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404B1 - 모듈화 책상 - Google Patents

모듈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404B1
KR101823404B1 KR1020160002394A KR20160002394A KR101823404B1 KR 101823404 B1 KR101823404 B1 KR 101823404B1 KR 1020160002394 A KR1020160002394 A KR 1020160002394A KR 20160002394 A KR20160002394 A KR 20160002394A KR 101823404 B1 KR101823404 B1 KR 10182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unit
closing
upp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219A (ko
Inventor
강재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Priority to KR102016000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4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47B2200/0082Cable inlet in worktop or desk, e.g. gromme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이 설치되는 바닥과 책상의 상면에서 전선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책상에서 배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듈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모듈화 책상은 개폐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유닛과, 상판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상판이격유닛과, 상판유닛에 구비되고 상판유닛에 배치되는 물건과의 접속에 필요한 전장부재가 수납되는 선정리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선정리유닛은 상판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개폐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부와, 상판유닛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로써 개폐공간과 연통되어 전장부재가 수납되는 보관공간과 상판이격유닛과 마주보는 부분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연통홈부가 포함되는 보관함부 및 보관함부에 구비되고 개폐판부의 개폐 동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스무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화 책상{MODULAR DESK}
본 발명은 모듈화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책상이 설치되는 바닥과 책상의 상면에서 전선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책상에서 배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듈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자동화기기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각 사무실의 책상 주변은 컴퓨터, 프린터, 전화기 등의 각종 전자기기들이 비치되면서 이들 기기에 연결된 전선이 책상 위나 사무실 바닥에 늘어진 상태로 복잡하게 얽혀 있어 사무환경에 커다란 지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전자기기들의 배선처리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그에 대한 대책으로써, 이러한 전선들은 대부분 책상 주변에 설치된 파티션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배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책상의 상면 일부 또는 측면에 전선캡을 설치함으로써, 전선캡을 매개로 플러그 및 전선이 통과하도록 하여 배선 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일예로, 책상의 상판에 관통 형성된 전선구멍에 끼워지는 전선캡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는 단순히 구멍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잡아 당기면 쉽게 빠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여 전선구멍으로 끼워지는 전선캡의 하단에 상판의 밑면에 걸리는 걸림턱을 만들어서, 전선캡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책상 상판의 두께가 달라지면 사용할 수 없으므로 책상의 상판 두께에 맞게 여러 가지의 전선캡을 구비해야 되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8807호(고안의 명칭 : 책상용 전선캡, 2002. 12. 27.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책상이 설치되는 바닥과 책상의 상면에서 전선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책상에서 배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듈화 책상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책상은 개폐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유닛; 상기 상판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상판이격유닛; 및 상기 상판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상판유닛에 배치되는 물건과의 접속에 필요한 전장부재가 수납되는 선정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정리유닛은, 상기 상판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부; 상기 상판유닛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이고, 상기 개폐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전장부재가 수납되는 보관공간과, 상기 상판이격유닛과 마주보는 부분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연통홈부가 포함되는 보관함부; 및 상기 보관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부의 개폐 동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스무브;를 포함며, 상기 개폐판부가 상기 상판유닛에서 회전될 때, 상기 개폐공간을 개방하는 상기 개폐판부가 상기 상판유닛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개방각으로 지지되도록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폐쇄하는 마감유닛;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유닛은, 상기 개폐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판부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개폐축이 결합되는 제1지지상판; 상기 개폐판부의 타측에서 상기 개폐판부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개폐축이 결합되는 제2지지상판; 및 상기 제1지지상판과 상기 제2지지상판이 각각 결합되는 메인상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부가 상기 개폐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부와 상기 메인상판 사이에는, 개구공간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선정리유닛은, 상기 개구공간을 폐쇄하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상판과 결합되는 개구차단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개구차단부는, 상기 메인상판과 결합되는 개구고정부; 상기 메인상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개구고정부에서 연장되는 개구지지부; 및 상기 개구공간을 폐쇄하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차단탄성부;를 포함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개폐판부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개폐축의 중심은, 상기 마감유닛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마감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판유닛의 가장자리 쪽으로 편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책상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구획하는 함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함지지유닛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판부; 및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판이격유닛에는, 상기 전장부재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전선연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선의 이동통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연결공과 끼움 결합되는 전선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선연결유닛은, 상기 전선연결공의 개구 면적을 축소시키는 구멍축소부; 상기 전선연결공과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구멍축소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끼움고정부; 및 상기 전선연결공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판이격유닛을 감싸도록 상기 구멍축소부 또는 상기 끼움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마감날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책상은 상기 상판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판이격유닛과 결합되는 바닥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지지유닛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이격유닛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조절볼트부가 나사 결합되는 조절공이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바닥지지부; 및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판이격유닛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연장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 따르면, 책상이 설치되는 바닥과 책상의 상면에서 전선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책상에서 배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함부를 개폐할 때, 개폐판부와 보관함부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개폐판부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판유닛 또는 선정리유닛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판부의 회전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판유닛에서 개폐공간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장부재에 접속된 전선이 상판유닛을 통과함에 따라 전선을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노출되는 전선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구공간을 폐쇄하고, 보관함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차단부의 반복 사용에도 개구공간의 폐쇄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구차단부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판부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고, 개폐판부가 마주보는 모듈화 책상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며, 개폐판부의 개폐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개폐판부와 마감유닛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개폐판부 또는 마감유닛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판부의 개방각을 둔각 수준으로 고정시키거나, 개폐판부의 개방각을 예각 수준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판유닛의 하부에서 보관함부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보관함부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판유닛의 하부를 구획하여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하는 모듈화 책상과의 연결을 간편하게 하고, 전선의 통과에 따라 이웃하는 두 모듈화 책상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또는 플러그가 상판이격유닛을 간편하게 통과하도록 하면서 상판이격유닛에 관통되는 전선연결공을 보호하고, 이웃하는 모듈화 책상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전선연결공에서 전선연결유닛의 탈부착 및 전장부재의 교환, 전장부재의 재배치 등이 포함된 모듈화 책상의 유지보수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의 모듈화 책상에서 자체 높이 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판유닛의 외측으로 고정부재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웃하는 두 모듈화 책상 간의 간섭 및 입식칸막이와 모듈화 책상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듈화 책상의 둘레에서 높이 조절 구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듈화 책상의 높이 조절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선정리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전선연결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바닥지지유닛을 도시한 부분분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바닥지지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 책상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선정리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전선연결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바닥지지유닛을 도시한 부분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에서 바닥지지유닛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은 책상이 설치되는 바닥과 책상의 상면에서 전선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책상에서 배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은 상판유닛(10)과, 상판이격유닛(20)과, 선정리유닛(50)을 포함한다.
상기 상판유닛(1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물건이 놓여진다. 상기 상판유닛(10)에는 상기 선정리유닛(50)과의 연통을 위한 개폐공간(1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상판유닛(10)은 후술하는 개폐판부(51)와의 결합을 위해 제1지지상판(11)과, 제2지지상판(12)과, 메인상판(1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상판(11)과 상기 제2지지상판(12)은 상호 이격 배치되어 상기 개폐공간(13)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상판(11)에는 후술하는 개폐판부(51)의 일측에서 후술하는 개폐축(511)이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상판(12)에는 후술하는 개폐판부(51)의 타측에서 후술하는 개폐축(511)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상판유닛(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개폐공간(13)을 개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상판(11)과 상기 제2지지상판(12)에는 각각 후술하는 개폐축(511)과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지지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미도시)는 후술하는 개폐축(511)과 끼움 결합되도록 돌기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상판(14)은 상기 제1지지상판(11)과 상기 제2지지상판(12)이 각각 결합된다.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은 상기 상판유닛(1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은 두 개가 상호 이격된 상태로 상기 상판유닛(1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은 각각 상기 상판유닛(10)의 양측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에는 각각 전장부재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전선연결공(21)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전선연결공(21)에는 상기 전선의 단부에 구비되는 콘센트 또는 플러그가 자유롭게 통과되도록 한다. 상기 전선연결공(21)에는 후술하는 전선연결유닛(70)과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선정리유닛(50)은 상기 상판유닛(10)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부재가 수납된다. 상기 전장부재는 상기 상판유닛(10)에 배치되는 물건과의 접속에 필요한 부재이고, 상기 전장부재에는 상기 전선이 연결된다. 일예로, 상기 전장부재는 콘센트, 플러그, 다수의 플러그가 결합되는 멀티탭 콘센트, 유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선정리유닛(50)은 개폐판부(51)와, 보관함부(52)와, 스무브(54)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판부(51)는 상기 상판유닛(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공간(13)을 개폐한다. 상기 개폐판부(51)에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개폐축(511)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축(511)은 상기 회전지지부(미도시)와 끼움 결합되도록 돌기 또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개폐축(511)은 상기 회전지지부(미도시)와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폐판부(51)는 상기 개폐축(511)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개폐공간(13)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개폐판부(51)는 상기 개폐축(511)을 기준으로 상기 개폐공간(13)을 폐쇄하도록 상기 메인상판(14) 쪽으로 구비되는 가림판부(512)와, 상기 개폐축(511)을 기준으로 상기 상판유닛(10)의 가장자리 쪽으로 구비되는 걸림제한부(513)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마감유닛(40)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개폐축(511)의 중심은 후술하는 마감유닛(4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상판유닛(10)의 가장자리 쪽으로 편심됨으로써, 상기 개폐판부(51)의 회전 동작을 자유롭게 하고, 상기 개폐공간(13)을 개방하는 상기 개폐판부(51)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개폐축(511)과 상기 회전지지부(미도시)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개폐판부(51)의 최대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판부(51) 또는 후술하는 마감유닛(40)에는 상기 개폐판부(51)의 회전에 따른 상기 개폐판부(51)와 상기 마감유닛(40)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돌부(515)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완충돌부(515)는 상기 개폐판부(51)의 하부 또는 상기 걸림제한부(513)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모듈화 책상의 외관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듈화 책상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부(51)와 상기 제1지지상판(11)과 상기 제2지지상판(12) 중 어느 하나에는 회동서포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동서포터(미도시)는 상기 개폐공간(13)을 개폐하는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상판유닛(10)에 대하여 90도 이하의 개방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회동서포터(미도시)는 상기 개폐판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상판유닛(10) 또는 상기 보관함부(52)에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회동서포터(미도시)는 상기 제1지지상판(11)과 상기 제2지지상판(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부(51)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개폐공간(13)을 개방할 때, 상기 회동서포터(미도시)는 상기 상판유닛(1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부(51)를 실질적으로 예각 수준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보관함부(52)는 상기 개폐판부(51)의 개폐 동작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보관함부(52)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로써, 상기 개폐공간(13)과 연통되도록 상기 상판유닛(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보관함부(52)에는 상기 개폐공간(13)과 연통되어 상기 전장부재가 수납되는 보관공간(521)과, 상기 상판이격유닛(20)과 마주보는 부분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연통홈부(522)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보관함부(52)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판유닛(10)과 마주보도록 고정리브(523)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523)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가림리브(524)가 절곡 연장될 수 있다. 그러면,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보관함부(52)를 상기 상판유닛(10)에 결합할 때, 상기 고정리브(523)와 상기 상판유닛(10)의 밀착도 및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별도의 체결부재를 가릴 수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부(52)에는 상기 스무브(54)와의 끼움 결합을 위한 완충결합부(5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결합부(525)는 상기 스무브(54)가 끼움 결합되는 홈 또는 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결합부(525)에는 고정턱부(526)가 형성되어 상기 스무브(54)가 정위치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결합부(525)에는 지지리브(527)가 형성되어 상기 스무브(54)를 지지하고, 상기 스무브(54)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무브(54)는 상기 보관함부(52)에 구비된다. 상기 스무브(54)는 상기 개폐판부(51)의 개폐 동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스무브(54)는 끼움결합부(541)와, 삽탈돌기(543)와, 완충부(5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결합부(541)는 상기 완충결합부(525)와 끼움 결합된다. 상기 끼움결합부(541)에는 상기 고정턱부(526)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리브(542)가 구비된다.
상기 삽탈돌기(543)는 상기 끼움결합부(541)에서 상기 개폐공간(13)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삽탈돌기(543)는 상기 끼움결합부(541)에서 삽탈이 가능하다. 상기 삽탈돌기(543)는 상기 완충부(545)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부(51)의 자체 하중 또는 상기 개폐판부(51)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을 흡수하여 부드럽게 상기 끼움결합부(541)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개폐판부(51)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이 해제되면, 원위치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545)는 상기 끼움결합부(541)에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545)는 상기 삽탈돌기(543)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을 완화시킨다. 상기 완충부(545)는 다양한 형태를 통해 상기 삽탈돌기(543)에 가해지는 충격 또는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결합부(541)와 상기 완충부(545) 사이에는 돌기지지부(544)가 구비되어 상기 삽탈돌기(543)의 삽탈 정도를 조절하고, 버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선정리유닛(50)은 개구차단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개폐공간(13)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부(51)와 상기 메인상판(14) 사이에는 상기 전선의 통과를 위한 개구공간(514)이 관통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차단부(53)는 상기 개구공간(514)을 폐쇄한다. 상기 개구차단부(53)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구차단부(53)는 상기 메인상판(14)과 결합된다.
상기 개구차단부(53)는 상기 메인상판(14)과 결합되는 개구고정부(531)와, 상기 메인상판(14)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개구고정부(531)에서 연장되는 개구지지부(533)와, 상기 개구공간(514)을 폐쇄하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지지부(533)에서 연장되는 차단탄성부(53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구고정부(531)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개구고정부(531)와 상기 개구지지부(533)가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탄성부(535)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차단탄성부(535)와 상기 개구지지부(533)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개구차단부(53)와 상기 메인상판(14)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면서도 상기 개구공간(514)에서 상기 전선의 삽탈 및 지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지지부(533)에는 굽힘수용홈(534)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기 개구지지부(533)에 탄성을 부여하거나 상기 개구지지부(533)의 탄성을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차단탄성부(535)의 탄성 변형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탄성부(535)에는 강화리브(536)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차단탄성부(535)를 보강하고, 상기 차단탄성부(535)의 탄성 복원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굽힘수용홈(534) 또는 상기 강화리브(536)는 상기 개구차단부(53)의 길이 방향에 평행이거나 상기 개구차단부(53)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 책상은 보강프레임(30)과, 마감유닛(40)과, 함지지유닛(60)과, 전선연결유닛(70)과, 바닥지지유닛(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상기 상판유닛(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상기 보강프레임(30)은 상기 상판유닛(10)의 면적에 따른 처짐을 방지하고, 상기 상판유닛(10)의 세부 결합 구조 및 상기 상판유닛(10)과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의 결합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유닛(40)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를 폐쇄한다. 상기 마감유닛(40)은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상판유닛(10)에서 회전될 때, 상기 개폐공간(13)을 개방하는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상판유닛(10)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개방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개폐판부(51)가 상기 개폐공간(13)을 개방할 때, 상기 마감유닛(40)은 상기 걸림제한부(513)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상판유닛(10)에 대하여 상기 개폐판부(51)를 실질적으로 둔각 수준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감유닛(4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축(511)의 위치가 조절됨으로서, 상기 개폐판부(51)의 최대 개방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함지지유닛(60)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를 구획한다. 상기 함지지유닛(60)은 상기 보관함부(52)를 지지하여 상기 보관함부(52)가 유동되거나 상기 보관함부(52)가 상기 상판유닛(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함지지유닛(60)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를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판부(61)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지지판부(6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부(62)는 상기 수평판부(61)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보관함부(52)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판부(61)와 상기 지지판부(62) 중 상기 수평판부(61)에도 상기 전선이 통과되는 상기 전선연결공(21)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수평판부(61) 또는 상기 지지판부(62)에 관통 형성되는 상기 전선연결공(21)에는 상기 전선연결유닛(70)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선연결유닛(70)은 상기 전선의 이동통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이격유닛(20) 또는 상기 함지지유닛(60)에 관통 형성되는 전선연결공(21)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전선연결유닛(70)은 상기 전선이 통과되도록 상기 전선연결공(21)의 개구 면적을 축소시키는 구멍축소부(71)와, 상기 전선연결공(21)과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구멍축소부(71)에서 연장 형성되는 끼움고정부(72)와, 상기 전선연결공(21)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판이격유닛(20) 또는 상기 함지지유닛(60)을 감싸도록 상기 구멍축소부(71) 또는 상기 끼움고정부(72)에서 연장 형성되는 마감날개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연결유닛(70)은 상기 구멍축소부(71)의 중심에 대하여 원점 대칭, 축 대칭 등의 형태로 양분됨에 따라 제1연결유닛(70a)과 제2연결유닛(70b)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연결유닛(70a)과 상기 제2연결유닛(70b)은 상호 형상 맞춤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유닛(70a)과 상기 제2연결유닛(70b)에 각각 구비되는 끼움고정부(72)를 통해 상기 전선연결공(21)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전선연결유닛(70)은 일체로 형성되고, 개구된 상기 구멍축소부(71)의 중심과 연통되도록 상기 구멍축소부(71)와 상기 끼움고정부(72)와 상기 마감날개부(73)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되도록 끼움슬릿(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지지유닛(80)은 상기 상판유닛(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판이격유닛(20)과 결합된다. 상기 바닥지지유닛(80)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이격유닛(2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81)와, 상기 고정부재(81)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부(82)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볼트부(82)와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고정부재(81)에 내장되는 조절너트(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1)는 조절공(813)이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바닥지지부(811)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지지부(811)에서 연장되는 연장고정부(8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공(813)은 상기 조절볼트부(82)가 나사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기 조절공(813)에는 상기 조절너트(83)가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조절공(813)은 상기 조절볼트부(8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볼트부(82)가 상기 상판이격유닛(2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고정부(812)는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로만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바닥지지부(811)에서 연장된다. 상기 연장고정부(812)에는 상기 고정부재(81)와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결합되도록 체결공(814)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부(82)는 상기 조절공(813) 또는 상기 조절너트(83)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821)와, 상기 조절볼트(821)의 머리에 결합되는 볼트파지부(822)를 포함한다. 여기서, 볼트파지부(822)에는 상기 조절볼트(821)의 머리가 삽입 고정되는 헤드결합홈부(824)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볼트파지부(822)의 외주면에는 파지돌기(826)가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돌기(826)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부(82)는 상기 헤드결합홈부(824)를 폐쇄하면서 상기 조절볼트(821)의 머리가 고정되도록 상기 볼트파지부(822)에 결합되는 헤드마감캡(8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지지부(811)의 하부에는 상기 볼트파지부(822)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20) 사이로만 노출된 상태로 삽입되는 안착홈부(815)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부(815)에는 상기 조절공(8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지지부(811)는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이웃하는 모듈화 책상에 간섭되지 않고, 상기 볼트파지부(822)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모듈화 책상에 따르면, 책상이 설치되는 바닥과 책상의 상면에서 상기 전선의 간섭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책상에서 배선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함부(52)를 개폐할 때, 상기 개폐판부(51)와 상기 보관함부(52) 사이의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개폐판부(51)의 개폐 동작에 따라 상기 상판유닛(10) 또는 상기 선정리유닛(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51)의 회전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상판유닛(10)에서 상기 개폐공간(13)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재에 접속된 상기 전선이 상기 상판유닛(10)을 통과함에 따라 상기 전선을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노출되는 상기 전선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공간(514)을 폐쇄하고, 상기 보관함부(52)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차단부(53)의 반복 사용에도 상기 개구공간(514)의 폐쇄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개구차단부(53)의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51)의 개방각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개폐판부(51)가 마주보는 모듈화 책상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개폐판부(51)의 개폐 동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51)와 상기 마감유닛(40)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고, 상기 개폐판부(51) 또는 상기 마감유닛(40)이 마모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51)의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부(51)의 개방각을 둔각 수준으로 고정시키거나, 상기 개폐판부(51)의 개방각을 예각 수준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유닛(10)의 하부에서 상기 보관함부(52)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상기 보관함부(52)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유닛(10)의 하부를 구획하여 별도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수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모듈화 책상과의 연결을 간편하게 하고, 상기 전선의 통과에 따라 이웃하는 두 모듈화 책상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센트 또는 플러그가 상기 상판이격유닛(20)을 간편하게 통과하도록 하면서 상기 상판이격유닛(20)에 관통되는 상기 전선연결공(21)을 보호하고, 이웃하는 모듈화 책상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며, 상기 전선연결공(21)에서 상기 전선연결유닛(70)의 탈부착 및 상기 전장부재의 교환, 상기 전장부재의 재배치 등이 포함된 모듈화 책상의 유지보수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개별의 모듈화 책상에서 자체 높이 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유닛(10)의 외측으로 상기 고정부재(81)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웃하는 두 모듈화 책상 간의 간섭 및 입식칸막이와 모듈화 책상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듈화 책상의 둘레에서 높이 조절 구조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듈화 책상의 높이 조절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 상판유닛 11: 제1지지상판 12: 제2지지상판
13: 개폐공간 14: 메인상판 20: 상판이격유닛
21: 전선연결공 30: 보강프레임 40: 마감유닛
50: 선정리유닛 51: 개폐판부 511: 개폐축
512: 가림판부 513: 걸림제한부 514: 개구공간
515: 완충돌부 52: 보관함부 521: 보관공간
522: 연통홈부 523: 고정리브 524: 가림리브
525: 완충결합부 526: 고정턱부 527: 지지리브
53: 개구차단부 531: 개구고정부 533: 개구지지부
534: 굽힘수용홈 535: 차단탄성부 536: 강화리브
54: 스무브 541: 끼움결합부 542: 걸림리브
543: 삽탈돌기 544: 돌기지지부 545: 완충부
60: 함지지유닛 61: 수평판부 62: 지지판부
70: 전선연결유닛 70a: 제1연결유닛 70b: 제2연결유닛
71: 구멍축소부 72: 끼움고정부 73: 마감날개부
80: 바닥지지유닛 81: 고정부재 811: 바닥지지부
812: 연장고정부 813: 조절공 814: 체결공
815: 안착홈부 82: 조절볼트부 821: 조절볼트
822: 볼트파지부 824: 헤드결합홈부 826: 파지돌기
828: 헤드마감캡 83: 조절너트

Claims (10)

  1. 개폐공간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유닛;
    상기 상판유닛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상판이격유닛; 및
    상기 상판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상판유닛에 배치되는 물건과의 접속에 필요한 전장부재가 수납되는 선정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선정리유닛은,
    상기 상판유닛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공간을 개폐하는 개폐판부;
    상기 상판유닛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이고, 상기 개폐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전장부재가 수납되는 보관공간과, 상기 상판이격유닛과 마주보는 부분에 각각 관통 형성되는 연통홈부가 포함되는 보관함부; 및
    상기 보관함부에 구비되고, 상기 개폐판부의 개폐 동작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는 스무브;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판부가 상기 상판유닛에서 회전될 때, 상기 개폐공간을 개방하는 상기 개폐판부가 상기 상판유닛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이하의 개방각으로 지지되도록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폐쇄하는 마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유닛은,
    상기 개폐판부의 일측에서 상기 개폐판부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개폐축이 결합되는 제1지지상판;
    상기 개폐판부의 타측에서 상기 개폐판부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개폐축이 결합되는 제2지지상판; 및
    상기 제1지지상판과 상기 제2지지상판이 각각 결합되는 메인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가 상기 개폐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판부와 상기 메인상판 사이에는, 개구공간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선정리유닛은,
    상기 개구공간을 폐쇄하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메인상판과 결합되는 개구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차단부는,
    상기 메인상판과 결합되는 개구고정부;
    상기 메인상판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상기 개구고정부에서 연장되는 개구지지부; 및
    상기 개구공간을 폐쇄하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구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차단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부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개폐축의 중심은, 상기 마감유닛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마감유닛으로부터 상기 상판유닛의 가장자리 쪽으로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7.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구획하는 함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함지지유닛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높이 방향으로 구획하는 수평판부; 및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하는 지지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이격유닛에는, 상기 전장부재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전선연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선의 이동통로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전선연결공과 끼움 결합되는 전선연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선연결유닛은,
    상기 전선연결공의 개구 면적을 축소시키는 구멍축소부;
    상기 전선연결공과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구멍축소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끼움고정부; 및
    상기 전선연결공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상판이격유닛을 감싸도록 상기 구멍축소부 또는 상기 끼움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마감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유닛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판이격유닛과 결합되는 바닥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바닥지지유닛은,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판이격유닛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조절볼트부가 나사 결합되는 조절공이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는 바닥지지부; 및
    두 개의 상기 상판이격유닛 사이에서 돌출되어 상기 상판이격유닛을 감싸도록 상기 바닥지지부에서 연장되는 연장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 책상.
KR1020160002394A 2016-01-08 2016-01-08 모듈화 책상 KR10182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94A KR101823404B1 (ko) 2016-01-08 2016-01-08 모듈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394A KR101823404B1 (ko) 2016-01-08 2016-01-08 모듈화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19A KR20170083219A (ko) 2017-07-18
KR101823404B1 true KR101823404B1 (ko) 2018-02-01

Family

ID=5943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394A KR101823404B1 (ko) 2016-01-08 2016-01-08 모듈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4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60U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퍼시스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0629A1 (en) * 2021-03-22 2022-12-01 Tosunoğullari Mobi̇lya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A modular-designed panel system
KR102568861B1 (ko) * 2023-02-16 2023-08-22 (주)코아스 반자동식 개폐모듈 및 이를 구비한 가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490B1 (ja) * 1998-01-19 1999-07-26 株式会社ナイキ 机の配線ダクト装置
KR200386302Y1 (ko) * 2005-03-17 2005-06-10 성 하 임 강의용 조합형 책상
KR200443610Y1 (ko) * 2007-11-23 2009-02-27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전선덕트
US20130061783A1 (en) * 2010-05-28 2013-03-14 Steelcase Inc. Grommet assembly for work surfa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3490B1 (ja) * 1998-01-19 1999-07-26 株式会社ナイキ 机の配線ダクト装置
KR200386302Y1 (ko) * 2005-03-17 2005-06-10 성 하 임 강의용 조합형 책상
KR200443610Y1 (ko) * 2007-11-23 2009-02-27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전선덕트
US20130061783A1 (en) * 2010-05-28 2013-03-14 Steelcase Inc. Grommet assembly for work surfa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860U (ko) * 2021-01-21 2022-07-28 주식회사 퍼시스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KR200495773Y1 (ko) 2021-01-21 2022-08-16 주식회사 퍼시스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219A (ko) 2017-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404B1 (ko) 모듈화 책상
US10745966B2 (en) Support structure for roller for a shade
US20110094055A1 (en) Universal damping mechanism
US10079481B2 (en) Weatherproof electrical box assembly
CA2778716C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universal hinge body design
KR102050497B1 (ko) 내진용 랙 캐비넷
KR20160148753A (ko) 방폭 구조물
US20180175601A1 (en) Floor box assembly with retainer
US20170224103A1 (en) Desktop receptacle with hinged cover
KR100808521B1 (ko) 댐퍼부착형 도어힌지
KR20180003097U (ko) 케이블 덕트
US20130307392A1 (en) Domestic appliance hinge assembly with hinge keeper
US8082856B1 (en) Lid assembly for built-in power and communication outlet unit
EP2940236B1 (en) Damper, striker assembly and vehicle
KR101705585B1 (ko) 상시 진동방진구와 감쇠 스톱퍼를 구비한 내진 수배전반
KR101601097B1 (ko) 배터리 단자용 케이스의 힌지 장치
JP2020196393A (ja) 車両用ドアミラー
KR102214744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JP6570560B2 (ja) 丁番
KR200487213Y1 (ko) 문 급속 닫힘 방지 기능을 갖는 완충기구
WO2011001513A1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ー用筐体
JP7366492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
JP2021153785A (ja) 什器とこれに使用する転倒防止装置及びベースユニット
KR101017600B1 (ko) 파티션 벨트라인 힌지장치
JP4912272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