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785Y1 -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 Google Patents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785Y1
KR960001785Y1 KR2019930018972U KR930018972U KR960001785Y1 KR 960001785 Y1 KR960001785 Y1 KR 960001785Y1 KR 2019930018972 U KR2019930018972 U KR 2019930018972U KR 930018972 U KR930018972 U KR 930018972U KR 960001785 Y1 KR960001785 Y1 KR 960001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ocket
socket
cassette
cassette re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819U (ko
Inventor
김문규
Original Assignee
김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규 filed Critical 김문규
Priority to KR2019930018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785Y1/ko
Publication of KR950009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7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제1도는 본 고안에서 복수의 전원소켓을 장착하여 외부전원을 사용하는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서 카셋트 레코드 내부의 건전지를 사용한 직류전원 차단 회로도
제3도는 카셋트 레코드에 접속시켜 외부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
제4도는 카셋트 레코드의 전원소켓에 전원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
제5도는 카셋트 레코드의 전원소켓에 전원코드의 플러그가 삽입되어 직류 전원이 차단된 상태
제6도는 본 고안을 이동한 카셋트 레코드의 좌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을 이용한 카셋트 레코드의 우측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을 이용한 카셋트 레코드의 후면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 카셋트 레코드에 장착된 전원소켓 2 : 전원소켓선택스위치
4, 4', 4" : 전원소켓 내부의 직류전원차단스위치
본 고안은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는, 쉽게 운반이 가능하여 빈번하게 자리를 옮겨 사용하게 되는 카셋트레코드의, 각 면에 전원소켓을 장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카셋트 레코드는 쉽게 운반이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한 곳에 카셋트레코드를 두고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카셋트 레코드 내부에 건전지를 넣고 휴대할 경우를 위하여 전원코드가 카셋트 레코드에서 분리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카셋트 레코드의 전원소켓이 한면에만 장착되어 있어 외부전원을 사용할 경우, 벽면에 설치되어 있는 콘센트와 카셋트 레코드에 장착된 전원소켓의 방향이 다르면 전원코드가 90°혹은 180°이상으로 심하게 굽어지거나, 혹은 그로 인해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와 카셋트 레코드와의 거리가 짧아져 원하는 장소에 원하는 방향으로 카셋트 레코드릍 두지 못하여 사용에 불편이 따르게 되고, 카셋트 레코드에서 전원코드가 접속된 부분은 벽면에 밀착시키지 못하여 좁은 책상위 등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전원소켓(1)(1')(1")을 카셋트 레코드의 두 면 혹은 생긴 모양대로의 각 면에 장착하여 부하에 병렬로 연결하고,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와 방향이 일치하는 전원소켓에 전원코드(3)를 접속한 후 전원소켓선 택스위치(2)를 통하여 전원코드가 접속된 전원소켓을 선택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단극 스위치를 사용하여 한 선만 개폐하도록 할 경우, 전원과 연결된 전원소켓의 나머지 한 선은 전원코드가 접속되지 않은 전원소켓의 한 선과 부하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원코드가 접속되지 않아 입구가 개방되어 있는 전원소켓의, 내부에 돌출된 두 단자(5) 중 한 단자에 신체의 일부분이나 전류가 흐르기 쉬운 물체가 접촉할 경우 감전사고의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극 스위치를 사용하여 두 선을 동시에 개폐하도록 하여야 하며, 여기에서 전원소켓선택스위치(2)는 만일 기기에 장착된 전원소켓이 3개일경우 3투, 4개일 경우는 4루 등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가전제품의 전원스위치에 해당하는 전원소켓선택스위치(2)는 필히 전원소켓들(1)(1')(1")중 한 전원소켓만이 선택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수로 2개 이상의 전원코드로 2개 이상의 전원소켓에 접속하여 잔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한 전원소켓만 부하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고 나머지 전원소켓들은 부하와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사고를 방지함은 물론, 역시 전원과 연결된 전원소켓과 전원코드가 접속되지 않아 입구가 개방된 전운소켓이 동시에 선택되어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전원코드가 접속되지 않은 전원소켓 내부에 돌출되어 있는 단자(5)에 신체의 일부분이나 전류가 흐르기 쉬운 물체가 접촉하더라도 감전이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카셋트 레코드에 장착되어 있는 기존의 전원소켓의 내부에는, 카셋트 레코드 내부의 건전지로부터의 직류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직류전원차단스위치(4)(4')(4")가 있는데, 이 직류전원차단스위치는 전원코드(3)의 카셋트 레코드쪽 플러그(3')가 전원소켓(1)(1')(1")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닫힌 상태가 되어 건전지의 전원이 부하로 공급되다가, 외부전운을 사용하기 위하여 플러그(2')를 전원소켓에 삽입하면 직류전원차단스위치(4)(4')(4")가 플러그(3')에 의해 눌려져 직류전원회로가 개방되고, 그로 인해 부하로 공급되는 건전지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카셋트 레코드에 여러개의 전원소켓(1)(1')(1")을 장착할 경우에는 전원소켓 내부에 있는 직류전원차단스위치(4)(4')(4 )을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하여, 이중 어느하나만 열려도 직류전원은 차단되도록 한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실물을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면, 전원소켓(1)(1')(1")은 기존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여 카셋트 레코드의 좌,우측면과 뒷면에 모두3개를 장착하고, 카셋트 레코드가 옆으로 길 경우 뒷면에도 좌·우로 장착하여 모두 4개를 장착할 수 있다. 전원소켓선택스위치(2)는 기존의 전원스위치의 역할을 하므로, 카셋트레코드의 전면에 기존의 전원스위치가 있던 자리에 장착하면 된다. 전원을 'ON'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코드를 적당한 전원소켓에 접속시키고 곧 이어서 전원소켓선택스위치(2)를 전원코드가 접속된 전원소켓쪽으로 절환시키면 되고 전원을 'OFF' 시키기 위해서는 전원소켓선택스위치(2)를 나머지 전원소켓 쪽으로 절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카셋트 레코드가 생긴 모양대로의 각 면에 전원소켓을 장착하여, 벽면에 설치된 코센트와 방향이 일치하는 전원소켓에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전원코드를 90°혹은 180°이상으로 심하게 굽히지 않아도 되며,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원코드의 내부 전선이 끊어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콘센트로 부터 카셋트 레코드를 들 수 잇는 거리가 멀어져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곳에 원하는 방향으로 카셋트 레코드를 들수 있으며, 좁은 책상위나 공간등에서 카셋트 레코드를 벽면에 밀착시킬 경우벽면에 밀착되지 않은 면의 전원소켓에 전원코드를 접속하여 벽면에 카셋트레코드를 쉽게 밀착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있다.

Claims (2)

  1. 전원코드(3)와 분리되도록 되어 있는 카셋트 레코드에서, 카셋트 레코드의 두 면 혹은 생긴 모양대로의 각 면에 복수의 전원소켓(1)(1')(1")을 장착하여 콘센트와 방향이 일치하는 면의 전원소켓에 전원코드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셋트 레코드.
  2. 제1항에 있어서, 전원소켓(1)(1')(1")을 부하에 병렬로 연결하고, 2극전원소켓선택스위치(2)릍 이용하여 전원소켓(1)(1')(1")에서 부하로 연결되는 두 선을 동시에 개폐함과 아울러, 복수의 전원소켓 중 한 전원소켓만 부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나머지 전원소켓과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 전원코드가 접속되지않아 입구가 개방되어 있는 전원소켓의 내부에 돌출된 단자(5)와 신체의 일부분이 접촉하는 등의 상황에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의 카셋트 레코드.
KR2019930018972U 1993-09-21 1993-09-21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KR960001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972U KR960001785Y1 (ko) 1993-09-21 1993-09-21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972U KR960001785Y1 (ko) 1993-09-21 1993-09-21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819U KR950009819U (ko) 1995-04-21
KR960001785Y1 true KR960001785Y1 (ko) 1996-02-24

Family

ID=1936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972U KR960001785Y1 (ko) 1993-09-21 1993-09-21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7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819U (ko) 199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5427B2 (en) Electrical interrupt switch
US2988617A (en) Three wire safety fuse adapter, grounding type
MY128214A (en) Electrical socket and plug
US3382355A (en) Illuminated electrical connector
US3928737A (en) Remote control switching device
US2907855A (en) Electric line switch
US5848915A (en) Offset power strip
CA2035419A1 (en) Electrical appliances
US6062886A (en) Waterproof AC power supply socket
US3523212A (en) Plug-in scr lamp dimmer with wall switch and socket
KR960001785Y1 (ko) 2개 이상의 전원소켓을 장착한 카셋트 레코드
US2799852A (en) Current responsive signal devices
JPH09283205A (ja) 電源プラグおよび電源コンセント
US4059773A (en) Switch controlled power receptacle system
GB2381669A (en) Folding plug
DE59808612D1 (de) Netzstromanschlussdose und -schalter
GB2266810A (en) Multi socket outlet assembly
US2840765A (en) Remote electrical control
CN216015125U (zh) 开关组件及插座
KR200185346Y1 (ko) 전원 플러그용 소켓
KR200214379Y1 (ko) 전원 차단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
JP3120330U (ja) コンセント付き電池充電器
KR950004629B1 (ko) 110/220볼트 겸용 플럭
KR200151974Y1 (ko) 멀티형 콘센트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