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331Y1 -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331Y1
KR200343331Y1 KR20-2003-0038608U KR20030038608U KR200343331Y1 KR 200343331 Y1 KR200343331 Y1 KR 200343331Y1 KR 20030038608 U KR20030038608 U KR 20030038608U KR 200343331 Y1 KR200343331 Y1 KR 200343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witch
plug
main body
switc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20-2003-0038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3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스위치를 오프시킬 경우 낙뢰로 인하여 전기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누전이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대기전력 소모가 전혀 없어 절전효과가 우수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50) 일측으로 돌출되어 콘센트(55)에 꽃음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60)과, 상기 본체(50) 외부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치버튼(65)과, 상기 본체(50) 내에서 일측은 각각 한 쌍의 플러그핀(60)과 접속되며 타측은 상기 스위치버튼(65)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65)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연동되어 가동되는 한 쌍의 가동접점(70)과, 상기 본체(50) 내에 장착되며 일측은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70)과 접촉되어 개폐되고 타측에는 전원선(75)이 접속되는 접속단자(80)가 구비된 한 쌍의 고정접점(8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A plug having switch}
본 고안은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뢰로 인하여 전기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누전이나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절전효과를 갖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에는 자체적으로 전원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전원스위치가 오프되어도 대기전원이 항상 흐르고 있어, 콘센트로부터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분리하기 전까지는 낙뢰로 인한 전기기기의 손상 우려가 존재하며, 대기전력이 지속적으로 소모된다. 따라서, 전기안전공사 등에서는 전기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시켰다가 다시 끼우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플러그의 잦은 접속과 이탈로 인하여 콘센트와의 접속이 헐거워져 접촉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역효과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플러그에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제품이 시중에 나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선 두 라인 중 어느 한 라인만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통상, 상용교류전원(10)의 두 라인이 3상 4선식 배전방식에서 R,S,T상 중 어느 한 라인과 중성선 N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플러그(12)에 구비된 스위치(14)에서 N상을 개폐하는 경우에는 전기기기에 R,S,T상이 연결되어 미미하나마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종래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는 콘센트(16)에 플러그(12)를 꼽는 방식에 따라, 전원선(18)을 통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완전히 단속할 수 없다. 이처럼, 전기기기의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낙뢰로 인한 전기기기가 손상되거나, 누전이나 감전 등의 사고 위험성에 여전히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 1선 차단 방식의 플러그를 사용할 경우, 전기기기에 지속적으로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불필요한 대기전력 소모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1선 차단 방식의 플러그에서 낙뢰로 인하여 전기기기가 손상되거나, 누전이나 감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존재하던 문제점을 해결하며, 스위치를 오프시킬 경우 대기전력 소모가 전혀 없어 절전효과가 뛰어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스위칭 방식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스위칭 방식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본체 55. 콘센트
60. 플러그핀 65. 스위치버튼
70. 가동접점 75. 전원선
80. 접속단자 85. 고정접점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50) 일측으로 돌출되어 콘센트(55)에 꽃음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60)과, 상기 본체(50) 외부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치버튼(65)과, 상기 본체(50) 내에서 일측은 각각 한 쌍의 플러그핀(60)과 접속되며 타측은 상기 스위치버튼(65)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65)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연동되어 가동되는 한 쌍의 가동접점(70)과, 상기 본체(50) 내에 장착되며 일측은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70)과 접촉되어 개폐되고 타측에는 전원선(75)이 접속되는 접속단자(80)가 구비된 한 쌍의 고정접점(8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스위칭 방식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는 전원선 두 라인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방식으로서, 본체(50) 내부에서 한 쌍의 플러그핀(60)에 각각 접속되는 한 쌍의 가동접점(70)이 스위치버튼(65)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65)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연동되어 가동되어, 전원선(75)이 접속된 한 쌍의 고정접점(85)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도 2의 분해사시도 및 도 3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체(50) 일측면에는 콘센트(55)에 꽃음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60)이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본체(50) 내부에서 플러그핀(60)의 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가동접점(70)이 접속된다. 가동접점(70)은 도전성 금속편으로 성형되며, 가동접점(70)의 일측은 플러그핀(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가동접점(70)의타측은 본체(50)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버튼(65)과 연결된다. 스위치버튼(65)은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도 2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스위치버튼(65)의 내측면 양측에는 가동접점(70)과 대응되도록 한 쌍의 삽입공(71)이 형성된다. 이 삽입공(71)에는 스프링(90)이 삽입되며, 스프링(90)의 일단이 상기 가동접점(70)과 결합되어, 스위치버튼(65)을 조작함에 따라 가동접점(70)이 회동되면서 본체(50) 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접점(85)과 접촉된다. 고정접점(85)의 타측에는 전원선(75)이 접속되는 접속단자(80)가 구비되며, 이 접속단자(80)에 접속된 전원선(75)은 본체(50) 일단에 마련된 관통공(51)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전기기기에 연결된다. 이때, 스위치버튼(65)을 조작할 경우, 한 쌍의 가동접점(70)이 동시에 연동되어 고정접점(85)과 접촉되며, 따라서, 전원선(75) 두 라인을 동시에 개폐시킨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52는 본체(50)를 개폐하는 덮개이고, 53은 덮개(52)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스위칭 방식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서와 같이, 스위치버튼(65)의 조작에 따라, 한 쌍의 가동접점(70)이 동시에 연동되어 전원선(75) 두 라인을 동시에 개폐함으로써, 본 고안의 플러그는 전기기기에 투입되는 전원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위치버튼(65)을 오프시키면, 한 쌍의 가동접점(70)이 동시에 고정접점(85)에서 개방되면서, 상용교류전원(95)의 두 라인이 모두 개방되어, 전원라인의 위상이 R,S,T상인지 N상인지에 관계없이, 전기기기에는 일체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콘센트(55)를따라 역류하는 낙뢰로부터 전기기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기기측에서 어느 한 라인이 지락되어도, 전류가 누설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플러그에서 스위치버튼(65)을 오프시키면, 플러그가 콘센트(55)에 꼽혀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기를 분해하여 수리하여도, 감전사고를 일으킬 위험성이 없다. 나아가서, 콘센트(55)에서 플러그를 뽑지 않고 스위치버튼(65)을 오프시키는 것만으로, 전기기기와 전원라인을 완전히 차단하여 불필요한 대기전력이 소모되는 일이 없어, 절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스위치버튼을 조작할 경우 한 쌍의 가동접점이 동시에 연동되어 가동됨으로써, 전원라인 2선을 동시에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스위치버튼을 오프시킬 경우, 낙뢰로 인하여 전기기기가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누전이나 감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성이 없으며, 대기전력 소모가 전혀 없어 절전효과가 우수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본체(50) 일측으로 돌출되어 콘센트(55)에 꽃음 접속되는 한 쌍의 플러그핀(60)과, 상기 본체(50) 외부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치버튼(65)과, 상기 본체(50) 내에서 일측은 각각 한 쌍의 플러그핀(60)과 접속되며 타측은 상기 스위치버튼(65)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65)의 조작에 따라 동시에 연동되어 가동되는 한 쌍의 가동접점(70)과, 상기 본체(50) 내에 장착되며 일측은 상기 한 쌍의 가동접점(70)과 접촉되어 개폐되고 타측에는 전원선(75)이 접속되는 접속단자(80)가 구비된 한 쌍의 고정접점(8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KR20-2003-0038608U 2003-12-11 2003-12-11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KR200343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08U KR200343331Y1 (ko) 2003-12-11 2003-12-11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608U KR200343331Y1 (ko) 2003-12-11 2003-12-11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331Y1 true KR200343331Y1 (ko) 2004-03-02

Family

ID=49343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608U KR200343331Y1 (ko) 2003-12-11 2003-12-11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3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28214A (en) Electrical socket and plug
KR100709505B1 (ko) 회전 스위치형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절전형 전원 차단시스템
KR20070032213A (ko) 비상전원 절체개폐기
KR200343331Y1 (ko)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CN204189695U (zh) 隔离开关熔断器组
CN203242853U (zh) 带过热保护的电源插座
KR200214708Y1 (ko) 전원선을 모두 차단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콘센트
KR200371254Y1 (ko)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CN204204727U (zh) 一种隔离开关熔断器组
CN215220614U (zh) 一种具有脱扣功能的漏电控制模块
CN211788854U (zh) 一种用电超负荷断路器
CN218414448U (zh) 一种断路器机械电气连锁装置
CN219553546U (zh) 一种断路器
KR940000751Y1 (ko) 절전 및 안전장치가 구성된 개량형 플러그
KR200450181Y1 (ko) 전원스위치 안전커버가 구비된 멀티콘센트
KR200198501Y1 (ko) 절전 콘센트
KR200151974Y1 (ko) 멀티형 콘센트
KR200218871Y1 (ko) 누전차단기
KR200280239Y1 (ko) 누전차단기용 단자
KR200453108Y1 (ko) 대기전력 절전 플러그
KR200208135Y1 (ko) 절전용 차폐 스위치를 갖는 전원선
KR200255382Y1 (ko) 대기전원 차단용 콘센트 설치구조
KR200183926Y1 (ko) 전원 플러그
KR200203776Y1 (ko) 퓨즈 내장형 스위치
KR950001464Y1 (ko)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