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96Y1 - 가구 힌지용 어댑터 - Google Patents

가구 힌지용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96Y1
KR200483996Y1 KR2020150005162U KR20150005162U KR200483996Y1 KR 200483996 Y1 KR200483996 Y1 KR 200483996Y1 KR 2020150005162 U KR2020150005162 U KR 2020150005162U KR 20150005162 U KR20150005162 U KR 20150005162U KR 200483996 Y1 KR200483996 Y1 KR 200483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uffer
fixing
buffer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539U (ko
Inventor
이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신씨앤티
Priority to KR2020150005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99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힌지 보디 위에 버퍼 보디를 올려놓고 손으로 누르면 돌기가 구멍에 끼워지면서 버퍼를 힌지 위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누구든지 쉽게 힌지에 버퍼를 장착하거나 분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가구 힌지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처럼 힌지에 고정한 버퍼 보디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힌지에서 버퍼 보디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버퍼 위치를 조절하거나 힌지를 장착하거나 힌지의 장착 위치 등을 조절할 때에 힌지에서 버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작업할 수 있고, 이에 버퍼를 분실하거나 작업 후 다시 버퍼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가구 힌지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버퍼 보디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구멍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힌지 보디에 장착한 버퍼 보디를 회전할 수 있게 결합 부분을 분리할 때 회전 간섭을 없애면서도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하여 누구든지 쉽게 버퍼 보디를 회전시켜 쉽게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가구 힌지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가구 힌지용 어댑터{ADAPTER FOR HINGE OF FURNITURE}
본 고안은 가구 힌지용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를 구성하는 어댑터에 버퍼 보디를 끼워서 누르면 쉽게 고정시켜 버퍼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힌지의 위치 고정이나 교환 등을 목적으로 힌지에서 버퍼를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도 버퍼 보디를 회전시켜 간섭을 피할 수 있게 하여 힌지에서 버퍼를 분리하지 않고도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버퍼를 잃어버리거나 작업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방식의 문을 갖춘다. 특히 여닫이 방식의 문은 힌지를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는 데, 열린 문이 쉽게 닫힐 수 있도록 힌지에는 탄성 복귀수단과 같은 구성을 장착하다. 이는 문이 쉽게 닫힐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으나, 반대로 문이 급격하게 회전하면서 닫혀 소음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힌지에는 문이 급격하게 닫히지 않고 부드럽게 닫히게 하여 소음이 생기지 않게 하고, 또한 문 고장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댐핑 장치(버퍼)를 장착한다.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에는 이러한 댐핑 수단을 갖춘 힌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댐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댐핑 하우징, 상기 버퍼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내부에 피스톤이 이동가능하게 지지가 된 유체 챔버(fluid chamber), 피스톤에 연결되고 버퍼 하우징과의 사이에 유체 챔버를 밀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씰이 배치되고 이러한 씰을 통하여 관통하는 램(ram), 및 유체 챔버와 유체-이송 관계(fluid-conducting relationship)에 있고 유체 챔버에 대하여 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으며 유체 챔버 측으로 진입하는 램에 의한 체적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변형 보상 동체가 배치되어 있는 보상챔버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는 종축선을 갖는 힌지 암, 힌지 암에 연결되고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로 힌지 암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힌지 컵(hinge cup)과, 가구 힌지의 운동을 감쇠하기 위한 선형 댐핑 스트로크를 갖는 선형 버퍼(linear damper)를 포함하고, 선형 버퍼가 힌지 컵에 배치되고 이와 함께 결합하여 가구부분의 통공 내에서 설치위치(installed position)에 배치될 수 있는 가구용 힌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3은 힌지 박스 내에서 중심으로 위치된 폐쇄 수단과 연계되는 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감속 장치를 갖는, 가구 도어용 특히, 고정을 위한 페이스 프레임을 구비하는 가구 부품용 감속 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힌지의 특히 광범위한 선회 원호를 따라 효과적인 감속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고려된 종류의 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리고, 감속 장치가 단순한 구조 및 함께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는 특징 구성들을 가지는 고려된 종류의 힌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하지만, 기존의 댐핑 장치(버퍼)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버퍼를 힌지 보디에 장착할 때 어려움이 있다.
(2) 즉, 통상 버퍼와 힌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버퍼를 힌지에 끼움 방식 등으로 끼워서 고정한다. 이때, 버퍼나 힌지 등에 형성한 돌기가 다른 하나에 형성한 구멍에 맞춰서 끼워야 하는 데, 이때 돌기를 구멍에 맞춰 끼워서 고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힌지에 버퍼를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버퍼가 고장이 나는 경우 고장이 나지 않은 힌지도 함께 교체해야 한다.
(4) 이 때문에 유지 보수에 큰 비용이 든다.
(5) 그리고, 버퍼를 힌지에 일체로 제작한 경우, 보통 힌지의 장착 위치 등에 따라 높이 등을 조절해야 하는 데, 버퍼와의 간섭으로 조절에 어려움이 있다.
(6) 이처럼 힌지와 버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힌지에서 버퍼를 분리한 다음 필요한 작업을 해야 한다. 이때, 힌지에서 분리한 버퍼는 분실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다음, 다시 힌지에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7) 특히, 이러한 버퍼의 분리와 조립 작업에서의 간섭 문제는, 가구의 문이 넓게 열리는 힌지, 예를 들어서 힌지의 회전 각도가 110°인 경우보다 180° 각도로 열리는 힌지에서 자주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6995호 (공개일 : 2014년06월03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14369호 (공개일 : 2014년09월26일)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9604호 (공개일 : 2015년03월18일)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안한 것으로, 힌지 보디 위에 버퍼 보디를 올려놓고 손으로 누르면 돌기가 구멍에 끼워지면서 버퍼를 힌지 위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누구든지 쉽게 힌지에 버퍼를 장착하거나 분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가구 힌지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이처럼 힌지에 고정한 버퍼 보디를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힌지에서 버퍼 보디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버퍼 위치를 조절하거나 힌지를 장착하거나 힌지의 장착 위치 등을 조절할 때에 힌지에서 버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작업할 수 있고, 이에 버퍼를 분실하거나 작업 후 다시 버퍼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 가구 힌지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버퍼 보디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 구멍을 길게 형성함으로써, 힌지 보디에 장착한 버퍼 보디를 회전할 수 있게 결합 부분을 분리할 때 회전 간섭을 없애면서도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게 하여 누구든지 쉽게 버퍼 보디를 회전시켜 쉽게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 가구 힌지용 어댑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구 힌지용 어댑터는, 한 면에 제1고정 구멍(110), 제2고정 구멍(120), 그리고 고정 홈(130)이 차례로 관통 형성되고, 양쪽 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길게 회전 구멍(140)이 형성된 힌지 보디(100)에 장착하는 버퍼 보디(200)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 보디(200)는, 유체나 기체를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버퍼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210); 상기 제1고정 구멍(110)과 상기 고정 홈(130)에 각각 걸릴 수 있게 끼워지고, 걸림 부분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 형성한 제1고정 돌기(220) 및 제2고정 돌기(230); 상기 제1고정 돌기(220) 및 제2고정 돌기(2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 구멍(12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3고정 돌기(240); 및
버퍼 보디(200)의 양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구멍(140)에 끼워져서, 이 버퍼 보디(200)를 힌지 보디(100)의 길이 방향으로 밀면, 제1고정 돌기(220)가 제1고정 구멍(110)에서 이탈하고, 제2고정 돌기(230)가 고정 홈(130)에서 이탈하며, 동시에 상기 제3고정 돌기(240)가 제2고정 구멍(120)에서 이탈하여 상기 버퍼 보디(200)가 회전할 수 있게 회전 지지하는 두 개의 회전 돌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마지막으로, 상기 제3고정 돌기(240)는 테두리 부분 중에서 상기 회전 돌기(250)의 반대쪽 부분이 제2고정 구멍(120)에 걸려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구 힌지용 어댑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힌지 보디에 버퍼 보디를 끼워서 누르는 동작만으로 힌지에 버퍼를 고정할 수 있어 누구든지 쉽고 신속하게 버퍼를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이처럼 힌지에 버퍼를 끼워서 결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힘을 들여 억지로 결합할 필요가 없으므로 힌지나 버퍼가 파손되거나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3) 그리고, 힌지 보디를 중심으로 버퍼 보디를 어느 한쪽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버퍼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거나 힌지의 각도나 장착 위치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 힌지에서 버퍼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이러한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4) 이처럼 힌지에서 버퍼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런 작업을 하기 위해 버퍼를 분리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예를 들어서 버퍼를 분실하거나 분리 과정에서 버퍼가 파손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5) 또한, 버퍼 보디의 회전 중심이 되는 돌기가 끼워져서 회전 지지가 되는 구멍을 길게 형성하므로, 이처럼 힌지 보디를 중심으로 버퍼 보디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간섭을 없앨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고정 홈이 제2고정 돌기에 끼워지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어댑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 보디와 버퍼 보디의 결합 위치를 보여주기 위하여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퍼 보디의 하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힌지 보디에 결합하는 버퍼 보디의 결합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버퍼 보디를 단면한 버퍼 보디 및 힌지 보디의 측면도이고, (b)는 힌지 보디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힌지 보디에 버퍼 보디를 결합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힌지 보디에서 버퍼 보디를 회전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고안에 따른 가구 힌지용 어댑터는, [도1] 내지 [도 5]와 같이, 힌지 보디(100) 위에 버퍼 보디(200)를 올려놓고 누르면 고정 돌기가 고정 구멍이나 고정 홈에 끼워지면서 쉽게 힌지에 버퍼를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때에 따라 버퍼 보디(100)가 힌지 보디(100)에 한쪽이 회전 지지가 되어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힌지의 장착 위치를 조절하거나 버퍼의 작동 위치 조절 그리고 힌지의 장착과 같은 작업을 할 때, 힌지에서 버퍼 보디(100)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쉽고 편리하고 이러한 작업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버퍼 보디(2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 버퍼 보디(200)는 힌지를 구성하는 힌지 보디(100)에 장착된다. 이에, 여기서는 힌지 보디(100)의 구성을 먼저 설명하고 뒤를 이어 힌지 보디(100)에 관해 설명한다.
힌지 보디(100)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통상적으로 가구에 사용하는 힌지를 구성하는 외부 하우징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보디(100)는 회전을 지지하는 부분이므로 다른 구성이 안에 끼워져서 회전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강성을 보완할 수 있도록 폭 단면이 "ㄷ" 형상으로 제작한다.
이러한 힌지 보디(100)에는 후술할 버퍼 보디(20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면에 제1고정 구멍(110)과 제2고정 구멍(120) 그리고 고정 홈(130)이 형성되고, 이 한 면과 접한 양쪽 면에는 각각 회전 구멍(1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 구멍(110)과 제2고정 구멍(12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힌지 보디(100)를 구성하는 한 면, 도면에서는 "ㄷ" 형상의 세로 면에 나란하게 형성한다. 이때, 제1고정 구멍(110)과 제2고정 구멍(120)의 크기는 후술할 제1고정 돌기(220)와 제3고정 돌기(240)가 끼워져서 테두리 부분에 걸쳐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형성한다.
상기 고정 홈(13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제1고정 구멍(110)과 제2고정 구멍(120)과 나란한 위치에 오도록 힌지 보디(100)의 한 면에 형성한다. 이때, 이 고정 홈(130)은 홈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구멍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세 변을 미리 정한 길이로 절개하여 한쪽이 개방된 구멍 형태로 2개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상기 회전 구멍(14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고정 구멍(110,120)이나 고정 홈(130)을 형성한 면과 수직인 면, 즉 힌지 보디(100)의 "ㄷ" 단면 형상에서 서로 마주 보는 면에 형성한다. 특히, 상기 회전 구멍(140)은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회전 지지가 되는 버퍼 보디(200)가 회전할 때 생길 수 있는 회전 간섭 없이 쉽게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회전 구멍(140)은, [도 3]의 (b)와 같이, 고정 구멍(110,120)과 고정 홈(130)이 형성된 면과 나란하도록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버퍼 보디(2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가이드(210), 제1고정 돌기(220), 제2고정 돌기(230), 제3고정 돌기(240), 그리고 회전 돌기(25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21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버퍼 보디(200)의 한쪽에 형성하여, 유체나 기체 등을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통상의 버퍼를 끼워서 신축 작용을 할 수 있게 안내한다. 이때, 사용하는 버퍼는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210)는 버퍼 보디(200)를 힌지 보디(100)에 장착하였을 때 이들 어댑터(100,200)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 돌기(220)와 제2고정 돌기(23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힌지 보디(100)의 한 면과 마주 보는 면에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 돌기(220)와 제2고정 돌기(230)는 각각 상술한 상기 제1고정 구멍(110)과 상기 고정 홈(130)에 끼워져서 테두리에 걸릴 수 있게 형성하는 데, 이들 제1고정 구멍(110)과 상기 고정 홈(130)에서 실질적으로 걸림 작용을 하는 걸림 부분이 서로 마주 보는 면에 돌출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고정 돌기(230)는 제1고정 돌기(220)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이 제1고정 돌기(220)와 가까운 지점을 기준으로 버퍼 보디(200)가 회전할 때 제2고정 돌기(230)가 고정 홈(130)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제3고정 돌기(24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제1고정 돌기(220)와 제2고정 돌기(230)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하고, 상술한 제2고정 구멍(120)에 끼워져서 테두리에 걸쳐지게 형성한다. 이때, 제3고정 돌기(240)는 테두리에 걸쳐지는 부분 중에서, [도 3]의 (a)와 같이 회전 돌기(250)의 반대쪽 부분이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걸림 부분이 상술한 제2고정 돌기(230)와 마주 보는 부분이 걸림 작용을 하게 하여 이들 고정 돌기(230,240)가 제2고정 구멍(120)과 고정 홈(130) 사이를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회전 돌기(25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술한 각 회전 구멍(140)에 끼워지게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버퍼 보디(200)는 양측을 바깥쪽으로 절곡 형성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상술한 힌지 보디(10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한다. 그리고, 이렇게 절곡하여 연장한 부분에 회전 돌기(250)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 구멍(140)에 끼워서 회전 지지를 받게 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고안의 가구 힌지용 어댑터를 힌지 보디(100)와 결합 및 회전 과정에 관해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힌지 보디(100)에 버퍼 보디(2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4]의 (a)와 같이, 힌지 보디(100) 위에 버퍼 보디(200)를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제1고정 돌기(220)와 제2고정 돌기(230)가 각각 제1고정 구멍(110)과 고정 홈(130)에 맞춰서 올려놓는다. 이에, 제3고정 돌기(240)는 제2고정 구멍(120)과 일치한다.
이어, 힌지 보디(100)와 버퍼 보디(200)가 서로 마주 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4]의 (b)와 같이 상기 제1고정 돌기(220)와 제2고정 돌기(230)가 각각 제1고정 구멍(110)과 고정 홈(130)에 끼워지고, 상기 제3고정 돌기(240)는 제2고정 구멍(120)에 끼워지면서 버퍼 보디(200)가 힌지 보디(100)에 고정된다.
여기서, 버퍼는 이처럼 버퍼 보디(200)를 힌지 보디(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가이드(210)에 끼워서 장착할 수도 있고, 그 장착 전에 미리 가이드(210)에 끼워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고정한 버퍼 보디(200)를 회전시켜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4]의 (b)와 같이 고정된 버퍼 보디(200)를 어느 한쪽(도면에서는 왼쪽)으로 민다. 이에, 제1고정 돌기(220)와 제3고정 돌기(240)가 각각 제1고정 구멍(110)과 제2고정 구멍(120)에서 약간 벌어지면서 유격이 생기고, 회전 돌기(250)는 회전 구멍(140)을 따라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버퍼 보디(200)를 위로 회전시키면, 버퍼 보디(200)는 회전 돌기(250)를 기준으로 회전(도면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때 돌기와 구멍 사이에 약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이는 회전 돌기(250)가 회전 구멍(140)을 따라 움직이면서 이러한 간섭을 없애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손으로 눌러서 쉽게 버퍼 보디를 장착할 수 있고, 때에 따라 버퍼 보디를 힌지 보디에서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한쪽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0 : 힌지 보디
110 : 제1고정 구멍
120 : 제2고정 구멍
130 : 고정 홈
140 : 회전 구멍
200 : 버퍼 보디
210 : 가이드
220 : 제1고정 돌기
230 : 제2고정 돌기
240 : 제3고정 돌기
250 : 회전 돌기

Claims (3)

  1. 한 면에 제1고정 구멍(110), 제2고정 구멍(120), 그리고 고정 홈(130)이 차례로 관통 형성되고, 양쪽 면에 각각 길이 방향으로 길게 회전 구멍(140)이 형성된 힌지 보디(100)에 장착하는 버퍼 보디(200)를 포함하되,
    상기 버퍼 보디(200)는,
    유체나 기체를 이용하여 완충 작용을 하는 버퍼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210);
    상기 제1고정 구멍(110)과 상기 고정 홈(130)에 각각 걸릴 수 있게 끼워지고, 걸림 부분이 서로 마주 보는 방향에 형성한 제1고정 돌기(220) 및 제2고정 돌기(230);
    상기 제1고정 돌기(220) 및 제2고정 돌기(23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고정 구멍(120)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제3고정 돌기(240); 및
    버퍼 보디(200)의 양측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구멍(140)에 끼워져서, 이 버퍼 보디(200)를 힌지 보디(100)의 길이 방향으로 밀면, 제1고정 돌기(220)가 제1고정 구멍(110)에서 이탈하고, 제2고정 돌기(230)가 고정 홈(130)에서 이탈하며, 동시에 상기 제3고정 돌기(240)가 제2고정 구멍(120)에서 이탈하여 상기 버퍼 보디(200)가 회전할 수 있게 회전 지지하는 두 개의 회전 돌기(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힌지용 어댑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고정 돌기(240)는 테두리 부분 중에서 상기 회전 돌기(250)의 반대쪽 부분이 제2고정 구멍(120)에 걸려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힌지용 어댑터.
KR2020150005162U 2015-07-31 2015-07-31 가구 힌지용 어댑터 KR200483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62U KR200483996Y1 (ko) 2015-07-31 2015-07-31 가구 힌지용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162U KR200483996Y1 (ko) 2015-07-31 2015-07-31 가구 힌지용 어댑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39U KR20170000539U (ko) 2017-02-08
KR200483996Y1 true KR200483996Y1 (ko) 2017-07-18

Family

ID=5840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162U KR200483996Y1 (ko) 2015-07-31 2015-07-31 가구 힌지용 어댑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99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72B1 (ko) * 2007-05-09 2007-10-2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체결력 증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1005A (ko) * 2008-10-13 2010-04-22 (주)문주하드웨어 도어 댐퍼
AT511847B1 (de) 2011-08-31 2013-03-15 Blum Gmbh Julius Dämpf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AT15271U1 (de) 2012-02-16 2017-04-15 Blum Gmbh Julius Möbelscharnier
ITMI20121122A1 (it) 2012-06-26 2013-12-27 Salice Arturo Spa Cerniera decelerata per mobili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372B1 (ko) * 2007-05-09 2007-10-26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체결력 증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39U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0475B2 (en) Sliding-door closer set
US10280671B2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and a spring
KR101603462B1 (ko) 가구용 힌지
CN111328361B (zh) 用于家具的翻板配件、家具主体的侧壁以及具有侧壁的家具
KR101418581B1 (ko) 도어 폐쇄력을 부가하는 유닛을 구비한 도어 클로저
US20110094055A1 (en) Universal damping mechanism
US10260267B2 (en) Furniture hinge comprising a damper
JP2014015825A (ja) 自動位置回復装置
KR20090006049A (ko) 제동 장치를 가지는 가구 경첩
KR101758840B1 (ko) 도어 클로저
CN103534543A (zh) 用于在家具本体的侧壁上的内置冰箱的固定组件
KR101672163B1 (ko) 댐핑 기능을 갖춘 수납장의 상하 개폐용 도어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0483996Y1 (ko) 가구 힌지용 어댑터
KR20160106012A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KR101643408B1 (ko) 더블 댐퍼가 구비된 힌지
US9650820B2 (en) Structural arrangement in pneumatic floor spring
KR200482013Y1 (ko) 가구 힌지용 어댑터
KR200483497Y1 (ko) 가구 힌지용 어댑터
KR20090095382A (ko) 가구용 문의 충격완화장치
KR101544144B1 (ko) 힌지장치
KR200484296Y1 (ko) 가구 힌지용 어댑터
KR101654915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레이크
KR101702416B1 (ko) 가구힌지용 댐퍼어댑터의 고정장치
JP3168566U (ja) ヒンジ用ピ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