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3613B1 -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3613B1
KR930003613B1 KR1019870003936A KR870003936A KR930003613B1 KR 930003613 B1 KR930003613 B1 KR 930003613B1 KR 1019870003936 A KR1019870003936 A KR 1019870003936A KR 870003936 A KR870003936 A KR 870003936A KR 930003613 B1 KR930003613 B1 KR 930003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benzimidazole
dioxide
thiadiazino
sulfon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050A (ko
Inventor
프리골라 콘스탄사 조르디
콜롬보 피놀 오그스토
파레스 코로미나스 주안
Original Assignee
레이보러토리오스 델 디알. 에스티브, 에스. 에이.
엔리끄 마노사스 바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보러토리오스 델 디알. 에스티브, 에스. 에이., 엔리끄 마노사스 바레라 filed Critical 레이보러토리오스 델 디알. 에스티브,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870010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3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2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28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hree hetero rings
    • C07D513/1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약산업에서 중간생성물이나 의약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신규한 술폰아미드 유도체, 특히 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및 이미다조피리딘-2-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벙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벤즈이미다졸이나 이미다조피리딘의 2-위치에 결합된 술폰아미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진하였는 바, 이와 같은 종류의 화합물에 대해서 기재되어 있는 문헌이 얼마되지 않는다. 그중 60년대에 발표된 B. Stanovuik & M. Tisler, Arch. Pharm., 1965, 298, 357 ; B. Stanovuik & M. Tisler, Arch. Pharm. (Weinheim), 1967, 300, 322 등 2종의 문헌을 보면, m-클로로페닐기, m-토릴기, 모르포리닐기, 에틸기, 프로필기, n-옥틸기, n-데실기, n-헥사데실기, n-옥타데실기 및 n-메틸에톡시메틸렌기에 의해 N-치환된 벤즈이미다졸 2-술폰아미드에 대해 기술되어 있고, 또한 상기 후자의 문헌에는 1, 2, 4-티아디아졸로[4, 5-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고리화 생성물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중 어떠한 것에도 이러한 화합물을 사람이나 동물의 치료에 적용시키는 것에 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한편, S. M. Deshpande K. C. Datta, J. Indian Chem. Soc., 1976, 53,320에는 탄소원자수가 2 내지 12개인 지방족 사슬에 의해 연결된 비스-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가 강력한 항당뇨병 약제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며, 또 미국특허 제 2,603,649호(1952)와 독일특허 제2726625호(1977)에서는 각각 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와 N, N-디메틸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만을 그 특허청구 범위로 할 뿐 이러한 화합물들을 사람이나 동물의 치료에 적용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한 영국특허 제687,760호와 제833,049호에서도 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에 대해서만 기술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약리학적활성, 그중에서도 특히 궤양-억제활성이나 항분비성활성을 갖게되어 결국 궤양억제제로서 유용하거나 또는 위의 분비과다를 치료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일련의 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와 이미다조피리딘-2-술폰아미드유도체를 발견하게 되었는 바,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신규한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화합물들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위장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주로 위산분비와 세포보호용량에 적당하고 이러한 종류의 다른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중간물질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그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기 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과 R2는 각각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칼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또는 니트로기이거나 R1과 R2는 함께 X기에 의해 표시되는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R3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이나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킬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닐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 X는 -(CHR8)n-(CHR9)m- 또는 -CR8=CR9-, R2와 R3는 함께 -(CH2)n-Ym-CHR10-기에 의해 표시되는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CH2-O-CH2- 또는 -CH2-NR11-CH2-,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나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8과 R9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 R10은 수소원자, -CH2OH기, -CH2Cl기 또는 메틸렌(-CH2-)기, R1은 R10이 메틸렌기(-CH2-)를 나타내는 경우 R10과 결합할 수 있으며 R1자체는 결합을 나타내고, R11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며, 아릴은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헤테로아릴은 고리 중에 O와 N 중에서 선택된 이종원자(들)을 갖는 방향족 이종환식기를 나타내며 이러한 이종환식기는 치환기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다.
R1이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일반식(Ⅰ)은 다음의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또 다른 호변이성질체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 일반식(Ⅰ)은 다른 호변이성질체형태(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Figure kpo00002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과 그들의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들은 약리학적제제의 형태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반식(Ⅰ)의 첫번째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Ⅰ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Figure kpo00003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기 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은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2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C1-C5저급알킬기, 니트로기 또는 아실기, R3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이나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설피닐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아릴기, 알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칼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닐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나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Ⅰ)의 두번째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Ⅰb)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Figure kpo00004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 Z1, Z2, Z3, Z4기 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3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이나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설피닐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아릴기, 알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칼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닐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나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를 나타낸다.
X는 -(CHR8)n-(CHR9)m또는 -CR8=CR9-,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8과 R9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알칼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Ⅰ)의 세번째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Ⅰc)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Figure kpo00005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기 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은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Y는 -CH2-O-CH2- 또는 -CH2-NR11-CH2-,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나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시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10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알킬기, 할로게노알킬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1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Ⅰ)의 네번째로 바람직한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Ⅰd)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Figure kpo00006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기 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Y는 -CH2-O-CH2- 또는 -CH2-NR11-CH2-,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나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1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중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을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o 5-벤조일-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피리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4-모르포리노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4-아미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3-(4-모르포리노프로필)]-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페녹시-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3, 4-디메톡시페닐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 N-디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4, 7-디클로로-5, 6-디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4-클로로페닐)-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4-클로로페닐)-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클로로-5, 6-디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시아노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사이클로헥실-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1-또는 프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1-아다만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2-하이드록시메틸-1-피페리디닐)-1H-벤즈이미다졸
o N-(4-메톡시벤질)-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5-메틸-3-이속사조릴)-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피리딜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2-피리딜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벤조일-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4-모르포리노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 N-디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3-(4-모르포리노프로필)]-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부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하이드록시-1-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카르복시에틸메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N, 4-디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4-모로포리노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아세틸-N-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아세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4-(2-하이드록시-1-에틸)피페라지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
o N-(4-플루오로페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2-(카르복시메틸)피롤리디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
o N-메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프로필-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이소프로필-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티오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술포닐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3-(2-옥소헥사메틸렌이미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1-[1, 3-비스(카르복시에틸)프로필]]-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1-1, 3-비스(카르복시에틸)프로필]]-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4-메틸피페라지닐]-1H-벤즈이미다졸
o 5-클로로-N-사이클로헥실-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디에틸아미노-1-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1H-이미다조[4, 5-b]피리딘-2-술폰아미드
o N-부틸-1H-이미다조[4, 5-b]피리딘-2-술폰아미드
o N-부틸-1H이미다조[4, 5-c]피리딘-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벤조일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아세틸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1-(2-피리딜카르보닐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6-클로로-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6-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1, N-디에틸-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6-클로로-1, N-디에틸-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7-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5, N-디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6, N-디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6-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아미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미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미노-N0(카르복시에틸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미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세틸아미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메틸-[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에틸-[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H-2-에틸-[1, 2, 7]-티아디아조시노[7, 8-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3-(4-모로포리노프로필)]-[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4-모르포리노에틸)]-[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8-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에틸-7-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에틸-7-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2-(3, 4-디메톡시페닐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6, 9-디클로로-3, 4-디하이드로-7, 8-디메틸-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클로로페닐)-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5-메틸-3-이속사조릴)-[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9-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6-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하이드로-2H-2-메틸-6-니트로-[1, 2, 4]-티아디아졸[4, 5-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사이클로헥실-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1-또는 프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트리플루오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8-트리플루오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1-아다만틸)-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벤조일-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벤조일-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4-메톡시벤질)-[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2-피리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2-(2-피리딜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사이크로헥실-[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사이클로헥실-[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2-디에틸아미노-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 8-디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부틸-7, 8-디클로로-3, 4-디하이드로-2H-9-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메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메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에틸-8-니트로-[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에틸-9-니트로-[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8-니트로-2-[2-(2-피리딜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2-[2-(2-피리딜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8-니트로-(2-피리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2-피리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H-2-에틸-9-니트로-[1, 2, 7]-티아디아지노[7, 8-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H-2-에틸-10-니트로-[1, 2, 7]-티아디아지노[7, 8-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3-(4-모로포리노프로필)]-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3-(4-모르포리노프로필)]-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3, 4-다히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3, 4-디하이드로-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1-아다만틸)-3, 4-디하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1-아다만틸)-3, 4-디하이드로-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이소티오시아네이토-[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아세틸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카르복시에틸메틸-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카르복시에틸메틸-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6-클로로-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6-클로로-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2-클로로-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2-클로로-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3-클로로-1-프로필)-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4-시아노-1-부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4-시아노-1-부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3-[N-메틸-N-[2-(3, 4-디메톡시페닐)에틸]]-프로필아미노}-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6-디에틸아미노-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6-디에틸아미노-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시아노메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시아노메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2-디에틸아미노-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2-디에틸아미노-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6-디에틸아미노-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2-피리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3-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3-메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3-메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피리도[3', 2' : 4, 5] 이미다조[1, 2-e]-[1, 2, 5]-티아디아진 1, 1-디옥사이드
o 2-부틸-3, 4-디하이드로-2H-피리도[3', 4' : 4, 5] 이미다조[1, 2-e]-[1, 2, 5]-티아디아진 1, 1-디옥사이드
o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
o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9-니트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
o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10-니트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
o 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에틸-3-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에틸-3-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에틸-7-니트로-3-(4-니트로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일반식(Ⅰ)의 신규한 유도체는 다음의 방법(가)에 따른 주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방법(가)
먼저, 다음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물 또는 10 내지 90%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켜서 된 현탁액을 염소가스스팀과 10분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이에 대응하는 술포닐 클로라이드를 형성시킨다. 이 때의 반응은 0℃ 내지 15℃의 온도에서 이루어지고 촉매로써 염화제이철이나 염화아연 또는 염화제이주석등의 루이스산을 사용할 수도 있다.
Figure kpo00007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이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 (C-R4), Z2은 질소원자이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 (C-R5), Z3은 질소원자이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 (C-R6), Z4은 질소원자이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 (C-R7)이되, 단, , Z1, Z2, Z3, Z4기 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은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나 아세틸 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아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닐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와 같은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생성된 상기 산염화물은 여과시킨 후 물이나 알코올,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같은 적당한 용매에 다음의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용해시켜서된 용액에 즉시 첨가시켜서 반응시킨다. 이때, 반응은 -1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동안 실시한다.
Figure kpo00008
상기 식에서, R2는 수소원자나 선상 또는 분쇄상의 C1-C5저급알킬기, R3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이나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설피닐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아릴기, 알키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기나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킬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닐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 R2와 R3는 함께 -(CH2)n-Ym-CHR10-기에 의해 표시되는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CH2-O-CH2- 또는 -CH2-NR11-CH2-,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10은 수소원자나 하이드록시알킬기, 할로게노알킬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11은 수소원자나 저급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 단계를 거침으로써 상기 일반식(Ⅰ)의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방법(가)에 의해서는 상기 일반식(Ⅰa)와 (Ⅰc)의 화합물이 제조되게 되며 이들은 다음의 방법에 의해 치환기를 변화시켜 줄 수 있는바, 이로써, 다양한 상기 일반식(Ⅰa) 내지 (Ⅰd)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방법(나)
상기의 일반식(Ⅰa)에서 Z1, Z2, Z3, Z4및 R3내지 R7이 상기와 같고 R1과 R2가 수소원자인 경우의 일반식(Ⅰa)의 화합물과 다음 일반식(Ⅳ) 또는 일반식(Ⅴ)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게되면, 상기 일반식(Ⅰb)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A1-(CHR8)m-(CHR8)n-(CHR9)m-A2(Ⅳ)
A1-CR8=CR9-A2(Ⅴ)
상기 식에서, A1과 A2는 각각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R8과 R9은 각각 수소원자나 저급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알킬기,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을 나타낸다.
상기 반응은, 예컨대 디메틸설폭사이드, 메탄올이나 에탄올 같은 알코올,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류란이나 디옥산 같은 에테르 또는 이러한 용매와 물과의 혼합물등의 적당한 용매 존재하에서 실시되며, 바람직하기로는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또는 이 둘의 혼합물과 같은 무기염기나 3급 또는 2급아민등의 유기염기 같은 적당한 염기 존재하에서 실시한다.
또한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아모늄브로마이드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비설페이트 같은 4급 암모늄염 또는 벤질트리페닐포스포늄 클로라이드나 2-디메틸아미노에틸트리페닐포스포늄브로마이드 같은 포스포늄염 중에서 촉매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 가장 적당한 온도는 -5℃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 범위내이며, 반응시간은 1 내지 24시간 소요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b)의 화합물에서, Z1, Z2, Z3, Z4, X와 R3내지 R9은 상기와 같다.
방법(다)
상기 일반식(Ⅰa)에서 Z1, Z2, Z3Z4, Y, n, m, R3내지 R7과 R11이 상기와 같고 R1이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또는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내며, R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다중인산, 염화티오닐, p-톨루엔술폰산, 사염화티탄 또는 염화포스포릴(Ⅲ)과 같은 탈수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상기 일반식(Ⅰb)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톨루엔이나 크실렌 같은 용매중에서 또는 용매 비존재하에서 이루어질수 있으며 가장 적당한 반응 온도는 50℃ 내지 150℃ 범위이며 반응시간은 1 내지 8시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b)의 화합물에서 Z1, Z2, Z3Z4, Y, n, m, R3내지 R7과 R11은 상기와 같고, X는 -CR8=CR9-이며 R8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9은 저급 알킬,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방법(라)
상기 일반식(Ⅰc)에서 Z1, Z2, Z3Z4, Y, n, m, R4내지 R7과 R11은 상기와 같고 R1은 수소원자이며 R10은 하이드록시메틸기(CH2OH)를 나타내는 일반식(Ⅰc)의 화합물을 다중인산이나 염화티오닐과 같은 탈수화합물과 반응시키면, 상기 일반식(Ⅰd)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가장 적당한 반응온도 범위는 30℃ 내지 140℃이며 반응시간은 1 내지 5시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d)의 화합물에서 Z1, Z2, Z3Z4, Y, n, m, R4내지 R7과 R11은 상기와 같다.
방법(마)
상기 일반식(Ⅰa)에서 Z1내지 Z4와 R2내지 R7은 상기와 같고 R1은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이러한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Ⅵ)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므로써 R1에 수소 대신에 다른기가 치환된 상기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A1-R1(Ⅵ)
상기 식에서, A1은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R1은 선상이나 분쇄상의 C1-C5알킬기, 사이클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또는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이러한 반응은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미드, 알코올, 아세톤이나 물과 이러한 용매들의 혼합물과 같은 적당한 용매 존재하에서 실시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적당한 염기 존재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은데 그러한 염기는 탄산나트륨 같은 무기염기 또는 3급 아민과 같은 유기염기일 수 있고, 가장 적당한 반응온도는 20℃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 사이이며 반응시간은 2 내지 24시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a)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Z1내지 Z4와 R2내지 R7은 상기와 같고 R1은 수소원자를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다.
방법(바)
상기 일반식(Ⅰa)에서 Z1내지 Z4와 R3내지 R7이 상기와 같고 R2가 수소원자이며, R1이 수소원자이거나 선상이거나 분쇄상의 C1-C5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또는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알킬기인 경우 이러한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Ⅶ)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R2에 수소 대신에 다른 치환기가 도입된 상기 일반식(Ⅰa)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A1-R2(Ⅶ)
상기 식중에서, A1은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또는 아실옥시기, R2는 선상이나 분쇄상 C1-C5저급알킬 또는 아실기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반응은,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나 알코올, 아세톤 또는 물과 이 용매들의 혼합물과 같은 적당한 용매 존재하에서 실시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또는 소디움 하이드라이드 등의 적당한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킨다. 가장 적당한 반응온도는 10℃ 내지 60℃이며 반응시간은 2 내지 24시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 (Ⅰa)의 화합물에서 Z1내지 Z4와 R3내지 R7은 상기와 같고 R1과 R2는 수소원자를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다.
방법(사)
상기 일반식(Ⅰb)에서 Z1내지 Z4와 R4내지 R9, n 및 m은 상기와 같고 X는 -(CHR8)n-(CHR9)n-를 나타내며 R3는 수소원자를 나타내는 경우 이러한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Ⅷ)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면, R3에 수소대신에 다른 치환기가 도입된 상기 일반식(Ⅰb)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A1-R3(Ⅷ)
상기 식 중에서, A1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R3는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이나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알릴기, 알킬설피닐아릴 또는 알킬술포닐아릴기, 아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이나,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킬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릴기 또는 알킬모르포닐기를 나타낸다.
상기 반응은, 예컨대 디메틸술폭사이드나 디메틸포름아미드, 알코올, 아세톤 또는 물과 이러한 용매들의 혼합물과 같은 적당한 용매 준재하에서 실시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소디움하이드라이드나 탄산칼륨, 수산화칼륨 또는 탄산칼륨과 수산화칼륨의 혼합물과 같은 무기염이나 3급 아민과 같은 유기염기 등의 적당한 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시킨다. 또한 촉매로서 4급 암모늄염이나 포스포늄염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가장 적당한 반응온도는 -5℃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 사이며, 반응시간은 1내지 24시간이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b)의 화합물에서, Z1내지 Z4와 R4내지 R9은 상기와 같고 R3는 수소원자를 제외하고는 상기와 같다.
방법(아)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고 R5와 R6기중 하나는 수소원자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원자나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또는 아실아미노기이고 R1내지 R4, R7내지 R11, X, Y, n과 m은 상기와 같은 경우 이러한 화합물을 질산과 다른 강산, 예컨대 황산과의 혼합물과 같은 니트로화제(nitrating agent)와 니트로화 반응시키거나 니트로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와 니트로화반응시키게 되면, R5와 R6중 하나가 니트로기인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용매 비존재하에서 실시하거나 테트라메틸렌술폰과 같은 적당한 용매 존재하에서 실시하며, 가장 적당한 반응 온도는 -10℃ 내지 120℃이고 반응시간 15분 내지 6시간이다.
이와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의 화합물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며 R5와 R6중 하나는 니트로기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원자나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또는 아실아미노기이며 R1내지 R4, R7내지 R11, X, Y, n과 m은 상기와 같다.
방법(자)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고 R4, R5, R6및 Rω중 하나는 니트로기이며 다른 기들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은 상기와 같은 경우 이러한 화합물을 적당한 환원제로 환원반응시키면, R4, R5, R6및 R7중 하나가 아미노기인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니트로기를 아미노기로 환원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여러가지 환원제 중에서 라니니켈이나 팔라듐-온-카본, 황화나트륨, 황화암모늄, 황산제일철/수산화 암모늄, 아연/아세트산 암모늄, 아연아밀감/연산 등을 촉매제로서 사용하여 촉매수소화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메탄올이나 애탄올 같은 알코올중에서 또는 선택적으로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물중에서 이루어지며 가장 적당한 반응온도는 2 내지 24시간이다.
이와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의 화합물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고,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이며 나머지 다른 기들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및 m는 상기와 같다.
방법(차)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 R4, R5, R6또는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이고 다른 기들은 수소원자를 타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과 m은 상기와 같은 경우 이러한 화합물을 산할로겐화물 또는 무수물과 아실화반응시키면 R4, R5, R6및 R7중 하나가 아실아미노기인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용매 비존재하에서 실시하거나 4급 아민, 에를들어 피리딘 등의 적당한 용매 존재하에서 실시하며, 가장 적당한 반응 온도는 0℃ 내지 60℃이고 반응시간은 1 내지 12시간이다.
이와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의 화합물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고, R4, R5, R6, R7기중 하나는 아실아미노기이며 다른 기들은 수소원자이고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은 상기와 같다.
방법(카)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 R4, R5, R6또는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이고 다른 기들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과 m은 상기와 같은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티오포스겐(Cl2CS)과 반응시키면, R4, R5, R6및 R7중 하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인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염산과 클로로포름과 같이 염화된 용매와의 혼합물에서 실시하며, 가장 바람직한 반응온도는 10℃ 내지 용매의 환류온도 사이이고, 반응시간은 6 내지 24시간이다.
이와같이 하여 생성된 일반식(Ⅰ)의 화합물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고, R4, R5, R6, R7기중 하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N=C=S)를 나타내고 다른 기들은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은 상기와 같다.
방법(타)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고 R4, R5, R6또는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과 m은 상기와 같은 경우 이러한 화합물을 -10℃ 내지 5℃의 온도에서 염산이나 사플루오로붕산수용액에서 또는 염화수소로 포화시킨 아세트산중에서 질산나트륨과 반응시켜 이에 대응하는 디아조늄염을 생성시키고 이것을 염화제일구리나 시안화구리(cuprous cyanide) 또는 이산화황으로 포화시킨 아세트산용액과 염화제 일구리와 염화제이구리 촉매량을 첨가한 후, 염화술포닐을 설파미드 형성을 위한 일반적 조건하에서 수용성 암모니아와 반응시키되, 이 반응용액을 5℃ 내지 상온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동안 유지시켜서, 사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에서 Z1은 C-R4, Z2는 C-R5, Z3는 C-R6, Z4는 C-R7이고, R4, R5, R6또는 R7기중 하나는 염소원자, 시아노기(-C=N) 또는 설파모일기(-SO2NH3)를 나타내고 다른 기들은 수소원자를 나타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은 상기와 같은 화합물을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와 Z4가 서로 다르거나 Z2와 Z3가 서로 다르면서 R1이 수소원자가 아닌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 2가지 위치의 이성질체가 형성되는 바, 이들은 분별결정법이나 크로마토그래피법에 의하여 분리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반응조건과 초기물성에 따라 유리염기의 형태나 혹은 염의 형태로 합성될 수 있는바, 이때 형성된 염은 알칼리나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성 제제를 사용하거나 이온교환방법에 의해 유리염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한편, 합성된 유리염기는 무기산이나 유기산으로 처리하여 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일반식(Ⅱ) 내지 (Ⅷ)의 화합물들은 공지의 물질이거나 또는 쉽게 수득할 수 있는 화합물들로부터 공지의 방법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바, 일반식(Ⅱ)의 화합물은 공지이거나 다음 일반식(Ⅸ)의 대응하는 디아민으로부터 J. A. Van Allan과 B. D. Deacon의 Organic Syntheses, Col1. Vol. Ⅳ, p569와 여기에 기재된 참고문헌등에서 설명하고 있는 방법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상기 식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 이되, 단, Z1, Z2, Z3, Z4기 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은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 또는 사이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다음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서 제시된 것 뿐인 바, 본 발명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5-벤조일-N-에틸-1H-벤즈아미다졸-2-술폰아미드의 제조-방법(가)
1200ml의 20% 아세트산수용액에 50.9g(0.2몰)의 2-머캅토-5-벤조일-1H-벤즈이미다졸을 용해시킨 현탁액내로 온도가 7℃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1시간 동안 연소를 거품화시켰다.
얻어진 산염화물을 여과시키고 냉수로 세척하여 이를 미리 5℃의 온도로 냉각시킨 17% 에틸아민수용액 200ml에 적은 양으로 즉시 첨가시켰다. 이 혼합물의 온도가 상온이 될때까지 약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액의 pH를 염산으로 이용하여 pH5로 조절하고 그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며 250℃ 내지 253℃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5-벤조일-N-에틸-1H-벤즈이미디졸-2-술폰아미드를 51.3g(78%)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는 다음 표1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61]
상기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표1에 나열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합물을 확인한 데이타는 다음의 표1과 표3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kpo00010
Figure kpo00011
Figure kpo00012
Figure kpo00013
[표 2]
Figure kpo00014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표 3]
Figure kpo00017
[표 4]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실시예 86]
3-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나)
400ml의 디메틸설폭사이드에 45g(0.2몰)의 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를 용해시켜서된 용액에 4g의 테트라부틸암모늄비설페이트, 45g(0.24몰)의 1, 2-디브로모에탄과 138g(1몰)의 곱게 분말화된 탄산칼륨을 첨가시켰다. 이 혼합물을 12시간동안 상온에서 교반시키고 물/얼음 혼합물에 넣었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침전물은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여 176℃ 내지 178℃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44.5g(88%)얻었다.
이러한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다음의 표5와 표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7-126 및 170-176]
상기 실시예 86에서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다음의 표5에 나열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제조하고,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다음의 표5 내지 표1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80]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라)
20ml의 티오닐 클로라이드에서 2.95g(0.01몰)의 2-솔포닐-2-하이드록시메틸-1-피페리디닐)-1H-벤즈이미다졸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그 혼합물을 건조기로 증발시키고 그 잔류물을 에탄올/에틸아세테이트 혼합물(1 : 1)로부터 재결정시켜서 248℃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피리드[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를 2.0g(73%)얻었다.
이러한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다음의 표11과 표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7]
2H-2-에틸-3-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다)
137g(0.04몰)의 1-벤조일메틸-N-에틸-H-벤조이미다졸-2-설폰아미드와 230g의 다중인산혼합물을 4시간 동안 125℃의 온도에서 교반시킨 다음, 그 용액을 얼음에 붙고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과 중탄산나트륨, 물의 순서로 차례로 세척하여 155℃ 내지 158℃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2H-2-에틸-3-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8.7g(67%)얻었다.
이러한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다음의 표 9와 표10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78]
상기 실시예 177과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표 9에 나열한 화합물을 제조하고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9와 표10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kpo00020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표 6]
Figure kpo00024
Figure kpo00025
Figure kpo00026
[표 6]
Figure kpo00027
[실시예 180]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피리딘[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라)
2.95g(0.01몰)의 2-(설포닐-2-하이드록시메틸-1-피페리디닐)-1H-벤즈이미다졸을 20ml의 염화티오닐 중에서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이 혼합물을 증발시킨다음 건조시키고 그 잔류물을 에탄올/에틸아세테이트 혼합물(1 : 1)중에서 재결정시켜서, 246℃ 내지 248℃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를 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다음의 표 11과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17]
2H-2-에틸-3-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다)
13.7g(0.04몰)의 1-벤조일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와 230g의 다중인산의 혼합물을 12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이 용액을 얼음에 붓고 이때 형성된 생성물은 여과시켜서 물과 중탄산나트륨 및 물로 차례로 세척한 후, 155℃ 내지 158℃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2H-2-에틸-3-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8.7g(67%) 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다음의 표 9와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kpo00028
[표 8]
Figure kpo00029
[표 9]
Figure kpo00030
[표 10]
Figure kpo00031
[표 11]
Figure kpo00032
[표 12]
Figure kpo00033
[실시예 62]
1, N-디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의 제조-방법(마)
450ml의 아세톤과 20ml의 물에 67.5g(0.3몰)의 N-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와 47.7g(0.45몰)의 탄산나트륨을 용해시켜서 된 현탁액에 46.8g(0.3몰)의 요오드화에틸을 첨가시켰다.
이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아세톤은 증발시키며 200ml의 물을 첨가시킨 다음 염화메틸렌으로 생성물을 추출하였다. 유기층은 건조(Na2SO4) 증발시켰다. 이때 잔류물을 에탄올/물 혼합물(2 : 1)로 재결정시켜서 135℃ 내지 139℃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1, N-디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를 56.8g(75%) 얻었다.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는 상기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3-70]
상기 실시예 62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다음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화합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는 상기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1]
6-니트로-1, N, N-트리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의 제조-방법(바)
10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29.8g(0.1몰)의 6-니트로-1, N-디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를 용해시켜서된 용액에 2.6g(0.11몰)의 디움하이드라이드를 첨가시켰다. 이 용액을 1시간 동안 40℃의 온도에서 교반시키고 10.8g(0.1몰)의 에틸브로마이드를 첨가시킨 후 이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50℃의 온도에서 교반시켰다.
이 용액을 물에 넣은 다음 생성물을 여과시켜 물로 세척하였다. 침전물은 에탄올로 재결정시켜 90℃ 내지 91℃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6-니트로-1, N, N-트리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를 25.6g(78%)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2 내지 76]
상기 실시예 71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의 표 3에 나열한 바와같은 화합물을 제조하고,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는 상기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34]
2H-2-부틸-3, 4-디하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사)
200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26.8g(0.1몰)의 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용해시켜서된 용액에 2.6g(0.11몰)의 소디움하이드라이드를 첨가시킨 다음, 이 용액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킨 후 부틸브로마이드를 13.6g(0.1몰) 첨가시켰다. 이 용액을 40℃의 온도에서 3시간 더 교반시킨 다음 혼합물을 물에 넣고 생성물을 여과시킨후 물로 세척하였다.
이때 침전물을 아세토니트릴로 재결정시켜서, 195℃ 내지 197℃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2H-2-부틸-3, 4-디하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29.2g(90%) 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6, 88-97, 115-122 및 152-169]
상기 실시예 134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표 5에 나열한 바와같은 화합물을 제조하고,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27 및 128]
3, 4-디하이드로-2H-2-에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와 3, 4-디하이드로-2H-2-에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아)
5℃ 온도의 농축황산 500ml에 100.4g(0.4몰)의 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용해시켜서 된 용액에 45ml의 농축황산과 55ml의 65% 질산으로 된 5℃ 내지 10℃온도의 냉각용액을 한방울씩 첨가시켰다. 이를 다 첨가시켰을때 그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시키고 얼음에 부었다. 생성물은 여과시키고 물과 에탄올로 세척하쳐 두가지 이성질체의 혼합물 110.0g(93%)을 얻었다.
이를 니트로메탄으로 분별재증류시키고 255℃ 내지 258℃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3, 4-디하이드로-2H-2-에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51.3g과 208℃ 내지 210℃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3, 4-디하이드로-2H-2-에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47.8g을 얻었다.
이러한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4-38, 42, 71, 72, 77-80, 129-148, 171, 172, 179, 181 및 182]
상기 실시예 127 및 128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표1 내지 12에 나열된 화합물을 제조하고,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1 내지 표 1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49]
7-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라)
0.2g의 10% 팔라듐-온-목탄을 함유하는 200ml의 메탄올에 5.9g(0.02몰)의 3, 4-디하이드로-2H-2-에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용해시켜서 된 용액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60psi의 압력하에서 수소화시켰다.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메탄올을 농축시켜서 232℃ 내지 234℃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7-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21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4.6g(87%) 얻었다.
이 생성물은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1-84]
상기 실시예 149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표 3에 나열된 바와같은 혼합물을 제조하고,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0]
7-아세틸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차)
물/얼음조에서 냉각시킨 25ml의 피리딘에 5.3g(0.02몰)의 7-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용해시켜서된 용액에 1.6g의 염화아세틸을 천천히 첨가시켰다. 이를 다 첨시킨 후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얼음에 부었다.
그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서 245℃ 내지 248℃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7-아세틸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4.2g(68%) 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4, 45 및 85]
상기 실시예 150에서와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표 1 내지 4에 나열된 바와같은 화합물을 제조하고, 그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1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51]
3, 4-디하이드로-2H-2-에틸-7-이소티오시아테이토-[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카)
4N 염산 100ml 7-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4.5g(0.017몰)을 용해시켜서 된 용액을 100ml의 클로로포름에 2ml(0.02몰)의 티오포스겐을 용해시켜서 된 용액에 교반시키면서 첨가시켰다. 유기층의 오렌지색이 사라질때까지(약 6시간) 상온에서 이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나중의 것은 기울려 따라서 분리시킨 다음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그 잔류물을 아세톤/물(9 : 1) 혼합물로 재결정하여 218℃ 내지 225℃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3, 4-디하이드로-2H-2-에틸-7-이소티오시아네이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3.0g(49%) 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3]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타)
12N 염산 50ml에 7-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7.58g(0.02몰)을 용해시켜서 된 용액에 온도를 -5℃ 내지 0℃로 유지시키면서 5ml의 몰에 1.5g(0.022몰)의 질산 나트륨을 용해시켜서 된 용액을 한방울씩 첨가시켰다. 이를 다 첨가시킨 후 상기와 같은 온도에서 15분동안 상기 혼합물을 교반시키고, 미리 0℃의 온도로 냉각시킨 농축염산 25ml에 4.4g(0.44몰)의 염화제일구리를 용해시켜서 된 용액에다 상기 혼합물 전량을 혼합시키되 그 혼합물을 5분마다 몇번에 걸쳐 첨가시키고 조심하여 지나치게 거품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를 다 첨가시킨 다음, 이 혼합물은 계속 교반시키면서 상온으로 따뜻하게 하여주고 70℃의 온도로 가열시켰다. 그 다음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100ml의 물을 첨가시켰다. 그 생성물을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여 건조시켜서 150℃ 내지 152℃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를 2.5g(31%) 얻었다.
이 생성물을 확인한 데이타를 상기 표 5와 표 6에 나타내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적용분야를 다음의 생물학적 활성실험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산분비에 있어서 억제활성도
o Shay의 방법[H. Shay ; S. A. Komarov ; S. S. Fels ; D. Merange ; M. Grvenstein ; H. Siplet : Gastronenterology, 5, 43(1945)-F. E. Visscher ; P. H. Seay ; A. P. Taxelaar ; W. Veldkamp ; M. J. Vander Brook : J. Pharmac. Exp. Ther., 110, 188(1954)-"Animal Experiments in Pharmacological Analysis", F. R. Domer ; C. C. Thomas, Springfield 출판, Illinois, USA, 1970, p. 140]
본 실험에서는 200g 내지 250g무게의 위스터(Wistar) 수컷쥐를 사용하는데, 이 때 실험하는 쥐들은 물은 섭취시키되 실험하기 하루 전날부터 굶기고, 4마리이상으로 구성된 그룹들을 이용한다.
이 쥐들을 에틸에테르로 마취시키고 측복절개술을 실시하며 유문을 결찰시킨 다음 복부절개를 꿰매어준다. 대조용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와 상기 생성물은 복부절개를 꿰매기 전에 십이지장내(i. d.)로 투여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 첫번째 실험에서의 일회 투여량은 400mg/kg이고, 두번째 실험에서는 50% 유효량(ED50)을 십이지장 내로 투여시켰다. 이때 사용된 부형제는 2중 증류수에 아라비아고무를 5% W/V농도로 용해시킨 것이다. 유문을 결찰시킨 후 2시간 후에 에틸에테르로 계속 마취시켜 쥐를 죽이고 위즙의 부피를 측정하고, 자동뷰렛이 장치된 pH미터로 전체 산성도를 측정한다. 각각의 생성물과 각각의 실험투여량에 대한 위산분비의 억제 백분율을 대조용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에 국한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몇가지 유도체로 부터 얻어진 여러 결과는 다음의 표 13에 요약되어 있다.
[표 13]
Shay 쥐에서의 위산분비 억제
Figure kpo00034
Figure kpo00035
궤양억제 활성도
궤양억제 활성도는 Senay등의 방법(E. C. Senay ; R. J. Levine ; Proc. Soc. Exp. Biol. Med., 124, 1221-1227(1967))에 따라 쥐로부터 고정(immobilization)과 냉각에 따른 스트레스로 유발되는 위병변의 억제를 다음과 같이 연구 관찰하였다.
즉, 본 실험에서는 150g 내지 200g 무게의 Wistar 숫컷쥐를 사용하였는 바,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 24시간 동안 각각의 우리 속에서 굶기되 물은 임의량을 공급하며 최소한 5마리로 각각 구성된 그룹을 실험에 이용한다. 우선 쥐들에게 상기 생성물은, 또는 대조용 그룹의 경우에는 부형제를 위튜브를 이용하여 경구투여 하였다. 이때 상기 생성물의 투여량은 40mg/kg이고 사용된 부형제는 2중량 증류수에 아라비아고무를 5% W/V 농도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하였다.
처치 후 즉시 쥐를 약 5cm의 직경과 쥐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길이로 된 플라스틱 튜브 형태의 한정된 울타리 내에 넣은 다음 한시간 뒤에 그 울타리 내의 쥐를 -5℃ 온도의 냉장고 안에 3시간 동안 놓아둔다.
그후 냉장고에서 꺼낸 즉시 에틸에테르로 계속 마취시켜 죽인다음 위를 추출하여 큰 곡선으로 위를 째서 위점막의 병변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을 위해 출혈점들을 세고 괴사성(necrotic) 궤양을 측정한다.
각 생성물과 각 실험 투여량에 대한 위병변의 억제 백분율을 대조용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수차례 실시하여 그중 어느 하나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의 표 14에 요약했다.
[표 14]
Figure kpo00036
위세포보호
위세포보호 활성도는 Robert 등의 방법(A. Robert ; J.E.Nezamis ; C.Lancaster와 A.J.Hanchar : Gastroenterology, 77 : 433-443(1979))에 따라 쥐로부터 에탄올에 의해 발생되는 위병변의 억제를 다음과 같이 연구 관찰하였다.
즉, 본 실험에서 150g 내지 200g 무게의 위스터(Wistar) 숫컷쥐를 사용하였는 바, 24시간 동안 물만 제공하고 굶기고 나서 이들을 5마리 이상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각각 실험에 이용한다. 우선 상기 생성물이나 대조용 그룹의 경우에는 부형제를 위튜브를 사용하여 경구투여하는 바, 이때 상기 생성물의 투여량은 40mg/kg이며 사용한 부형제는 2차 증류수에 아라비아고무를 5% W/V의 농도로 용해시킨 것을 사용한다.
처치 후 30분 후에 위튜브를 이용하여 1ml의 무수에탄올을 경구투여하였고 에탄올로 처치한 후 1시간 후에 에틸에테르로 계속 마취시켜 죽인 다음 위를 추출하여 큰 곡선을 따라 째고 위점막의 병변을 측정한다. 이와 같은 측정을 위해서는 출혈점을 세고 괴사성궤양의 크기를 측정한다.
각각의 실험 생성물에 대한 위병변의 억제 백분율을 대조용가 비교 측정한다. 이러한 실험을 수차례 실시하며 그중 어느 2가지 실시예의 얻어진 결과를 다음 표 15에 요약했다.
[표 15]
Figure kpo00037
생쥐에 있어서 급성독성
litchfield와 Wilcoxon의 방법(J. T. Litchfield와 E.J.Wilcoxon : J. Pharmacol. Exp. Therap., 96, 19113(1949))을 이용하였다. 2중 증류수에 아라비아고무를 5% 농도로 용해시켜서 된 현탁액으로서 생성물을 경구 투여하였으며, 그 투여량은 10ml/kg이고 50% 치사량(LD50)은 상기 방법에 의해 계산한다.
이러한 실험을 수차례 실시하되 본 발명에 따른 몇몇 유도체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의 표 16에 요약했다.
[표 16]
Figure kpo00038
본 발명에 따른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사람의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도체들의 투여량은 처치하게 될 병의 심한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는 30 내지 60mg/d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정제나 주사용 앰플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실시예에 국한시키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의 2가지 독특한 약리학적 제형을 예를들면 다음과 같다.
* 정제 제제의 예
300mg 정제
실시예 144 …………………………………………… 0.030g
락토오스 ……………………………………………… 0.0342g
전분 …………………………………………………… 0.030g
폴리비닐피롤리돈 …………………………………… 0.006g
세결정 셀룰로우즈 …………………………………… 0.018g
콜로이드질 이산화규소 ……………………………… 0.0012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0.0006g
Figure kpo00039
60mg 정제
실시예 144 …………………………………………… 0.060g
락토오스 ……………………………………………… 0.0684g
전분 ……………………………………………………… 0.060g
폴리비닐피롤리돈 …………………………………… 0.012g
세결정 셀룰로우즈 …………………………………… 0.036g
콜로이드질 이산화규소 ……………………………… 0.0024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 0.0012g
Figure kpo00040
* 주사용 앰플제제의 예
6mg/ml 주사용 앰플
실시예 144 ……………………………………………… 0.030g
염화나트륨 q. s. ………………………………………… 0.050g
아스코르빈산 …………………………………………… 0.005g
주사용수 q. s. ……………………………………………… 5ml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신규한 화합물과 관련된 유용한 약리학적 성질 측면에서 볼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화합물은 의약품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합물이 존재하는 약제조성물 그리고 위장병의 치료에 쓰이는 의약품을 제조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특히 위산분비 억제제와 궤양억제제 및 세포보호제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7)

  1. 다음의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물 또는 10 내지 90%의 아세트산수용액에 용해시켜서된 현탁액과 염소가스 스팀을 염화제이철, 염화아연 및 염화제이주석 중에서 선택된 루이스산 촉매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0 내지 1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0분 내지 2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대응하는 술포닐 클로라이드를 형성시킨 다음, 이렇게 형성된 산염화물을 여과한 후 즉시 다음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물, 알코올,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용매에 용해시켜서 된 용액에 첨가하여 -10 내지 40℃의 온도에서 1 내지 4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술폰아미드 유도체와 그의 약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다음의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그의 호변이성질체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41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과 R2는 각각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알칼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또는 니트로기 이거나 R1과 R2는 함께 X기에 의해 표시되는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고, R3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아릴기, 알킬술포닐아릴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기,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킬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닐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 X는 -(CHR8)n-(CHR9)m- 또는 -CR8=CR9-, R2와 R3는 함께 -(CH2)n-Ym-CHR10-에 의해 표시되는 결합을 형성할 수 있고, Y는 -CH2-O-CH2- 또는 -CH2-NR11-CH2-,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8과 R9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 R10은 수소원자, -CH2OH기, -CH2Cl기 또는 메틸렌(-CH2-)기, R1은 R10이 메틸렌기(-CH2-)를 나타내는 경우 R10과 결합할 수 있고 R1자체는 결합을 나타내고, R11은 수소원자, 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내며, 아릴은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를, 헤테로아릴은 고리중에 O 및 N 중에서 선택된 이종원자를 갖는 방향족 이종환식기 또는 치환기를 갖는 그러한 방향족 이종환식기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42
    상기 식(Ⅰ')에서 R1은 수소원자이고, 나머지 치환체들은 상기 일반식(Ⅰ)에서 정의한 바와 같되, 단, Z1, Z2, Z3, Z4는 CH이고, R1과 R2는 H이며, R3는 H, 페닐, m-클로로페닐, m-토릴, 에틸, n-프로필, n-옥틸, n-데실, n-헥사데실이나 n-옥타데실인 화합물과, Z1, Z2, Z3, Z4는 CH이고, R1은 H이며, R2는 메틸이고 R3는 페닐이거나, R2는 카르복시에틸이고 R3는 페닐이거나, R2와 R3가 각각 메틸이거나, R2와 R3가 질소원자와 함께 모르포린 고리를 이루는 것인 화합물, 및 Z1, Z3, Z4는 CH이고, Z2는 C-CH3이며, R1은 H이고, R2는 H이며 R3는 페닐이거나, R2와 R3가 질소원자와 함께 모르포린 고리를 형성하는 것인 화합물은 제외시킨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식(Ⅰ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43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은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아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2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C1-C5저급알킬기, 니트로기 또는 아실기, R3는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기,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설피닐아릴기, 알킬술포닐아릴기, 알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칼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닐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a)에서 R1이 수소원자이고 Z1내지 Z4및 R2내지 R7은 상기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Ⅵ)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a)에서 R1이 수소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Z1내지 Z4및 R1내지 R7이 상기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A1-R1(Ⅵ)
    상기 식중(Ⅵ)에서, A1은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R1는 선상이나 분쇄상의 C1-C5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또는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a)에서 R1이 선상이나 분쇄상의 C1-C5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릴기,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또는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이며 R2는 수소원자이고 Z1내지 Z4및 R3내지 R7는 상기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Ⅶ)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 상기 일반식(Ⅰa)에서 R1과 R2가 수소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Z1내지 Z4및 R1내지 R7이 상기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A1-R2(Ⅶ)
    상기 식(Ⅶ)중에서, A1은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또는 아실옥시기, R2는 선상 또는 분쇄상 C1-C5저급알킬기, 니트로기 또는 아실기를 나타낸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식(Ⅰ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44
    상기 식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 Z1, Z2, Z3, Z4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3는 수소원자, 선상이나 분쇄상의 알킬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기,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설피닐아릴기, 알킬술포닐아릴기, 알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킬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닐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X는 -(CHR8)n-(CHR9)m- 또는 -CR8=CR9-,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8과 R9는 각각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나타낸다.
  6. 제1항, 2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a)에서 R1및 R2가 수소원자이고 Z1내지 Z4및 R3및 R7은 상기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Ⅳ)또는 일반식(Ⅴ)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b)의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A1-(CHR8)m-(CHR8)n-1-(CHR9)m-A2(Ⅳ)
    A1-CR8=CR9-A2(Ⅴ)
    상기 식(Ⅳ)와 (Ⅴ)중에서, A1과 A2는 각각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R8과 R9은 각각 수소원자나 저급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1을 나타낸다.
  7. 제1항, 2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a)에서 R1이 알킬카르보닐알킬기, 알킬카르보닐아릴기 또는 알킬카르보닐헤테로아릴기이고 R2는 수소원자이며 Z1내지 Z4과 R3내지 R7은 상기 제2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다중인산, 염화티오닐, p-톨루엔술폰산, 사염화티탄 및 염화포스포릴(Ⅲ) 중에서 선택된 탈수화합물과 반응시켜거 상기 일반식 (Ⅰb)에서 X가 -CR8=CR9-이고 R8이 수소원자이며 R9이 저급알킬기, 아릴기 또는 헤테로아릴기이고 Z1내지 Z4및 R3내지 R7은 상기 제5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b)에서 R3가 수소원자이고 X가 -(CHR8)n-(CHR9)m-이며 n이 1, 2, 3 또는 4이고 m이 0 또는 1이며 Z1내지 Z4및 R4내지 R9은 상기 제5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다음 일반식(Ⅷ)으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b)에서 R3이 수소원자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Z1내지 Z4및 R1내지 R9이 상기 제5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A1-R3(Ⅷ)
    상기 식(Ⅷ)중에서, A1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R3는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헤테로아릴기, 알킬아릴기, 알킬헤테로아릴기, 모노-, 비 또는 트리-사이클로알킬기, 알킬아미노기, N-알킬-알킬아미노기, 알킬카르복시알킬기, 아실기, 알킬티오알킬기, 알킬설피닐알킬기, 알킬술포닐알킬기, 알킬티오아릴기, 알킬설피닐아릴기, 알킬술포닐아릴기, 알킬티오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헤테로아릴기, 알킬티오알킬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아릴기, 알킬티오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설피닐알킬헤테로아릴기, 알킬술포닐알킬헤테로아릴기, 할로게노알킬기, 시아노알킬기, 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알킬-N-알킬아릴-알킬아미노기, N, N-디알킬-알킬아미노기, 하이드록시알킬기, 알킬피페라지닐기, 알킬피페리디릴기 또는 알킬모르포리닐기를 나타낸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식(Ⅰc)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45
    상기 식 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R1은 수소원자, 선상 또는 분쇄상의 알킬기, 알킬아릴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Y는 -CH2-O-CH2- 또는 -CH2-NR11-CH2-,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10은 수소원자, 하이드록시알킬기, 할로게노알킬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1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의 일반식(Ⅰd)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kpo00046
    상기 식중에서, Z1은 질소원자나 R4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4), Z2은 질소원자나 R5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5), Z3은 질소원자나 R6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6), Z4은 질소원자나 R7기가 결합되어 있는 탄소원자(C-R7)이되, 단, Z1, Z2, Z3, Z4중 오직 하나만이 질소원자일 수 있고, Y는 -CH2-O-CH2- 또는 CH2-NR11-CH2-, n은 1, 2, 3 또는 4, m은 0 또는 1, R4와 R7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아미노기, 아세틸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 R5와 R6은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아미노기,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머캅토기, 알킬티오기, 알킬설피닐기, 알킬술포닐기,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 설파모일기, 알킬카르보닐기, 아릴카르보닐기, 아세틸아미노기, 아실아미노기, 시아노기, 카르복실기, 카르복스아미도기 또는 카르복시알킬기, R11은 수소원자, 저급알킬기 또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나타낸다.
  11. 제1항,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c)에서 R1이 수소원자이고 R10이 하이드록시메틸기(-CH2OH)이며 Z1내지 Z4, R4내지 R9, R11, Y, n 및 m는 상기 제9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다중인산 및 염화티오닐 중에서 선택된 탈수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d)의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는 C-R7이며 R5와 R6기중 하나는 수소원자이고 다른 하나는 수소원자나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또는 아실아미노기이며 R1내지 R4, R7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과 같은 화합물을 질산과 황산 또는 다른 강산과의 혼합물 및 니트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니트로화제와 니트로화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가 C-R7이며 R5와 R6기중에 하나는 니트로기이며 다른 하나는 수소원자나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저급알킬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또는 아실아미노기이며 R1내지 R4, R7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가 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니트로기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합물을 환원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가 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가 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화합물을 산 할로겐화물 또는 무수물과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는 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아실아미노기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가 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화합물을 티오포스겐(Cl2CS)과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가 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N=C=S)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아미노기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화합물을 염산이나 사플루오로붕산 수용액에서 또는 염화수소로 포화시킨 아세트산에서 -10℃ 내지 5℃의 온도에서 질산나트륨과 반응시켜 대응하는 디아조늄염을 생성시키고, 이를 염화제일구리 또는 시안화구리 수용액에 또는 이상화황으로 포화시킨 아세트산 용액에 첨가하여 염화제일구리와 염화제이구리가 촉매량 첨가된 조건하에서 반응시킨 다음, 얻어진 염화술포닐을 설파미드 형성조건하에서 수용성 암모니아와 반응시켜서 상기 일반식(Ⅰ)에서 Z1이 C-R4이고 Z2가 C-R5이며 Z3가 C-R6이고 Z4가 C-R7이며 R4, R5, R6및 R7기중 하나는 염소원자, 시아노기(-C=N) 또는 설파모일기(-SO2NH2)이고 나머지 기들은 수소원자이며 R1내지 R3, R8내지 R11, X, Y, n 및 m이 상기 제1항에서 정의한 바와같은 술폰아미드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의 화합물들중에서 선택된 것인 방법.
    o 5-벤조일-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피리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4-모르포리노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4-아미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3-(4-모르포리노프로필)]-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페녹시-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3, 4-디메톡시페닐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 N-디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4, 7-디클로로-5, 6-디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4-클로로페닐)-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4-클로로페닐)-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클로로-5, 6-디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시아노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사이클로헥실-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1-또는 프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1-아다만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2-하이드록시메틸-1-피페리디닐)-1H-벤즈이미다졸
    o N-(4-메톡시벤질)-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5-메틸-3-이속사조릴)-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피리딜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2-피리딜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벤조일-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4-모르포리노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 N-디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3-(4-모르포리노프로필)]-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부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하이드록시-1-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카르복시에틸메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N, 4-디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4-모로포리노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아세틸-N-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아세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4-(2-하이드록시-1-에틸)피페라지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
    o N-(4-플루오로페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2-(카르복시메틸)피롤리디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
    o N-메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프로필-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이소프로필-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티오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술포닐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3-(2-옥소헥사메틸렌이미닐)]-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1-[1, 3-비스(카르복시에틸)프로필]]-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2-[술포닐-4-메틸피페라지닐]-1H-벤즈이미다졸
    o 5-클로로-N-사이클로헥실-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2-디에틸아미노-1-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1H-이미다조[4, 5-b]피리딘-2-술폰아미드
    o N-부틸-1H-이미다조[4, 5-b]피리딘-2-술폰아미드
    o N-부틸-1H-이미다조[4, 5-c]피리딘-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벤조일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아세틸메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N-에틸-1-(2-피리딜카르보닐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6-클로로-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6-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클로로-1, N-디에틸-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6-클로로-1, N-디에틸-N-(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4-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 N-트리에틸-7-니트로-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5, N-디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6, N-디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5-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1, N-디에틸-6-니트로-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5-아미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미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미노-N(카르복시에틸메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미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4-아세틸아미노-N-에틸-1H-벤즈이미다졸-2-술폰아미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메틸-[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에틸-[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H-2-에틸-[1, 2, 7]-티아디아조시노[7, 8-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3-(4-모로포리노프로필)]-[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4-모르포리노에틸)]-[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8-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에틸-7-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에틸-7-페녹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2-(3, 4-디메톡시페닐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6, 9-디클로로-3, 4-디하이드로-7, 8-디메틸-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클로로페닐)-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5-메틸-3-이속사조릴)-[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9-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9-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하이드로-2H-2-메틸-6-니트로-[1, 2, 4]-티아디아졸[4, 5-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사이클로헥실-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1-또는 프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트리플루오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8-트리플루오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1-아다만틸)-3, 4-디하이드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벤조일-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벤조일-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4-메톡시벤질)-[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2-피리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2-(2-피리딜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사이크로헥실-[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2-사이클로헥실-[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2-디에틸아미노-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 8-디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부틸-7, 8-디클로로-3, 4-디하이드로-2H-9-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메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메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에틸-8-니트로-[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트리하이드로-2H-2-에틸-9-니트로-[1, 2, 6]-티아디아제피노[6, 7-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8-니트로-2-[2-(피리딜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2-[2-(2-피리딜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8-니트로-(2-피리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2-피리딜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H-2-에틸-9-니트로-[1, 2, 7]-티아디아지노[7, 8-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 5, 6-테트라하이드로-2H-2-에틸-10-니트로-[1, 2, 7]-티아디아지노[7, 8-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3-(4-모로포리노프로필)]-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3-(4-모르포리노프로필)]-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3, 4-디히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4-디에틸아미노-1-메틸부틸)-3, 4-디하이드로-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1-아다만틸)-3, 4-디하이드로-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1-아다만틸)-3, 4-디하이드로-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7-이소티오시아네이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아세틸아미노-3, 4-디하이드로-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카르복시에틸메틸-8-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카르복시에틸메틸-7-클로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6-클로로-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6-클로로-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2-클로로-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2-클로로-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3-클로로-1-프로필)-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4-시아노-1-부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4-시아노-1-부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3-[N-메틸-N-[2-(3, 4-디메톡시페닐)에틸]]-프로필아미노}-3, 4-디하이드로-2H-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6-디에틸아미노-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6-디에틸아미노-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시아노메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시아노메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8-클로로-2-(2-디에틸아미노-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2-디에틸아미노-1-에틸)-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6-디에틸아미노-1-헥실)-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7-클로로-2-(2-피리딜)-3, 4-디하이드로-2H-[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3-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3-메틸-8-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3, 4-디하이드로-2H-2-에틸-3-메틸-7-니트로-[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부틸-3, 4-디하이드로피리도[3', 2' : 4, 5] 이미다조[1, 2-e]-[1, 2, 5]-티아디아지노 1, 1-디옥사이드
    o 2-부틸-3, 4-디하이드로-2H-피리도[3', 4' : 4, 5] 이미다조[1, 2-e]-[1, 2, 5]-티아디아지노 1, 1-디옥사이드
    o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
    o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9-니트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
    o 1, 2, 3, 4, 13, 14-헥사하이드로-10-니트로피리도[1', 2' : 2, 3]-[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6, 6-디옥사이드
    o 2H-2-에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에틸-3-메틸-[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에틸-3-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o 2H-2-에틸-7-니트로-3-(4-니트로페닐-[1, 2, 5]-티아디아지노[5, 6-a]-벤즈이미다졸 1, 1-디옥사이드
KR1019870003936A 1986-04-21 1987-04-21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30003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5721 1986-04-21
DE8605721 1986-04-21
FR8605721A FR2597478B1 (fr) 1986-04-21 1986-04-21 Benzimidazoles et imidazopyridines sulfonamides,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ant que medica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050A KR870010050A (ko) 1987-11-30
KR930003613B1 true KR930003613B1 (ko) 1993-05-08

Family

ID=9334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936A KR930003613B1 (ko) 1986-04-21 1987-04-21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2) US4933338A (ko)
EP (1) EP0246126A1 (ko)
JP (1) JPH0643404B2 (ko)
KR (1) KR930003613B1 (ko)
CN (1) CN87102916A (ko)
AU (1) AU608511B2 (ko)
BR (1) BR8701897A (ko)
CA (1) CA1300133C (ko)
DD (1) DD297817A5 (ko)
DK (1) DK185487A (ko)
ES (1) ES2005158A6 (ko)
FR (1) FR2597478B1 (ko)
HU (1) HUT63151A (ko)
IN (1) IN167204B (ko)
NO (1) NO871643L (ko)
PL (1) PL156736B1 (ko)
PT (1) PT84724B (ko)
RU (1) RU1813087C (ko)
YU (1) YU46193B (ko)
ZA (1) ZA8727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71664A (en) * 1983-05-03 1987-11-30 Byk Gulden Lomberg Chem Fab Fluoroalkoxy compounds,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KR950001015B1 (ko) * 1986-01-10 1995-02-07 닛뽕 케미화 가부시끼가이샤 술폭시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162317A (en) * 1988-05-12 1992-11-10 Esai Co., Ltd. Pyridinium salt and pharmac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IL113472A0 (en) 1994-04-29 1995-07-31 Lilly Co Eli Non-peptidyl tachykinin receptor antogonists
NZ508169A (en) * 1998-05-23 2003-10-31 Altana Pharma Ag Quinoline-aminomethyl-pyridyl derivatives with anti- helicobacter activity
AU1708099A (en) 1998-06-03 1999-12-20 Amgen, Inc. N-linked sulfonamides of n-heterocyclic carboxylic acids or carboxylic acid isosteres
WO2004032861A2 (en) * 2002-10-11 2004-04-2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exahydro-benzimidazolone compounds useful as anti-inflammatory agents
CN101497616B (zh) * 2008-01-30 2011-05-18 山东轩竹医药科技有限公司 含有氨基氧基取代的吡啶的咪唑并吡啶的化合物
CN110551145B (zh) * 2019-10-24 2022-08-05 江苏师范大学 一类呋喃并香豆素-Tröger’s Base衍生物及其合成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3649A (en) * 1950-04-04 1952-07-15 American Cyanamid Co Heterocyclic sulfonamid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NL77246C (ko) * 1950-04-04
GB833049A (en) * 1957-04-04 1960-04-21 Omikron Gagliardi Soc Di Fatto Improvements in the preparation of heterocyclic sulfonamides
DE2726625A1 (de) * 1976-06-25 1977-12-29 Ciba Geigy Ag Verfahren zum flammfestmachen von polyesterfasermaterialien
GB8316645D0 (en) * 1983-06-18 1983-07-20 Wyeth John & Brother Ltd Heterocyclic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T63151A (en) 1993-07-28
BR8701897A (pt) 1988-02-02
KR870010050A (ko) 1987-11-30
DK185487D0 (da) 1987-04-10
US4943570A (en) 1990-07-24
FR2597478A1 (fr) 1987-10-23
US4933338A (en) 1990-06-12
DK185487A (da) 1987-10-22
PT84724A (fr) 1987-05-01
EP0246126A1 (fr) 1987-11-19
CA1300133C (fr) 1992-05-05
FR2597478B1 (fr) 1988-12-16
PL156736B1 (pl) 1992-04-30
JPS62289568A (ja) 1987-12-16
ES2005158A6 (es) 1989-03-01
YU46193B (sh) 1993-05-28
YU72387A (en) 1989-02-28
NO871643L (no) 1987-10-22
AU7143887A (en) 1987-10-22
AU608511B2 (en) 1991-04-11
DD297817A5 (de) 1992-01-23
ZA872739B (en) 1987-12-30
IN167204B (ko) 1990-09-22
RU1813087C (ru) 1993-04-30
PL265299A1 (en) 1988-07-21
JPH0643404B2 (ja) 1994-06-08
CN87102916A (zh) 1988-04-27
NO871643D0 (no) 1987-04-21
PT84724B (pt) 198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le et al. 2-Amino-5-substituted 1, 3, 4-oxadiazoles and 5-imino-2-substituted Δ2-1, 3, 4-oxadiazolines. A group of novel muscle relaxants
US7384958B2 (en) Quinoline inhibitors of cGMP phosphodiesterase
US4233299A (en) 4-Hydroxy-2H-1,2-benzothiazine-3-carboxamide-1,1-dioxides and salts thereof
KR860001876B1 (ko)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EP2415767B1 (en) Poly (ADP-ribose) Polymerase (PARP) Inhibitors
KR870000441B1 (ko) 7-아미노-1-사이클로프로필-4-옥소-1,4-디하이드로-나프티리딘(퀴놀린)-3-카복실산의 제조방법
US4616025A (en) Thiazol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IE59309B1 (en) New quinazolin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JPH0587077B2 (ko)
KR930003613B1 (ko)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224445A (en) Thienothiazine derivatives
EP0088109A1 (en) ANTIINFLAMMATORY SUBSTITUTED-1,2,4-TRIAZOLO(4,3-b)-1,2,4-TRIAZINES
KR900003368B1 (ko) 신규한 인데노티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10005854B1 (ko)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을 함유하는 이미다조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187303A (en) Thiazine derivatives
US6448241B1 (en) Thiazolobenzoheterocycles, their preparation and medicaments containing them
US3676463A (en) Oxobenzofuran carboxamides
SI8910358A (sl) Postopek za pripravo novih bazično substituiranih 5-halogen-tienoizotiazol-3(2h)-on-1,1 -dioksidov
FI79847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terapeutiskt anvaendbara akridanon-derivat.
US4269774A (en) Thiazolo[5,4-d][2]benzazepines
US4348519A (en) Thiazine derivatives
US4321199A (en) Thiazolo[5,4-d][2] benzazepines and intermediates
FI90536B (fi) Menetelmä uusien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ten 2-aminotetrahydroisokinoliinijohdannaisten valmistamiseksi
US4108999A (en) Thiazolo[3,4-b]isoquinoline derivativ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pharmaceutical methods using them
KR810001502B1 (ko) 4-하이드록시-2h-1, 2-벤조티아진-3-카복스아미드-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