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565B1 -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565B1
KR101264565B1 KR1020120010264A KR20120010264A KR101264565B1 KR 101264565 B1 KR101264565 B1 KR 101264565B1 KR 1020120010264 A KR1020120010264 A KR 1020120010264A KR 20120010264 A KR20120010264 A KR 20120010264A KR 101264565 B1 KR101264565 B1 KR 101264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
bimetal
contact
surge
m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석
Original Assignee
서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석 filed Critical 서인석
Priority to KR102012001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using a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 H02H5/04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abnormal temperature additionally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OV(Metal Oxide Varistor) 등 서지억제소자를 이용한 SPD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과열을 방지하고 과대 전류 유입시 이를 순시차단하도록 한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PD에 사용되는 MOV가 반복적인 일시 과전압의 유입 또는 특성 열화 등으로 인한 누설 전류로 인하여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나 과대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즉각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MOV의 열폭주 현상으로 인한 단락으로 전력선 사고나 MOV의 폭발로 인한 화재 발생의 우려를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MOV의 과열 시 설정 온도에서 회로 차단 동작이 정상적으로 실시되는 지의 여부를 출하 전에 바이메탈 접점의 작동에 의하여 확인하고 더 나아가 적정한 감도로 작동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Surge Protector Apparatus having One Piece Overheat Protection and Moment Cutoff Function Based on Surge Suppression Device}
본 발명은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MOV(Metal Oxide Varistor) 등 서지억제소자를 이용한 SPD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과열을 방지하고 과대 전류 유입시 이를 순시차단하도록 한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SPD는 전원선 및 신호선에 침입하는 각종 이상전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부하에 안정된 전원 및 신호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개폐 서지나 뇌서지와 같이 크기가 크고 급준한 파형 특성을 가진 임펄스성 이상(異常) 전압에 대응하여 부하회로를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서지 보호기 자체도 충분한 절연내력과 에너지 내량을 가지고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서지 보호기의 설계 시 최대 연속 사용 전압(mcov:maximum continuous operating voltage)을 정격 전압보다 높게 설계,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설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서지, 특 고압 선로 등에 의한 수전 저압 3상 선로의 지락, 단락시 발생하는 일시과전압(Temporary Overvoltage)이 선로의 고장이나 지락사고 등에 의하여 선로에 일시적으로 가하여 지는 정격전압보다 큰 과전압이 유입되는 경우가 많아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와 같이, 유입 전압 지속시간이 수십 ㎲~수백 ㎲인 서지에 비하여 수백 ㎳ 내지 수 초간 지속되는 일시과전압은 상대적으로 매우 큰 에너지를 가지며, 이러한 전압이 서지보호기의 최대 연속 사용 전압보다 크게 되면 서지 보호소자의 소손이 초래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소손된 서지보호소자는 수옴 이하의 낮은 저항값을 갖게 되어 보호기 회로가 단락된다. 이러한 단락전류가 흐르게 되면 배선용 차단기가 함께 설치된 경우 회로가 차단되나, 개폐기만이 존재하는 선로상황에서는 단락전류를 차단하지 못하게 되어 과열로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SPD는 계통의 사고 시 발생하는 일시과전압에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에너지 내량을 갖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보호소자의 소손으로 회로가 단락되었을 시 화재 등의 2차적인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과열시 신속히 분리할 수 있도록 휴즈를 이용한 과전류 차단 대책을 병행하여 구성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를 대한민국특허 0992426(발명의 명칭: 열폭주 방지 소자가 구비된 방폭형 서지 보호 장치; 이하 '인용발명1'이라 함)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도1 및 도2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보인 과열보호 MOV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MOV(110)는 함체에 일체로 설치되는 온도휴즈(120)가 MOV(110)의 발열에 의하여 저온 용융 금속이 접점에서 분리되면서 전기적으로 차단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신속한 차단 동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제로는 온도휴즈(120)를 조성하는 성분의 함량에 따라 용융되는 온도가 상이하게 되어 MOV(110)가 과열 상태인 경우에도 설정 온도에서 차단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인용발명1과 같은 형태의 MOV(110)는 온도휴즈(120)와 직렬 연결된 형태로 조립되며, 이와 같은 인용발명은 그 작동 테스트를 위하여 설정온도로 가열하게 되면 온도휴즈가 용단되어 다시는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사실상 작동 테스트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어서, 테스트를 실시하지 못하고 조립후 그대로 출하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Prosurge Electronics Co.,Ltd [China]의 SS150MOV(이하 '인용발명2'라 함)를 살펴보면 이는 도3으로 보인 바와 같이 케이싱(10)의 일측에 MOV(11)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MOV(11)와 직렬 접속된 저온 용융 금속(12)으로 솔더링하여서 된 가동 접점(13)과 고정 접점(14)이 구비되어 있으며, 스프링(15)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발력을 받고 있는 상승편(16)이 상기 저온 용융 금속(12)으로 솔더링된 가동 접점(13)을 밀고 있는 상태로 조립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인용발명2는 MOV(11)가 서지 전압에 의한 손상이나 열화로 인한 누설 전류의 증가에 따라 발열하고 이로 인하여 저온 용융 금속(12)이 용융되면 스프링(15)이 상승편(16)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 접점(13)이 고정 접점(14)으로부터 분리되면서 회로가 차단되어 MOV(11)가 더 이상 발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발명2는 저온 용융 금속(12)의 융점 및 스프링(15)의 탄성, 가동접점의 탄성(13) 등이 모두 기준에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으면 가동 접점(13)과 고정 접점(14)의 분리 온도가 제품마다 상이하며,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하는 가동접점(13)과 고정접점(14)의 솔더링 상태가 균일하게 되기 어려워 실제의 작동 온도 편차가 매우 심하게 되고 그 결과 인용발명2의 작동 신뢰도가 낮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92426호(발명의 명칭: 열폭주 방지 소자가 구비된 방폭형 서지 보호 장치; 인용발명1)
http://sunshinel.en.ec21.com/MOV_With_Thermal_Disconnector_Arc--3782234_4342657.html (인용발명2)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SPD에 사용되는 MOV가 반복적인 일시 과전압의 유입 또는 특성 열화 등으로 인한 누설 전류로 인하여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경우나 과대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즉각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MOV의 열폭주 현상으로 인한 단락으로 전력선 사고나 MOV의 폭발로 인한 화재 발생의 우려를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MOV의 과열 시 설정 온도에서 회로 차단 동작이 정상적으로 실시되는 지의 여부를 출하 전에 바이메탈 접점의 작동에 의하여 확인하고 더 나아가 적정한 감도로 작동되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테스트가 완료된 후에는 커버를 씌워 바이메탈 접점이나 과대 전류로 인한 차단 동작 후에는 임의 조작이 불가하도록 함으로써, 온도휴즈나 저온 용융 금속으로 솔더링 된 종래의 MOV를 기반으로 한 SPD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의 구획벽을 기준으로 일측에 MOV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MOV와 직렬 접속되어 과열발생시 차단되도록 하는 과열방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수단으로 바이메탈을 상기 구획벽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바이메탈의 작동으로 구동레버가 이동하도록 구동레버의 일측에 걸림편을 설치하며, 일측에 래치를 구비하고, 구동레버의 하단과 고정핀으로 연결되며, 구동레버가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자화부와,
상기 바이메탈과 자화부의 하방이 리벳으로 고정되고,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동레버의 래치와 맞물려지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가동자의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밀접되도록 하는 회동간과, 회동간과 본체의 돌기사이에 차단복귀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의 하방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핀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자와 상기 바이메탈 상단 사이를 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바이메탈과 케이스 하방 중간에 구획벽을 뚫고 돌출된 MOV의 일단을 전선으로 연결하며, MOV의 타단이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핀과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를 제안한다.
아울러,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 저면에 나사공으로 결합되어 회동됨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스크류와, 승강 스크류가 결합되는 나사공을 가지며, 바이메탈의 하단과 연장편 및 리벳으로 연결되도록 한 자화편이 조립되어 승강 스크류 상단의 승강으로 바이메탈의 기립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서 된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MOV의 과열 시 설정 온도에서 바이메탈이 작동하면서 가동자의 가동접점이 고정자의 고정접점으로 부터 분리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MOV의 단락시 과대전류에 의하여 자화부가 자화되어 구동레버를 흡인함에 따라 회동간이 회동하면서 가동자의 가동접점이 고정자의 고정접점으로 부터 분리되어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므로, 특성 열화에 의한 누설 전류로 인하여 MOV가 과열되면서 단락되어 발생할 수 있는 과대 전류의 흐름으로 인한 단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과대 전류에 의한 발열로 화재가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근본적으로 강인한 구조로 제작하기 어려운 바이메탈에 일체로 형성된 접점에 의하여 대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로 설치되고 접촉시 스프링에 의하여 접촉저항을 최소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접리시 신속한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된 대전류의 단속이 가능한 구조로 된 가동자와 고정자로 된 접점을 MOV와 일체로 설치하여서 된 것이므로 MOV뿐만 아니라 단위 회로 전체의 전원 공급을 단속하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면서도 MOV와 일체화된 매우 스림(Slim)한 구조로 된 것이어서 협소한 면적의 PCB 등에도 설치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이메탈에 의한 열동 동작을 테스트하고 출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MOV를 기반으로 한 SPD 불량품 출하를 방지하여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며, MOV의 상태를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유지, 보수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열폭주 방지 소자가 구비된 방폭형 서지 보호 장치 구성도.
도2는 종래의 열폭주 방지 소자가 구비된 방폭형 서지 보호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회로도.
도3은 종래의 저온 용융 금속으로 솔더링된 가동 접점을 구비한 MOV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4는 종래의 저온 용융 금속으로 솔더링된 가동 접점을 구비한 MOV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6,7은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본체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인 것으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과 분리된 차단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9은 본 발명의 작동을 보인 것으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에 밀접된 연결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각 요소의 결선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12,13는 본 발명에 텍트스위치를 내장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도14는 본 발명에서 CT를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도15는 본 발명에서 콘넥터를 구비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구성을 도 5,6,7,8,9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600)의 구획벽(601)을 기준으로 일측에 MOV(800)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MOV(800)와 직렬 접속되어 과열발생시 차단되도록 하는 과열방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수단으로 바이메탈(400)을 상기 구획벽(601)에 접면하여 설치하고, 상기 바이메탈(400)의 작동 구간에 설치된 걸림편(701)을 구비한 구동레버(700)와,
구동레버(700)의 일단과 고정핀(503)으로 연결되며, 구동레버(700)와 자화부(500) 사이에 스프링(504)을 설치하여 구동레버(700)가 자화부(500)에 탄력설치되도록 하되, 자화부(500)에서 멀어 지는 방향으로 탄력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바이메탈(400)과 자화부(500)의 하방이 고정되며,
구동레버(700)의 래치(702)와 고정축(30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동간(300)의 걸림돌기(301)가 맞물려진 상태에서 가동자(200)의 가동접점(201)이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과 밀접되도록 하고, 회동간(300)과 본체(600)의 돌기사이에 차단복귀스프링(302)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100)의 하방은 본체(600)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핀(900)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자(200)와 상기 바이메탈(400) 상단 사이를 전선(805)으로 연결하며, 상기 바이메탈(400)과 본체(600) 하방 중간에 구획벽(601)을 뚫고 돌출된 MOV(800)의 일단(801)을 전선(805)으로 연결하며, MOV(800)의 타단(802)이 외부로 돌출된 핀(901)과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도11로 보인 바와 같이 고정자(100)와 MOV(800)의 타단(802)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작동이 개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MOV(800)는 평상시에는 그 내부 저항이 매우 높으므로 전원 전압이 거의 흐르지 않는 상태로 대기하다가 개폐 서지나 뇌서지와 같이 크기가 크고 급준한 파형 특성을 가진 임펄스성 이상(異常) 전압이 인가되면 MOV(800)는 이에 대응하여 내부저항을 급격하게 낮춤으로써 MOV(800)가 연결된 PCB 내부 회로에 임펄스성 이상(異常) 전압이 인가됨을 방지하여 결선 회로를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연속하다보면 MOV(800)의 수명이 다하여 내부저항이 감소함에 따라 누설 전류가 점차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로 계속 방치하게 되면 MOV(800) 스스로 단락 상태가 되어 과대전류가 흐르면서 단락 사고 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과정으로 MOV(800)가 과도하게 발열하는 경우 본체(600)의 구획벽(601)으로 전달되는 고열에 의하여 바이메탈(400)이 변형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도6의 사시도로 보인 바와 같이 화살표로 보인 방향으로 바이메탈(400)이 변형되어 걸림편(701)을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 내면서 구동레버(700)가 고정핀(503)을 중심으로 스프링(504)을 압축시켜 회동하면서 래치(702)가 걸림돌기(301)와의 물림 상태에서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301)가 래치(702)에 맞물려 움직이지 못하고 있던 회동간(300)은 이들의 물림이 해제되면서 도8로 보인 바와 같이 차단복귀스프링(302)이 수축되어 회동간(300)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회동간(300)의 하방에 위치하는 가동자(200)의 가동접점(201)은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이들을 흐르고 있던 전류가 차단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MOV(800)를 흐르던 전류가 차단되어 더 이상 MOV(800)는 발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지, 특 고압 선로 등에 의한 수전 저압 3상 선로의 지락, 단락시 발생하는 일시과전압(Temporary Overvoltage)이 수백 ㎳ 내지 수 초간 지속되는 일시과전압으로 MOV(800)에 인가되면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과 가동접점(201)의 가동접점 그리고 바이메탈(400)을 거쳐서 MOV(800)에 가하여 지게 되는 바,
이러한 전기적 충격으로 인하여 MOV(800)가 손상되면 그 내부저항이 수옴 이하의 낮은 저항값을 갖게 되어 단락사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경우에는 MOV(800)가 발열되기 전에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과 가동자(200)의 가동접점(201) 그리고 바이메탈(400)을 거쳐서 MOV(800)에 흐르는 전류 값이 크게 되므로, 자화부(500)에서 자력이 형성되고, 도6의 화살표로 보인 방향으로 구동레버(700)를 흡인하게 되므로, 고정핀(503)을 축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동레버(700)는 상기한 바이메탈(400)에 의하여 이동하는 경우와 같이 구동레버(700)의 래치(702)가 회동간(300)의 걸림돌기(301)와 물린 상태에서 해제되어 회동간(300)이 차단 복귀스프링(302)에 의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자의 이동접점이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에서 분리되어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고 MOV(800)에는 더 이상의 전기적 충격이 가하여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과 가동접점(201)의 가동접점 그리고 바이메탈(400)을 거쳐서 MOV(800)에 흐르는 전류가 자화에 의한 흡인 동작에 소요되는 약 3㎳ 내지 4㎳의 짧은 시간 이내에 차단되는 것이어서 MOV(800)의 손상으로 인한 단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MOV(800)의 노화로 인한 누설 전류의 증가시에는 더 이상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여 MOV(800)의 노화로 인한 단락 사고로 선로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MOV(800)에 손상을 주는 일시과전압(Temporary Overvoltage)이 가하여 지는 경우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약 3㎳ 내지 4㎳의 짧은 시간 이내에 차단시킴으로써 MOV(800)의 손상으로 인한 단락 사고를 방지하여 선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에 가동접점(201)의 가동접점이 밀착되어 접촉 저항을 최소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회동간(300)의 하방과 가동접점(201)의 가동접점 사이에 접점지지스프링(202)을 넣어 가동접점(201)이 접점지지스프링(202)이 발휘하는 최대의 탄력으로 고정접점(10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를 도9로 보였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메탈(400)의 기립각도를 조정하여 줌으로써 약간의 변형에도 쉽게 구동레버(700)의 걸림편(701)을 터치하거나 많은 변형이 있는 경우에만 구동레버(700)의 걸림편(701)을 터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10으로 보인 바와 같이, 바이메탈(400)과 자화부(500)의 하방이 리벳(502)으로 고정되어 있음과 아울러, 바이메탈(400)의 하단이 자화부(500)의 나사공(501)에 끼워져 회동에 따라 승강 높이가 조절되는 조정스크류(401)의 상단에 의하여 승강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바이메탈(400)의 기립 각도가 조정되어 바이메탈(400)의 상단이 래치(702)와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더하여 바이메탈(400)과 자화편(500) 사이에 탄성을 갖는 연결편(505)을 설치함으로써 각도 조절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과 가동자(200)의 가동접점(201)이 차단된 도5, 도8의 경우 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관리자가 신속하게 이를 파악할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도12으로 보인 바와 같이, 텍트스위치(803)를 회동간(300)이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지한 위치에 설치하여 고정자(100)의 고정접점(101)과 가동자(200)의 가동접점(201)이 차단시 도13로 보인 바와 같이 텍트스위치(803)의 접점 상태가 반전되고, 이를 외부에 연결된 기기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신속하게 접점 차단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CT(804)(Current Transformer)의 중심에 상기한 가동접점(201)의 가동자(200)와 바이메탈(400)을 연결한 전선(805)이나 바이메탈(400)과 MOV(800)의 구획벽(601)을 뚫고 돌출된 MOV(800)의 일단(801)과 연결된 전선(805)이 그 중심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MOV(800)에 흐르는 누설전류량을 외부의 기기에서 측정하여 MOV(800)의 수명을 예측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MOV(800) 단락 방지를 위한 상기 동작의 실시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14에서는 MOV(800)의 일단(801)과 연결된 전선(805)이 CT(804)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한 예를 보였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15으로 보인 바와 같이, MOV(800)의 하방에 형성된 핀(900,901)을 PCB에 직접 솔더링 하지 않고 콘넥터(806)를 이용하여 PCB에 연결함으로써 차단동작시 쉽게 뽑아내고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경제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고정자 101:고정접점 200:가동자
201:가동접점 202: 접점지지스프링 300:회동간
301:회동간의 걸림돌기 302:차단복귀스프링 303:고정축
400:바이메탈 401:조정스크류 500:자화부
501:나사공 502:리벳 503:고정핀
504:스프링 505:연결편 600:케이스
601:구획벽 700:구동레버 701:걸림편
702:래치 800:MOV 801:MOV(800)의 일단
802:MOV(800)의 타단 803:텍트스위치 804:CT
805:전선 806:콘넥터 900,901:핀

Claims (5)

  1. 본체의 구획벽을 기준으로 일측에 MOV를 설치하고, 타측에는 MOV와 직렬 접속되어 과열발생시 차단되도록 하는 과열방지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상기 과열방지수단으로 바이메탈을 상기 구획벽에 근접하여 설치하고, 상기 바이메탈의 작동으로 구동레버가 이동하도록 구동레버의 일측에 걸림편을 설치하며, 이와 별도로 상기 구동 레버에 래치를 구비하고,
    구동레버의 하단이 고정핀으로 연결되며, 구동레버가 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는 자화부와, 상기 바이메탈과 자화부의 하방이 고정되고,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동레버의 래치와 맞물려지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가동자의 가동접점이 고정자의 고정접점과 밀접되도록 하는 회동간과, 회동간과 본체의 돌기사이에 차단복귀스프링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자의 하방은 본체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의 핀으로 형성하고, 상기 가동자와 상기 바이메탈 상단 사이를 전선으로 연결하며, 상기 바이메탈과 케이스 하방 중간에 구획벽을 뚫고 돌출된 MOV의 일단을 전선으로 연결하며, MOV의 타단이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핀과 연결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간의 하방과 가동자의 가동접점 사이에 접점지지스프링을 넣어 가동접점이 접점지지스프링의 탄력으로 고정접점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접촉저항을 최소화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의 하단 높이가 회동에 따라 승강 높이가 조절되는 조정스크류의 상단에 의하여 승강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바이메탈의 기립 각도를 조정하여 바이메탈의 상단이 구동레버의 걸림편과 이격되는 거리가 조절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간의 반시계 방향 정지 위치에 텍트스위치를 설치하여 고정자의 고정접점과 가동자의 가동접점이 차단되었을 시 텍트스위치의 접점이 반전되어 외부에 연결된 기기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의 가동접점과 바이메탈을 연결한 전선이나 바이메탈과 MOV의 구획벽을 뚫고 돌출된 MOV의 일단과 연결된 전선 중 어느 하나가 CT(Current Transformer)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MOV에 흐르는 누설전류량을 외부의 기기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KR1020120010264A 2012-02-01 2012-02-01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KR101264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64A KR101264565B1 (ko) 2012-02-01 2012-02-01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264A KR101264565B1 (ko) 2012-02-01 2012-02-01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4565B1 true KR101264565B1 (ko) 2013-05-14

Family

ID=48666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264A KR101264565B1 (ko) 2012-02-01 2012-02-01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664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Its용 감시카메라의 통합형 보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664A (ko) * 2021-10-26 2023-05-03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Its용 감시카메라의 통합형 보호기
KR102647775B1 (ko) * 2021-10-26 2024-03-15 주식회사 예향엔지니어링 Its용 감시카메라의 통합형 보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867B2 (en) Hybrid air-gap / solid-state circuit breaker
JP5805766B2 (ja) 小型過渡電圧サージ抑制装置
JP6101283B2 (ja) スイッチング部材の接点ギャップにわたって発生するアークを抑圧するための回路装置
US7852607B2 (en) Protection device with lockout test
JP5926257B2 (ja) プラグ脱着可能な酸化金属サージ装置
US7295410B1 (en) Protective device with miswire protection
US8605402B2 (en) Heat sensor responsive to electrical overloads
US8159803B2 (en) Heat actuated interrupter receptacle
RU23219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KR101141915B1 (ko) 서지억제소자를 기반으로 한 과열 방지기능을 갖는 서지보호장치
CN107731635B (zh) 一种用于电涌保护器的后备断路保护器
JP2016521429A (ja) 設備および人員を保護するための短絡機能付き過電圧保護装置
CN211428100U (zh) 一种电路保护装置
US11257649B2 (en) Voltage protective device having a resettable circuit interrupter that is trippable in an overvoltage condition
EP2919254A1 (en) Surge protection device having short-circuit current protection function
EP2111680A1 (en) An overvoltage and/or undervoltage protection device
ES2592697T3 (es) Módulos y dispositivos de interruptor seccionador con fusible con detección de corriente en línea
JP2009232589A (ja) Spd切り離し装置
KR101264565B1 (ko) 서지 억제 소자를 기반으로 한 일체형 과열 방지 및 순시 차단기능을 갖는 서지 보호 장치
US10186393B2 (en) Surge protector switch disconnect modules and devices
CN109817498B (zh) 具有双断路触点的高压直流断路器
TWI795548B (zh) 三相突波保護裝置
KR101398044B1 (ko) 서지 보호 차단 장치
JP5112128B2 (ja) Spd活線分離装置
US20200025809A1 (en) Destructive current conditions protectiv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