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589A - 회전댐퍼 - Google Patents

회전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5589A
KR20120045589A KR1020100107217A KR20100107217A KR20120045589A KR 20120045589 A KR20120045589 A KR 20120045589A KR 1020100107217 A KR1020100107217 A KR 1020100107217A KR 20100107217 A KR20100107217 A KR 20100107217A KR 20120045589 A KR20120045589 A KR 20120045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low
damper
van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0010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5589A/ko
Publication of KR20120045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힌지 등에 구비되어, 레버의 회전동작에 따라 댐핑력(damping force)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댐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는, 내부에는 유동공간(402,402')이 형성되는 댐퍼케이스(410,410')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유동공간(402,402')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베인부재(420)와; 일단은 상기 베인부재(42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링크(32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크랭크(430)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부재(420)가 유동하는 유동공간(402,402')이 2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재(460,460')와; 상기 공간부재(460,46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간부재(460,460')에 형성되는 유동유로(484,48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7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인부재의 복귀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댐퍼{ROTARY DAMPER}
본 발명은 댐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힌지 등에 구비되어, 레버의 회전동작에 따라 댐핑력(damping force)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용 수납장과 장농 등의 가구는, 일렬로 배열된 여러개의 도어들이 서로 접면된 상태에서 개폐 동작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가구들의 도어 개폐를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도어힌지가 사용된다.
도 1a에는 싱크 수납장 가구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종래기술에 의한 도어힌지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1b는 도1a에 도시된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싱크대용 수납장의 도어(10)로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판넬이 사용되며, 이러한 도어(10)를 개폐하기 위한 힌지는 2단 절첩식 레버의 구조로 된 힌지가 주로 사용된다. 즉, 가구의 측벽(20)에는 고정구(21)가 부착되고, 이러한 고정구(21)에는 지지구(13)의 선단이 끼워져 조임나사(16)로 고정된 상태에서 조절볼트(17)로 경사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그 지지구(13) 일측과 도어(10)에 부착되는 도어고정구(11)의 삽지홈(14) 일측에는 내외측 레버(12a)(12b)의 양단이 각각 힌지점 (15a)(1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점(15a)(15b)은, 상기 내측레버(12a)에 형성되는 내측제1힌지(15a')과 내측제2힌지(15b') 그리고 상기 외측레버(12b)에 형성되는 외측제1힌지(15a") 및 외측제2힌지(15b")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도어(10)를 닫으면, 도 1a에서와 같이 지지구(13)와 레버(12a)(12b)의 힌지점(15a)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레버(12a)(12b)가 그대로 접혀 도어고정구(11)의 삽지홈(14)에 수납되면서 도어(10)가 닫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태에서 도어(10)를 열면 이때 역시 지지구(13)와 내외측 레버(12a)(12b)의 힌지점(15a)(15b)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레버(12a)(12b)가 도어고정구(11)에서 펴지면서 도어(10)가 열리기 때문에 도어(10)는 소정의 회전반경을 그리며 열리게 된다.
상기 내측레버(12a)에는 작용편(30)이 더 성형된다. 상기 작용편(30)은 상기 내측레버(12a)의 내측제1힌지(15a') 부근으로부터 일부분이 절개된 다음 외측방으로 절곡된 것으로, 상기 외측레버(12b)의 외측제1힌지(15a")에 구비되는 도어스프링(32)의 단부와 접한다.
상기 도어스프링(32)은 상기 외측레버(12b)의 외측제1힌지(15a")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회 감겨진 다음 일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단부(32')를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일단은 상기 외측제2힌지(15b")에 걸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스프링(32)에는 양단이 서로 겹쳐지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스프링(32)의 지지단부(32')는 외측제1힌지(15a")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며, 이러한 지지단부(32')를 상기 작용편(30)이 지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스프링(32)의 지지단부(32')에 의해 상기 내측레버(12a)의 작용편(30)이 힘을 받게 되므로, 상기 도어(10)는 회동을 하게 된다. 즉 도 1a과 같이 상기 지지단부(32')와 작용편(30)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내측레버(12a)가 내측제1힌지(15a')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10)를 열게 되면, 상기 지지단부(32')와 작용편(30)이 이루는 내각은 점차 줄어들게 되어 어느 지점, 예를 들어 상기 측벽(20)과 도어(10)의 사이의 각이 약 135°이상이 되는 시점에서는 상기 내측레버(12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가 열린 상태에서는 도 1b와 같은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상기 도어스프링(32)이 상기 내측레버(12a)의 작용편(30)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서 내측레버(12a)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강제하고 있으므로 도어(1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어(10)의 개폐는 원활하게 이루어지나, 도어(10)가 개폐되면서 발생하는 충격으로 소음과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어(10)가 닫히는 경우에는 강한 속도로 닫히게 되므로, 충격과 소음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도어힌지에 댐퍼가 구비된 장치가 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들도, 도어힌지의 지지구(13) 외측에 별도의 댐퍼를 장착하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크기가 길어 설치가 어려우며,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힌지 등의 내측에 구비되고, 레버와 일체로 형성되는 링크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회전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가 유동하는 유동유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댐핑력(damping force)을 형성하는 베인의 원상 복귀가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회전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는, 내부에는 유동공간이 형성되는 댐퍼케이스와; 상기 댐퍼케이스의 유동공간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베인부재와; 일단은 상기 베인부재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링크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크랭크와; 상기 댐퍼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부재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이 2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재와; 상기 공간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간부재에 형성되는 유동유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인부재는, 회전 중심이 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동공간 내부의 유체가 유동하는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베인부와, 상기 축부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크랭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베인부의 끝단과 댐퍼케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재에는, 상기 2개의 유동공간으로 유체가 서로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유동유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공간부재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동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와; 상기 차폐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며,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간부재는, 상기 좌측케이스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좌측공간부재와; 상기 좌측공간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측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우측공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는, 도어의 닫힘시 닫힘 속도를 저감시키게 된다. 따라서, 도어의 닫힘시 가구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하는 파손과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전댐퍼는, 베인부재을 구비한 장치로 이루어지며, 암의 내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설치가 용이하며, 과대한 설치공간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에는 유로의 유동을 안내하는 유동유로 및 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폐부재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댐핑력(damping force)이 감소되지 않으면서도 베인부재의 복귀가 보다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도어힌지에 의해 도어가 개폐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가 장착된 도어힌지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와 접촉되는 도어힌지의 내측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외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댐퍼의 내부구성을 보인 좌측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댐퍼의 내부구성을 보인 우측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베인부재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도 9는 도 4의 A-A부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B-B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가 작동되어 댐핑력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의 베인부재가 원상으로 복귀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힌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댐퍼가 구비되는 도어힌지가 가구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힌지는, 도어 또는 가구의 일측에 장착되는 컵(200)과, 상기 컵(200)의 장착위치와 대응되도록 가구 또는 도어에 장착되는 암(100)과, 상기 암(100)과 컵(20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레버(300,310)와, 상기 암(100)의 내측에 구비되어 도어가 닫힐 때의 충격을 완화하는 회전댐퍼(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암(100)은, 도어힌지를 가구(600)에 고정 장착하기 위한 부분으로,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대략 사각 형상의 단면(좌우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암(100)의 하측에는, 암(100)과 결합되는 마운팅플레이트(140)가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는, 상기 암(100)이 상기 가구(600)의 내측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암(100)의 상면에는 결합나사(160)가 체결된다. 상기 결합나사(160)는 상기 암(100)과 마운팅플레이트(1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암(100)과 마운팅플레이트(140)를 차례로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된다.
상기 결합나사(160)가 체결된 상기 암(100)의 상면 중앙부분에는 조절나사(180)가 체결된다. 상기 조절나사(180)는 상기 암(100)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암(100)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며, 관통된 단부는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40)에 의해 지지되도록 체결된다.
상기 컵(200)은, 도어(700)의 배면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컵(200)의 중앙부는 하방(도 1에서)으로 함몰되어,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레버(300,310)가 완전하게 수용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암(100)과 컵(200)은, 레버(300,31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 상기 레버(300,310)는, 상대적으로 외측(도 2에서는 상측)에 구비되는 외측레버(300)와, 상기 외측레버(300)의 하측(도 2에서)에 구비되는 내측레버(310)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300,3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구비되므로, 상기 암(100)의 좌측단과 상기 컵(200)의 우측단에 각각 2개의 회전축을 가지도록 결합된다.
상기 외측레버(300)의 우측단 힌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302)가 장착되고, 이러한 탄성부재(302)의 우측단은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레버(310)의 우측단에는, 작용편(312)이 더 형성된다. 상기 작용편(312)은, 상기 내측레버(310)의 우측단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302)와 접촉되어 도어(700)의 닫힘과 열림을 안내하게 된다.
도 3에는 상기 내측레버(31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레버(310)의 우측단에는 상기 작용편(312) 외에도 링크(320)가 더 형성된다. 즉, 상기 내측레버(310)의 우측 후단부에는 상기 작용편(312)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단에는 링크(3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링크(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용편(312)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우측으로 더 돌출되며,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링크(320)는, 상기 내측레버(310)의 일단으로부터 절개되어 형성되며,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링크(320)는, 상기 회전댐퍼(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회전댐퍼(400)의 크랭크(430)와 접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암(100)의 내측에는 회전댐퍼(400)가 장착된다. 상기 회전댐퍼(400)는 상기 도어(700)가 닫힐 때, 도어(700)의 속도를 조절(감속)하여 가구와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댐퍼(400)에는, 상기 링크(320)와 접촉하는 크랭크(430)와, 크랭크(430)의 원위치를 위한 복귀부재(440)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댐퍼(400)의 구성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10에는 상기 회전댐퍼(4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인 상기 회전댐퍼(400)의 외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회전댐퍼(400)의 좌측 및 우측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상기 회전댐퍼(400)를 구성하는 베인부재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상기 회전댐퍼(400)의 부분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는 도 4의 A-A 및 B-B의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회전댐퍼(400)는, 내부에 충진된 유체에 의해 베인부재(420)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는 댐퍼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댐퍼(400)는, 내부에 유동공간(402,402')이 형성되는 댐퍼케이스(410,410')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유동공간(402,402')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베인부재(420)와, 상기 링크(32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크랭크(430)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크랭크(4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힘을 가하는 복귀부재(440)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부재(420)가 유동하는 유동공간(402,402')이 2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재(460,460')와, 상기 공간부재(460,46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간부재(460,460')에 형성되는 유동유로(484,48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댐퍼케이스(410,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암(100)의 내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댐퍼케이스(410,410')의 내부에는 원형의 단면(좌측에서 볼 경우)을 가지는 소정 크기의 유동공간(402,402')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케이스(410,410')는,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의 좌측케이스(410)와,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우측을 차폐하여 베인부재(4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우측케이스(41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중앙부에는 크랭크홀(41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홀(412)은 아래에서 설명할 베인부재(420)의 연결부(426)가 관통하는 홀이다.
그리고,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내부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홈(414)이 각각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홈(414)은 사각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좌측공간부재(460)의 좌측돌기(462)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우측케이스(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케이스(410)보다는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우측공간부재(46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부재(420)는,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유동공간(402,402')에 구비되어 회전하며, 회전 중심이 되는 축부(422)와, 상기 축부(42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동공간(402,402') 내부의 유체가 유동하는 오리피스(P)를 형성하는 베인부(424)와, 상기 축부(422)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크랭크(430)와 연결되는 연결부(42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부(4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좌우로 돌출되어 회전 중심이 된다. 즉, 좌측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좌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고, 우측단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우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축부(422)의 좌측면에는, 상기 크랭크(430)와 연결되는 연결부(426)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4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인부재(420)는, 상기 축부(422)의 전후로 소정 길이로 돌출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베인부재(420)가 상기 유동공간(402,402')에서 회전하면, 상기 베인부재(420)의 끝단과 댐퍼케이스(410,410')의 내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틈새는 유체가 유동하는 오리피스(P)가 된다.
상기 오리피스(P)의 크기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되거나 감소된다. 즉, 상기 오리피스(P)는, 상기 베인부(424)의 끝단과 댐퍼케이스(410,4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내면은 전체적으로 좌우의 직경이 상하의 직경보다 더 큰 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곡률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댐퍼케이스(410,410')의 내면은, 상기 오리피스(P)의 크기가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인부재(420)와 댐퍼케이스(410,410') 사이의 거리인 오리피스(P) 크기는,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물론, 이러한 방향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P) 크기가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며, 시계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는 것은, 상기 유동공간(402,402')의 중심(O)으로부터 내주면 사이의 거리(L)가 상,하단으로부터 좌우로 갈수록 점차 커지도록 댐퍼케이스(410,410')의 내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베인부재(420)의 내측에는 별도의 베인강재(42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즉, 도 7과 같이 상대적으로 더 큰 강도를 가지는 베인강재(420')가 베인부재(420)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하고, 이러한 베인강재(420')가 상기 연결부(426)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베인강재(420')는,도 7과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426)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유동공간(402,402')은 전후(도 10에서는 좌우)로 구획된다. 즉, 상기 축부(422)의 상하에는 상기 공간부재(460,460')가 구비되어, 상기 유동공간(402,402')의 내부를 좌우로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공간(402,402')은, 상기 공간부재(460,460')에 의해 제1공간(402)과 제2공간(402')으로 분리되고, 이러한 제1공간(402)과 제2공간(402')에 각각 상기 베인부(42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내부에는 유동공간(402,402')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재(4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밀봉부재(45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내측에 축부(422)와 접하는 부분에 밀봉부재(45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내면에는 밀봉부재(450)가 안착되는 실링홈(416)이 더 형성된다.
상기 크랭크(430)는, 상기 링크(320)의 회전 동력을 상기 베인부재(420)에 전달하여, 베인부재(420)가 유동공간(402,402')에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크랭크(430)는, 우측단은 상기 베인부재(420)에 고정 장착되고, 좌측단은 상기 링크(32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430)에는 상기 연결부(426)가 삽입되는 연결홈(432)이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430)의 우측면에는 사각형상의 연결홈(432)이 좌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귀부재(440)는,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크랭크(430)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즉, 상기 복귀부재(440)는 태엽 형태로 감겨진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좌측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좌측면에는 상기 복귀부재(440)가 설치되는 복귀축(442)과, 상기 복귀부재(440)의 일단은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444)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귀부재(440)의 일단은, 상기 크랭크(430)와 밀착되어 크랭크(4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게 되며,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축(444)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공간부재(460,460')는, 상기 좌측케이스(410)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좌측공간부재(460)와, 상기 우측케이스(4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우측공간부재(4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측공간부재(460')는 상기 좌측공간부재(4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공간부재(460,460')는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부채꼴 형상의 공간부재(460,460')는 모두 4개가 구비되어, 상기 좌측케이스(410)의 내부 상하 및 상기 우측케이스(410')의 내측 상하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재(460,460')의 안쪽에는 소정 크기로 함몰된 유동부(48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유동부(480)는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부재(472)가 유동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유동부(480)는 상기 좌측공간부재(460)와 우측공간부재(460')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공간부재(460)와 우측공간부재(460')가 밀착되면, 상기 유동부(480)가 완성되어 밀폐된다.
상기 유동부(480)는, 상기 개폐수단(470)이 수용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동부(480)는 아래에서 설명할 차폐부재(472)가 유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동부(480)의 일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474)의 끝단이 수용되는 탄성홈(48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홈(482)의 단부는 상기 유동부(480)보다 더 깊은 홈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탄성부재(474)의 양단이 삽입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유동부(480)의 전후로는 유동유로(484,484')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공간부재(460,460')에는, 상기 2개의 유동공간(402,402')으로 유체가 서로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개폐수단(4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유동유로(484,484')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동유로(484,484')는, 터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부(480)가 공간부재(460,46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댐퍼케이스(410,410') 내부에 2개의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유동공간(402,402')이 상기 유동유로(484,48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통하게 되므로, 2개의 유동공간(402,402')에 충진된 유체는 서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동유로(484,484')는, 언제나 유체가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개방유로(484)와, 유체가 선택적으로 유동되는 개폐유로(48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개폐수단(470)에 무관하게 언제나 유동공간(402,402')과 유동부(480)가 연결되어 통하도록 하는 개방유로(484)와,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수단(470)의 차폐부재(47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유체의 흐름이 선택적으로 차단되는 개폐유로(484')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공간부재(460)에는, 상기 좌측케이스(410) 및 우측공간부재(460')와의 조립을 위한 좌측돌기(462) 및 우측홈(464)이 더 형성된다.
상기 좌측돌기(4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공간부재(460)의 좌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좌측돌기(462)가 상기 좌측케이스(410)에 형성되는 좌측홈(414)에 삽입되어 조립된다.
상기 우측홈(464)은, 상기 좌측공간부재(460)의 우측면으로부터 좌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우측홈(464)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우측돌기(466)가 삽입된다.
상기 우측공간부재(460')는 상기 우측케이스(410')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우측공간부재(460')의 좌측면에는 우측돌기(466)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돌기(4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상기 우측홈(46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상기 우측돌기(466)와 우측홈(464)은 상기 우측공간부재(460')와 좌측공간부재(46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개폐수단(470)은, 상기 공간부재(460,460')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동유로(484,48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472)와, 상기 차폐부재(472)의 일측에 구비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472)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7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폐부재(47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니들(needle)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폐유로(484')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상기 탄성부재(47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벤딩되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벤딩된 중앙부가 상기 차폐부재(472)와 접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부재(474)의 양단은 상기 탄성홈(482)에 삽입 장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회전댐퍼의 작용에 대해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회전댐퍼(400)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상기 차폐부재(472)는 탄성부재(474)의 힘에 의해 상기 개폐유로(484')를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 등이 닫히게 되면서 상기 회전댐퍼(400)가 작동하면, 상기 베인부재(420)는 도 11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베인부재(4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부재(472)는 여전히 상기 개폐유로(484')를 차폐하고 있으므로 제1공간(402)과 제2공간(402')의 유체는 서로 유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P)의 크기도 점차 감소된다. 따라서 댐핑력(damping force)이 점차 크게 생성되어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점차 더 감소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댐퍼(400)의 작동이 완료되고 나면, 도 12와 같은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는 도어 등이 열리는 경우에는 상기 크랭크(430)가 자유롭게 되므로, 이때에는 복귀부재(440)의 힘에 의해 상기 베인부재(420)는 도 13과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유동공간(402,402')에 충진된 유체가 상기 차폐부재(472)를 밀게 되고, 차폐부재(472)를 미는 유체의 힘이 상기 탄성부재(474)의 힘보다 커지면 상기 개폐유로(48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공간(402)의 유체는 개폐유로(484') 및 개방유로(484)를 통해 제2공간(402')으로 유동하게 되며, 제2공간(402')이 유체도 제1공간(402)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결국, 상기 크랭크(430) 및 베인부재(420)의 복귀는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크랭크(430) 및 베인부재(420)의 복귀가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47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472)도 다시 원상으로 복귀하게 되므로,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암 200. 컵
300,310. 레버 320. 링크
400. 회전댐퍼 410,410'. 댐퍼케이스
420. 베인부재 430. 크랭크
440. 복귀부재 450. 밀봉부재
460,460'. 공간부재 470. 개폐수단
480. 유동부 P. 오리피스

Claims (5)

  1. 내부에는 유동공간(402,402')이 형성되는 댐퍼케이스(410,410')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유동공간(402,402')에 구비되어, 회전하는 베인부재(420)와;
    일단은 상기 베인부재(420)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링크(320)와 선택적으로 간섭되는 크랭크(430)와;
    상기 댐퍼케이스(410,4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인부재(420)가 유동하는 유동공간(402,402')이 2 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공간부재(460,460')와;
    상기 공간부재(460,46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간부재(460,460')에 형성되는 유동유로(484,48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4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부재(420)는,
    회전 중심이 되는 축부(422)와, 상기 축부(42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동공간(402,402') 내부의 유체가 유동하는 오리피스(P)를 형성하는 베인부(424)와, 상기 축부(422)로부터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크랭크(430)와 연결되는 연결부(42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오리피스(P)는,
    상기 베인부(424)의 끝단과 댐퍼케이스(410,4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고,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크기가 감소 또는 증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재(460,460')에는,
    상기 2개의 유동공간(402,402')으로 유체가 서로 유동하도록 하며, 상기 개폐수단(47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는 유동유로(484,484')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70)은,
    상기 공간부재(460,460')에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유동유로(484,484')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부재(472)와;
    상기 차폐부재(472)의 일측에 구비되며,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472)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재(460,460')는,
    상기 좌측케이스(410) 내측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한 쌍의 좌측공간부재(460)와;
    상기 좌측공간부재(46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우측케이스(410')에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우측공간부재(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댐퍼.
KR1020100107217A 2010-10-29 2010-10-29 회전댐퍼 KR20120045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17A KR20120045589A (ko) 2010-10-29 2010-10-29 회전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217A KR20120045589A (ko) 2010-10-29 2010-10-29 회전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589A true KR20120045589A (ko) 2012-05-09

Family

ID=4626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217A KR20120045589A (ko) 2010-10-29 2010-10-29 회전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55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525A1 (ko) * 2014-03-31 2015-10-08 최지한 마찰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KR101641101B1 (ko) * 2015-01-29 2016-07-20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로터리타입 댐퍼 및 이를 가지는 힌지 장치
KR101643408B1 (ko) * 2015-09-18 2016-07-27 최지한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525A1 (ko) * 2014-03-31 2015-10-08 최지한 마찰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KR101641101B1 (ko) * 2015-01-29 2016-07-20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로터리타입 댐퍼 및 이를 가지는 힌지 장치
KR101643408B1 (ko) * 2015-09-18 2016-07-27 최지한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3983B1 (ko) 냉장고
KR200410197Y1 (ko) 댐퍼가 구비된 도어힌지
PT2019895E (pt) Estrutura de dobradiça para portas de fecho automático ou semelhantes, particularmente, portas de vidro ou semelhantes, e conjunto incorporando essa estrutura
EP2468999B1 (en) Door opening/closing system and catch therefor
US6817062B2 (en) Door hinge apparatus having a door checking function
JP2019535940A (ja) 多関節ヒンジ
AU2010285685B2 (en) Damper position adjusting device
KR20050061091A (ko) 개방형 트레이
US20220298841A1 (en) Single-axis hinge
JP2016205128A (ja) 摺動ドアのためのガイドデバイス
KR20120045589A (ko) 회전댐퍼
KR101995360B1 (ko)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끼임 방지 도어
KR101657430B1 (ko) 로터리 댐퍼
KR101137720B1 (ko) 도어힌지
KR101031513B1 (ko) 오토 힌지 겸용 플로어 힌지
KR101156643B1 (ko) 댐퍼내장형 도어힌지
KR102326814B1 (ko) 특정위치 도어 멈춤 기능을 갖춘 경첩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73506A1 (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with damper
KR102684995B1 (ko) 도어 개폐장치
KR101802639B1 (ko) 중장비용 스토퍼 힌지
KR20200117282A (ko) 냉장고
KR101383363B1 (ko) 구간완충댐퍼 및 이를 사용한 개폐장치
CN210422255U (zh) 铰链组装体
KR20050055034A (ko) 힌지 장치
JP5351395B2 (ja) 回転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