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28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7282A
KR20200117282A KR1020190039181A KR20190039181A KR20200117282A KR 20200117282 A KR20200117282 A KR 20200117282A KR 1020190039181 A KR1020190039181 A KR 1020190039181A KR 20190039181 A KR20190039181 A KR 20190039181A KR 20200117282 A KR20200117282 A KR 2020011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ink
cabinet
refrigerator
rot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다한
박상후
길영욱
이지원
칭예 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7282A/ko
Publication of KR2020011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72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2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two parallel pins and one arm
    • E05D3/122Gea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3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we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1French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스켓; 및 상기 각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각 도어에 구비되는 댐핑부와, 일측은 상기 댐핑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유닛; 상기 캐비닛에 위치되며, 상기 각 도어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 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장실과 상기 냉장실의 하방에 구비되는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냉장실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냉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는 제1냉장실 도어와 상기 제1냉장실 도어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냉장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냉장실 도어에는 상기 각 냉장실 도어가 상기 냉장실을 닫았을 때, 상기 각 냉장실 도어 사이로 상기 냉장실의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러(pillar)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93448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에 개시된 냉장고는,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 및 제2도어; 상기 제1도어에 힌지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도어와 상기 제2도어 사이로 상기 저정실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필터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홀더가 구비된다.
이러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도어를 닫았을 때, 저장실의 냉기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러 및 홀더가 구비되므로, 냉장고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필러 및 홀더를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회전 동작되는 필러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도어 들 사이에 구비되는 가스켓 들이 어느 한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마찰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와,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각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가스켓 들의 마찰이 방지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방 과정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도록 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은 인접하는 도어의 가스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댐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 과정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도어가 상기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링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의 일측은 상기 댐핑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닛에 위치되며, 상기 각 도어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 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댐핑부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연결 샤프트에 의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는, 상기 각 도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대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체와 상기 지지부 간에 댐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가 제 1 각도를 이루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가 이루는 각도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각 도어의 회전 중심(C3) 간의 거리는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연결 샤프트의 중심(C2)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의 중심은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C1)을 기준으로 호 형태로 곡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선과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3) 간의 좌우 수평 거리는 도어 개방 과정에서 줄어들 수 있다.
상기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는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스토퍼의 제한부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 및 상기 제 2 링크는 각각 면접촉하기 위한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방 속도를 줄이기 감속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 유닛은, 상기 연결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기 위한 고정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고정체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고정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 2 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체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고정체 및 제 2 고정체는 원통 형태의 고정 롤러이고, 상기 회전체는 원통 형태의 회전 롤러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 1 고정체 및 제 2 고정체는 고정 기어이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 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고정체의 기어 비는 1:1인 냉장고.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1 고정체 및 제 2 고정체는 고정 기어이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기어와 상기 지지부 간에 댐핑력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댐핑부의 댐핑력은 상기 회전체의 댐핑력 보다 크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는 도어 사이에 가스켓이 구비됨에 따라서 도어에 회전 구조체인 필러를 설치하지 않고 저장실의 냉기 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좌우 양측의 도어 중 어느 한 도어가 개방될 때, 다른 한 도어의 가스켓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도어가 이동되므로, 가스켓 들 간의 마찰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가스켓 들 사이 틈새로 저장실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5에서 제 2 링크가 제거된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7은 도어가 캐비닛에서 이격되어 제 2 링크가 제한부에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제 2 링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은 도어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제 2 링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1)는 일 예로, 좌우로 배치되는 제 1 도어(12) 및 제 2 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도어(12)가 상기 저장실의 일부를 개폐하고, 상기 제 2 도어(13)가 상기 저장실의 다른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도어(12) 및 제 2 도어(13)의 배면에는 상기 캐비닛(10)이 전면과 접촉하기 위한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12) 및 제 2 도어(13) 각각 양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도어(12, 13)의 양측면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는 각각 가스켓(31, 3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도어(12)의 우측에 상기 제 2 도어(13)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 1 도어(12)의 우측면과 상기 제 2 도어(13)의 좌측면 각각에 가스켓(31, 3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2)가 상기 제 2 도어(13)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도어(12) 및 제 2 도어(13)의 가스켓(31, 32) 들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2) 및 제 2 도어(13) 각각은 힌지 어셈블리(20)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2) 및 제 2 도어(13)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가스켓(31, 32) 들이 마찰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힌지 어셈블리(20)는, 상기 제 1 및 2 도어(12, 13)의 개방 시, 개방되는 도어의 가스켓이 미 개방되는 도어의 가스켓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 후에 도어가 회전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힌지 어셈블리(2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4-4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제 2 링크가 제거된 힌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에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힌지 어셈블리가 도시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20)는, 상기 도어(11)에 결합되는 댐핑부(21), 상기 댐핑부(21)에 연결되는 링크 유닛과, 상기 캐비닛(10)에 위치되는 스토퍼(2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21)는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 중 일부 구간에서 상기 도어가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링크 유닛의 일측은 상기 댐핑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캐비닛(10)에 대해서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11)와 상기 캐비닛(1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53)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 유닛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댐핑부(21)는, 일 예로 일 방향으로 댐핑력을 발생하는 로터리 댐퍼일 수 있다.
상기 댐핑부(21)는, 가동체(212)와, 상기 가동체(21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0)는 일 예로 상기 도어(11)의 상면과 하면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253)는 상기 캐비닛(10)의 상측과 하측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에는 일 예로 스토퍼(253)가 상기 캐비닛(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부(201)가 상기 도어(11)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도어(11)의 회전 시 상기 지지부(210)는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는 제 1 방향으로는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가동체(212) 간에 댐핑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댐핑력 보다 큰 힘이 상기 도어(11)로 가해지면,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가동체(212)가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도어(11)가 닫히는 제 2 방향으로는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가동체(212)가 아이들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가 닫히는 방향으로는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가동체(212)가 상대 회전하게 된다.
다만,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가동체(212) 간에는 상기 지지부(210)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지지부(210)가 상기 가동체(212)에 대해서 소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 제한을 위한 제한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부(21)는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유닛은, 복수의 링크(22, 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22, 24)는 상기 댐핑부(21)에 연결되는 제 1 링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22)는 상기 가동체(21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22)는 상기 가동체(212)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22, 24)는 상기 제 1 링크(22)에 연결되는 제 2 링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제 1 링크(22)와 연결 샤프트(22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샤프트(222)는 상기 제 1 링크(22)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연결 샤프트(2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 샤프트(222)는 상기 제 2 링크(24)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 샤프트(222)가 상기 제 1 링크(2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도어(11)의 개폐 과정에서 상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는 고정 샤프트(25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샤프트(255)는 일 예로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고정 샤프트(2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링크(24)에 고정 샤프트(25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 샤프트(255)가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 샤프트(255)는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도 제 1 각도를 이룬다.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에서는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가 이루는 각도는 제 1 각도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가 제 2 각도를 이룬 상태에서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의 상대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53)는, 상기 도어(11)의 개방 또는 폐쇄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토퍼(253)는 상기 링크(24)의 회전 궤적을 따라 라운드지는 내면(253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제 1 도어(11)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53)는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24)가 제 1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 2 링크(24)가 일정 위치에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한 제한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254)는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 보다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링크(24)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일부가 상기 제한부(254)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254)는 상기 제 2 링크(24)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25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54a)는 상기 제 2 링크(24)와 면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링크(24)는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254a)도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54a)의 평면은 일 예로 수직면일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20)에 의한 도어(11)의 개폐 과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도어(11)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11)를 상기 캐비닛(10)에서 이격시키기 위하여 필요함 힘을 상기 도어(11)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11)의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11)를 사용자 측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도어(11)의 하중(도어에 구비되는 음식물 포함) 및 상기 도어(11)의 배면에 구비되는 가스켓과 상기 캐비닛(10)을 분리시키기 위한 힘의 합(도어(11)를 캐비닛(10)에서 이격시키기 위하여 필요함 힘) 보다 상기 댐핑부(21)의 댐핑력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댐핑부(21)의 댐핑력 보다 상기 도어(11)를 상기 캐비닛(10)에서 이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이 작으므로, 상기 도어(11)와 상기 제 1 링크(22)는 상대 회전되지 못한다.
반면, 상기 도어(11)를 상기 캐비닛(10)에서 이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은 상기 제 1 링크(22) 및 상기 연결 샤프트(222)에 의해서 상기 제 2 링크(24)로 작용한다.
상기 제 1 링크(22)가 회전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상기 도어(11)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작용하는 힘이 상기 연결 샤프트(222)로 전달되면, 상기 연결 샤프트(22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연결 샤프트(222)가 상기 캐비닛(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연결 샤프트(222)는 상기 제 2 링크(24)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고정 샤프트(255)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이동에 의해서 상기 고정 샤프트(255)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또는 상기 제 1 링크(22)와 제 2 링크(24)의 상대 회전 중심)은 전후 수평 방향 및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은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을 기준으로 하는 호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제한부(254)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되고, 상기 제 2 링크(24)가 상기 제한부(254)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은 제한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11)를 개방시키는 힘에 의해서 상기 제 1 링크(22) 및 제 2 링크(24)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는 상대 회전한다.
이때, 상기 제 1 링크(22) 및 상기 제 2 링크(24)의 수평 방향 이동 속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어셈블리(20)는 감속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속 유닛에 의해서 상기 도어(11)의 개방 속도도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감속 유닛에 의해서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24)와 상기 제한부(254)의 충돌에 의해서 상기 제한부(254)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감속 유닛은, 상기 연결 샤프트(222)에 연결되는 제 1 고정체(231)와, 상기 고정 샤프트(255)에 연결되는 제 2 고정체(251)와, 상기 제 1 고정체(231)와 상기 제 2 고정체(251)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제 2 링크(2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6)는 일 예로 상기 제 2 링크(24)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고정 샤프트(255)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고정체(251)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연결 샤프트(22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고정체(231)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253)는 상기 캐비닛(10)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 2 고정체(25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고정체(231)와 상기 제 2 고정체(25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6)의 외주면은 상기 제 1 고정체(231)의 외주면 및 제 2 고정체(251)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고정체(231) 및 제 2 고정체(251)는 원통 형태의 고정 롤러이고, 상기 회전체(26)는 원통 형태의 회전 롤러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제 2 링크(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24)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체(26)의 회전 중심도 상기 제 2 링크(24)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고정체(231, 251)와 접촉하고 있으믈, 상기 회전체(26)는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자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제 2 링크(24)와 함께 수평 이동하면서 회전되어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제 1 고정체(231)와의 관계에서 마찰 회전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고정체(251)와의 관계에서 마찰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회전체(26)와 고정체(231, 251) 들 간의 마찰 회전에 의해서 상기 도어(11)의 상기 제 1 링크(22) 및 상기 제 2 링크(24)의 수평 방향 이동 속도가 줄어들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11)의 개방 속도도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고정체(231) 및 제 2 고정체(251)는 고정 기어이고, 상기 회전체(26)는 회전 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체(231)와 상기 제 2 고정체(231)의 기어 비는 1:1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링크(24)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회전체(26)가 상기 제 1 고정체(231) 및 상기 제 2 고정체(251)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고정체(231) 및 제 2 고정체(251)는 고정 기어일 수 있다.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고정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262)와, 상기 회전 기어(262)를 지지하는 지지부(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6)는, 상기 댐핑부(21)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댐핑부일 수 있다. 상기 회전체(26)는 일 예로 일 방향으로 댐핑력을 발생하는 로터리 댐퍼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261)는 상기 제 2 링크(24)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261)에 대해서 상기 회전 기어(262)가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26)의 댐핑력은 상기 댐핑부(21)의 댐핑력 보다 작게 설정된다.
일 예로, 상기 도어(11)를 상기 캐비닛(10)에서 이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 보다 상기 회전체(26)의 댐핑력은 작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도어(11)가 수평 이동하는 고정에서는 상기 회전체(26)에서 댐핑력이 작용하면서 상기 제 2 링크(24)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이 상기 제한부(254)에 의해서 제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댐핑부(21)의 댐핑력 보다 큰 힘(상기 도어(11)를 회전시키기 위함 힘)을 상기 도어(11)로 가하면 상기 도어(11)가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11)의 개폐 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어가 캐비닛에서 이격되어 제 2 링크가 제한부에 접촉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제 2 링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은 도어가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제 2 링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을 연결하는 선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나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은 제 1 거리(D1)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도 제 1 거리(D1) 만큼 이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을 연결하는 선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경사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측면(10b)에서 연장된 연장선과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은 수평 방향으로 제 1 간격(L1) 만큼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11)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도어(11)를 당기면, 상기 댐핑부(21)에 의해서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에 대한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11)가 상기 댐핑부(21), 제 1 링크(22)와 함께 수평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1)를 상기 캐비닛(10a)에서 이격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은 상기 댐핑부(21)의 댐핑력 보다 작으므로 상기 도어(11)가 상기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못한다.
일 예로, 도 7과 같이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이 함께 수평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 중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이 수평 이동한다.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은 인접하는 도어의 가스켓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도어(11)가 수평 이동할 때, 상기 감속 유닛에 의해서 상기 도어(11)의 개방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간의 거리와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3)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간의 거리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도어(11)가 수평 이동하게 된다.
또는,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을 연결하는 선이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경사지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간의 거리와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 간의 거리의 차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11)가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이 이루는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로 상기 도어(11)가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링크(24)는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연결 샤프트(222)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샤프트(25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1)를 당기게 되면, 상기 도어(11)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11)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1)는 수평 방향으로 곡선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1)는 상기 제 2 링크(24)가 상기 제한부(254)에 접촉할 때까지 수평 방향으로 곡선 운동하게 된다.
상기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 간의 거리는 상기 제 2 링크(24)가 상기 제한부(25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 간의 거리와 동일하다.
즉, 상기 도어(11)의 개폐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의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반면,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 간의 거리 보다 상기 제 2 링크(24)가 상기 제한부(25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 간의 거리가 크다.
즉,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 간의 거리는 증가된다. 이는, 상기 도어(11)가 상기 캐비닛(10)과 이격되는 과정에서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어(11)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측면(10b)에서 연장된 연장선과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 간의 제 1 간격(L1) 보다, 상기 제 2 링크(24)가 상기 제한부(254)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측면(10b)에서 연장된 연장선과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 간의 제 2 간격(L2)이 작다.
이는, 상기 도어(11)가 상기 캐비닛(10)과 이격되는 과정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도어(11)가 개방되는 일부 구간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은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 중심(C1)을 기준으로 호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이 호 형태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도어(11)도 상기 연결 샤프트(222)와 동일한 궤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어(12)와 제 2 도어(13)의 개방 시 어느 한 도어가 다른 한 도어와 수평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각 도어(12, 13)의 가스켓(31, 32) 들간에 마찰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샤프트(222)의 중심(C2)이 호 형태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의 상대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제 2 링크(24)는 제 1 각도 보다 큰 제 2 각도로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스켓(31, 32) 들 간의 마찰이 방지되면, 가스켓(31, 32) 들 사이에 틈새 발생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저장실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상기 제 2 링크(24)가 상기 제한부(254)의 접촉부(254a)에 접촉하면, 상기 제 2 링크(24)는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에서 상기 댐핑부(21)의 댐핑력 보다 큰 힘으로 상기 도어(11)를 당기면, 상기 제 2 링크(24)의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가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11)의 개방 과정 중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가 상기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개방된 도어(11)를 닫기 위해서 상기 도어(11)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어(11)는 상기 회전 중심(C3)을 기준으로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가동체(212)는 상기 도어(11)가 닫히는 제 2 방향으로는 상기 지지부(210)와 상기 가동체(212)가 아이들 상태인 반면, 상기 회전체(26)는 고정체(231, 251) 들과 접촉하고 있다.
상기 회전체(26)와 고정체(231, 251) 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도어(11)로 상기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제공하면,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11)가 상기 회전 중심(C3)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는 중에 상기 댐핑부(21)에 구비되는 제한 구조에 의해서 상기 도어(11)가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11)의 제 2 방향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링크(22)와 상기 도어(11) 간에 제한 구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11)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링크(22)에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스토퍼는 상기 돌출부와 접촉되어 상기 도어(11)의 제 2 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11)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링크(22)에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11)의 제 1 방향 회전 시에는 돌출부가 가이드 홈에 의해서 간섭되지 않아 상기 도어(11)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도어(11)의 제 2 방향 회전 시 상기 도어(11)가 도 7과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홈의 일단부에 접촉하여 상기 도어(11)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한 구조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7과 같은 상태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11)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힘을 상기 도어(11)로 가하면 상기 도어(11)의 회전 중심(C3) 및 연결 샤ㅍ프(222)의 중심(C2)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링크(24)가 회전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도어(11)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10a)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도어(11)의 회전은 정지된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도어 사이의 가스켓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의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가스켓의 마찰과 무관하게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구조로 본 발명의 힌지 어셈블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냉장고 10: 캐비닛
11: 도어 20: 힌지 어셈블리
21: 댐핑부 22: 제 1 링크
24: 제 2 링크 253: 스토퍼

Claims (20)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
    상기 제 1 도어 및 제 2 도어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구비되는 가스켓; 및
    상기 각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각 도어에 구비되는 댐핑부와,
    일측은 상기 댐핑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 유닛;
    상기 캐비닛에 위치되며, 상기 각 도어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링크 유닛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유닛은, 상기 댐핑부에 연결되는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연결 샤프트에 의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링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각 도어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상대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각 도어를 개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가동체와 상기 지지부 간에 댐핑력이 발생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가 제 1 각도를 이루고,
    상기 각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가 이루는 각도는 증가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3) 간의 거리는 증가되는 냉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1)과 상기 연결 샤프트의 중심(C2)을 연결하는 선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이 이루는 각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의 중심(C2)은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C1)을 기준으로 호 형태로 운동하는 냉장고.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연장선과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C3) 간의 좌우 수평 거리는 상기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줄어드는 냉장고.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 과정에서 상기 제 2 링크는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면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스토퍼의 제한부에 접촉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 및 상기 제 2 링크는 각각 면접촉하기 위한 평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의 개방 속도를 줄이기 감속 유닛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유닛은, 상기 연결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기 위한 고정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고정체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 2 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고정체는 상기 제 1 링크와 상기 제 2 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체 및 제 2 고정체는 원통 형태의 고정 롤러이고, 상기 회전체는 원통 형태의 회전 롤러인 냉장고.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체 및 제 2 고정체는 고정 기어이고, 상기 회전체는 회전 기어인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2 고정체의 기어 비는 1:1인 냉장고.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체 및 제 2 고정체는 고정 기어이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 기어와 맞물리는 회전 기어와, 상기 회전 기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기어와 상기 지지부 간에 댐핑력이 발생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의 댐핑력은 상기 회전체의 댐핑력 보다 큰 냉장고.
  19.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연결하기 위한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일부 구간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이 수평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의 회전을 제한하는 댐핑부와,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을 연결하는 링크 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나머지 일부 구간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 중심이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링크 유닛의 작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90039181A 2019-04-03 2019-04-03 냉장고 KR202001172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81A KR20200117282A (ko) 2019-04-03 2019-04-0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181A KR20200117282A (ko) 2019-04-03 2019-04-0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7282A true KR20200117282A (ko) 2020-10-14

Family

ID=72847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181A KR20200117282A (ko) 2019-04-03 2019-04-0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172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1457A (zh) * 2021-08-10 2021-09-24 江苏星徽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传动单轨动嵌入式铰链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1457A (zh) * 2021-08-10 2021-09-24 江苏星徽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齿轮传动单轨动嵌入式铰链
CN113431457B (zh) * 2021-08-10 2023-10-13 江苏玖星精密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齿轮传动单轨动嵌入式铰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4123B2 (ja) 冷蔵庫
KR10071747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EP3034973B1 (en) Refrigerator
KR102425367B1 (ko) 냉장고
KR20200117282A (ko) 냉장고
KR10070746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07459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5532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657496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장치 및 이격기구
KR20090066771A (ko)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KR10074898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및 도어 힌지기구
KR10074897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210000434A (ko) 냉장고 도어용 힌지 어셈블리
JP2022546510A (ja) ビルトイン式冷蔵庫
KR100748967B1 (ko) 냉장고의 개스킷 분리 장치
KR100748968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0733310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200021823A (ko) 프렌치 도어 타입 냉장고 및 도어 실링 장치
KR20210036216A (ko) 냉장고
JP3545152B2 (ja) 冷蔵庫の引き出し式扉装置
KR101346212B1 (ko) 도어 실링구조를 구비한 프렌치식 냉장고
KR100707452B1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60108797A (ko)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060124953A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70065457A (ko)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도어 이격기구 및 도어 디텐트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