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876B1 -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 Google Patents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876B1
KR101346876B1 KR1020120129886A KR20120129886A KR101346876B1 KR 101346876 B1 KR101346876 B1 KR 101346876B1 KR 1020120129886 A KR1020120129886 A KR 1020120129886A KR 20120129886 A KR20120129886 A KR 20120129886A KR 101346876 B1 KR101346876 B1 KR 101346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imetal
connection
overcurr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현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2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with thermal interru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와 제1 소켓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바이메탈부를 구비하되, 발열에 의해 바이메탈부와 제1 소켓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다시 냉각에 의해 바이메탈부가 제1 소켓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 재질의 연결부재와 이러한 연결부재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연결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과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함과 아울러, 차단과 통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한 쌍의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메탈부; 상기 바이메탈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1 소켓; 및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제1 소켓 사이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제1 소켓 사이를 통전 또는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T-type outlet able to cut overcurrent}
본 발명은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연결부와 제1 소켓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바이메탈부를 구비하되, 발열에 의해 바이메탈부와 제1 소켓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다시 냉각에 의해 바이메탈부가 제1 소켓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 재질의 연결부재와 이러한 연결부재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연결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과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함과 아울러, 차단과 통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도 컴퓨터 본체, 모니터, 스피커, 프린터기 등 컴퓨터 관련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이밖에도 다수의 가전제품을 사용함에 따라 멀티탭과 T자형 콘센트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 중 T자형 콘센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과전류 차단회로가 존재하지 않아 과전류에 의해 내부회로의 온도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전선의 온도가 상승하여 피복이 녹거나 연소됨으로써 큰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T자형 콘센트는 좁은 공간의 상가, 창고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과전류시 화재의 위험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화재 발생의 일례로, 2010년에 발생한 '해운대 오피스텔 대형 화재' 등을 들 수 있다.
T자형 콘센트 중 일부는 과전류로 인한 온도 상승시 바이메탈에 의해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더 이상의 발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바이메탈은 열팽창계수가 다른 두 합금을 접합한 상태에서 과전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면 열팽창의 정도가 달라서 휘어지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단선(open)이 이루어지게 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메탈만을 이용한 안전장치는 온도상승에 의한 전류차단 후에 온도가 내려가면 다시 바이메탈이 원상태로 복귀하여 통전되도록 함으로써, 차단과 통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 결과 안전조치를 취할 시간적 여유가 없는 상태에서 다시 가열에 의한 화재위험 상태에 빠질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최초의 차단시에 바이메탈과 회로 사이를 차단시킬 수 있는 구조와, 차단된 회로를 인위적으로 유지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구비된 T자형 콘센트에 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과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함과 아울러, 바이메탈 작동에 의한 회로 차단과 통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는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한 쌍의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메탈부; 상기 바이메탈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1 소켓; 및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제1 소켓 사이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제1 소켓 사이를 통전 또는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전진과 후진이 가능한 로드(rod)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연결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연결부와 제1 소켓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바이메탈부를 구비하되, 발열에 의해 바이메탈부와 제1 소켓 사이가 전기적으로 차단된 상태에서 다시 냉각에 의해 바이메탈부가 제1 소켓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 재질의 연결부재와 이러한 연결부재를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는 연결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과열에 의한 화재를 방지함과 아울러, 차단과 통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 중 바이메탈 부분을 중심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바이메탈 작동 전후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연결스위치 작동 전후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 바이메탈 부분을 중심으로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1의 바이메탈 작동 전후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연결스위치 작동 전후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5), 제1 전원공급부(10), 제2 전원공급부(12), 제1 연결부(20), 제2 연결부(22), 제1 소켓(30), 제2 소켓(40), 바이메탈부(50), 연결부재(52), 로드부(54), 탄성부재(56), 및 연결스위치(5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5)은 T자형 콘센트의 외형을 형성하며, 내부에 제1 연결부(20)와 제2 연결부(22), 제1 소켓(30)과 제2 소켓(40), 바이메탈부(50), 연결부재(52), 로드(rod)부(54), 및 탄성부재(56)를 수용한다.
제1 전원공급부(10)과 제2 전원공급부(12)는 하우징(5) 외부로 돌출되어,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에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 콘센트(미도시)에 결합된다.
이때, 제1 전원공급부(10)는 제1 연결부(20)와 바이메탈부(50) 및 제1 소켓(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전원공급부(12)는 제2 연결부(22)와 제2 소켓(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부(20)는 제1 전원공급부(10)와 바이메탈부(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연결부(22)는 제2 전원공급부(12)와 제2 소켓(4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소켓(30)과 제2 소켓(40)은 플러그를 꽂는 부분으로, 하우징(5) 내부에 수용된다. 제1 소켓(30)은 복수개의 삽입부(32, 34, 36)를 구비하고, 제2 소켓(40)도 복수개의 삽입부(42, 44, 46)를 구비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삽입부(32, 42)는 상부 방향에, 삽입부(34, 44)는 정면 방향에, 삽입부(36, 46)는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설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바이메탈부(50)는 제1 연결부(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소켓(30)과 바이메탈부(50)는 전기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된다.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에 과전류가 흘러 바이메탈부(50)가 가열되면 바이메탈부(50)가 휘어져 제1 소켓(30)으로부터 이격된다.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이 서로 이격되면 제1 전원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제1 소켓(3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는 전류 차단상태가 된다.
연결부재(52)는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 사이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52)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연결부재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재(52)는 전진과 후진이 가능한 로드부(54)에 결합되고, 로드부(54)는 하우징(5) 외부로 돌출된 연결스위치(58)에 결합된다.
로드부(54)에는 하우징(5)의 내주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56)가 삽입된다. 1차로 연결스위치(58)를 누르면 로드부(54)가 전진하면서 탄성부재(56)가 압축되고, 연결부재(52)는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 사이에 삽입된다. 그 결과,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는 전류 차단상태가 된다.
2차로 연결스위치(58)를 누르면 로드부(54)가 전진하였다가 후진하면서 동시에 탄성부재(56)가 복원되고, 연결부재(52)는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으로부터 이탈된다. 그 결과,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는 전류 통전상태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가 과열되지 않아 바이메탈부(5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이 서로 접촉하여 통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가 과열되어 바이메탈부(50)가 작동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이 서로 분리되어 전류가 차단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T자형 콘센트가 과열되어 바이메탈부(50)가 작동함으로써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 사이의 접촉이 차단된 상태에서, 냉각에 의해 바이메탈부(50)가 원형태로 복귀함에 따라 다시 통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상태에서 냉각에 의해 바이메탈부(50)가 원형태로 복귀함에 따라 다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체 재질의 연결부재(52)가 전진하여 바이메탈부(50)와 제1 소켓(30) 사이의 접촉을 차단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 하우징 10 - 제1 전원공급부
12 - 제2 전원공급부 20 - 제1 연결부
22 - 제2 연결부 30 - 제1 소켓
40 - 제2 소켓 50 - 바이메탈부
52 - 연결부재 54 - 로드부
56 - 탄성부재 58 - 연결스위치

Claims (2)

  1.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한 쌍의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바이메탈부;
    상기 바이메탈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1 소켓; 및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제1 소켓 사이에 삽입 또는 이탈되어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제1 소켓 사이를 통전 또는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전진과 후진이 가능한 로드(rod)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드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연결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탄성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2. 삭제
KR1020120129886A 2012-11-16 2012-11-16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KR101346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886A KR101346876B1 (ko) 2012-11-16 2012-11-16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9886A KR101346876B1 (ko) 2012-11-16 2012-11-16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876B1 true KR101346876B1 (ko) 2014-01-02

Family

ID=5014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9886A KR101346876B1 (ko) 2012-11-16 2012-11-16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8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764B1 (ko) * 2017-02-08 2018-05-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화재 예방 충전 장치
KR101856710B1 (ko) * 2017-02-08 2018-06-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화재 예방 충전 장치
KR20210053044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블루비즈 Ups 기능을 구비하며 모바일 제어가 가능한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675U (ko) * 1995-04-27 1996-11-21 황하성 스위치와 전원 자동차단 장치가 내장된 플러그와 플러그 아답타
KR200337028Y1 (ko) * 2003-08-27 2004-01-07 손영경 전기기기용 차단 플러그
KR200371254Y1 (ko) * 2004-10-08 2004-12-30 조경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675U (ko) * 1995-04-27 1996-11-21 황하성 스위치와 전원 자동차단 장치가 내장된 플러그와 플러그 아답타
KR200337028Y1 (ko) * 2003-08-27 2004-01-07 손영경 전기기기용 차단 플러그
KR200371254Y1 (ko) * 2004-10-08 2004-12-30 조경제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764B1 (ko) * 2017-02-08 2018-05-1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화재 예방 충전 장치
KR101856710B1 (ko) * 2017-02-08 2018-06-1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화재 예방 충전 장치
KR20210053044A (ko) *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블루비즈 Ups 기능을 구비하며 모바일 제어가 가능한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293921B1 (ko) * 2019-11-01 2021-08-26 주식회사 블루비즈 Ups 기능을 구비하며 모바일 제어가 가능한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3976U (ja) 過熱破壊式安全構造及び過熱破壊式安全構造を備えるコンセントとプラグ
KR101346876B1 (ko) 과전류 차단이 가능한 t자형 콘센트
JP2007173203A (ja) コンセントに接続するのに適した安全プラグ
JP6106298B2 (ja) 導電端子
TWI548168B (zh) 電源延長線及其電源插頭與插座
JP2018082520A (ja) 電気接続箱
US9564718B2 (en) Power plug and power receptacle with over-temperature protection function
JP3133218U (ja) 壁取付型リミットスイッチ
GB2474245A (en) Electrical safety device for electrical supply units
JP5652502B2 (ja) 電源コンセント
JP2009093826A (ja) 配線用接続器
JP3199650U (ja) 導電端子
KR101284216B1 (ko) 안전 콘센트
JP3199707U (ja) コンセントの導電刃受固定構造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JP3218310U (ja) 絶縁熱伝導部材を備えたコンセント
JP6763039B2 (ja) スイッチまたは電気を使用する設備の過熱電力切断方法
US3535667A (en) Electrical safety device
JP6197086B1 (ja) 導電弾性片固定部材、活線弾性片、活線導電片、中性線弾性片、中性線導電片を含む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プラグ、コンセント
CN216928403U (zh) 一种接触器
CN110534940B (zh) 一种具有温控装置的大电流连接器
CN201444516U (zh) 安全智能型万能转换电源连接装置
JP5680575B2 (ja) ヒューズホルダ
JP6306764B1 (ja) 温度制限電力遮断式コンセント
CN108418020B (zh) 限温断电式插座及其支撑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