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369Y1 -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 Google Patents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369Y1
KR200185369Y1 KR2019990030134U KR19990030134U KR200185369Y1 KR 200185369 Y1 KR200185369 Y1 KR 200185369Y1 KR 2019990030134 U KR2019990030134 U KR 2019990030134U KR 19990030134 U KR19990030134 U KR 19990030134U KR 200185369 Y1 KR200185369 Y1 KR 2001853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outlet unit
contac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욱철
Original Assignee
정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욱철 filed Critical 정욱철
Priority to KR2019990030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3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3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3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리 및 결합시 많은 힘이 드는 문제점과, 방수가 안되어 감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과,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플러그 수용금구의 헐거워짐을 해결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는, 상용 교류전원의 전선과 연결되는 금구상에 돌출접점(37)이 구비된 전선접속금구(35)와; 절연수지로 몰딩형성되어 전면에는 플러그 수용구(51)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가이드홈(52)이 구비되고, 후면에는 상기 수용구(51)와 도체로 연결된 접점(54)이 구비된 콘센트유니트(50)와; 상기 콘센트유니트(50)를 끼울 수 있도록 개방구(42)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접속금구(3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어, 콘센트유니트(50)의 후면접점(54)과 전선접속금구(35)의 돌출접점(37)이 접촉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상기 전선접속금구(35)와 상기 콘센트유니트(50)를 결합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돌출단자(81)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유니트(50)의 수용구(51)에 삽입되는 플러그(8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유니트(50)의 수용구(51)와 상기 플러그(80)의 돌출단자(81)는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돌출단자(81)의 내부에 영구자석(8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는, 콘센트 수용구가 헐거워진 경우 해당 수용구가 속한 콘센트유니트(50)만 새것으로 교환가능하여 경제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자력을 이용하므로써 적은 힘으로도 플러그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고,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틈을 고무패킹(70)을 이용하여 메우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exchangeable outlet and plug}
본 고안은 상용 교류전원을 유도하는 콘센트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니트가 교환가능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단자가 자석으로 되어 있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와 콘센트가 결합한 모양을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살펴보면, 콘센트(10)의 수용구(1)로 플러그(20)의 단자(3)가 깊숙히 삽입되어 있다. 보통 플러그(20)의 단자(3)는 약 1.8cm정도로 콘센트(10)의 수용구(1) 또한 이 1.8cm 크기의 플러그 단자(3)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되어 있다. 콘센트(10)에 플러그(20)를 확실히 고정시키고, 전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약 1.8cm 정도의 크기가 적당하다. 그러나 도1과 같은 형태로 콘센트(10)에 플러그(20)를 삽입하거나 분리시킬 때는 성인의 경우에도 상당한 힘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수용구(1)가 플러그(20)의 단자(3)를 죄는 힘이 강해서 발생하는 문제점이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용구(1)가 플러그(20)의 단자(3)를 죄는 힘을 약하게 설계하면 콘센트(10)의 수용구(1)와 플러그(20)의 단자(3)사이에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10)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기계적 노화로 수용구(1)가 헐거워질 경우에도 접촉불량문제가 발생한다. 사용자가 이러한 접촉불량을 사전에 알지 못하여, 전기제품에 전기공급이 안되어 전기제품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기제품 자체에 고장이 있다고 오판하여 A/S를 의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접촉불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용구를 이루는 금구를 교체하여야 하나 종래의 콘센트는 이 금구를 따로 판매하지 않는다. 또한, 2극이나 3극 콘센트의 경우 금구가 모두 일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1극의 수용구만 헐거워져도 콘센트 전체를 새롭게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그리고 매입형 콘센트의 경우에는 금구가 상용교류전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금구를 콘센트로부터 분리하는 것 자체가 위험하다.
또한, 종래의 콘센트와 플러그는 결합하더라도 미세한 틈이 발생한다. 따라서, 물 묻은 손으로 플러그를 만질 경우 물이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틈을 통해 전기가 통하는 부분과 접촉되어 감전의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플러그 수용금구가 헐거워질 경우 이 수용금구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콘센트의 제공을 제1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콘센트로부터 플러그의 결합 및 분리가 쉽도록 함을 제2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방수가 되어 감전의 위험이 없는 콘센트의 제공을 제3목적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유니트와 플러그의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의 철편에 플러그를 부착시켜 놓은 모습을 보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센트 수용구 3 : 플러그 단자
10 : 콘센트 20,80 : 플러그
30 : 하부케이스 35 : 전선접속금구
40 : 하우징 43 : 가이드
50 : 콘센트유니트 51 : 암 요철접점
52 : 가이드홈 54 : 탄성접점
60 : 상부커버 63 : 철편
70 : 고무패킹 81 : 수 요철접점
82 : 영구자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는, 상용 교류전원을 전기용품으로 유도하는 콘센트와 플러그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의 전선과 연결되는 금구상에 돌출접점이 구비된 전선접속금구와; 절연수지로 몰딩형성되어 전면에는 플러그 수용구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고, 후면에는 상기 수용구와 도체로 연결된 접점이 구비된 콘센트유니트와; 상기 콘센트유니트를 끼울 수 있도록 개방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접속금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어, 콘센트유니트의 후면접점과 전선접속금구의 돌출접점이 접촉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전선접속금구와 상기 콘센트유니트를 결합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돌출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유니트의 수용구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유니트의 수용구와 상기 플러그의 돌출단자는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돌출단자의 내부에 영구자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콘센트유니트에서 분리시킨 플러그를 자력으로 부착시켜둘 수 있도록 한 철편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유니트는, 플러그와 결합시 결합틈을 메워 방수가 되도록 한 고무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콘센트와 플러그를 결합시킨 결합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의 유니트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플러그의 단자에 영구자석을 내장시킨 자석플러그를 구성하였다.
도2를 살펴보면, 좌측에 하부케이스(30)가 있고, 이 하부케이스(30)에는 전선접속금구(35)를 수납할 수 있도록 공간(31)이 마련되어 있다. 전선접속금구(35)는 체결공(36)이 길이방향으로 상하 양측에 있고, 이 전선접속금구(35)는 나사에 의해 상기 하부케이스(30)에 체결된다. 그리고 전선접속금구(35)에는 돌출접점(37)이 구비되어 있다. 하부케이스(30)를 비롯한 전선접속금구(35)에 대해서는 본 고안에서는 중요한 부분이 아니므로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상기 전선접속금구(35)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선이 접속되는 금구이다. 전선접속금구(35)상의 돌출접점(37)은 후술하게 될 콘센트유니트(5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분으로 도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콘센트유니트(50)의 후면에는 상기 돌출접점(37)과 접촉할 수 있도록 탄성력이 있는 접점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돌출접점(37)과 탄성접점에 의해 상용교류전원은 전선접속금구(35)를 거쳐 콘센트유니트(50)로 인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직육면체형상의 하우징(40)이 있다. 이 하우징(40)은 앞서의 하부케이스(30)와 결합되어 전선접속금구(35)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게 되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결합시키는 중심이 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40)은 절연수지로 몰딩되어 있으며 2개의 개방구(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개방구(42)는 후술하게 될 콘센트유니트(50)가 끼워지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2극 콘센트에 대한 것이므로 개방구(42)가 2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할 콘센트유니트(50)를 슬라이드형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상기 개방구(42)의 양측면에는 가이드(43)가 구비되어 있다. 2개의 개방구(42)에는 각각 콘센트유니트(50)가 끼워지고, 하우징(40)에 끼워진 콘센트유니트(50)를 상측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부커버(6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40)에는 하우징(40)과 상부커버(60)를 나사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체결공(41)이 있고, 상부커버(60)에는 개공(61)이 구비되어 있다.
다음으로, 콘센트유니트(50)에는 플러그(80)의 단자(수 요철접점, 81)가 끼워질 암 요철접점(51)이 있고, 양측면에는 하우징(40)의 가이드(43)와 맞물려 콘센트유니트(50)를 안내할 가이드홈(52)이 있다. 이 콘센트유니트(50)는 상부커버(60)에 의해 고정된다. 도4는 이 콘센트유니트(50)와 자석플러그(80)의 내부 단면도이다.
상기 콘센트유니트(50)는 본 고안에서 신규하게 구성한 것으로, 콘센트의 장시간 사용으로 콘센트유니트(50)의 수용구(암 요철접점, 51)가 헐거워져 플러그와 콘센트간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면 접속불량이 발생한 유니트만 교환할 수 있도록 콘센트유니트(50)를 구성하였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1극에 대한 수용구(51)가 헐거워졌다고 해서 콘센트 전체를 교체할 필요없이 해당 유니트만 매장에서 구입하여 교환하면 된다.
그리고 콘센트유니트(5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52)을 구비하여, 콘센트유니트(50)가 하우징(40)에 끼워진 상태에서 유동이 없도록 키(key)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40)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가이드홈(52)을 구성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유니트(50)의 측면 양측에 가이드홈(52)을 구성하여 하우징(40)내에서의 유동을 막고 슬라이드식으로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였지만 가이드홈(52)의 구성의도만 만족한다면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다른 형태로 가이드홈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콘센트유니트(50)의 측면이나 후면 중 어느 일부분에 돌출편을 구성하고, 이에 위치맞춤되도록 하우징(40)에도 홈을 두면 하우징(40)내에서 유니트(50)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유니트(50)의 후면에 탄성접점(54)을 두어 전선접속금구(35)의 돌출접점(37)과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전선접속금구(35)로부터 콘센트유니트(50)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접점(54)을 구성하였으며, 돌출접점(37)과 탄성접점(54)이 접촉불량없이 확실히 접촉되도록 콘센트유니트(50)의 접점(54)을 탄성력이 있도록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얇은 도전성 금구(53)의 일부를 적당히 구부려 탄성력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선접속금구(35)와 콘센트유니트(50)간에 접속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콘센트유니트(50)의 접점(54)을 탄성력이 없는 일반 접점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탄성력이 있는 접점으로 구성하더라도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스프링형상으로 접점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접점(54)과 암 요철접점(51)은 내부에서 도전성 금구(5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접속금구(35)와 콘센트유니트(50)가 접속하면 상용교류전원이 전선접속금구(35)의 돌출접점(37), 탄성접점(54), 도전성 금구(53), 암 요철접점(51)으로 인가된다. 암 요철접점(51)은 후술하게 될 플러그(80)의 수 요철접점(81)과 접속되는 접점으로서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80)의 단자(81)에 영구자석을 내장시킨 자석플러그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이에 맞게 상기 암 요철접점(51)도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플러그(80)를 자석플러그로 구성하지 않고 일반적인 플러그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상기 암 요철접점(51)을 자력에 반응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센트유니트(50)를 직육면체형상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220V용 콘센트유니트(50)는 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접지극을 갖는 원형의 플러그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직육면체형상이 아닌 원형 즉, 원기둥형식으로 콘센트유니트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콘센트유니트의 전면을 원형으로 구성할 경우 이에 맞게 상부커버(60)의 개방구(62)도 원형으로 구성하고 고무패킹(70)도 원형으로 구성하는 등 약간의 변형이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부커버(60)에는 콘센트유니트(50)의 수용구(51)와 플러그(80)가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구(62)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의 개방구(62) 아래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철편(63)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커버(60)의 맨 위측과 맨 아래측에는 하우징(40)과 나사로 결합할 수 있도록 개공(6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방구(62)는 콘센트유니트(50)의 전면보다 약간 좁게 구성하여 상부커버(60)가 콘센트유니트(50)의 전면 테두리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를 조립하면 상부커버(60)가 콘센트유니트(50)를 하우징(40)에 고정시키게 된다. 콘센트유니트(50)를 교환할 때에는 하우징(40)에서 상부커버(60)를 제거한 다음 콘센트유니트(50)를 교환하고 다시 상부커버(60)로 하우징(40)에 콘센트유니트(50)를 고정시키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철편(63)은 후술하게 될 플러그(80)를 자력을 이용하여 콘센트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플러그(80) 단자는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로 된 수 요철접점(81)으로 되어 있으며, 수 요철접점(81)의 내부에는 영구자석(82)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80)를 상기 철편(63)에 근접시키면 플러그(80) 단자내부의 영구자석(82)의 자력에 의해 플러그(80)가 철편(63)에 부착된다.
플러그(80)를 바닥에 놓아두면 플러그(80)의 단자에 내장된 영구자석(82)의 자력에 의해 각종 이물질이 플러그(80)의 단자(81)에 묻을 수 있다. 단자(81)에 이물질이 묻으면 콘센트에 플러그(80)를 삽입시 접속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의 철편(63)에 플러그(80)를 부착시켜두도록 구성하여 플러그 단자(81)에 이물질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조작자의 동선(動線)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5는 콘센트에서 자석플러그(80)를 분리하여 철편(63)에 부착시켜 놓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커버(60)에 철편(63)을 부착하여 콘센트에서 이탈시킨 플러그(80)를 부착시켜 놓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공간상의 제약으로 상기 철편(63)을 구성할 공간이 없다면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철편을 구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철편의 유무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작동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커버(60)를 철편(63)을 구성할 공간으로 이용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콘센트유니트(50)를 하우징(40)에 고정시킬 목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콘센트유니트(50)의 고정은 상부커버(60)와 같은 커버를 이용하지 않고도 다른 여러가지 방법으로 하우징(40)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콘센트유니트(50)를 관통하는 개공을 구성하고, 하우징(40)에도 이 개공과 위치맞춤되게 체결공을 형성한 다음 나사를 이용하여 콘센트유니트(50)를 하우징(40)에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상부커버(60)를 구성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부커버(60)를 구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철편(63)을 구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우징(40)의 전면공간을 넓게 구성하여 콘센트유니트(50)의 윗측이나 아래측 또는 옆측에 철편(63)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부커버(60)의 개방구(62)의 테두리에 끼워지는 고무패킹(70)이 있다. 상기 고무패킹(70)은 방수를 위한 것으로 콘센트유니트(50)와 플러그(80)사이에 위치하여 콘센트와 플러그(80)가 결합시 결합틈을 매움으로써 방수를 행한다. 따라서, 물 묻은 손으로 플러그(80)를 만지더라도 고무패킹(70)이 콘센트와 플러그(80)의 틈을 매워줌으로써 물이 틈으로 유입되어 감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플러그(80)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플러그의 단자내에 자석을 내장한 자석플러그로 구성하였으며 도4는 자석플러그(80)의 내부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4를 살펴보면, 수 요철접점(81)이 있고, 이 수 요철접점(81)의 내부에는 영구자석(82)이 있다. 그리고 수 요철접점(81)은 전선과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와 플러그(80)를 적은 힘으로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80)의 단자(81)의 크기를 종래보다 작게 구성하고, 내부에 영구자석(82)을 내장시켰다. 물론 이에 맞게 콘센트유니트(50)의 암 요철접점(51)의 크기도 결정하였고, 암 요철접점(51)도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의 도전성재료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플러그(80)를 콘센트에 삽입하기 위해 콘센트유니트(50)에 꽂으면 플러그(80)의 영구자석(82)의 자력이 콘센트유니트(50)의 암 요철접점(51)까지 미쳐 암 요철접점(51)과 수 요철접점(81)이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전선접속금구(30), 돌출접점(37), 탄성접점(54), 도전성 금구(53), 암 요철접점(51), 수 요철접점(81), 전선으로 이어지는 전로가 형성되어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콘센트에서 플러그(80)를 이탈시켜 놓을 때는 도5와 같이 철편(63)에 플러그의 수 요철접점(81)을 부착시켜 두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에서 플러그(80)를 손쉽게 분리하도록 플러그(80)의 단자(81)에 자석(82)을 내장시킨 자석플러그를 구성하였지만, 콘센트유니트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목적 또는 방수가 가능하도록 한 목적만을 만족시키려면 본 실시예를 따르지 않고 상기 플러그(80)를 자석플러그의 형태로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플러그(80)를 자석플러그가 아닌 종래와 같은 플러그로 구성할 경우에 철편(63)은 불필요한 구성이 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는, 콘센트유니트를 손쉽게 분리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장시간 사용으로 콘센트 수용구가 헐거워진 경우 해당 수용구가 속한 콘센트유니트만 새것으로 교환가능하여 경제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발생한다. 또한, 콘센트의 수용구와 플러그의 단자에 자력을 이용하므로써 적은 힘으로도 플러그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센트와 플러그의 결합틈을 고무패킹을 이용하여 메우도록 구성함으로써 방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상용 교류전원을 전기용품으로 유도하는 콘센트와 플러그에 있어서,
    상용 교류전원의 전선과 연결되는 금구상에 돌출접점(37)이 구비된 전선접속금구(35)와;
    절연수지로 몰딩형성되어 전면에는 플러그 수용구(51)가 구비되고, 측면에는 가이드홈(52)이 구비되고, 후면에는 상기 수용구(51)와 도체로 연결된 접점(54)이 구비된 콘센트유니트(50)와;
    상기 콘센트유니트(50)를 끼울 수 있도록 개방구(42)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접속금구(35)를 지지할 수 있도록 공간이 구비되어, 콘센트유니트(50)의 후면접점(54)과 전선접속금구(35)의 돌출접점(37)이 접촉가능한 위치에 오도록 하는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40)에 상기 전선접속금구(35)와 상기 콘센트유니트(50)를 결합고정시키는 체결수단과;
    돌출단자(81)가 구비되어 상기 콘센트유니트(50)의 수용구(51)에 삽입되는 플러그(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니트(50)의 수용구(51)와 상기 플러그(80)의 돌출단자(81)는 자력에 반응하는 재질로 형성되고, 돌출단자(81)의 내부에 영구자석(8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의 전면에는 콘센트유니트(50)에서 분리시킨 플러그(80)를 자력으로 부착시켜둘 수 있도록 한 철편(6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4. 제 1 항 내지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유니트(50)는, 플러그(80)와 결합시 결합틈을 메워 방수가 되도록 한 고무패킹(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KR2019990030134U 1999-12-29 1999-12-29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KR2001853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134U KR200185369Y1 (ko) 1999-12-29 1999-12-29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134U KR200185369Y1 (ko) 1999-12-29 1999-12-29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5369Y1 true KR200185369Y1 (ko) 2000-06-15

Family

ID=1960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134U KR200185369Y1 (ko) 1999-12-29 1999-12-29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36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70A2 (ko) * 2011-07-21 2013-01-24 Lee Sang Hyun 수구 교체형 벽면 매입 콘센트
KR101662814B1 (ko) * 2016-03-21 2016-10-05 김행민 조명 기능을 갖는 조립식 진열대
KR101733995B1 (ko) 2015-09-23 2017-05-10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CN117092496A (zh) * 2023-10-19 2023-11-21 深圳市微特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主板自动化测试方法及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170A2 (ko) * 2011-07-21 2013-01-24 Lee Sang Hyun 수구 교체형 벽면 매입 콘센트
WO2013012170A3 (ko) * 2011-07-21 2013-03-14 Lee Sang Hyun 수구 교체형 벽면 매입 콘센트
KR101733995B1 (ko) 2015-09-23 2017-05-10 김동휘 안전 콘센트 및 이를 구비한 멀티탭
KR101662814B1 (ko) * 2016-03-21 2016-10-05 김행민 조명 기능을 갖는 조립식 진열대
CN117092496A (zh) * 2023-10-19 2023-11-21 深圳市微特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主板自动化测试方法及设备
CN117092496B (zh) * 2023-10-19 2024-01-02 深圳市微特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主板自动化测试方法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46880A (ja) コンセント
KR100727554B1 (ko) 절전형 콘센트
KR200185369Y1 (ko) 교환형 콘센트와 플러그
KR101484010B1 (ko) 절전형 멀티탭
KR200236840Y1 (ko) 110v 및 220v 겸용 콘센트
KR102383381B1 (ko) 양극차단이 가능한 스위치를 갖춘 전원플러그
WO2000077888A1 (en) Electric plug
KR960006938Y1 (ko) 전기기구의 자석형 플러그와 플러그받이의 접지장치
JP2005135615A (ja) プラグ
US6872089B1 (en) Puncturing type cable coupling apparatus
KR19980061006U (ko) 안전 콘센트
JP2005135615A6 (ja) プラグ
KR200330733Y1 (ko) 2극 차단 접속콘센트
KR200185346Y1 (ko) 전원 플러그용 소켓
CN218275412U (zh) 一种轨道插座
CN220710794U (zh) 可拆卸插头
KR100823898B1 (ko) 벽면 매설용 공동주택 콘센트박스
KR20090012519U (ko) 전선걸이구용 멀티탭
KR100477529B1 (ko) 110/220v 겸용 콘센트 장치
KR20140118640A (ko) 차단기가 일체로 결합된 콘센트
CN211556341U (zh) 一种美式迷你遥控插座
CN218677898U (zh) 一种配电轨道及配电套装
CN210074356U (zh) 智能插座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920005454B1 (ko) 전기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