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408B1 -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 Google Patents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408B1
KR101643408B1 KR1020150132209A KR20150132209A KR101643408B1 KR 101643408 B1 KR101643408 B1 KR 101643408B1 KR 1020150132209 A KR1020150132209 A KR 1020150132209A KR 20150132209 A KR20150132209 A KR 20150132209A KR 101643408 B1 KR101643408 B1 KR 101643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amper
spring
hous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한
Original Assignee
최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한 filed Critical 최지한
Priority to KR1020150132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에 관한 것으로,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댐퍼가 구비된 도어 고정부(400)가 구성되고, 상기 도어 고정부(4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링크(500)가 구성되고, 상기 링크(5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도어(D)가 장착되는 측벽(W)의 내측면(T)에 부착되는 고정 아암(6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500)는 회동 시 상기 한 쌍의 댐퍼를 가압하며, 이때, 상기 한 쌍의 댐퍼는, 상기 링크(500)가 회동을 시작하는 위치부터 상기 링크(500)의 회동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가압되는 제1 댐퍼와, 상기 링크(500)가 회동하는 특정 위치부터 상기 링크(500)의 회동이 완료되는 위치까지 가압되는 제2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가구의 도어를 닫을 때에 도어가 회동하는 전 구간에 걸쳐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충격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HINGE HAVING DOUBLE DAMPER}
본 발명은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가구의 도어를 닫을 때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하므로 충격완화 및 소음발생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에 관한 것이다.
가구용 힌지(1)에 장착되어 도어(D)가 닫칠 때에 충격을 완화해 주는 댐퍼(40)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방(도어 쪽 방향)으로 개방되어 수용 기능을 하는 하우징(41)과, 상기 하우징(41)에 수용되어 전후방으로 왕복동하는 것으로서 후방으로 개방된 샤프트(4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43)에 수용된 작동유체(49) 및 압축 스프링(47)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43)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유체(49)와 압축 스프링(47)을 가압하는 피스톤(45)과 상기 피스톤(45)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41)에 지지되는 로드(46)가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45)은 작동유체(49)가 후방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오일 실이 구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댐퍼(40)가 장착되어 가구에 사용되는 가구용 힌지(1)의 구성을 도 1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구의 본체를 구성하는 측벽(W)의 내측면(S)에 장착되는 고정아암(10)과, 상기 고정아암(10)의 전방 종단부에 힌지 연결되어 회동하는 링크(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20)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가구의 도어(D)에 고정되는 도어 고정부(3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아암(10)에 상기 댐퍼(40)의 하우징(41)이 고정되며 샤프트(43)는 전방(도어 쪽)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도어(D)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 고정부(30)는 샤프트(43)를 압박하도록, 상기 댐퍼(40)는 위치가 조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D)를 닫게 되면 도어(D)가 샤프트(43)를 누르게 되면서 충격이 완충되어 서서히 닫치게 되고, 도어(D)를 열게 되면 압축 스프링(47)의 팽창에 의해서 샤프트(43)는 전방으로 복원하게 된다.
다만, 상기 댐퍼(40)는 상기에 기재한 부품 외에도 와셔, 로드 가이드 등을 포함 12∼13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서 조립이 어렵고 생산성이 낮으며 비용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고정아암(10)을 현장에서 장착할 때 댐퍼(40)를 분리한 상태에서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고정아암(10)에서 나사홀이 천공된 부분을 댐퍼(40)가 커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댐퍼(40)를 분리한 상태에서 고정아암(10)을 장착하여 셋팅한 후, 상기 고정아암(10)에 댐퍼(40)를 장착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작동유체(49)는 완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고점도인 실리콘 오일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하우징(41)이 고점도로 인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므로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의 도어(D)를 닫을 때 많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 충분하게 완충 기능을 수행하지 못해서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 특허등록 10-0873922호 (2008년 12월 08일)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해서 조립이 쉬운 힌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현장에서 마찰 로터리 댐퍼를 별도로 부착하는 작업 과정을 생략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저점도의 작동유체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완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많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분하게 완충 기능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는 한 쌍의 댐퍼가 구비된 도어 고정부, 상기 도어 고정부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링크, 상기 링크에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도어가 장착되는 측벽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고정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회동 시 상기 한 쌍의 댐퍼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되, 상기 한 쌍의 댐퍼는, 상기 링크에 의해 우선적으로 가압되는 제1 댐퍼와, 상기 제1 댐퍼가 가압된 이후 추가적으로 가압되는 제2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댐퍼는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링크에 힘을 가하는 태엽 댐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엽 댐퍼는, 수용 기능을 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된 태엽 하우징과, 상기 태엽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과, 상기 태엽 스프링에 연결되고 상기 태엽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태엽 하우징의 개방된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고 상기 태엽 하우징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연결되는 크랭크 형상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회동 시 상기 링크는 상기 레버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태엽 스프링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가 상기 레버를 가압해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태엽 스프링은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댐퍼는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링크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댐퍼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댐퍼는, 체결 기능을 하도록 일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링크 회동 시 상기 링크에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에는 상기 링크에 힘을 가하는 제1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면은 상기 링크 회동 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에는 상기 제1 가압면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2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면은 상기 판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하우징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판 스프링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판 스프링에는 상기 링크에 힘을 가하는 제3 가압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압면은 상기 링크 회동 시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댐퍼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상기 링크에 힘을 가하는 마찰 로터리 댐퍼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 로터리 댐퍼는, 수용 기능을 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되고 작동유체가 충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된 임펠러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형성된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커버의 바깥으로 돌출된 종단부에 연결되는 크랭크 형상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외측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수압면이 상기 회전축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에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벽은 다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측벽은 상기 회전축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에는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는, 댐퍼의 부품수가 적으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이 용이하기 때문에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용 힌지의 도어 고정부에 댐퍼가 장착된 상태에서 힌지가 가구에 부착되도록 하는 나사홀을 커버하지 않기 때문에 현장에서 댐퍼를 별도로 부착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의 향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임펠러와 하우징의 마찰에 의해서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저점도의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더라도 충분히 고점도의 실리콘 오일을 사용한 것처럼 완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따라서 고점도의 실리콘 오일을 사용하므로 본 발명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댐퍼가 도어를 닫을 때 순차적으로 완충 기능을 수행하며, 제1 댐퍼가 도어를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의 약 70% 정도를 완충하고, 이후 제2 댐퍼가 제1 댐퍼와 함께 나머지 30% 정도의 충격과 소음을 완충하므로 많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분하게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가구용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가구용 힌지에 장착되는 댐퍼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엽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스프링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찰 로터리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구성과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엽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판 스프링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판 스프링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마찰 로터리 댐퍼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와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댐퍼가 구비된 도어 고정부(400)가 구성되고, 상기 도어 고정부(4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링크(500)가 구성되고, 상기 링크(5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도어(D)가 장착되는 측벽(W)의 내측면(T)에 부착되는 고정 아암(6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500)는 회동 시 상기 한 쌍의 댐퍼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되, 상기 한 쌍의 댐퍼는, 상기 링크(500)에 의해 우선적으로 가압되는 제1 댐퍼와, 상기 제1 댐퍼가 가압된 이후 추가적으로 가압되는 제2 댐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고정부(400)는, 상기 링크(500)가 힌지연결되고 상기 링크(500)가 회동하여 수용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용기(容器) 형상의 힌지컵(415)과, 상기 힌지컵(415)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가구의 도어에 고정되는 플랜지(417)가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417)에는 나사홀이 관통되어 나사로 인해서 도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417)는 힌지컵(415)의 개방된 쪽의 단부 테두리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컵(415)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면에 상기 한 쌍의 댐퍼가 고정되는데, 상기 링크(500)가 회동하여 상기 힌지컵(415) 내부에 수용될 때 상기 한 쌍의 댐퍼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댐퍼는 상기 링크(500)에 의해 우선적으로 가압되면서 도어(D)를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과 소음을 약 70% 정도 완충하고, 이후 상기 링크(500)는 상기 제2 댐퍼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1 댐퍼와 함께 나머지 충격과 소음 30% 정도를 완충하도록 구성되므로 많은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충분하게 완충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한 쌍의 댐퍼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컵(415)의 상호 대향되는 양측면에 구성될 수 있으나, 제1 댐퍼가 링크(500)와 대향되는 힌지컵(415)의 대향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한 쌍의 댐퍼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태엽 댐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태엽 댐퍼(200)는 상기 제1 댐퍼로서 기능하며, 수용 기능을 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되며 상기 힌지컵(215)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태엽 하우징(210)이 구성되고, 상기 태엽 하우징(2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2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태엽 스프링(220)에 연결되고 상기 태엽 하우징(210)에 수용된 회전축(230)이 구성되고, 상기 태엽 하우징(210)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커버(240)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30)은 상기 태엽 스프링(220)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240)를 관통하는 회전축(230) 단부에는 크랭크 형상의 레버(250)가 연결된다. 상기 커버(240)에는 관통구(245)가 형성되어 회전축(230)이 통과하는 구조이며, 일례로서 캡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210)이 끼워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240)에는 부착 기능이 가능하도록 홀(249)이 형성된 플랜지(247)가 다수 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249)을 통해서 후술하는 도어 고정부(400)에서 돌출된 관 형상의 돌기가 끼워진 후, 코킹되므로 도어 고정부(400)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30)에는 상기 태엽 스프링(2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태엽 스프링(220)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슬릿(231)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500)가 상기 레버(250) 가압 시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는 경우 탄성 변형을 통해 충격과 소음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9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판 스프링 댐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판 스프링 댐퍼(300)는 상기 태엽 댐퍼를 대체하여 상기 제1 댐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체결 기능을 하도록 일측에 체결부(311)가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3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500) 회동 시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의 체결부(311)에 체결되는 판 스프링(320)이 구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3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의 체결부(311)에는 상기 판 스프링(320)의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3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판 스프링(320)에는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제1 가압면(321)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500) 회동 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320)에는 상기 제1 가압면(321)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2 가압면(3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가압면(322)은 상기 판 스프링(320)이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판 스프링(320)의 양단이 상기 체결홈(3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력이 인가되므로 상기 판 스프링(320)이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판 스프링 댐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른 형태의 판 스프링 댐퍼(300)에도 체결 기능을 하도록 일측에 체결부(311)가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31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링크(500) 회동 시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의 체결부(311)에 체결되는 판 스프링(320)이 구성된다.
다만, 상기 판 스프링(320)의 형태가 상이하며, 이러한 판 스프링(320)을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에 체결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311)에는 상기 판 스프링(32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걸림홈(313)이 형성된다.
상기 판 스프링(320)에는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제3 가압면(323)이 형성되어 상기 링크(500) 회동 시 탄성 변형되며 충격과 소음을 완충하도록 구성된다.
도 13 내지 도 16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마찰 로터리 댐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마찰 로터리 댐퍼(100)는 상기 제2 댐퍼로서 기능하며, 수용 기능을 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되고 실리콘 오일 등의 작동유체가 충전된 하우징(110)이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임펠러(130)가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커버(140)가 구성된다.
상기 임펠러(130)는 커버(140)를 관통하는 회전축(133)이 구성되고, 회전축(133)의 외측면에 형성된 블레이드(135)가 구성되며, 회전축(133)에서 커버(140)의 바깥으로 돌출된 종단부에 연결되는 크랭크 형상의 레버(150)가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135)는 정방향(도어가 닫치는 방향)을 향하여 휘어지도록 하므로 부하를 많이 받도록 하고 역방향(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대해서는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보다 부하를 적게 받고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135)는 외측단부(S)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도록 하므로 완충 기능을 구비하도록 한다. 하우징(110)의 내측면은 블레이드(135)의 외측단부(S)가 안내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135)는 수압면(U, 압축을 받는 면)이 회전축(133)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하므로 작동유체의 압축을 받아서 완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회전축(133)의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측벽(137)이 구성되며, 상기 측벽(137)에 상기 블레이드(135)가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블레이드(135)가 압축력에 의해서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지지 기능을 하며 상기 측벽(137)도 외측단부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하므로 마찰을 발생시켜서 완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측벽(137)은 다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블레이드(135)에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각 측벽(137) 사이에는 이격부(M)가 구성된다. 따라서 이격부(M)를 통해서 작동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격부(M)의 크기가 작을수록 회전축(133)에는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므로 이격부(M)의 사이즈를 통해서 부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측벽(137)의 다른 실시에로서 상기 회전축(133)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137)에 관통되어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홀(H)이 구성된다. 상기 홀(H)은 크기가 작을수록 회전축(133)에는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므로 상기 홀(H)의 사이즈를 통해서 부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커버(140)에는 관통구(145)가 형성되어 회전축(133)이 통과하는 구조이지만, 회전축(133)이 내측 오일실(161)에 끼워지므로 관통구(145)를 마감하여 작동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내측 오일실(161)이 회전축(133)과 관통구(145) 사이의 갭을 마감한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과 커버(140) 사이에도 외측 오일실(162)이 개재되도록 구성하여 작동유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링에 관한 기술은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당연한 사항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140)는 일례로서 캡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110)이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140)의 내측면에 밀착된 외측 오일실(162)에 의해서 커버(140)와 하우징(110) 사이로 작동유체가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40)에는 부착 기능이 가능하도록 홀(149)이 형성된 플랜지(147)가 다수 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149)을 통해서 후술하는 도어 고정부(210)에서 돌출된 관 형상의 돌기가 끼워진 후, 코킹되므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150)는 L형, ㄷ형 등 직선 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크랭크 형상의 것이다.
상기 임펠러(130)의 다른 형태를 도 1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임펠러(130)는 상기 커버(140)를 관통하는 회전축(133)이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13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륜(13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륜(131)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축(133)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블레이드(135)가 구성된다. 상기 블레이드(135)는 수압면(U)이 상기 회전축(133)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하므로 작동유체의 압축을 받아서 완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륜(131)의 외측면은 회전할 때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도록 구성하므로 완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륜(131)과 블레이드(135)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외륜(131)의 일측방을 커버하는 측벽(137)이 구성된다. 상기 측벽(137)에는 외륜(131)과 블레이드(135)의 일측방이 연결되어 구성되므로 외륜(131)과 블레이드(135)가 고점도의 작동유체 속에서 회전하더라도 손상되지 않게 된다. 상기 측벽(137)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접촉되어 마찰을 발생시켜서 완충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벽(137)에 관통되어 작동유체가 통과하는 홀(H)이 구성된다. 상기 홀(H)은 크기가 작을수록 회전축(133)에는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므로 상기 홀(H)의 사이즈를 통해서 부하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50)에 힘을 가하더라도 임펠러(130)는 겉돌지 않고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작동유체를 저점도인 5,000번을 사용하더라도 상기 마찰력과 블레이드(135)의 부하에 의해서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5,000번인 작동유체는 저점도이므로 댐퍼용으로는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점도 1,000,000번인 작도유체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 경우 점도가 너무 커서 하우징(110) 내부에 고압이 발생하여 파손되므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저점도의 작동유체를 사용하므로 고압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저점도의 작동유체를 사용하면서도 임펠러(130)에는 고점도의 작동유체를 사용한 것과 같은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레버(150)에 힘을 가한 상태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전축(13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16에서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임펠러(130)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레버(150)에 힘을 가하여 회전축(133)을 돌리게 되면 외륜(131)과 측벽(137)이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마찰력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블레이드(135)는 작동유체에 의해서 부하를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H)을 통해서 작동유체가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홀(H)의 사이즈가 클수록 부하는 감소하므로 사이즈를 조정하여 부하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레버(150)에 힘을 가하더라도 임펠러(130)는 겉돌지 않고 서서히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레버(150)에 힘을 가한 상태에서 힘을 제거하게 되면 비틀림 스프링(120)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전축(133)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마찰 로터리 댐퍼 110: 하우징
120: 비틀림 스프링 130: 임펠러
131: 외륜 133: 회전축
135: 블레이드 140: 커버
150: 레버
200 : 태엽 댐퍼 210 : 태엽 하우징
220 : 태엽 스프링 230 : 회전축
231 : 슬릿 240 : 커버
250 : 레버
300 : 판 스프링 댐퍼 310 : 스프링 하우징
311 : 체결부 312 : 체결홈
313 : 걸림홈 320 : 판 스프링
321 : 제1 가압면 322 : 제2 가압면
323 : 제3 가압면
400 : 도어 고정부 415 : 힌지컵
417 : 플랜지
500 : 링크 600 : 고정 아암

Claims (17)

  1. 한 쌍의 댐퍼가 구비된 도어 고정부(400);
    상기 도어 고정부(4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된 링크(500);
    상기 링크(500)에 회동하도록 연결되어 도어(D)가 장착되는 측벽(W)의 내측면(T)에 부착되는 고정 아암(600);
    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500)는 회동 시 상기 한 쌍의 댐퍼를 순차적으로 가압하되,
    상기 한 쌍의 댐퍼는, 상기 링크(500)에 의해 우선적으로 가압되는 제1 댐퍼와,
    상기 제1 댐퍼가 가압된 이후 추가적으로 가압되는 제2 댐퍼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댐퍼는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 댐퍼(300)로서, 상기 판 스프링 댐퍼(300)는 체결 기능을 하도록 일측에 체결부(311)가 형성된 스프링 하우징(310)과,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의 체결부에 체결되어 상기 링크(500) 회동 시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판 스프링(32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댐퍼는 마찰력을 이용해서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마찰 로터리 댐퍼(100)로서, 상기 마찰 로터리 댐퍼(100)는 수용 기능을 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되고 작동유체가 충전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된 임펠러(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커버(140)를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130)는 상기 커버(140)를 관통하는 회전축(133)과,
    상기 회전축(133)의 외측면에 형성된 블레이드(135)와,
    상기 회전축(133)에서 상기 커버(140)의 바깥으로 돌출된 종단부에 연결되는 크랭크 형상의 레버(150)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135)는 외측단부(S)가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마찰이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는 탄성력을 이용해서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태엽 댐퍼(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엽 댐퍼(200)는, 수용 기능을 하도록 일측방으로 개방된 태엽 하우징(210)과,
    상기 태엽 하우징(210) 내부에 수용되어 일단이 고정되는 태엽 스프링(220)과,
    상기 태엽 스프링(220)에 연결되고 상기 태엽 하우징(210)에 수용되어 상기 태엽 하우징(210)의 개방된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30)과,
    상기 회전축(230)이 관통되고 상기 태엽 하우징(210)의 개방부를 마감하는 커버(240)와,
    상기 커버(24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회전축(230)의 단부에 연결되는 크랭크 형상의 레버(250)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500) 회동 시 상기 링크(500)는 상기 레버(250)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30)에는 상기 태엽 스프링(220)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슬릿(231)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500)가 상기 레버(250)를 가압해서 상기 회전축(230)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태엽 스프링(220)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11)에는 상기 판 스프링(320)의 양단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체결홈(3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20)에는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제1 가압면(3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압면(321)은 상기 링크(500) 회동 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20)에는 상기 제1 가압면(321)과 대향되는 위치에 제2 가압면(32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압면(322)은 상기 판 스프링(320)이 상기 스프링 하우징(310)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11)에는 상기 판 스프링(320)의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걸림홈(3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320)에는 상기 링크(500)에 힘을 가하는 제3 가압면(323)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가압면(323)은 상기 링크(500) 회동 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35)는 수압면(U)이 상기 회전축(133)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축(133)의 외측면에 형성된 플랜지 형상의 측벽(137)과,
    상기 측벽(137)에 상기 블레이드(135)가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37)은 다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의 상기 블레이드(135)에 연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37)은 상기 회전축(133)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37)에는 관통된 홀(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KR1020150132209A 2015-09-18 2015-09-18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KR101643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09A KR101643408B1 (ko) 2015-09-18 2015-09-18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209A KR101643408B1 (ko) 2015-09-18 2015-09-18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408B1 true KR101643408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209A KR101643408B1 (ko) 2015-09-18 2015-09-18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4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9143A (zh) * 2017-05-15 2017-10-20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具有闭合缓冲结构的天地铰链
CN111174068A (zh) * 2020-02-12 2020-05-19 北京首赫防务科技有限公司 具有支撑臂的支架应用于车载无人飞行器侦测与防御设备
KR102340972B1 (ko) * 2021-05-14 2021-12-20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회전댐퍼를 구비한 도어경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922B1 (ko) 2008-04-23 2008-12-1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 장치
KR20120045589A (ko) * 2010-10-29 2012-05-09 (주)삼우 회전댐퍼
KR20130061302A (ko) * 2011-12-01 2013-06-11 (주)메탈프린스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20150069452A (ko) * 2013-12-13 2015-06-23 최지한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KR101576248B1 (ko) * 2014-03-31 2015-12-09 최지한 마찰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922B1 (ko) 2008-04-23 2008-12-12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 장치
KR20120045589A (ko) * 2010-10-29 2012-05-09 (주)삼우 회전댐퍼
KR20130061302A (ko) * 2011-12-01 2013-06-11 (주)메탈프린스 가구용 슬라이드 도어의 댐퍼 시스템
KR20150069452A (ko) * 2013-12-13 2015-06-23 최지한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KR101576248B1 (ko) * 2014-03-31 2015-12-09 최지한 마찰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9143A (zh) * 2017-05-15 2017-10-20 广东顶固集创家居股份有限公司 具有闭合缓冲结构的天地铰链
CN111174068A (zh) * 2020-02-12 2020-05-19 北京首赫防务科技有限公司 具有支撑臂的支架应用于车载无人飞行器侦测与防御设备
KR102340972B1 (ko) * 2021-05-14 2021-12-20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회전댐퍼를 구비한 도어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0420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장치
KR101361926B1 (ko) 제동 장치를 가지는 가구 경첩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US9410352B2 (en) Door closer provided with unit for adding door-closing force
KR101643408B1 (ko)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KR20190113967A (ko) 완충기능을 가진 도어 힌지
KR20130041273A (ko) 가구용 댐퍼
KR101418582B1 (ko) 도어 클로저
WO2011065178A1 (ja) 車両用チェッカ付きドアヒンジ装置
JP2020505535A (ja) ダンパ・アセンブリの改良
CA2778637A1 (en) Hinge assembly for domestic appliance including spring having low-friction coating
US20120175830A1 (en) Buffer
US8833877B2 (en) Hinge assembly for domestic appliance
KR101576248B1 (ko) 마찰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KR101563598B1 (ko) 로터리 댐퍼 및 이를 장착한 힌지
CN210659654U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CN108332498B (zh) 一种嵌入式冰箱缓冲铰链
CN111852235A (zh) 一种阻尼铰链
CN215485430U (zh) 一种新型隐藏式液压合页
CN112761445B (zh) 一种具有助力、悬停功能的冰柜缓冲铰链
CN204920569U (zh) 一种二段力反向缓冲的液压阻尼铰链
KR20110134563A (ko) 냉장고
KR200483996Y1 (ko) 가구 힌지용 어댑터
KR101781523B1 (ko) 경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