틈이 없이 밀착되므로 방수 및 방수효과가 우수하게 되고 야간에는 발광하게 되므로서 용이하게 위치를 인식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Plug equipped with power switch }
본 발명은 에너지 소모를 줄이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끼우는 플러그에 개폐스위치를 내설시켜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를 빼거나 끼우지 않고, 간편한 스위치 작동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플러그에서 차단하므로서,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워놓고 방치하므로서 발생되는 에너지 낭비를 예방하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텔레비전, 비디오 테이프 녹화기, 전축 등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벽에 내장된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지만 외출시나 취침 등과 같이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단지 전기제품에 설치된 전원스위치만 폐로하고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를 빼지않고 사용하게 된다.
또한, 공장에서는 전원스위치가 단자함에 설치되어 개폐로를 할 수 있지만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각 기기의 플러그를 뺏다, 꽂았다 해야 하므로 플러그의 파손으로 감전의 위험이 따랐다.
또한, 전기제품의 불사용시 콘센트에 전기제품의 플러그를 꽂아두면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다는 사실을 숙지하고 있을지라도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빼는 자체가 번거롭고, 매번 허리를 굽혀 강하게 꽂혀있는 플러그를 빼고 사용시 다시 꼽기가 불편하여 플러그를 꽂아둔 상태로 사용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전기제품에 구비된 전원스위치만 끄게 되기 때문에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놓으므로서 전기제품내의 회로상에 공급되는 미세한 전류가 소비되므로서 발생되는 에너지의 낭비가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또한, 이와같이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 경우 물이나 습기로 인하여 쇼트가 발생될 우려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고 난 후 전기제품의 자체 전원을 끄고, 전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지 않으므로서 발생되는 에너지낭비를 예방하기 위한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와 전기콘센트사이에 방수방습이 가능하게 되어 홍수나 다습시에도 안전하게 전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컴컴한 야간에도 플러그의 위치나 플러그에 내장된 전원스위치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되어 사용이 편리한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제품 및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끼워지는 플러그에 개폐전원스위치를 개설시켜 콘센트에 끼워진 플러그를빼거나 다시 끼우지 않고, 간편한 스위치 작동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므로서, 전기제품 및 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끼워놓으므로서 발생되는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텀불러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I-I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개로(ON)상태를 보인 접점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폐로(OFF)상태를 보인 접점상태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전원램프의 설치위치를 보인 배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접속단자부 2. 스위치부
3. 몸체부 4. 콘센트
21. 푸시버튼 24. 고정접점
25. 이동접점 26. 가동스프링
도1은 본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푸시버튼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5(a)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개로(ON)상태를 보인 접점상태도이고, 도5(b)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폐로(OFF)상태를 보인 접점상태도이고, 도5(c)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전원램프의 설치위치를 보인 배선도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일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A)는 콘센트에 삽입되는 접속단자부(1)와, 개폐장치를 가진 스위치부(2)와, 상기 접속단자부(1)와 스위치부(2)를 내장하는 몸체부(3)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단자부(1)는 '+'와'-'의 2개의 전극봉(11)과 상기 전극봉(11)을 일체로 고정하고 상기 몸체부(3)의 홈에 끼워지는 고정체(12)와 상기 전극봉(11)의 끝단에 전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29)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2)는 플렉시블한 실리콘커버(22)로 감싸고 상기 몸체부(3)의상부에 고정되는 푸시버튼(21)과 일단부가 버튼몸체(2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푸시버튼(21)의 구동에 따라 상하 두 고정접점(24) 사이를 회동하는 이동접점(25)을 가진 가동스프링(26)과 상기 가동스프링(26)의 중앙부에 설치된 핀플런저(27)와 상기 가동스프링(26)의 일단부와 하측 고정접점(24)은 전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29)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는 상하 2분할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접속단자(29)를 내삽하고 스위치장착홈(31)을 가지며 볼트로 2분할체를 결합하므로서 상기 내삽물들을 보호하며 상기 몸체부(3)의 콘센트(도시되지 않음)와 접촉되는 두부(32)에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방수돌조(33)가 형성되어 있다. 본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3)는 야간에도 용이하게 인식이 가능하도록 야광실리콘으로 제조되었으나 일반 합성수지로 제조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스위치장착홈(31)에 콘센트로부터 들어오는 전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함과 동시에 전원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전원램프(28)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스위치를 내장된 플러그(A)의 작용을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는 과정에서 전기기기에 과부하가 인가될 우려가 있으므로 플러그상에 설치된 전원스위치가 폐로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전원스위치가 폐로시킨 상태에서 플러그를 콘센트에 꽂은 상태에서는 상기 스위치부(2)의 접속단자(29)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램프(28)에도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소등상태를 유지한다.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기 위해 상기 몸체부(3)의 상부에 설치된 푸시버튼(21)을 누르면 가동스프링(26)의 중앙부에 설치된 핀플런저(27)가 연동하여 눌리면서 상기 '-'전극봉(11)과 연결된 하측 고정접점(24)에 연결되면 콘센트(4)내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는 접속단자(29)를 통해 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해당 전기기기에 전원이 공급됨은 물론 상기 접속단자(29)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램프(28)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전원램프(28)에도 점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전원램프(28)의 점등상태를 보고 해당 전기기기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각종 전기기기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자 할 때에는 플러그(A)를 콘센트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전원스위치만을 폐로시키는 동작만으로 차단시킬 수 있음으로 해당 전기기기의 사용하지않는 기간에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전기의 소모를 간단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플러그(A)가 콘센트내에 접속되면 플러그(A)의 몸체부(3)의 두부(32)에 형성된 방수돌조(33)가 콘센트와 강하게 밀착되고 상기 방수돌조(33)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형성되므로 콘센트에 타이트하게 빈틈이 없이 밀착되므로 방수 및 방수효과가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도3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따른 텀불러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텀불러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5(a)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개로(ON)상태를 보인 접점상태도이고, 도5(b)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폐로(OFF)상태를 보인접점상태도이고, 도5(c)는 본 발명의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의 전원램프의 설치위치를 보인 배선도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는 콘센트에 삽입되는 접속단자부(1)와, 개폐장치를 가진 스위치부(2)와, 상기 접속단자부(1)와 스위치부(2)를 내장하는 몸체부(3)로 구성된 구성부 중에서 개폐장치를 가진 스위치부(2)가 텀블러스위치(21a)로 구성되어 있는 텀불러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B)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2)는 중앙부가 핀(22)고정된 텀불러스위치(21a)와 일단부가 버튼몸체(2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텀불러스위치(21a)의 구동에 따라 상하 두 고정접점(24) 사이를 회동하는 이동접점(25)을 가진 가동스프링(26)과 상기 가동스프링(26)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텀불러스위치(21a)의 중앙부까지 연장설치되는 접촉스프링(27a)과 상기 하측 고정접점(24)에는 '-'전극봉(11)과 연결되는 접속단자(29)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는 전기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고 난 후 전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뽑지 않고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전원의 공급여부를 판단하고, 전원을 간단한 그위치 동작으로 차단하므로서 에너지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플러그의 몸체부의 두부에 형성된 방수돌조가 콘센트에 타이트하게 빈틈이 없이 밀착되므로 방수 및 방수효과가 우수하게 되고 야간에는 발광하게 되므로서 용이하게 위치를 인식가능하게 되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콘센트에 삽입되는 접속단자부(1)와, 개폐장치를 가진 스위치부(2)와, 상기 접속단자부(1)와 스위치부(2)를 내장하는 몸체부(3)로 구성된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A)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2)는 플렉시블한 실리콘커버(22)로 감싸고 상기 몸체부(3)의 상부에 고정되는 푸시버튼(21)과 일단부가 버튼몸체(2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푸시버튼(21)의 구동에 따라 상하 두 고정접점(24) 사이를 회동하는 이동접점(25)을 가진 가동스프링(26)과 상기 가동스프링(26)의 중앙부에 설치된 핀플런저(27)와 상기 가동스프링(26)의 일단부와 하측 고정접점(24)은 전선이 연결되는 접속단자(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3)의 콘센트와 접촉되는 두부(32)에는 연질의 고무(3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장착홈(31)에 콘센트로부터 들어오는 전기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함과 동시에 전원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전원램프(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2)는 중앙부가 핀(30)고정된텀불러스위치(21a)와 일단부가 버튼몸체(23)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텀불러스위치(21a)의 구동에 따라 상하 두 고정접점(24) 사이를 회동하는 이동접점(25)을 가진 가동스프링(26)과 상기 가동스프링(26)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텀불러스위치(21a)의 중앙부까지 연장설치되는 접촉스프링(27a)과 상기 하측 고정접점(24)에는 '-'전극봉(11)과 연결되는 접속단자(2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KR1020010060818A 2001-09-28 2001-09-28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KR20030027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818A KR20030027503A (ko) 2001-09-28 2001-09-28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818A KR20030027503A (ko) 2001-09-28 2001-09-28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503A true KR20030027503A (ko) 2003-04-07

Family

ID=2956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818A KR20030027503A (ko) 2001-09-28 2001-09-28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750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794U (ko) * 2014-11-18 2016-05-26 안종섭 스위치를 구비한 플러그
CN108232679A (zh) * 2017-11-30 2018-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线、充电器
KR102420750B1 (ko) * 2021-07-19 2022-07-14 김수진 전선의 정리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멀티탭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9191U (ko) * 1974-02-14 1975-09-06
JPS54104074U (ko) * 1977-12-31 1979-07-21
KR19980033516A (ko) * 1998-04-21 1998-07-25 이상열 전원경로개폐구조를 갖춘 전원플러그
KR20000009252U (ko) * 1998-10-27 2000-05-25 천동일 절전과 전선 및 본체 결합이 편리한 플러그
KR200183926Y1 (ko) * 1999-12-01 2000-06-01 김지홍 전원 플러그
KR200223310Y1 (ko) * 2000-12-06 2001-05-15 윤성렬 온/오프 스위치가 부착된 전기 플러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9191U (ko) * 1974-02-14 1975-09-06
JPS54104074U (ko) * 1977-12-31 1979-07-21
KR19980033516A (ko) * 1998-04-21 1998-07-25 이상열 전원경로개폐구조를 갖춘 전원플러그
KR20000009252U (ko) * 1998-10-27 2000-05-25 천동일 절전과 전선 및 본체 결합이 편리한 플러그
KR200183926Y1 (ko) * 1999-12-01 2000-06-01 김지홍 전원 플러그
KR200223310Y1 (ko) * 2000-12-06 2001-05-15 윤성렬 온/오프 스위치가 부착된 전기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794U (ko) * 2014-11-18 2016-05-26 안종섭 스위치를 구비한 플러그
CN108232679A (zh) * 2017-11-30 2018-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数据线、充电器
KR102420750B1 (ko) * 2021-07-19 2022-07-14 김수진 전선의 정리 및 길이 조절이 용이한 멀티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51870A1 (en) Multiple outlet receptacle with circuit breaker and continuity switch mechanisms
CN109546435B (zh) 一种安全型电力插座装置
KR20030027503A (ko)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KR200270318Y1 (ko) 전원스위치가 내장된 플러그
DE50006226D1 (de) Elektrische Steckdose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KR200351819Y1 (ko) 멀티탭용 과전류 차단기
CN110932268B (zh) 一种多功能电源应用装置
JP2002276951A (ja) 電気こたつ用差込プラグ
KR200270405Y1 (ko) 콘센트
KR200160494Y1 (ko) 콘센트 커버
KR102523127B1 (ko) 전원플러그의 단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KR200301787Y1 (ko) 콘센트겸용 전원플러그
GB2187017A (en) Security plug alarm system
KR200333679Y1 (ko) 감전 방지용 콘센트
KR200185346Y1 (ko) 전원 플러그용 소켓
KR960001785Y1 (ko)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KR840000695Y1 (ko) 전원 조절을 아답터로 할 수 있는 플럭
KR200241628Y1 (ko) 콘센트
KR970005593Y1 (ko) 확장콘센트
KR200296682Y1 (ko) 전원플러그
KR970005590Y1 (ko) 확장콘센트
DE59805180D1 (de) Demontierbarer mehrpoliger elektrischer Stecker
KR200189829Y1 (ko) 스위치를 형성한 콘센트
KR200258744Y1 (ko) 쉬운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