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1960A -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1960A
KR20010111960A KR1020000032748A KR20000032748A KR20010111960A KR 20010111960 A KR20010111960 A KR 20010111960A KR 1020000032748 A KR1020000032748 A KR 1020000032748A KR 20000032748 A KR20000032748 A KR 20000032748A KR 20010111960 A KR20010111960 A KR 20010111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ontact portion
protection device
movable contact
over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민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1960A/ko
Publication of KR20010111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1960A/ko

Links

Landscapes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모터에 과부하가 유기될 때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일측은 외부전원과 접속되고 타측은 고정자권선과 접속된 입력단자와, 상기 고정자권선에 설치된 캔과 상기 캔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단자와 접속된 바이메탈아암과 상기 바이메타암에 일측이 접속된 가동접점부와 상기 캔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접점부의 타측이 접속되는 고정접점부를 가지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아암과 가동접점부의 접속부위에는 소정 이상의 부하가 인가되면 단락되는 스위치가 마련된다. 상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외부로부터 과부하가 인가되면,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의 접점이 단락되고 스위치가 단락된다. 즉, 2중으로 과부하에 대한 보호장치가 마련되므로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OVERLOAD PROTECTING APPARATUS OF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과부하가 유기될 때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의 고정자(미도시)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원측과 접속되는 과부하 보호장치(10)는 캔(11)을 가진다. 캔(11)에는 열변형되는 바이메탈아암(13)이 설치되고, 바이메탈아암(13)은 입력단자(20)와 접속된다. 입력단자(20)는 외부전원 및 고정자와 각각 접속되어 상기 고정자측으로 외부의 전원을 인가한다. 바이메탈아암(13)에는 가동접점부(14a)가 설치되고, 캔(11)에는 가동접점부(14a)가 접속되는 고정접점부(14b)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전원으로부터 과부하가 인가되면 바이메탈아암(13)이 도 1에 도시한 점선처럼 열변형되고, 바이메탈아암(13)의 변형에 의하여 가동접점부(14a)가 고정접점부(14b)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외부의 과부하가 고정자로 인가되지 못하고, 이로인해, 모터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외부의 과부하로 인하여 가동접점부(14a)가 고정접점부(14b)에 붙고 떨어지는 보호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가동접점부(14a)와 고정접점부(14b)는 아크 및 써지전압에 의하여 융착되게 된다. 그러면, 외부의 과부하가 인가될 때, 가동접점부(14a)가 고정접점부(14b)에서 떨어지지 않게 되어 모터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과부하가 모터로 인가되면 단락되는 별도의 스위치 마련하여, 2중으로 모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부하에 의하여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고정자에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인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고정자 61 : 캔
63 : 바이메탈아암 65,67 : 가동,고정접점부
69 :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일측은 외부전원과 접속되고 타측은 고정자권선과 접속된 입력단자와, 상기 고정자권선에 설치된 캔과 상기 캔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단자와 접속된 바이메탈아암과 상기 바이메타암에 일측이 접속된 가동접점부와 상기 캔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접점부의 타측이 접속되는 고정접점부를 가지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아암과 가동접점부의 접속부위에는 소정 이상의 부하가 인가되면 단락되는 스위치가 마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고정자에 과부하 보호장치가 설치된 것을 보인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고정자(51)는 고정자철심(51a)과 고정자철심(51a)에 권선된 고정자권선(51b)을 가진다. 그리고, 고정자권선(51b)에는 외부전원측과 접속된 입력단자(55)와 과부하보호장치(60)가 설치된다. 입력단자(55)는 외부전원 및 고정자권선(51b)과 각각 접속되고, 과부하보호장치(60)는 입력단자(55)와 접속되어 전류, 전압 및 온도 등과 같은 외부의 과부하가 인가될 때 단락되어 외부의 과부하가 고정자권선(51b)으로 인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60)를 상세히 설명한다.
과부하 보호장치(60)는 캔(61)을 가진다. 이때, 입력단자(55)의 일측은 캔(61)의 내측에 위치되고 타측은 캔(61)의 외측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캔(61)의 내부에는 입력단자(55)의 타측과 접속된 바이메탈아암(63)이 설치되고, 바이메탈아암(63)에는 가동접점부(65)의 일측이 접속된다. 가동접점부(65)의 타측은 캔(61)에 마련된 고정접점부(67)와 항상 접속된다.
바이메탈아암(63)은 외부에서 과부하가 인가되면,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된다. 그러면, 바이메탈아암(63)의 변형에 의하여 가동접점부(65)도 변형되면서, 가동접점부(65)의 타측이 고정접점부(67)로부터 떨어진다. 이로인해, 과부하는 고정자권선(51b)으로 인가되지 않게되어, 모터가 손상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보호장치에는 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휴즈 등과 같은 스위치(69)가 마련된다. 스위치(69)는 바이메탈아암(63)과 가동접점부(65)의 접속부위에 마련되어 소정치 이상의 부하가 인가되면 단락된다. 즉, 가동접점부(65)와 고정접점부(67)가 아크 또는 써지전압에 의하여 융착되어도, 스위치(69)의 단락에 의하여 과부하가 고정자권선(51)으로 전달되지 못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외부로부터 과부하가 인가되면, 가동접점부와 고정접점부의 접점이 단락되고 스위치가 단락된다. 즉, 2중으로 과부하에 대한 보호장치가 마련되므로 모터가 손상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1)

  1. 일측은 외부전원과 접속되고 타측은 고정자권선과 접속된 입력단자와, 상기 고정자권선에 설치된 캔과 상기 캔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단자와 접속된 바이메탈아암과 상기 바이메타암에 일측이 접속된 가동접점부와 상기 캔에 마련되며 상기 가동접점부의 타측이 접속되는 고정접점부를 가지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구비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아암과 가동접점부의 접속부위에는 소정 이상의 부하가 인가되면 단락되는 스위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1020000032748A 2000-06-14 2000-06-14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KR20010111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48A KR20010111960A (ko) 2000-06-14 2000-06-14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2748A KR20010111960A (ko) 2000-06-14 2000-06-14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1960A true KR20010111960A (ko) 2001-12-20

Family

ID=4593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748A KR20010111960A (ko) 2000-06-14 2000-06-14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19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39B1 (ko) * 2006-04-13 2007-12-10 정해양 과부하 보호기 및 이를 이용한 플러그와 전원 탭
CN101769255A (zh) * 2008-12-29 2010-07-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高寿命压缩机
KR20180110053A (ko) * 2016-02-18 2018-10-08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삭도 시스템에서 움직이는 삭도 차량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860A (en) * 1975-10-21 1977-08-1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ation starter-protector device
JPS61144276U (ko) * 1985-02-28 1986-09-05
JPS63220745A (ja) * 1987-03-09 1988-09-14 Matsushita Refrig Co モ−タの起動・過負荷保護装置
JP2000156141A (ja) * 1998-11-17 2000-06-06 Texas Instr Japan Ltd モータプロテ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2860A (en) * 1975-10-21 1977-08-1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ination starter-protector device
JPS61144276U (ko) * 1985-02-28 1986-09-05
JPS63220745A (ja) * 1987-03-09 1988-09-14 Matsushita Refrig Co モ−タの起動・過負荷保護装置
JP2000156141A (ja) * 1998-11-17 2000-06-06 Texas Instr Japan Ltd モータプロテ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139B1 (ko) * 2006-04-13 2007-12-10 정해양 과부하 보호기 및 이를 이용한 플러그와 전원 탭
CN101769255A (zh) * 2008-12-29 2010-07-0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高寿命压缩机
KR20180110053A (ko) * 2016-02-18 2018-10-08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삭도 시스템에서 움직이는 삭도 차량용 장치
US10889305B2 (en) 2016-02-18 2021-01-12 Innova Patent Gmbh Apparatus for moving ropeway vehicles in a ropewa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8956A (en) Overtemperature sensing and signaling circuit
US5426406A (en) Induction motor protective circuit breaker unit
JPS5944928A (ja) 電気負荷用保護装置
KR20030044912A (ko) 전기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US6710988B1 (en) Small-sized industrial rated electric motor starter switch unit
US3718879A (en) Apparatus for starting and protecting of electrical motors
KR20010111960A (ko) 모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JPH10116552A (ja) スイッチング装置
JP2677866B2 (ja) 負荷保護装置
US771307A (en) Means for protecting electric conductors.
KR200257997Y1 (ko) 다기능 차단기
JPH11273522A (ja) 電流・温度ヒューズ
JP2006196443A (ja) サーマルプロテクタ及びプロテクタ
KR100458334B1 (ko) 순시 트립 기구를 내장한 누전 차단기
KR200371254Y1 (ko) 스위치 부착형 플러그
KR970001863Y1 (ko) 통신용 보안기의 과전류 안전차단장치
KR200247020Y1 (ko) 돌입전류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가 구비된 차단기
KR200280239Y1 (ko) 누전차단기용 단자
RU222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KR200146435Y1 (ko) 차단기
KR100483930B1 (ko) 과부하 차단기용 돌입전류 오동작 방지회로
KR100685461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전동기 기동 제어장치
KR200317444Y1 (ko) 과부하 차단기용 돌입전류 오동작 방지회로
SU9247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JP3419168B2 (ja) 接地形計器用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