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1860U -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1860U
KR20220001860U KR2020210000210U KR20210000210U KR20220001860U KR 20220001860 U KR20220001860 U KR 20220001860U KR 2020210000210 U KR2020210000210 U KR 2020210000210U KR 20210000210 U KR20210000210 U KR 20210000210U KR 20220001860 U KR20220001860 U KR 202200018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panel
damper
duct c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0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773Y1 (ko
Inventor
정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2020210000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73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8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8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가진 배선 덕트 바디, 상기 배선 덕트 바디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폐쇄 시 상기 상판과 동일한 상면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배선 덕트 커버,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 폐쇄를 위한 폐쇄 회동 시 상기 배선 덕트 커버와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스무브 및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 개방을 위한 개방 회동 시에만 상기 스무브와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패널 타입 댐퍼를 포함함으로써, 작동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DUCT ASSEMBLY FOR GUIDING ELECTRIC WIRE AND DESK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덕트 개폐 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안정적으로 덕트 개폐 패널을 회동 동작시킬 수 있는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책상은 한정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구성원의 독립 배치, 및 유사한 업무를 처리하는 부서의 구분 등과 같은 다양한 소비자의 성향적 편의를 돕기 위해 마주보는 위치 및/또는 좌우로 나란한 위치에서 상판을 상호 인접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사용된다.
이 경우, 책상의 상판 사이로 형성되는 공간에는 인접하는 다른 공간과의 시선적 간섭을 회피하여 구성원간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적정 높이를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파티션이 별도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종래, 사무용 책상의 일례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1014호(이하, '선행기술 1' 이라 칭함)에 개시된 책상은 독립된 개체로 형성된 다수의 상판을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하여 한정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사무용 책상의 경우에도 상판 사이의 공간은 파티션(미도시)의 설치를 통해 서로 마주보는 공간을 별도로 구획함으로써 개인의 사생활을 보장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 1은 개인용 컴퓨터를 비롯하여 각종 유/무선 통신기기류의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을 위해 멀티탭을 비롯한 통신 및 데이터의 송수신용 각종 케이블을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배선류의 전장 부품들은 주로 상판의 하부에 위치한 공간과 바닥면을 활용하여 배치할 수 밖에 없어 외부 노출에 따른 외관미의 저하는 물론 사용자의 발 부위와의 간섭과 걸림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책상의 상판 중 파티션이 놓이는 부위의 상판 단부측에 배선 덕트 조립체를 마련하여 멀티탭을 비롯한 각종 배선류를 빌트인 설계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책상의 상판에 구비된 배선 덕트 조립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스무브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덕트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른 스무브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1)은, 하나의 상판(5) 중간 부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배치도록 구획함과 아울러, 구성원간 독립성 확보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15)이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파티션(15)은, 상판(5)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도록 구비된 파티션 설치 레일(16)에 설치됨과 아울러, 멀티탭을 비롯한 통신 및 데이터의 송수신용 각종 케이블이 내부 공간에 수납되도록 파티션(15)의 일측과 타측 부분에 다수의 배선 덕트 커버(1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선 덕트 커버(10)는, 상판(5)의 단부 부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덕트 힌지(미도시)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의 폐쇄를 위한 회동 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판의 측단면에는 스무브(20)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책상(1)은, 스무브(20)에 의하여 배선 덕트 커버(10)의 폐쇄 시에는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 커버(10)의 개방 동작 시 상판(5)과 부딪히면서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덕트 힌지(미도시)에 상술한 스무브 기능을 부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덕트 힌지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선 덕트 커버의 개방시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패널 타입 댐퍼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배선 덕트 커버의 개폐 회동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배선 덕트 커버의 폐쇄 시 스무브와의 작동 간섭이 없도록 설계된 패널 타입 댐퍼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탄성 재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스무브의 동작과 연계되어 배선 덕트 커버의 개방 시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는 패널 타입 댐퍼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덕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는,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가진 배선 덕트 바디, 상기 배선 덕트 바디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폐쇄 시 상기 상판과 동일한 상면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배선 덕트 커버,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 폐쇄를 위한 폐쇄 회동 시 상기 배선 덕트 커버와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스무브 및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 개방을 위한 개방 회동 시에만 상기 스무브와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패널 타입 댐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무브는, 상기 내부 공간에 인접하는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단부면의 회동 궤적 내의 상기 상판 단부면에서 수평으로 완충 돌기가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타입 댐퍼는,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판 결합 패널,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커버 결합 패널 및 상기 상판 결합 패널과 커버 결합 패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개폐 회동 동작에 따라 적어도 3개소에서 분절되어 힌지 회동되는 댐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패널은, 상기 상판의 두께(이하, '제1두께'라 칭함) 및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두께(이하, '제2두께'라 칭함) 중 작은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폭을 가지는 제1댐퍼 패널 및 제2댐퍼 패널 및 상기 제1댐퍼 패널 및 상기 제2댐퍼 패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절 연장되고 상기 제1두께 및 제2두께의 차이만큼의 폭을 가지는 두께 보상 댐퍼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께 보상 댐퍼 패널은, 상기 제1댐퍼 패널 및 상기 제2댐퍼 패널 중 상기 배선 덕트 커버에 인접하게 위치된 댐퍼 패널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두께 보상 댐퍼 패널의 양단부는,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 결합 패널 및 상기 커버 결합 패널은, 접시머리 나사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 타입 댐퍼는, 상기 상판 결합 패널과, 상기 커버 결합 패널 및 상기 댐퍼 패널 사이를 구획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호 분절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덕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책상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패널 타입 댐퍼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덕트 힌지의 제조 단가의 상승을 방지함과 아울러, 스무브를 외부로부터 노출시키지 않을 수 있으므로, 외관미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배선 덕트 커버의 개폐 회동 동작 시 작동 소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력을 완충시킴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책상의 상판에 구비된 배선 덕트 조립체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스므브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덕트 커버의 개폐 동작에 따른 스므브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패널 타입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패널 타입 댐퍼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덕트 힌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구성 중 상판과 배선 덕트 커버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 적용된 패널 타입 댐퍼에 의한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구성 중 패널 타입 댐퍼 및 스무브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구성 중 상판과 배선 덕트 커버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 적용된 패널 타입 댐퍼에 의한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구성 중 패널 타입 댐퍼 및 스무브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패널 타입 댐퍼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패널 타입 댐퍼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덕트 힌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책상은,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수평되게 배치된 상판(105)과, 상판(105)의 단부에 마련되고, 멀티탭을 비롯한 통신 및 데이터의 송수신용 각종 케이블의 설치를 매개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선 덕트 조립체(120)는, 상판(105)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120S)을 가지는 함체 형상의 배선 덕트 바디(121)와, 배선 덕트 바디(121)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되, 내부 공간(120S)의 폐쇄 시 상판과 동일한 상면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회동되는 동작으로 내부 공간(120S)을 개폐하는 배선 덕트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선 덕트 바디(121)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120S)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탭을 비롯한 통신 및 데이터의 송수신용 각종 케이블이 내장되고, 내부 공간(120S)은 상판(105)의 단부 중 상단 부위에 회동점을 가지는 배선 덕트 커버(110)의 회동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배선 덕트 조립체(120)는, 배선 덕트 커버(110)의 내부 공간(120S) 폐쇄를 위한 폐쇄 회동 시 배선 덕트 커버(110)와 간섭되어 배선 덕트 커버(110)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스무브(smoove)(도 8a 및 도 8b의 도면부호 '160'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무브(160)는, 상판(105)의 단부면에 수평되게 홈 가공된 설치홈(161)에 완충 돌기(163)가 외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배선 덕트 커버(110) 또는 후술하는 패널 타입 댐퍼(130)와의 간섭에 의하여 완충 돌기(163)가 탄성력을 부가하면서 배선 덕트 커버(110)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면서 배선 덕트 커버(110)의 작동 소음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배선 덕트 조립체(12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 커버(110)의 내부 공간(120S) 개방을 위한 개방 회동 시에만 스무브(160)와 간섭되어 배선 덕트 커버(110)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패널 타입 댐퍼(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타입 댐퍼(130)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판(105)의 단부 측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판 결합 패널(131)과, 배선 덕트 커버(110)의 단부 측 하부면에 결합되는 커버 결합 패널(132)과, 상판 결합 패널(131)과 커버 결합 패널 사이에 위치되고, 배선 덕트 커버(11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적어도 3개소에서 분절되어 힌지 회동되는 댐퍼 패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 타입 댐퍼(130)는, 길이 방향으로 '상판 결합 패널(131) - 댐퍼 패널(133) - 커버 결합 패널(132)' 순으로 일체 연장되되, 각각의 패널 사이는 분절선(135a~135d)에 의하여 외형적으로 분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 패널(133)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판(105)의 두께(이하, '제1두께'라 칭함) 및 배선 덕트 커버(110)의 두께(이하, '제2두께'라 칭함) 중 작은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폭을 가지는 제1댐퍼 패널(133a) 및 제2댐퍼 패널(133b)과, 제1댐퍼 패널(133a) 및 제2댐퍼 패널(133b) 중 어느 하나(도 5에서는 제2댐퍼 패널(133b))로부터 분절 연장되고 제1두께 및 제2두께의 차이만큼의 폭을 가지는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을 포함할 수 있다.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상판(105)의 제1두께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제2두께가 상이한 경우 패널 타입 댐퍼(130)의 폴딩 동작 또는 전개 동작 시 두께차를 보상하기 위한 추가 구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상판(105)의 제1두께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제2두께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그 분절 회동 동작이 상이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분절 회동 동작에 대해서는 뒤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분절선(135a~135d)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판 결합 패널(131)과 인접하는 댐퍼 패널(133, 도 5의 도면 상 제1댐퍼 패널(133a)) 사이를 분절하는 제1분절선(135a)과, 커버 결합 패널(132)과 인접하는 댐퍼 패널(133, 도 5의 도면 상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 사이를 분절하는 제2분절선(135b)과, 제1댐퍼 패널(133a)과 제2댐퍼 패널(133b) 사이를 분절하는 제3분절선(135c)과, 제2댐퍼 패널(133b)과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 사이를 분절하는 제4분절선(135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분절선 내지 제4분절선(135a~135d)은, 다른 부위인 패널 타입 댐퍼(130)의 전체적인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댐퍼 패널(133a)과 제2댐퍼 패널(133b)은 배선 덕트 커버(110)의 폐쇄 회동 시 스무브(160)의 작동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동일한 일측면이 완전 포개지도록 폴딩되는 바, 제3분절선(135c)은 제1댐퍼 패널(133a)과 제2댐퍼 패널(133b) 각각이 일방향으로 90도 회동되어 완전 폴딩이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3분절선(135c)을 제외한 나머지 분절선(135a,135b,135d)은 모두 180도 회동 가능한 형상으로 설계되면 족하다.
한편, 상판 결합 패널(131) 및 커버 결합 패널(132)에는, 고정 나사(도 7 이하의 도면부호 '138' 참조)에 의하여 각각 상판(105)의 하부면 및 배선 덕트 커버(110)의 하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류 체결홀(139)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나사(138)는 외관미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시머리 나사로 구비될 수 있고, 스크류 체결홀(139) 또한 접시머리 나사의 머리부가 안착되는 형상으로 형상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선 덕트 커버(110)는, 각각 양단부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은 덕트 힌지(15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상판(105)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덕트 힌지(15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판(105) 측에 결합되는 상판 결합 블록(151a)과, 배선 덕트 커버(110) 측에 결합되는 커버 결합 블록(151b)과, 각각 상판 결합 블록(151a) 및 커버 결합 블록(151b)을 링크 연결하는 한 쌍의 힌지 링크(155a,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 결합 블록(151a) 및 커버 결합 블록(151b)은, 각각 상판(105) 측 및 배선 덕트 커버(110) 측에 형성된 미도시의 결합 홈에 삽입되는 삽입 블록(152a,152b) 및 상판(105) 및 배선 덕트 커버(110)의 하부면에 매칭되게 결합되는 결합 블록(153a,153b)을 포함하며, 결합 블록(153a,153b)에는 상판(105) 및 배선 덕트 커버(110)의 결합 홈에 대한 나사 결합을 매개하는 나사 고정홀(154a,154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덕트 힌지(150)의 나사 고정홀(154a,154b)에 체결되는 조립나사(도면부호 미표기)는, 상술한 상판 결합 패널(131) 및 커버 결합 패널(132)의 스크류 체결홀(139)에 조립되는 접시나사(138)와 동일한 사양 및 모양으로 채택 가능한 바, 원가 절감 및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배선 덕트 커버(110)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양단부가 각각 덕트 힌지(150)를 매개로 상판(105)에 힌지 고정되고, 중간 부위에 스무브(160)가 마련되며, 패널 타입 댐퍼(130)가 스무브(160)를 외부에서 가리도록 배선 덕트 커버(110)의 중간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패널 타입 댐퍼(130) 중 배선 덕트 커버(110)의 개방 회동 시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 결합 패널(132)의 면적은, 배선 덕트 커버(110)의 외부에 결합되는 덕트 힌지(150)와의 외관 통일성을 고려하여 덕트 힌지(150)의 구성 중 배선 덕트 커버(110)에 결합되는 결합 블록(153b)의 외부 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구성 중 상판과 배선 덕트 커버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 적용된 패널 타입 댐퍼에 의한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구성 중 패널 타입 댐퍼 및 스무브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4의 구성 중 상판과 배선 덕트 커버의 두께가 동일한 경우에 적용된 패널 타입 댐퍼에 의한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구성 중 패널 타입 댐퍼 및 스무브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상판(105a)의 두께가 제1두께(d1)로써, 배선 덕트 커버(110)의 두께인 제2두께(d2)보다 더 크되, 배선 덕트 커버(110)가 내부 공간(120S)을 폐쇄할 때 배선 덕트 커버(110)의 상면 및 상판(105a)의 상면이 상호 동일한 높이의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일의 상판(105a)의 단부 측에는 다수의 배선 덕트 커버(110)가 각각 덕트 힌지(150) 및 패널 타입 댐퍼(130)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배선 덕트 커버(110)에 의하여 내부 공간(120S)이 폐쇄된 상태로서, 도 8a의 (a)를 참조하면, 패널 타입 댐퍼(130)는, 상판 결합 패널(131) 및 커버 결합 패널(132)을 매개로 각각 상판(105a)과 배선 덕트 커버(110)의 하부면에 고정 나사(138)가 스크류 체결홀(139)을 관통하는 형태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8a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패널 타입 댐퍼(130)의 구성 중 댐퍼 패널(133)인 제1댐퍼 패널(133a) 및 제2댐퍼 패널(133b)은 동일한 면이 완전히 포개지도록 폴딩되면서, 배선 덕트 커버(110)의 폐쇄 회동에 따른 스무브(160)의 작동에 대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상판(105a)과 배선 덕트 커버(11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때,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도 8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판(105a)의 제1두께(d1)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제2두께(d2)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댐퍼 패널(133b)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커버 결합 패널(132)에 연결된다.
분절선(135a~135d)을 기준으로 배선 덕트 커버(110)의 내부 공간(120S) 폐쇄 시의 패널 타입 댐퍼(130)의 모습을 설명하면, 제1분절선(135a)을 기준으로 상판 결합 댐퍼(131)와 제1댐퍼 패널(133a)이 상호 90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되고, 제3분절선(135c)을 기준으로 제1댐퍼 패널(133a) 및 제2댐퍼 패널(133b)의 일면이 상호 접하도록 절곡되며, 제2분절선(135b)을 기준으로 커버 결합 패널(132)과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이 상호 90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된다. 여기서,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상판(105a)의 제1두께(d1)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제2두께(d2)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댐퍼 패널(133b)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제4분절선(135d)을 기준으로는 절곡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배선 덕트 커버(110)에 의하여 내부 공간(120S)이 개방된 상태로서, 도 8a의 (b)를 참조하면, 패널 타입 댐퍼(130)의 구성 중 댐퍼 패널(133)인 제1댐퍼 패널(133a) 및 제2댐퍼 패널(133b)은 완전히 전개되면서, 상판(105a)의 단부면에서 수평되게 돌출된 스무브(160)의 완충 돌기(161)를 누를 수 있도록 상판(105a)의 단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도 8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판(105a)의 제1두께(d1)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제2두께(d2)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댐퍼 패널(133b)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로 커버 결합 패널(132)에 연결된다.
분절선(135a~135d)을 기준으로 배선 덕트 커버(110)의 내부 공간(120S) 개방 시의 패널 타입 댐퍼(130)의 모습을 설명하면, 제1분절선(135a)을 기준으로 상판 결합 댐퍼(131)와 제1댐퍼 패널(133a)이 도 8a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호 90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되고, 제3분절선(135c)을 기준으로 제1댐퍼 패널(133a) 및 제2댐퍼 패널(133b)의 각각 동일한 수직면을 형성하도록 완전 전개되며(이 때에는, 제3분절선(135c)을 기준으로는 절곡된 상태가 아님), 제2분절선(135b)을 기준으로 커버 결합 패널(132)과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이 도 8a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호 90도를 형성하도록 절곡된다. 여기서,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상판(105a)의 제1두께(d1)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제2두께(d2)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제2댐퍼 패널(133b)의 상부에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제4분절선(135d)을 기준으로는 절곡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9는 상판(105b)의 두께인 제1두께(d1)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두께인 제2두께(d2)가 상호 동일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7 내지 도 8b와 비교하여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상판(105b)의 두께인 제1두께(d1)와 배선 덕트 커버(110)의 두께인 제2두께(d2)가 동일한 경우, 댐퍼 패널(133) 중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α만큼의 길이만큼 더 연장 형성된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므로,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도 10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 커버(110)에 의한 내부 공간(120S)의 폐쇄 시 배선 덕트 커버(110)의 하부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반대로,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은, 도 10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배선 덕트 커버(110)에 의한 내부 공간(120S)의 개방 시 배선 덕트 커버(110)의 상부면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때, 분절선(135a~135d)을 기준으로 배선 덕트 커버(110)의 내부 공간(120S) 개방 시 및 폐쇄 시의 패널 타입 댐퍼(130)의 모습을 도 7 내지 도 8b와 비교하여 상이한 점을 위주로 설명하면, 제2분절선(135b)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제4분절선(135d)을 기준으로 제2댐퍼 패널(133b)과 두께 보상 댐퍼 패널(133c) 사이가 절곡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 외의 배선 덕트 커버(110)의 폐쇄 회동 및 개방 회동에 따른 스무브(160)의 작동 모습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배선 덕트 커버(110)는, 폐쇄 회동 시는 물론 개방 회동 시에도 스무브(160)에 따른 완충 기능이 부여됨으로써 보다 부드러운 회동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책상 105, 105a, 105b: 상판
110: 배선 덕트 커버 120: 배선 덕트 조립체
120S: 내부 공간 121: 배선 덕트 바디
130: 패널 타입 댐퍼 131: 상판 결합 패널
132: 커버 결합 패널 133: 댐퍼 패널
150: 덕트 힌지 160: 스무브

Claims (9)

  1.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고, 상부가 개구된 내부 공간을 가진 배선 덕트 바디;
    상기 배선 덕트 바디의 개구된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폐쇄 시 상기 상판과 동일한 상면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배선 덕트 커버;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 폐쇄를 위한 폐쇄 회동 시 상기 배선 덕트 커버와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스무브; 및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상기 내부 공간 개방을 위한 개방 회동 시에만 상기 스무브와 간섭되어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회동력을 완충시키는 패널 타입 댐퍼; 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무브는, 상기 내부 공간에 인접하는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단부면의 회동 궤적 내의 상기 상판 단부면에서 수평으로 완충 돌기가 돌출되도록 설치된, 배선 덕트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패널 타입 댐퍼는,
    상기 상판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상판 결합 패널;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커버 결합 패널; 및
    상기 상판 결합 패널과 커버 결합 패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개폐 회동 동작에 따라 적어도 3개소에서 분절되어 힌지 회동되는 댐퍼 패널; 을 포함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댐퍼 패널은,
    상기 상판의 두께(이하, '제1두께'라 칭함) 및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두께(이하, '제2두께'라 칭함) 중 작은 두께와 동일한 크기의 폭을 가지는 제1댐퍼 패널 및 제2댐퍼 패널; 및
    상기 제1댐퍼 패널 및 상기 제2댐퍼 패널 중 어느 하나로부터 분절 연장되고 상기 제1두께 및 제2두께의 차이만큼의 폭을 가지는 두께 보상 댐퍼 패널; 을 포함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두께 보상 댐퍼 패널은, 상기 제1댐퍼 패널 및 상기 제2댐퍼 패널 중 상기 배선 덕트 커버에 인접하게 위치된 댐퍼 패널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두께 보상 댐퍼 패널의 양단부는, 다른 부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된, 배선 덕트 조립체.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판 결합 패널 및 상기 커버 결합 패널은, 접시머리 나사가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된, 배선 덕트 조립체.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널 타입 댐퍼는, 상기 상판 결합 패널과, 상기 커버 결합 패널 및 상기 댐퍼 패널 사이를 구획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상호 분절된 형상을 가지는, 배선 덕트 조립체.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널 타입 댐퍼는,
    상기 배선 덕트 커버가 상기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폐쇄 회동 시 상기 배선 덕트 커버의 단부면과 상기 상판의 단부면 사이로부터 이탈되어 폴딩되고,
    상기 배선 덕트 커버가 상기 내부 공간을 개방하도록 개방 회동 시 상기 배선 덕트 커버를 따라 전개되면서 상기 스무브의 완충 돌기를 가압하는, 배선 덕트 조립체.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배선 덕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책상.
KR2020210000210U 2021-01-21 2021-01-21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KR200495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10U KR200495773Y1 (ko) 2021-01-21 2021-01-21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0210U KR200495773Y1 (ko) 2021-01-21 2021-01-21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860U true KR20220001860U (ko) 2022-07-28
KR200495773Y1 KR200495773Y1 (ko) 2022-08-16

Family

ID=8260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0210U KR200495773Y1 (ko) 2021-01-21 2021-01-21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7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5329B2 (ja) * 1994-03-23 2001-12-04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ライティングビューロー
KR100873922B1 (ko) * 2008-04-23 2008-12-1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 장치
KR20110001521U (ko) * 2009-08-06 2011-02-14 (주)상도가구 전선 수납부를 갖는 책상
KR101782332B1 (ko) * 2015-05-28 2017-10-23 주식회사 퍼시스 양방향 회동 개폐 타입 전선 덕트 조립체
KR101823404B1 (ko) * 2016-01-08 2018-02-0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모듈화 책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5329B2 (ja) * 1994-03-23 2001-12-04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ライティングビューロー
KR100873922B1 (ko) * 2008-04-23 2008-12-1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 장치
KR20110001521U (ko) * 2009-08-06 2011-02-14 (주)상도가구 전선 수납부를 갖는 책상
KR101782332B1 (ko) * 2015-05-28 2017-10-23 주식회사 퍼시스 양방향 회동 개폐 타입 전선 덕트 조립체
KR101823404B1 (ko) * 2016-01-08 2018-02-01 주식회사 현대리바트 모듈화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73Y1 (ko) 202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0871B2 (en) Seamless hing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483784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rotatable member
EP1327841A2 (en) Refrigerator with two-axis door hinge
CN108932019B (zh) 电子装置
KR200495773Y1 (ko) 배선 덕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책상
CN112238825B (zh) 滑动门线束
KR102069705B1 (ko) 도어용 경첩
CN219037328U (zh) 铰链结构、冰箱
CN219346980U (zh) 铰链组件、冰箱
CN219199682U (zh) 夹层连接铰链、冰箱
JP4303646B2 (ja) 折れ戸用ヒンジ装置
CN219197023U (zh) 薄型铰链、冰箱
CN219344419U (zh) 耐磨铰链、冰箱
CN219346979U (zh) 铰链、冰箱
US20030184977A1 (en) Door mounting structure
KR20040085867A (ko) 데스크탑 컴퓨터용 케이스
KR100706501B1 (ko) 노트북 컴퓨터
KR20120045589A (ko) 회전댐퍼
KR100751854B1 (ko) 도어힌지용 댐퍼어셈블리
WO2024104479A1 (zh) 铰链、冰箱
JP7438294B1 (ja) フラップデスク
KR102612164B1 (ko) 모듈 수납장
CN213269407U (zh) 一种铰链
CN2566324Y (zh) 结合于电脑设备的遮蔽门体
CN118057102A (zh) 铰链组件、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