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54Y1 -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54Y1
KR200371254Y1 KR20-2004-0028587U KR20040028587U KR200371254Y1 KR 200371254 Y1 KR200371254 Y1 KR 200371254Y1 KR 20040028587 U KR20040028587 U KR 20040028587U KR 200371254 Y1 KR200371254 Y1 KR 2003712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witch button
switch
fixed contac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경제
Original Assignee
조경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제 filed Critical 조경제
Priority to KR20-2004-0028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Abstract

본 고안은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할 필요 없이 플러그본체에 구비된 스위치버튼을 조작하여 전기기기와 전원라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전기기기에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플러그본체에서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전기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플러그본체(10) 일측으로 한 쌍의 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플러그본체(10) 타측으로는 스위치버튼(14)이 구비되며, 플러그본체(10) 내부에는 전기기기의 전원선(16)과 접속되는 고정접점(18)과, 일측은 상기 플러그핀(12)과 접속되며 타측은 탄성수단(20)을 매개로 스위치버튼(14)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14)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18)과 접촉 및 탈락되는 가동접점(22)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18)과 가동접점(22)은 바이메탈(24)을 매개로 접속되며, 전원선(16)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면 상기 바이메탈(24)이 가동접점(22)을 밀어내 스위치버튼(14)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Plug having switch}
본 고안은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된 상태에서 전기기기에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자동으로 전원라인과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기 전까지, 전기기기는 전원라인과 상시 연결되어 있어 낙뢰나 기타 전원측 이상전압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기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뽑아두어야 한다. 그러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시켰다가 다시 끼우는 것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플러그의 잦은 접속과 이탈로 인하여 콘센트와의 접속이 헐거워져 접촉불량을 일으키는 등의 역효과가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플러그에 전원선과의 연결을 단속하는 스위치가 부착된 제품이 시중에 나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는 플러그본체(10) 일측으로 한 쌍의 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플러그본체(10) 타측으로는 스위치버튼(14)이 구비되며, 플러그본체(10) 내부에는 전기기기의 전원선(16)과 접속되는 고정접점(18)과, 상기 플러그핀(12)과 접속되며 탄성수단(20)을 매개로 스위치버튼(14)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14)의 조작에 따라 고정접점(18)과 접촉되어 개폐되는 가동접점(22)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콘센트에 꽂혀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버튼(14)을 조작하여 전기기기와 전원라인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전기기기에는 퓨즈가 설치되어, 전원라인측의 전압불평형 또는 기타 이유로 전기기기에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퓨즈가 용단됨으로써, 과전류로부터 전기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퓨즈의 용단전류가 지나치게 높게 설정되어 있거나, 퓨즈의 정격보다 주요 구성품의 정격이 낮은 경우, 과부하 발생시 코일부와 같은 주요 구성품이 타버림으로 인해 전기기기가 치명적으로 손상되거나, 전기기기에서 발생된 과전류가 전원계통으로 역으로 흘러 이웃하는 타 전기기기의 고장을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퓨즈가 용단되면, 전기기기의 제조사에 AS를 신청하여 전기기기를 보수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는 번거로움 없이 플러그본체에 구비된 스위치버튼을 조작하여 전기기기와 전원라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전기기기에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전기기기와 전원라인의 접속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기기기를 안전하게보호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플러그본체 12. 플러그핀
14. 스위치버튼 16. 전원선
18. 고정접점 20. 탄성수단
22. 가동접점 24. 바이메탈
본 고안에 따르면, 플러그본체(10) 일측으로 한 쌍의 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플러그본체(10) 타측으로는 스위치버튼(14)이 구비되며, 플러그본체(10) 내부에는 전기기기의 전원선(16)과 접속되는 고정접점(18)과, 일측은 상기 플러그핀(12)과 접속되며 타측은 탄성수단(20)을 매개로 스위치버튼(14)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14)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18)과 접촉 및 탈락되는 가동접점(22)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18)과 가동접점(22)은 바이메탈(24)을 매개로 접속되며, 전원선(16)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면 상기 바이메탈(24)이 가동접점(22)을 밀어내 스위치버튼(14)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플러그본체(10) 일측으로 한 쌍의 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플러그본체(10)의 타측에는 스위치버튼(14)이 구비되고, 플러그본체(10) 내부에는 전기기기의 전원선(16)이 접속되는 고정접점(18)과, 플러그핀(12)에 접속되며 스위치버튼(14)의 조작에 따라 가동되어 고정접점(18)과 접속 및 탈락되는 가동접점(22)으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고정접점(18)과 가동접점(22)은 바이메탈(24)을 매개로 접속된다. 스위치버튼(14)이 오프 상태일 때, 바이메탈(24)은 고정접점(18)측에 접속되며, 가동접점(22)은 바이메탈(24)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버튼(14)을 온 시키면, 스위치버튼(14)과 가동접점(22) 사이에 개재된 탄성수단(20)의 탄발력에 의해, 가동접점(22)이 플러그핀(12)과의 접속점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바이메탈(24)에 접속된다. 따라서, 고정접점(18)과 가동접점(22)이 바이메탈(24)을 매개로 접속되어, 전기기기에 상용교류전원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스위치버튼(14)의 온 상태에서, 전기기기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전원선(16)을 통해 고정접점(18)에 과전류가 인가되어 고정접점(18)이 발열된다. 그리고, 고정접점(18)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24)이 가동접점(22)측으로 휘어지면서 가동접점(22)을 밀어내게 된다. 그러면, 탄성수단(20)의 탄발력에 의해 스위치버튼(14)이 자동으로 오프되어, 전기기기에 전원공급이 중단된다. 이후, 바이메탈(24)의 온도가 떨어지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24)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고정접점(18)과 접속되며, 가동접점(22)은 바이메탈(24)과 이격된 상태, 즉,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가동접점(22)은 스위치버튼(14)을 수동 조작하여 온 시키기 전까지, 오프상태를 지속하여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는 콘센트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버튼(14)을 조작하여 전기기기와 전원라인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전기기기에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고정접점(18)과 가동접점(22) 사이에 접속되는 바이메탈(24)이 가동접점(22)을 강제로 밀어내 전원공급을 차단시킴으로써, 전기기기를 과부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전기기기에서 발생된 과전류가 전원계통으로 유입되어 타 전기기기의 손상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플러그본체에 구비된 스위치버튼을 조작하여 전기기기와 전원라인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전기기기에서 과부하가 발생될 경우 고정접점과 가동접점 사이에 설치되는 바이메탈이 가동접점을 강제로 밀어내어 전기기기의 전원공급을 차단함으로써 과부하로부터 전기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과전류가 전원계통으로 유입되어 타 전기기기의 손상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플러그본체(10) 일측으로 한 쌍의 플러그핀(12)이 돌출되고, 플러그본체(10) 타측으로는 스위치버튼(14)이 구비되며, 플러그본체(10) 내부에는 전기기기의 전원선(16)과 접속되는 고정접점(18)과, 일측은 상기 플러그핀(12)과 접속되며 타측은 탄성수단(20)을 매개로 스위치버튼(14)과 연결되어 스위치버튼(14)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접점(18)과 접촉 및 탈락되는 가동접점(22)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18)과 가동접점(22)은 바이메탈(24)을 매개로 접속되며, 전원선(16)이 소정 온도 이상으로 발열되면 상기 바이메탈(24)이 가동접점(22)을 밀어내 스위치버튼(14)이 자동으로 오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KR20-2004-0028587U 2004-10-08 2004-10-08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KR2003712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87U KR200371254Y1 (ko) 2004-10-08 2004-10-08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87U KR200371254Y1 (ko) 2004-10-08 2004-10-08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54Y1 true KR200371254Y1 (ko) 2004-12-30

Family

ID=4944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587U KR200371254Y1 (ko) 2004-10-08 2004-10-08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5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76B1 (ko) * 2012-11-16 2014-01-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KR20160001794U (ko) * 2014-11-18 2016-05-26 안종섭 스위치를 구비한 플러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876B1 (ko) * 2012-11-16 2014-01-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KR20160001794U (ko) * 2014-11-18 2016-05-26 안종섭 스위치를 구비한 플러그
KR200484271Y1 (ko) * 2014-11-18 2017-08-21 안종섭 스위치를 구비한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1607C (en) Safety plug suitable for the connection to an electric current outlet
JP4071109B2 (ja) ヒューズ付き電気遮断装置
US8159803B2 (en) Heat actuated interrupter receptacle
KR20040060828A (ko) 차단 수단을 지니는 누전 방지용 회로 차단기용의 리셉터클
KR20010071182A (ko) 개선된 전기소켓 및 플러그
ES2874565T3 (es) Módulos de desconexión de conmutación fusibles y dispositivos con detección de corriente en línea
US9627821B1 (en) Power connector having a transparent observation portion to view the status of a contact limiting member
KR200371254Y1 (ko)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JP2020009767A (ja) 回路遮断器の開閉機構
EP3358594B1 (en) Single-stage circuit breaker
EP1312289B1 (en) A temperature controller for a liquid heater
US5783986A (en) Plug with security device having bimetal and restoring button
ES2527593T3 (es) Módulos y dispositivos seccionadores interruptores fusibles controlados electrónicamente
EP2985776B1 (en) Automotive circuit breaker including circuit breaker with integrated secondary current protection
CN109786182B (zh) 具有自清洁触点的小型断路器
JP4327374B2 (ja) 電気こたつ用差込プラグ
KR100268012B1 (ko) 배선용 차단기의 시연 트립장치
US981856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ducing arcing between a circuit breaker line terminal and a panel board terminal
KR101264565B1 (ko)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CN209981147U (zh) Tmd以及塑壳断路器
KR200343331Y1 (ko)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US3566325A (en) Electrical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US2017023666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king a circuit breaker
US2168815A (en) Fusible circuit interrupter
KR20010111960A (ko)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