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876B1 -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876B1
KR860001876B1 KR8200910A KR820000910A KR860001876B1 KR 860001876 B1 KR860001876 B1 KR 860001876B1 KR 8200910 A KR8200910 A KR 8200910A KR 820000910 A KR820000910 A KR 820000910A KR 860001876 B1 KR860001876 B1 KR 860001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quinoline
carboxamide
dihydro
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9037A (ko
Inventor
에릭소 에드가
브리트-마리 샌드베르그 에바
조한 토브존 스탈핸드스키 라스
Original Assignee
피. 이. 치버그, 보 크리스토퍼 올슨
악티에보라케트 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 이. 치버그, 보 크리스토퍼 올슨, 악티에보라케트 레오 filed Critical 피. 이. 치버그, 보 크리스토퍼 올슨
Publication of KR83000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8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61P37/04Immunostimu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5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e.g. emetine alkaloids,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 C07D455/0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e.g. emetine alkaloids,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directly condensed with at least one six-membered carbocyclic ring, e.g.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 C07D45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e.g. emetine alkaloids,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containing quinolizine ring systems directly condensed with at least one six-membered carbocyclic ring, e.g. protoberberine; Alkylenedioxy derivatives of dibenzo [a, g] quinolizines, e.g. berberine containing a quinolizine ring system condensed with only one six-membered carbocyclic ring, e.g. julolid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6Peri-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Quinoline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면역계통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류중 몇 종류 즉 디히드로-1, 4 이치환된-퀴놀린-3-카르복실산 아미드류는 면역계통의 활성을 증진시킨다. 체네의 면역계통은 오랫동안 연구되어 왔으며 이러한 활발한 연구로 인하여 면역계통에 영향력있는 약제들이 만들어졌다.
면역계통의 활성을 억제하는 여러가지 약제들이 발견되어 왔으며 또한 최근에는 체네의 면역계통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몇 가지 화합물들이 발견되었다. 최근에 발견된 이러한 화합물중 몇 가지는 숙주의 세포를 중재한 면역성(cell-mediated immunity)의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한 목적을 위한 그러한 화합물의 연구는 과학의 한 분야로써 아직 촉기 상태에 있지만 약제를 투여함으로써 숙주의 면역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의 관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그러한 연구에 의하여 도달되는 효과는 해당분야에서 숙련된 모든 사람들에 의하여 명백한 사실로 인정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아는 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들과 구조적으로 관련이 희박한 화합물 조차도 세포-중재면역성의 활성제로써 제시된 적은 없어다. 가장 최근에 발견된 방법은 Indian Journal of Chemistry Vol. 17 B,May 1979, pp. 488-490〔(Chemical Abstracts 93(1980), page 667, entry 2044220〕에 기술된 기사에 의해서 우리들에게 공지되었다.
이 기사에서는 본 출원서에서 청구된 화합물들과 구조적으로 관련된 화합물들이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미리 알려진 화합물들은 카라게난 부종 시험에서 카라게난이 유발시킨 부종의 범위를 감소시키므로써 증명된 바와 같이 항-염증 활성이 존재한다.
근원적으로 다른 약물학적 목적을 위하여 사용한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은 사실상 뜻밖에도 앞에서 언급한 시험에서 카라게난이 유발시킨 부종의 범위를 증가시킨다(본 명세서중 표 1과 그 및에 기술되어 있는 부분 참조). 즉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들은 이미 알려진 화합물들에 의하여 나타난 효과와 반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 다른 형태의 화합물들은 스위스특허 제578,534호, 제578,535호, 제578,536호 및 제578,537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 화합물들은 다른 약물학적 용도들, 즉 Indian Journal of Chemistry에 기술되어 있는 화합물들과 같이 항염증제로써 제시된 화합물들과 관계가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활성 화합물들과 다르며 이들 모두는 퀴놀린 헥의 벤젠 고리에 있는 치환분과 같은 시클로 지방족 라디칼을 갖고 있으며, 이들은 분자중 아미드 부분에 필수 치환체를 제시하거나 나타내지 않는다. 구조적으로 관계가 먼 화합물들, 즉 2, 4-디허드록시퀴놀린-3-카르복실아미드류는 Chemical Abstracts 70(1969) on page 355, entry 57681x에 기록된 일본특허 제6,823,948호 (Cl. 16 E 432, 1968년 10월 16일경)에 기록되어 있다. 여기에 기록된 화합물들은 살균제로써 유응하다고 기술되어 있지만 면역계통의 활성제로써의 사용가능성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았다.
분자중에 아미드부분이 어떤 헤테로고리 형태를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2, 4-디허드록시기가 치환된 화합물들을 함유할 수 있는 퀴놀린-3-카르복실아미드의 또 다른 형태는 Chemical Abstracts 87(1977)의 578 page, entry 152042z에 기록되어 있는 스웨덴특허출원서 제7700804-3호에 기술되어 있다.
여기에 기록된 화합물들은 진통제로써 유용하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이러한 화합물들에 대한 이런 면역계통의 활성제로써의 사용가능성에 대한 것은 전혀 제시되지 않았었다. 다음에 기술한 내용중에 괄호안의 숫자를 표시하여 그 문헌을 참조하도록 하였는데 이 숫자는 실시예의 뒤에 기록된 문헌의 출처를 설명한 것이다.
세포를 중제하는 면역성은 여러 가지 전염병과 종양들에 대한 주된 방어계(defence system)로 생각된다. (1, 2) 변형 관절염과 같은 질병과 같은 전신계의 낭창홍반과 같은 자기면역 질병들은 세포를 중재하는 면역성이 손실된 때문이며 손상된 세포-중제면역성을 자극시킬 수 있는 약제로 앞에서 언급한 질병들을 치료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든다.
세포-중재면역성의 중요한 작용은 과민성반응을 늦추는 것이다(1). 그러므로 이 반응이 증가되는 것은 숙주에 세포-중재면역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낸다(3).
화학적 화합물이 면역계통에 미치는 연향력을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시험은 쥐에게 흉막염성 백일해 왁전 시험을 하는 것이다. 지연된 과민성 반응에 대한 감용을 강화하는 화합물들은 세포-중재면역성을 자극하는 화합물로 생각된다(4).
쥐에 과절염 좌약을 주입시켜봄으로써 지연된 과민성 반응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고 숙주에 약을 투여함으로써 지연된 과민성 반응의 변화량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약을 투여하므로써 지연된 과민성 반응의 범위가 증가되는 것은 숙주내에 세포-중재면역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앞에서 기술한 시험에서 수득한 효과에 대하여 약의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또다른 시험은 쥐에게 카라게난 부종 시험을 하는 것이다(5). 앞에서 기술한 세가지 시험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과 비교하여 보면 이 화합물들은 흉막염성 백일해 시험과 관절염좌제 투약시험에서 지연된 과민성 반응의 범위를 증가시켜 주고 카라게난 부종 시험에서도 카라게난이 유발시킨 부종의 범위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세포-중재면역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화합물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새로운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류를 제조하였는데 이 화합물들은 세포-중재면역성의 강화된 효과를 입증해주는 여러가지 시험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화합물들은 또한 낮은 유독성을 갖고 있으므로 알맞는 치료개수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잠재적인 중요성은 본 발명을 포함한 해당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게 명백한 사실로 받아들여졌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류는 다음에 정의된 바와 같이 일반식(I)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들은 쥐에 카라게난 부종 시험을 하고 두번째 징후에 관해서 관절 염좌제를 투여하여 보고 흉막염성 백일해 왁진시험을 하여본 결과 강화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들은 감염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 화합물들은 세포-중재면역성을 강화하는 약제자체나 혹은 액체나 고체매개체나 회석제와 혼합하여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정제, 알약, 캡슈울, 이식성(pellet), 분말, 연고제, 좌제, 수성이나 비수성 현탁액및 용액과 같은 다양한 양의 약물학적 형태로 유용하게 만들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활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유독성의 정도가 낮은 일반식(I)의 새로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두번째 목적은 질병치료에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의 형태를 제공하는데 이 형태는 개선시키거나 완화시키기 위하여 세포-중재면역성을 강화시키는 약제로서 치료에 사용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활성성분으로써 일반식(I)의 화합물들을 한 개 이상 함유하고 있는 조성물들을 제공하는데, 이 조성물에서는 약물학적으로 수락되는 매개체와 함께 필요하다면 다른 약리적 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다음 일반식(I)의 화합물과 그것의 토오토머가 제조된다.
Figure kpo00001
(1)
(이 식에서 R1과 R2기는 3, 4-이중결합 보다는 2, 3-이중결합으로 서로 교환되고, 서로 같거나 다를 수도 있는 R1, R2및 R3는 수소, 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할로겐, NO2, OH, OCOR8, NR6R7및 NR6COR8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며 또한 R1과 R2또는 R2와 R3는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R4는 저급알컬기, 저급일케닐기, 퀴놀린고리중 8-위치의 탄소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는 저급알킬렌기, 저급 알킬기와 저급알콕시기와 OH 및 OCOR8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환체들로 단일치환 혹은 이치환된 시클로알킬기, 저급알킬기와 저급알콕시기및 할로겐(특허 F, Cl 및 Br)동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환체들로 단일치환 혹은 이치환된 페닐기이고, R5는 S와 N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기껏해야 두 개의 헤테로 원자들을 함유하고 있는 오각형이나 육각형 헤테로고리, 저급알킬기, 저급알콕시기 및 할로겐(특허 F와 Cl)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화체들로 단일치환 혹은 이치환된 오각형이나 육각형 헤테로고리및 다음기(II)들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된다.
Figure kpo00002
(II)
(이식에서 서로 같거나 다를 수도 있는 R9, R10및 R11은 수소, 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저급알콕시기, 저급알킬리오기, 할로겐기, CN,SO2CH3,OH,OCOR8, NR6R7, NR6COR8, COOR12, OCH2COOR12CH2COOR12, COR8
Figure kpo00003
(여기서 m은 4 혹은 5이다.)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며, 또한 R9과 R10또는 R10과 R11은 메틸렌디옥시기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식(I)에서 A1은 OR12, OCOR8, NR6R7및 NR6COR8으로 기중에서 선택되며 A2는 0와 NR6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R6와 R7은 수소와 저급알킬기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R8은 저급알킬기이고, R12는 저급알킬기와 M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는데 M은 수소와 약물학적으로 수락되는 무기 혹은 유기 양이온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된다. R13은 OH, OR8및 OCOR8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된 치환체로 치환된 저급알킬기, 수소및 저급알케닐기 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며, R9, R10및 R11이 저급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및 저급 알콕시기 등으로 기중에서 선택되었을때 제조된 R13은 OH, OR8및 OCOR8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환체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와 저급 알케닐기중에서 선택된다.)
또한 염기성 질소원자들로 형성된 염을 함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들은 약물학적으로 수락되는 무기산이나 유기산과 함께 부가염의 형태로 될 수 있으므로 이 염들은 염산염, 브롬산염, 인산염, 질산염, 횡산염, 할로겐옥살산염, 옥살산염, 숙신산염, 타르타르산염, 메탄술폰산염 및 에탄이술폰산염과 같은 형태로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저급"이라는 용어는 1-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저급 알킬, 저급 알케닐, 저급 알킬렌, 저급 알콕시 및 저급 알칸올과 같은 용어에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2차부틸, 이소-부틸, 3차 부틸, 비닐, 이소-프로페닐 1-프로페닐, 아릴, 에틸렌, 트리메틸렌, 프로필렌, 테트라메틸렌, 1, 2-디메틸-에틸렌, 에틸에틸렌, 1-메틸트리메틸렌, 2-메틸트리메틸렌,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2차부톡시, 3차부톡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2차 부탄올 및 3차 부탄올등을 함유한다.
앞에서 M을 정의한 조건하에서 약물학적으로 수락될 수 있는 무기및 유기 양이온들 중에는 다음에 기술한 바오 같은 금속류와 아민류들을 들수 있다.
금속류 : 칼슘, 칼륨및 나트륨
아민류 : 단일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미노에탄올, N-메틸글루카민, 트리히드록시메틸아민, 포폴린 등
앞에서 언급한 일반식(I)이나 그것의 토오토머에 의하여 전환된 화합물 중에는 R1, R2및 R3중 적어도 한 증류가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R2및 R3치환체들에 있어서, 이 치환체들이 수소,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 OH,OCOR8, NR6R7및 메틸렌디옥시기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R1, R2및 R3가 수소이거나 NR6R7일때 R1, R2및 R3중 단 한개의 치환체가 앞에서 언급한 치환체중의 한개의 치환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할로겐 원자들중에서 선택된다면 R1, R2또는 R3가 F, Cl 또는 Br (특히 F와 Cl)인 것이 바람직하다.
R4가 저급알킬기일때 메틸기인 경우가 바람직한 화합물로 된다. R4가 퀴놀린 고리중 8-위치의 탄소원자와 고리를 형성하는 저급 알킬렌일때는, 에틸렌기와 트리에틸렌기일때가 바람직한 적절한 형태로 형성된다. R4가 페닐기로 치환될때는 P-위치에 단일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4가 시클로알킬,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시인 경우가 바람직할때는 만일 시클로알킬고리가 치환된다면 단일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R5가 앞에서 기술한 기(II)라면 R9, R10및 R11치환체중 적어도 한가지 치환제가 수소인 것이 바람직하며 치환체중 두개가 수소일 때는 치환체를 P-위치에 치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저급 알킬리오할로겐, CN, SO2CH3, OH, OCOR6, NR6R7, NR6COR8, COOR12, OCH2COOR12, CH2COOR12, COR8또는 N(CH2)m중에서 선택된다면 R9, R10및 R11치환체중 한가지 치환체만이 이 기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9, R10및 R11치환체중 한쌍의 치환체가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한다면 m-와 p-위치에 치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R5가 5각형이나 6각형 헤테로고리를 형성하고 이 헤테로고리가 똑같은 종류의 헤테로원자 2개를 함유할때 이 원자가 N인 것이 바람직하다. R5가 헤테로고리를 형성할때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헤테로고리를 형성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이소-리아졸, 티아졸, 피리디진, 피리미딘 및 피라진 특히 피리딘, 이미다졸, 미아졸및 피라진.
R5가 헤테로고리로 치환되었을때는 단일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1이 OR12또는 OCOR8일때 A2가 0인 것이 바람직하며 A1이 NR6R7또는 NR6COR8일때 A2는 0인 것이 바람직하다. A2가 NR6일때 A1은 OR12또는 OCOR8인 것이 바람직하며 A1이 OR12일때 R12는 M인 것이 바람직하며 R12가 저급 알칼기일때는 메틸기와 에틸기와 에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M이 무기 양이온일때는 칼륨이나 나트륨 이온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A1이나 A2둘줄 한계가 NR6R7, NR6COR8또는 NR6라면 R5는 앞에서 기술한 기(II)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특별히 중요한 바람직한 화합물 중에서 또다른 기는 R13이 OH, OR8또는 OCOR8등에서 선택한 치환체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케닐기(특히 저급 알킬기)라는 것이다. R13이 OH, OR8또는 OCOR8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환체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나 저급 알케닐 기일때는 R9, R10및 R11치환체중 한가지 치환체가 저급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특히 F와 Cl)인 것이 바람직하다.
R13이 수소일때 R9, R10및 R11의 치환체중 한가지 치환체가 수소, OR, OCOR8, NR6R7, NR6COR8, COOR12, OCH2COOR12, CH2COOR12또는 -N(CH2)m인 것이 바람직하다. R13이 수소일때 R9, R10및 R11치환체중 한가지 치환체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을 물에 용해시켜서 변화된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13이 OH, OR8또는 OCOR8으로 부터 선택한 치환기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 또는 저급 알케닐기 일때 A1은 OH, A2는 O, R4는 저급 알킬기이고 R5는 앞에서 정의 된 기(II)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13이 수소일때 R4는 저급 알킬기이고 R5는 헤테로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A1이 NR6R7또는 NR6COR8일때 A2는 O, R4는 저급 알킬기이고 R5는 앞에서 정의된 기(II)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댜음에 기술된 화합물들이 바람직한 화합물들이다.
a)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 카르복사미드
b) N-(4-카르복시메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c) N-(4-히드록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d) N-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e) N-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f)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g) N-(2-티아졸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h) N-메틸-N-페닐-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i) N-메틸-N-(2-티아졸린)-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
j)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이미노-1-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
k)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l)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N-(2-이미다졸릴)-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n) N-(4-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도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o)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p) N-(4-클로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q) N-메틸-N-피리지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r) N-메틸-N-(2-티아졸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s) N-메틸-N-피라지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t) N-메틸-N-(2-티아졸릴)-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u) N-(2-디히드록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만일 필요하다면 앞에서 언급한 화합물들을 약물학적으로 수락되는 무기 혹은 유기 양이온을 이용하여 염을 형성하기나 약물학적으로 수락되는 무기산이나 유기산을 이용하여 부가염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반식 (I)의 화합물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방법 1)은 다음과 같다.
[방법 1]
카르복실산(Ⅲ) 혹은 그것의 반응유도체와 아민 R5R13NH 혹은 그것의 반응 유도체를 반응시켜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4
(Ⅲ)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은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다.
[방법 2]
디카르복실산(Ⅳ)의 유도체와 아민(V)을 반응시켜서 A1이 OH이고 A2가 0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5
(Ⅳ)
Figure kpo00006
(V)
[방법 3]
일반식(Ⅵ)의 이사토산무수물의 유도체와 산(Ⅶ)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를 반응시켜서 A1이 OH이고 A2가 0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형성하거나 니트릴(Ⅷ)과 반응시켜서 A1이 OH이고 A2가 NH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Figure kpo00007
(Ⅵ)
R5R13NCOCH2COOH (Ⅶ)
R5R13NCOCH2CN (Ⅷ)
[방법 4]
X가 할로겐(Cl이나 Br이 바람직하다)인 일반식(Ⅸ)의 화합물과 A1H화합물이나 그것의 반응 유도체와 반응시켜서 A2가 0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형성하였다.
Figure kpo00008
(Ⅸ)
앞에서 기술한 방법 1-4는 다음 공정들(a-d)에 의하여 설명될 수 있다. a 방법 1에 의한 공정은 카르복실산(Ⅲ)이나 그것의 반응 유도체와 아민 R5R13NH이나 그것의 반응유도체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식 (Ⅲ)의 반응 유도체를 갖는 반응은 사용된 카르복실산(Ⅲ)의 반응 유도체의 반응성에 따라 0-200℃ 사이의 온도에서 불활성 용매매질에서 시약들을 혼합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통상적인 반응 유도체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저급 알킬 에스테르류 (메틸 혹은 에틸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무수물, 산염화물, 방향족이나 지방족 술폰산과 혼합된 무수물 및 카르보디이미드류와 유사한 시약들로 부터 수득한 반응 유도체.
피리딘과 퀴놀린은 특히 불활성 용매로써 적절하다. 카르복실산(Ⅲ)과 그것의 반응 유도체는(6)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민 R5R13NH는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8)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방법(I)에 의한 공정은 카르복실산(Ⅲ)과 아민 R5R13NH의 반응 유도체를 반응시키므로써 진행될 수 있다. 그러한 반응 유도체는 삼염화인과 같은 인화합물과 아민 R5R13NH을 혼합함으로써 형성된 화합물들일 수 있다. 이 반응은 불활성 용매 기질에서 시약들을 혼합하여 0℃와 반응혼합물의 끊는점 사이의 온도로 가열시키므로써 일어날 수 있다.
b 제2방법에 의한 공정은 디카르복실산(Ⅳ)의 반응 유도체와 아민(V)을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 반응은 불활성 용매 매질에서 시약들을 혼합하여 100℃ 이상의 온도 (150-250℃가 바람직하다)로 가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디카르복실산의 반응유도체로써 메틸, 에틸 혹은 페닐 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디페닐에테르는 본 방법에 대한 적절한 용매이다. 디카르복실산(Ⅳ)의 반응 유도체는 이미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9)에 기술된 바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c. 제3방법에 의한 공정은 양성자 수용체의 존재하에서 이사토산무수물 유도체(Ⅳ)과 산(Ⅶ)의 저급 알킬에스테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며 메틸과 에틸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이 반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양성자 수용체의 예로는 나트륨 수소화물과 나트륨메톡사이드와 같이 알칼리 알콕사이드류를 들 수 있다. 이 반응은 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불활성 용매나 피리딘이나 퀴놀린과 같은 양성자 수용체인 용매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반응은 실온 이상의 온도 즉 50-150℃사이의 온도에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발물질(VI)은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10)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산(VII)의 저급 알킬 에스테르는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11)에서 기술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공정에서 니트릴(Ⅷ)을 사용할 경우에는 A1이 OH이고 A2가 NH인 화합물(1)이 수득된다. 니트릴(Ⅷ)은 공지된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d. 제4방법에 의한 공정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화합물(IX)에 있는 할로겐 치환체(X)를 (A1)기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방법중에 한가지 방법은 실온과 반응 혼합물의 끊는점 사이의 온도에서 나트륨이나 칼륨 수소화물의 수성용액과 (IX)를 반응시키는 것이며 또다른 방법으로는 알칸산의 알칼리염과 (IX)화합물을 반응시킨 후에 가수분해하는 것이데, 이 경우에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술폭사이드와 같은 비양자성 쌍극자 용매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두가지 방법에 의하여 A1이 OH인 식(I)의 화합물이 수득된다.
만일 A1이 OR이고 R12가 저급 알킬기인 화합물이 필요하다면 이 화합물은 알칼리 저급 알콕사이드와 같은 반응 알콕사이드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과 반응 화합물(IX)를 반응시키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 반응은 또한 실온과 반응 혼합물의 끊는점 사이의 온도에서 불활성 용매 매질내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A1이 NR6R7인 화합물이 필요하다면 이 화합물은 아민 NR6R7H과 화합물(IX)를 반응시키므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이 반응은 실온과 200℃ 사이의 온도인 불활성 용매 매질내에서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하다면 압력하에서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다.
다음에 기술한 실시예 4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식(IX)의 출발물질들을 제조할 수 있다. 앞에서 기술한 모든 공정들(a-d)은 앞에서 언급한 공정내에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는 촉매존재하에서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정의된 일반식을 갖는 다른 화합물들로 부터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들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한 전환의 실예로써 다음과 같은 것들을 들수 있다. 유리된 히드록실기는 카르복실에스테르로부터 아실기를 제기하거나 저급 알콕시기로 부터 저급 알킬기를 제거하므로써 수득될 수 있고, 유리 아미노기들은 카르복사미드류로 부터 아실기를 제거하거나 니트로 기를 환원시키므로써 수득될 수 있으며 유리 카르복실산기는 에스테르-, 아미드-및 니트릴기들을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또한 유리 히드록시기들은 에스테르화되고 에테르화될 수 있으며 1차와 2차 아민류들은 아미드류로 아실화될 수 있으며, 카르복실산은 에스테르화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방법중 한가지 방법에 의하여 일반식(I)을 갖는 화합물들을 합성하는데 있어서, 포함된 출발물질들의 각각의 기는 본 방법과 같은 기들이어야 하거나 필요하다면, 한가지 이상의 반응단계들이 진행되는 동안 보호하여서 원하는 기로 전환시킨다. 보호될 수 있는 기중에서 적절한 예를 들어보면 히드록시-, 카르복실-및 1차, 2차 아미노기등을 들 수 있다. 그러한 보호기들의 실예는 (14)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들은 일반적으로 살아있는 동물체내에 있는 어떤 생리적인 장애를 제거하는데 유용한 작용을 하는 앞에서 언급한 생리적인 활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리적으로 활성이 있는 화합물들의 유효한 양은 캡슈울이나 정제와 같은 경구적인 투여, 멸균액, 현탁액의 형태및 펠렛주입과 같은 비경구적인 투여등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중에서 한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살아있는 동물체내에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 투여의 경로중에는 정맥내, 피하내, 근육내, 복강내, 관절내 및 피내에 투여할 수 있으면 또다른 투여하는 방법은 연고, 좌제및 분말의 형태로 질내나 직장내 및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약제는 보통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중 한종류 이상을 포함한 미리 정해진 양에 의하여 제조된다. 그러한 약제는 시럽, 좌제, 분말, 연고, 용액, 알약, 캡슈울, 펠렛 혹은 정제, 현탁액, 유화제, 오일용액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많은 종류의 약물학적으로 수락되는 부형제나 매개체중에서 몇가지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부형제와 매게체와 함께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학적인 부형제나 매개체와 혼합하였을때 활성성분을 0.01-75% 함유하는데 보통 조성물의 중량비로 약 0.05-15%정도 함유한다. 녹말, 설탕, 운모, 보통사용하는 합성검이나 천연검, 물등과 같은 매개체들은 그러한 약제형태에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비닐 피롤리든과 같은 접합제와 스테아르산나트륨과 같은 윤활제는 정제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탄산나트륨과 같은 분해제를 정제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활성제는 진통제, 스테로이드 또한 호르몬과 같은 약물학적인 활성제 또는 버터, 재산제등과 혼합하여서 투여할 수 있으며 조성내에 있는 활성제나 약제의 비울은 매우 다양하다. 다음 실시에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언급된 화합물들이 본 발명자가 의도한 목적에 특히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실시예에서 숫자 밑에 밑줄을 그어서 그들을 제조하는 방법과 계동적인 명칭을 기술한 것을 나타내었다.
이 화합물들은 후에 번호로 약칭되며, a:b;에서 a는 본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기술한 실시예의 번호를 의미하고 b는 그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화합물의 번호를 쓴 것이다. 그러므로 화합물 1 : 2는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된 두번째 화합물을 의미한다. 실시예 1-21에서 발견된 화합물의 구조들은 NMR과 원소분석법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NMR데이타는 60MNZ기구(Perkin-BlmerR 12)를 사용하여 얻었다. 다음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의 대부분은 유리형태로 분리된 것이고 그들중의 몇종류는 약리학적으로 수락되는 양이온과 함께 그것의 염의 형태로 전환되거나 통상적인 방법과 적절한 시약을 사용하여 산성부가염으로 전환된다.
[실시예 1]
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10부), 아닐린(4부)및 피리딘(40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25℃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형성된 에탄올을 계속 증류시켰다. 실온에서 냉각시켜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인 생성물을 침전시켜서 피리딘으로 재결정화 시켰다. M. P. 199-200℃ 똑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6-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92-3℃
3. N-1-디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60℃
4. N-(3-히드록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 N-페닐-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93℃
6. N-페닐-1, 2-디히드로-4, 6-디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52℃
7. N-(4-카르복시메틸페닐)-1, 2-디히드로-6, 7-디메톡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8. N-/2-클로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1-3℃
9. N-/4-클로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2-3℃
10. N-페닐-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9-72℃
11.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90-2℃
12. N-/4-카로복시메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37-9℃
13. N-/4-히드록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33-4℃
14.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프로필-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55℃
15.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부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43℃
16.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n-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49℃
17. N-페닐-7-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8℃
18. N-페닐-6-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0℃
19. N-페닐-1, 2-디히드로-5-플루오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75℃
20. N-/4-니트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300℃
21. N-/4-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4℃
22.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8-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3℃
23.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40℃
24. N-/4-피롤리디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53℃
25. N-(4-카르복시메톡시페닐)-6-n-부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6. N-(4-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7. N-(3-n-부틸티오페닐-6-n부톡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8. N-(4-브로모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9. N-(3-시아노페닐)-6-브로모-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0. N-(4메틸술폰일페닐)-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1. N-/4-(N-n-부틸-N-n-프로필-아미노)페닐/-6-아세톡시-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2. N-(4-메톡시카르복시메틸-페닐)-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3. N-(4-카르복시페닐)-6-n-부틸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나트륨염
34. N-(3-i-부틸릴페닐)-6-아세틸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5. N-(3, 4-메틸렌디옥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27℃
36. N-(4-피페리딘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6, 7-메틸렌디옥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염산염
37. N-(4-n-부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 6-디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8. N-(4-에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1-시클로헥실-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9. N-페닐-1-(4-클로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0. N-페닐-1-(3, 4-디메톡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1. N-(4-아세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31-4℃
42.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5-니트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60℃
43. N-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0-204℃
44. N-(4-알킬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5. N-(4-에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6. N-페닐-1, 2-디히드로-1, 6-디메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1℃
47. N-(4-디메틸아미노페닐)-1-아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70-173℃
48. N-(4-아세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2℃
49. N-(3-메틸메르캅토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53℃
50.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4메틸페닐)-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1. N-페닐-1-아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8-71℃
52.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4-메틸시클로헥실)-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3.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4-메톡시시클로헥실)-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54. N-(4-피발로일옥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
N-페닐카르바모일-디메틸말론산염(14부)와 4-메톡시-N-메틸-아닐린(7부)의 혼합물을 2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형성된 메탄올을 계속 증류시킨 다음 반응 혼합물을 따뜻한 아세트산에 붓과 여과하여서 생성물인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6-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 (1:2와 같은 화합물)를 침전 시켰다. m. p. 192-3℃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N-페닐카르바모일-디메틸말론산염과 인돌린과 1, 2, 3, 4-테트라-히드로퀴놀린으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5-7℃
3.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77-8℃
[실시예 3]
디메틸포름아미드(75부)에서 N-페닐카르바모일 아세트산에틸 에스테르(27부)를 넣은 혼합물에 광물성기름에 나트륨수소화물을 넣어만든 60% 현탁액(5. 3부)를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80℃에서 15분동안 가열한후에 디메틸포름아미드(125부)에 N-메틸 이사토산무수물(=1-메틸-2H, 3, 1-벤즈옥사진-2, 4(1H)디온)(22)부를 넣어 만든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30분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에서 냉각시켰다. 결정체 침전물을 여과하고 염화메틸렌과 수성 염산을 첨가하였다. 상이 맑게 될때까지 흔들어준 후에 염화메틸렌상을 물로 세척하고 진공중에서 건조시켰다. 피리딘으로 잔류물을 결정화시켜서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1:1의 화합물과 같다)를 수득하였다. M. p. 199-200℃
[실시예 4]
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46부)와 옥시염화인산(240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잔류물을 0℃로 냉각시켜서 메탄올에 용해시킨후 물과 얼음을 첨가하였다. 1, 2-디히드로-4-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메틸에스테르의 결정 침전물을 여과하여서 건조시켰다. M. p. 108℃
1, 2-디히드로-4-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65부)와 63%의 브롬산(17.3부)와 아세트산무수물(36.3부)를 혼합시킨 혼합물을 65℃에서 4시간동안 가열한 후에 실온에서 밤새도록 방치시켰다. 형성된 결정체를 여과하여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시킨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수성상을 산성화 한다음 1, 2-디히드로-4-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결정 침전물을 여과한후 건조시켰다. M. p. 228℃
1, 2-디히드로-4-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13.8부), 염화메틸렌(60부)및 트리에틸아민(12. 4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0℃로 냉각시킨후 이 용액을 교반하면서 염화메틸렌(18부)에 염화티오닐(7.3부)를 넣어 만든 용액을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0℃에서 1.5시간동안 계속 교반한 후에 아닐린(6.3부)를 -10℃에서 한방울씩 첨가한다음 온도가 실온으로 상승하도록 방치하였다. 얼음-물을 첨가한 다음 N-페닐-1, 2-디히드로-4-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결정체를 여과하여서 건조시켰다. M. p.>260℃
아세트산 나트륨 무수물,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페닐-4-클로로-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를 각각 한부씩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을 15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수성 염산을 첨가한 다음 아세트산 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키고 피리딘으로 결정화시켜서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 (1:1의 화합물과 같다)를 수득하였다. M. p. 199-200℃
[실시예 5]
N-페닐-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실시예 6에 의해 제조된)(1부)와 5몰의 수성염산(5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2.5시간동안 환류시켜서 실온으로 냉각시킨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시켰다. 수득된 결정 생성물을 여과하고 피리딘으로재결정화 시켜서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 (1:1화합물과 같다)를 수득하였다. M. p. 199-200℃
이 실시예에서 5몰의 염산수용액 대신에 63%의 브롬산수용액을 사용했을 지라도 수득되는 결과는 똑같다 또한 만일 N-페닐-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부)를 5몰의 수산화나트륨 용액(5부)와 혼합하여 1시간동안 환류시킨후 반응혼합물을 수성염산으로 중화시킨후에 앞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더라도 똑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1, 2-디히드로-4-클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실시예 4참조)(20부) 나트륨 메톡사이드(5.2부)및 메탄올(200부)를 혼합시킨 혼합물을 40℃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다음 실온으로 냉각될때까지 방치한 후에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중에서 건조될때까지 증발시켜서 남은 잔류물을 염과 메틸렌에 용해한 다음 2M의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얼음-물로 추출하였다. 염화메틸렌 용액을 진공중에서 건조될때까지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고형화시켜서, 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로 만들었다. M. p. 80℃
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12. 3부), 수산화나트륨(2부), 물(2.5부)및 디옥산(50부)로 만든 혼합물을 2.5시간동안 환류시켰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한후 물에 용해시켰다. 수용액을 염화메틸렌으로 세척한 다음 수성염산으로 산성화 시켜서 형성된 침전물을 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으로 만들었다. M. p. 177℃
클로로포름(45부)에 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4.7부)와 트리에틸아민(4.2부)를 넣어만든 용액을 -6℃로 냉각시켰다. 이 용액을 교반하면서 클로로포름(9부)에 염화티오닐(2.6부)를 넣어 만든 용액을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온도를 0℃까지 올라가도록 한다음 1시간후에 아닐린(2.1부)를 한 방울씩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의 온도가 실온까지 올라가도록 한후에 물과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클로로포름 용액을 진공상태에서 건조될 때 증발시켜서 남은 잔류물을 부탄온으로 결정화시켜서 M. p. 가 232-4℃인 N-페닐-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를 수득하였다. 똑같은 방법으로 반응시켜서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페닐-4-n-부톡시-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7℃
4.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1℃
5. N-메틸-N-(4-메틸아미노페닐)-4-n-부톡시-1, 2-디히드로-1-이소부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6. N-에틸-N-2-피리딘-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7]
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메틸에스테르(5부), 2-아미노티아졸(2.5부)및 피리딘(20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125℃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형된성 메탄올을 계속 증류시킨후에 실온까지 냉각시켜서 생성물인 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의 침전물을 여과하여 피리딘으로 재결정화 시켰다. M. p. 251-3℃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출발 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80-1℃
3. N-/2-(4-메틸-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6℃
4. N-피라지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8-20℃
5. N-/2-피리미디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20-2℃
6. 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프로필-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9℃
7. N-/2-피리딜/-1, 2-디히로-4-히드록시-1-이소부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7℃
8. N-/2-티아졸일/-1, 2-디히로-4-히드록시-1-이소부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39℃
9. 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프로필-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31℃
10. 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n-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81℃
11. 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n-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1℃
12. N-(3-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5℃
13. N-(4-피리딜)-6-n-부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4. N-(5-클로로-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메-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5. N-(2-메톡시-5-피리딜)-6-n-부톡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6. N-(4, 6-디메틸-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7. N-(4-메틸-2-티아졸일)-6-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8. N-(5-클로로-2-티아졸일)-1, 2-디히드로-5-플루오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9. N-피라지닐-1-알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30-232℃
20. 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5-니트로-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1. N-(2-피리딜)-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2. N-(3-피리다지닐)-6-n-부틸아미노-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3. N-(2-티아졸일)-6-아세틸아미노-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4. N-(2-이미다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87℃
25. N-(3-메틸-5-이소티아졸일)-1, 2-디히드로-1-(4-클로로페닐)-4-히드록시-6, 7-메틸렌디옥시-2-옥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6. N-(4-이미다졸일)-1, 2-디히드로-1-(4-메톡시페닐)-4, 6-디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7. N-(3-피라졸일)-1-시클헥실-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8. N-(3-메틸-5-이소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74℃
29. N-/4-(2, 6-디메틸피리미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60℃
30. N-/5-(2-메톡시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1℃
31. N-/2-(4, 6-디히드로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8]
N-(4-니트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 : 20) (34.5부), 산화백금(0.3부)및 톨루엔(330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50℃ 5기압에서 수소처리하였다.
촉매를 여과한후 여과액을 진공중에서 건조될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결정화하여 M. p. 가 300℃인 N-(4-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를 수득하였다.
2. N-페닐-5-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9℃(1 : 42화합물로 부터)
3. N-(4-아미노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20 : 42 화합물로 부터)
4. N-메틸-N-페닐-5-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20 : 36 화합물로 부터)
5. N-(2-티아졸릴)-5-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7 : 20 화합물로 부터)및
6. N-메틸-N-(2-티아졸릴)-5-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20 : 70 화합물로 부터)
[실시예 9]
N-(4-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2부) 피리딘(5부)및 아세트산 무수물(10부)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여과시킨후 2M 수성염산, 물, 메탄올및 에틸에테트로 세척하여 M. p.가 231-4℃인 N-(4-아세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도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를 수득하였다. (1 : 4) 화합물과 같다.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 출발물질로부터 다음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2. N-메틸-N-페닐-4-아세틸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0 : 5화합물로 부터)
3. N-메틸-N-페닐-4-(N-아세틸-N-메틸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0 : 6화합물로 부터)및
4. N-메틸-N-페닐-4-아세톡시-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50℃(1 : 40화합물로 부터)
[실시예 10]
N-페닐-4-클로로-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2부), 농축된 수성암모니아(25부)및 메탄올(60부)로 이루어진 반응혼합물을 100℃의 고압솥에서 48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후에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피리딘으로 재결정시킨후에 건조시켜서 M. p. 가 248℃인 N-페닐-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를 수득하였다.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페닐-1, 2-디히드로-1-메틸-4-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 N-페닐-1, 2-디히드로-4-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 N-페닐-4-n-부틸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 N-메틸-N-페닐-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27℃
6.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1-메틸-4-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50℃
7.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9℃
8.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6-메톡시-1-메틸-4-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9. N-메틸-N-페닐-7-클로로-1, 2-디히드로-1-메틸-4-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0. N-메틸-N-페닐-1-알릴-4-아미노-1, 2-디히드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1.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1, 6-디메틸-4-디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2. N-(4-메톡시페닐)-N-메틸-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2-카르복사미드
13. N-(4-클로로페닐)-N-메틸-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4. N-(2-티아졸일)-4-아미노-1, 2-디히드로-1, 8-에틸렌-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5. N-피라지닐-1, 2-디히드로-4-메틸아미노-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6. N-(2-피리딜)-1, 2-디히드로-4-디메틸아미노-1, 8-에틸렌-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7. N-메틸-N-(2-티아졸일(-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8.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1-메틸-4-메틸아미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9. N-메틸-N-피라지닐-1, 2-디히드로-4-디메틸아미노-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0. N-페닐-4-아미노-1, 2-디히드로-1, 8-에틸렌-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1. N-페페-1, 2-디히드로-4-메틸아미노-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22.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디메틸아미노-1, 8-에틸렌-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1]
N-메틸-이사토산무수물(18부)와 N-페닐-시아노-아세트아미드(18부)와 피리딘(100부)및 트리에틸아민(10부)로 이루어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일동안 교반시켰다. 물을 첨가한후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여과액을 산성화 하여서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될때까지 진공중에서 증발시켜서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이미노-1-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1)로 이루어진 결정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M. p. 275-277℃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페닐-6-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이미노-1-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3. N-(4-클로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아미노-1-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2]
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10부), 아닐린(5부)및 피리딘(40부)의 혼합물을 125℃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형성된 에탄올을 계속 증류시킨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생성물인 N-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2 : 2화합물과 같다) 침전물을 여과한후 피리딘으로 재결정화 하였다. M. p. 215-17℃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4-클로로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6-페닐-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6-메톡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 N-(3-부틸티오페닐)-1, 2-디히드로-6, 7-디메톡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 N-(4-히드록시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6-플루오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 N-(4-카르복시메틸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칼슘염
7. N-(4-피롤리디노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염산염 및
8.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30℃
[실시예 13]
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10부) 아닐린(5부)와 피리딘(40부)의 혼합물을 125℃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형성된 에탄올을 계속해서 증류시킨후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생성물인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2 : 3화합물과 같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피리딘으로 재결정화하였다. M. p. 177-8℃
똑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4-n-펜타노일옥시페닐)-6-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 N-(4-n-부틸아미노페닐)-6-i-부티틸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 N-(4-아세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6, 7-메틸렌디옥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 N-(4-카르복시메틸옥시페닐)-1, 2-디히드로-4, 6-디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나트륨염, 및
7.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8℃
[실시예 14]
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에스테르(10부), 아닐린(4부)및 피리딘(40부)의 혼합물을 125℃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형성된 에탄올을 계속 증류시킨후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생성물인 N-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2 : 2화합물과 같다)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서 대응 출발 물질로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3-피리딜)-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6-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 N-(4-피리딜)-6-n-부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 N-(5-클로로-2-피리딜)-1, 2-디히드로-6, 7-디메톡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 N-(2-메톡시-5-피리딜)-1, 2-디히드로-6-플로오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 N-(4, 6-디메틸-2-피리딜)-6-플로로-1, 2-디히드로-1, 8-에메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 N-(4-메틸-2-티아졸일)-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8. N-(5-클로로-2-티아졸일)-1, 2-디히드로-6-i-부티릴아미노-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9. N-피라지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44℃
10. N-(2-피리딜)-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1. 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2. N-(3-피리다지닐)-1, 2-디히드로-4, 6-디히드록시-1, 8-에틸렌-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3. N-(2-피리미디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4. N-(2-이미다졸일)-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5. N-(3-메틸-5-이소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8-카르복사미드
16. N-(4-이미다졸일)-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및
17. N-피라지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43℃
[실시예 15]
디메틸포름아미드(75부)에 N-페닐카르바모일 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27부)를 넣어만든 혼합물에 광물성 기름에 나트륨 수소화합물을 넣어만든 60% 현탁액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80℃에서 15분동안 가열한후 디메틸포름아미드(125부)에 N-메틸 이사토산무수물(=1-메틸-2H-3, 1-벤즈옥사진-2, 4(1H)디온) (22부) 넣어만든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30분동안 가열한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결정성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메탄올 및 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나트륨염(1)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6에서 기술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대응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1. N-(2-티아졸일)-1, 2-디히드로-1, 8-에틸렌-4-메톡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 N-피라지닐-1, 2-디히드로-4-메톡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3. N-(2-피리딜)-4-n-부톡시-1, 2-디히드로-1, 8-에틸렌-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7]
실시예 6에서 기술한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1. 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2. N-(2-피리딜)-1, 2-디히드로-4-i-부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8]
실시예 6에서 기술한 일반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였다.
1. N-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메톡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 N-페닐-1, 2-디히드로-4-메톡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3.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에톡시-1, 8-에틸렌-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19]
N-메틸 말론아닐산 메틸 에스테르(13부), 나트륨 메톡사이드(4.2부)및 디메틸 포름아미드(62부)로 이루어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100℃로 40분동안 가열한 후 형성된 메탄올을 증류시킨다음 1, 8-트리메틸렌-이사토산무수물(=6, 7-디히드로-1H, 3H, 5H-피리도(3, 2, 1-ij)(3, 1)-벤즈옥사진-1, 3-디온)(6.4부)을 80℃에서 첨가하였다. 40분동안 진공중에서 교반하면서 반응혼합물을 110℃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후 물을 첨가하여 수득한 용액을 에틸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염산용액으로 수성상을 산성화 시켜서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한후 건조될 때까지 증발시켰다. 결정성 잔류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M. p. 가 234℃인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를 수득하였다.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4-플루오로페닐)-N-메틸-1, 2-디히드로-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3. N-아릴-N-(3, 4-디메톡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0]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는 동안에 건성톨루엔(40부)에 N-메틸아닐린(8.1부)를 넣어만든 용액에 삼염화인산(1.73부)를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계속해서 30분동안 교반한 후에 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아릴-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6.15부)를 첨가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100℃로 가열한후 냉각시켰다. 2M 수산화나트륨으로 반응 혼합물을 추출한후 수득한 추출액을 증화시켜서 여과하여 투명하게 하였다.
여과액을 산성화 시켜서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후 이 용액을 여과하여 투명하게 한 다음 건조될때까지 증발하였다. 결정성 잔류물을 아세톤으로 세정하여 건조시켰다. 이렇게 수득된 생성물은 M. p.가 204℃인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1-아릴-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1)이다.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 출발물질로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2. N-메틸-N-페닐-7-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93℃
3.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300℃
4. N-(4-클로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6-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97℃
5.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6-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40℃
6. N-(4-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6-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20℃
7. N-1-디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8.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 6-디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9. N-(4-피페리딘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0.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1. N-/4-카르복시메틸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2.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프로필-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3.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부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4.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n-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5. N-메틸-N-페닐-6-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6.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5-플루오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7. N-메틸-N-페닐-5-디메틸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8. N-메틸-N-/4-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9.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8-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0. N-메틸-N-/4-디에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1. N-메틸-N-/4-피로리딘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2. N-(3-n-부틸티오페닐)-N-메틸-6-n-부로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3. N-(4-브로모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4. N-(3-시아노페닐)-N-메틸-6-브로모-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5. N-메틸-N-(4-메틸술포닐페닐)-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6. N-/4-(N-n-부틸-N-n-프로필-아미노)페닐-N-메틸-6-아세톡시-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7. N-(4-카르복시페닐)-N-메틸-6-n-부틸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나트륨염
28. N-(3-i-부티릴페닐)-N-메틸-6-아세틸아미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9. N-메틸-N-(3, 4-메틸레디옥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0. N-메틸-N-(4-피페리딘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6, 7-메틸렌디옥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염산염
31. N-(4-n-부틸아미노페닐)-N-메틸-1, 2-디히드로-4, 6-디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2. N-(4-에톡시카르보닐메틸페닐)-N-메틸-1-시클로헥실-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3. N-메틸-N-페닐-1-(4-클로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4. N-메틸-N-페닐-1-(4-메톡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5. N-(4-아세틸아미노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6.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5-니트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7. N-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0-204℃
38.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1, 6-디메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9. N-(4-디메틸아미노페닐)-N-메틸-1-알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0. N-(4-아세틸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1. N-메틸-N-(3-메틸메카토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2. N-메틸-N-/4-니트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3. N-(3-히드록시페닐) 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4. N-(4-카르복시메틸페닐) N-메틸-1, 2-디히드로-6, 7-디메톡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5. N-(4-카르복시메톡시페닐)-N-메틸-6-n-부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6. N-(4-메톡시카르보닐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7. N-(4-메톡시카르복실메틸-페닐)-N-메틸-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8. N-(4-아세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49. N-(4-에틸아미노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0. N-메틸-N-(4-피바로일옥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1. N-에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2. N-프로필-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3. N-메틸-N-/2-(4-메틸-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4. N-(2-메톡시-에틸)-N-피리지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5. N-알릴-N-(2-피리미디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6.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프로핀-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7.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이소부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8. N-페닐-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부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59. N-메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프로필-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0.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n-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1. N-메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n-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2. N-메틸-N-(3-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3. N-메틸-N-(4-피리딜)-6-n-부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4. N-(5-클로로-2-피리딜)-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5. N(2-메톡시-5-피리딜)-N-메틸-6-n-부톡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6. N-(4, 6-디메틸-2-피리딜)-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7. N-메틸-N(4-메틸-2-티아졸일)-6-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8. N-(5-클로로-2-티아졸일)-N-메틸-1, 2-디히드로-5-플루오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69. N-메틸-N-피라지닐-1-알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0. N-메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5-니트로-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1.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2. N-메틸-N-(3-피리다지닐)-6-n-부틸아미노-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3. N-메틸-N-(2-티아졸일)-6-아세틸아미노-1, 2-디히드로-1-에틸-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4. N-(2-이미다졸일)-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5. N-메틸-N-(3-메틸-5-이소티아졸일)-1, 2-디하드로-1-(4-클로로페닐)-4-히드록시-6, 7-메틸렌디옥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6. N-(4-이미다졸일)-N-메틸-1, 2-디히드로-1-(4-메톡시페닐)-4, 6-디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7. N-메틸-N-(3-피라졸일)-1-시클로펜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8. N-메틸-N-(3-메틸-5-이소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79. N-/4-(2, 6-디메틸피리미딜메틸)/-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80. N-/5-(2-메톡시피리딘)/-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실시예 21]
인돌린(19부)과 메탄트리카르복실산 트리에틸에스테르(37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5시간동안 100℃로 가열한후 형성된 에탄올을 증류하였다. 형성된 결정체 침전물을 여과한후 에틸에테르에 용해시켰다. 이 에테르 용액을 건조될때까지 증발시킨후 디페닐에테르(25부)를 잔류물에 첨가하여서 수득된 혼합물을 8시간동안 200℃로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후에 반응 혼합물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부었다. 이 혼합물을 에틸 에테르로 세정한후 수성상을 산성화시켜서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건조시켜서 건조될때까지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액성 크로마토그래피로 세정하여 M. p.가 150℃인 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틸 에스테르(I)를 수득하였다.
앞에서 기술한 에틸에스테르(1)(3, 4부)를 아세트산(14.3부)과 63% 수성브롬산(5, 8부)으로 이루어진 용액에서 용해시켰다. 이렇게 수득한 용액을 20분동안 120℃로 가열하였다. 실온에서 밤새도록 방치한후에 여과하여 결정성 침전물을 형성하였다. 결정체를 수성알칼리에 용해시켜서 재침전 시킨후 산성화시켜서 M. p. 가 260℃인 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2)을 수득하였다.
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3-카르복실산(2((2, 3부), N-메틸아닐린(1, 1부)및 건성톨루엔(20부)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N, 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2, 6부)를 첨가하였다. 90℃에서 1시간동안 계속해서 교반한후에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후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하였다.
이 침전물을 2M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중화하고 여과하여 투명하게 만든후 염산용액으로 산성화 하여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염화메틸렌 추출물을 진공중에서 건조될때까지 증발시킨후 결정성 잔류물을 아세톤으로 세정하고 건조시켜서 M. p. 가 260℃인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3)를 수득하였다.
똑같은 방법을 실시하여 대응 출발물질로 부터 다음 화합물들을 수득하였다.
4.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00-204℃
5. N-에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3℃
6. N-(4-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85℃
7.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41℃
8. N-(n-부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85℃
9. N-(4-클로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12℃
10. N-(4-디메틸아미노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95-200℃
11. N-(4-히드록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58℃
12. N-아릴-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86℃
13. N-(4-카르복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36℃
14. N-(4-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6-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220℃
15. N-(4-n-부틸페닐)-N-메틸-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6. N-(3, 4-디메톡시페닐)-N-에틸-1, 2-디히드로-5-플루오로-4-메톡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7. N-(3-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이소프로필-6-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8. N-(4-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 5-디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19. N-메틸-N-(4-피롤리딘페닐)-1-(4-플루오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0. N-메틸-N-피라지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1. N-메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킬-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42℃
22. N-메틸-N-2-피리미디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나트륨염
23. N-메틸-N-피라지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76℃
24. N-메틸-N-(3-메틸-5-이소티아졸일)-6-클로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5. N-메틸-N-2-피리딜-1-n-부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6-메톡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6. N-에틸-N-2-피리딜-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7. N-/5-(2-메톡시피리딜)/-N-메틸-1, 2-디히드로-6-플루오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8. N-(4-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29. N-n-부틸-N-(4-클로로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0. N-(4-디메틸아미노페닐)-N-메틸-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1. N-메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2. N-메틸-N-2-피리미디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3. N-에틸-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4. N-아릴-N-/5-(2-메톡시피리딜)/-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35. N-(4-플루오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97℃
36.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나트륨.
37. N-(2-히드록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0℃
38. N-(2-메톡시카르보닐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7℃
39. N-(2-히드록시에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22℃
40. N-(2-아세톡시에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41. N-(4-메톡시카르보닐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p. 163℃
[실시예 22]
이 실시예는 쥐에 카라게난 부종시험을 하였을 때 일반식(I)의 화합물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5)에서 기술한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중량이 110-120g인 스프래그-다우레이 쥐 중 암컷을 사용하였다. 각 실험그룹에서 적어도 10마리의 동물들을 사용하였으며 이 쥐들의 오른쪽 뒷발의 발바닥표면에 0.9% NaCl이 있는 카라게난을 주입하여 발부종을 야기시켰다.
카라게난을 주입하기 30분 전에 메모셀 수용액 10mℓ/kg이 있는 현탁된 물질을 위내로 투여하였다. 이 조절 그룹들에게 메토셀 용액 10mℓ/kg을 투여하였다. 카라게난을 주입한지 3시간 후에 동물을 죽인다음 뒷발을 절단하여 무개를 재었다. 주입된 오른쪽 발과 주입되지 않은 발의 중량차이가 부종의 중량이다.
수득된 결과중의 몇가지를 표 1에 기술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화합물들을 번호 즉 a : b 로 표기하였다. 조절그룹들과 비교한 후에 부종의 중량을 백분율로 표시하여 물질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표 1]
쥐에 카라게난 부종 시험을 한 초기결과, 1회 분량 80mg/kg, p.o.]
Figure kpo00009
앞서 말한 시험에서 10-160mg/kg p.o의 일회복용으로 다음 부가 화합물들을 첨가하면 카라게난 부종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8 : 1, 9 : 1, 12 : 7, 13 : 3, 14 : 7, 14 : 12, 16 : 1, 17 : 1,
18: 1, 18 : 2, 18 : 3, 20 : 5, 20 : 9, 20 : 10, 20 : 16, 20 : 29,
20 : 34, 20 : 35, 20 : 39, 21 : 3, 21 : 5, 21 : 7, 21 : 8, 21 : 10,
21 : 12, 21 : 14, 21 : 16, 21 : 20, 21 : 21, 21 : 35.
[실시예 23]
이 실시예에는 쥐에 좌약 관절 시험을 하였을 때 일반식(I)의 화합물들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쥐에게 좌약 관절 시험을 하여 보면 지연된 과민성 반응이 나타나며 또한 이 반응은 숙주에 약제를 투여하여서 여러가지로 나타나는 과민성 반응을 증명하기 위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약제를 투여했을때 지연된 과민성 반응의 범위가 증가되는 것은 숙주에 세포-중재 면역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12)에서 기술한 방법을 변형하여서, 중량이 250-275g인 리스터후디드(Listerhooded) 쥐중에서 수컷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적어도 9마리의 쥐들 각 실험 그룹에서 사용하였다. 파라피넘(paraffinum) 멸균액에 현탁된 가열하여 축인 우락군 0.5mg/0.1mℓ를 모두 쥐의 오른쪽 뒷다리의 피내에 한번 주입하였다. 주입한 후에 수분 치환에 의하여 왼쪽 뒷발의 부피를 측정한 후 다음 단계를 실시하였다.
메토셀 수용액에 현탁시킨 물질 10mℓ/kg을 위내에 주입하고 조절 그룹에 메토셀 용액 10mℓ/kg을 주입하였다. 동물중 다른 그룹들을 -4~14일 동안 하루에 한번 차리하였다. 조절 그룹들을 비교한 후에 백분율로 표시한 왼쪽 발부피에 의하여 물질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한 결과중에 몇가지를 다음 표 2에 기술하였다. 일반식(I)의 화합물들을 면역흥분 활성을 갖는다고 생각되는 레바미솔(levamisole)과 페니실아민(penicillamine)의 공지된 물화물들과 비교하였다(3).
[표 2]
쥐에 좌약 관절 시험을 실시한 초기결과]
Figure kpo00010
쥐에 좌약관절 시험을 하였을때 다음 부가 화합물들을 한번에 40mg/kg p.o. 투여하면 상당한 잠재효과를 갖게 된다.
1 : 2, 1 : 9, 1 : 10, 1 : 12, 1 : 19, 1 : 22, 13 : 3, 21 : 4,
21: 5, 21 : 7, 21 : 11, 21 : 14, 21 : 17, 21 : 19, 21 : 23, 21 : 24,
21: 26, 21 : 28, 21 : 30, 21 : 31, 21 : 33, 21 : 35.
일반식(I) 화합물의 유독성은 낮으며 생쥐 p.o. 에서 결정된 LD50가는 1000mg/kg보다 더 높다. 생쥐내에 있는 레바미솔의 LD50은 285mg/kg p.o.(13)이며, 이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화합물들이 세포-중재면 역성을 강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3).
[실시예 24]
이 실시예에서는 흉막염성 백일해 왁찐시험에서 일반식(I)의 화합물들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흉막염성 백일해 왁찐은 면역계통에서의 화약 화합물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유용한 시험이다. 지연된 과민성 반응에서 감올을 강화하는 화합물들은 세포-중재 면역성 흥분제로 생각된다. (4)에서 기술한 방법을 변형하여 중량이 250-275g인 스프래그-도우레이(Sprague-Dawley) 쥐중 수컷에게 실시하였다. 각 실험그룹에서 적어도 10마리의 쥐를 사용하였다.
Freund의 불완전한 좌제와 가열하여 축인 보르데텔라 백일해 유기체(Bordetella pertussis organism)들의 현탁액을 동일한 부피로 혼합하였다. 0.036×1010유기체/mℓ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 0.2mℓ를 감광동물의 한복 뒷발과 한쪽앞발의 발등 표면에 주입하였다.
이 동물들을 0.25×1010유기체/mℓ를 함유하고 있는 혼합물 0.1mℓ로 12일 동안 냄새를 맡도록한 다음 늑막내에 주입하였다. 냄새를 맡게한지 48시간후 즉 14일에 늑막용적의 정확한 부피를 측정하였다. 메토셀 수용액에 현탁된 물질 10mℓ/kg을 10-13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위내에 주입하였다. 조절그룹들에게 메토셀용액 10mℓ/kg을 주입하였다. 조절그룹들과 비교한 후에 백분율로 표시한 배출 부피로 물질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수득된 결과중의 몇가지를 다음 표 3에 기술하였으며 일반식(I)의 화합물을 공지된 레바미솔 및 페니실아민 화합물들(3)과 비교하였다.
[표 3] 쥐에 흉막염성 백일해 왁진 시험을 하였을 때의 조기결과 1회 분량 10mg/kg, p.o.
Figure kpo00011
쥐에 흉막염성 백일해 왁찐 시험을 할때 다음 부가 화합물들을 일회분량 10mg/kg, p.o. 로 투여하며 이시험에서의 효과가 상당히 강화된다.
1 : 2, 1 : 9, 1 : 13, 1 : 19, 1 : 22, 9 : 1, 10 : 5, 10 : 6,
10 : 12, 10 : 13, 10 : 17, 10 : 20, 12 : 7, 13 : 3, 19 : 1, 19 : 2,
20 : 1, 20 : 2, 20 : 3 20 : 4, 20 : 5, 20 : 9 20 : 10, 20 : 16,
20 : 20, 20 : 21, 20 : 29, 20 : 34, 20 : 35, 20 : 39, 20 : 54, 20 : 74,
20 : 78, 21 : 3, 21 : 8, 21 : 10, 21 : 12, 21 : 13, 21 : 14, 21 : 16,
21 : 17, 21 : 19, 21 : 20, 21 : 21, 21 : 23, 21 : 24, 21 : 26, 21 : 28,
21 : 30, 21 : 31, 21 : 33, 21 : 35.
[참고 문헌]
1. Rocklin, R. E. Ann.Reots Med. Chem. 8(1973)284.
2. Eisen, H.N., Immounolog/, Harper & Row Publishers, Inc., p. 558-70(1974).
3. Huskisson, E. C. et al, Lancet, 1(1976)393.
4. Dieppe, P. A. et al, Agents and Actions 6/5(1976)618.
5. Winter, C, A. et al, Proc. Soc Exp. Biol. Med. 111(1962)544.
6. Jon.s, G. (Ed), Quinolines, part 1, John Wiley and Sons(1977) p. 93-318.
7. Coppola, G. M. et al, J. Org. Chem. 41(1976)825.
8. Coffey, S.(Ed), Rodd's Chemistry fo Carbon Compound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2nd Ed., vol. III part B (1974) p. 219-44
9. Dieckmann, W. et al, Ber. 37(1904)4627.
10. Hardtmann, G. E. et al, J. Heterocycl. Chem. 12(1975) 563.
11. Rugheimer, L. et al, Ber. 17 (1884) 736.
12. Newbould, B. B., Brit. J. Pharmacol. 21 (1963) 127.
13. Renoux, G., Pharmac Ther. A 2(1978) 397.
14. Mcomie, J. F. W.,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Plenum Press, London 1977.

Claims (9)

  1. 다음 일반식(Ⅲ)의 카르복실산이나 그것의 반응 유도체와 아민 R5R13NH이나 그것의 반응 유도체를 반응시켜서 다음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다음 일반식(IV)의 디카르복실산의 반응 유도체와 다음 일반식(V)의 아민을 반응시켜서 A1이 OH이고 A2가 0인 다음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다음 일반식(VI)의 이사토산 무수물의 유도체와 다음 일반식(Ⅶ)의 저급알킬 에스테르와 반응시켜 A1이 OH이고 A2가 0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다음 일반식(Ⅷ)의 니트릴과 반응시켜 A1이 OH이고 A2가 NH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거나, X가 할로겐인 일반식(IX)의 화합물과 A1H나 그것의 반응 유도체와 반응시켜서 A2가 0인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감수성기를 보호한 다음 일반식(I)의 화합물을 수득하기 위한 기로 전환시키고, 일반식(I)의 화합물내에 있는 A1, A2, R1, R2, R3, R|4, R5및 R13치환중에서 한개이상의 치환체를 일반식(I)에서 정의되는 다른 치환제로 전환시키거나 전술한 반응에 의하여 수득된 일반식(I)의 화합물들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부가염으로 전환시키고, 전술한 모든 반응들을 임의적으로 촉매가 존재하는 반응조건하에서 반응물이나 반응 생성물들과 반응하지 않는 용매의 존재하에서 진행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I)의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와 그것의 토오토머를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2
    (I)
    Figure kpo00013
    (Ⅲ)
    Figure kpo00014
    (IV)
    Figure kpo00015
    (V)
    Figure kpo00016
    (VI)
    R5R13NCOCH2COOH (Ⅶ)
    R5R13NCOCH2CN (Ⅷ)
    Figure kpo00017
    (IX)
    이식에서 A1과 A2과 3, 4-이중결합 보다는 2, 3-이중결합으로 서로 교환되고, 서로 같거나 다를수도 있는 R1, R2및 R3는 수소,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할로겐기, NO2, OH, OCOR8, NR6R7및 NR6COR8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며, 또한 R1과 R2또는 R2와 R3는 메틸 렌디옥시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R4는 저급알킬기, 저급알케닐기, 퀴놀린 고리중 8-위치의 탄소원자와 고리를 형성하는 저급 알킬렌기,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OH 및 OCOR8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환제로 단일치환 혹은 이치환된 시클로알킬기및 저급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및 할로겐기(특히 F, Cl 및 Br)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환제로 단일치환 혹은 이치환된 페닐기이고, R는 S와 N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2개까지의 헤테로 원자들을 함유하고 있는 오각형이나 육각형으로된 헤테로고리와 저급 알킬기, 저급 알콕시기 및 할로겐(특히 F와 Cl)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한 치환체들로 단일치환 혹은 이치환되며, R5가 다음 일반식(II)의 기일때 그 기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kpo00018
    (II)
    (상기 일반식(II)에서, 서로 같거나 다를 수도 있는 R9, R10및 R11은 수소, 저급알킬기, 저급 알케닐기, 저급 알콕시기, 저급 알킬티오기, 할로겐기, CN, SO2CH3, OH, OCOR8, NR6R7, NR6COR8, COOR12, OCH2COOR12, CH2COOR12, COR8및 m이 4 또는 5인 -N(CH2)m이고, 또한 R9와 R10혹은 R10과 R11은 메틸렌 디옥시기를 형성할 수 있다.
    A1은 OR12, OCOR8, NR6R7및 NR6COR|8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A2는 0와 NR6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R6과 R7은 수소와 저급 알킬기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R8은 저급 알킬기이고, R12는 저급 알킬기와 수소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 및 유기 양이온 중에서 선택된 M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R13은 OH, OR8및 OCOR8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된 치환체로 치환되는 급저 알킬기, 수소및 저급 알케닐기 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R9, R10및 R11이 급저 알킬기, 저급 알케닐기및 저급 알콕시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무기산 혹은 유기산의 부가염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될때 R13은 OH, OR8및 OCOR8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된 치환체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 및 저급 알케닐기로부터 선택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13은 임의 적으로 치환된 저급 알킬기나 저급 알케닐기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A1은 OH이고 A2는 0이고 R4는 저급 알킬기이고 R5는 앞에서 정의된 일반식(II)의 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R13은 수소이고 R4는 저급 알킬기이고 R5는 헤테로고리임을 특징으로하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1은 NR6R7이나 NR6COR8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되고 A2는 0이고 R4는 저급 알킬기이고 R5는 앞에서 정의된 일반식(II)의 기이고 R6, R7및 R8은 일반식(I)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R13은 수소이고 R5는 앞에서 정의된 일반식(II)의 기이고 R9, R10및 R11은 할로겐, OH, OCOR8, NR6R7, NR6COR8, -N(CH2)m, COOR12, OCH2COR12및 CH2COOR12(R6, R7, R8, R12및 m은 앞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R4가 퀴놀린 고리중 8-위치에 있는 탄소원자와 고리를 형성하는 저급 알킬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카르사미드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R5가 피리된, 피라졸, 이미다졸, 이소티아졸, 티아졸, 피리다졸, 피리미딘 및 피라진 등으로 이루어진 기중에서 선택된 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8. 제1내지 7항중 어느 한가지 항에 있어서, R1, R2및 R3치환체중 적어도 2개의 치환체가 수소이고 R5가 앞에서 정의된 일반식(II)의 기 일때 R9, R10및 R11치환체중 적어도 한개의 치환체가 수소임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다음 화합물들을 제조하고 무기 혹은 유기 양이온과 반응시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전환시키거나 무기산이나 유기산으로 반응시켜 부가염으로 전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a) N-(4-디메틸아미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b) N-(4-카르복시메틸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c) N-(4-히드록시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d) N-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e) N-페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f)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 퀴놀린-3-카르복사미드
    g) N-(2-티아졸릴)-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h) N-메틸-N-페닐-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i) N-메틸-N-(2-티아졸릴)-4-아미노-1, 2-디히드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j) 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아미노-1-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
    k)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2-옥소-1, 8-트리메틸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l) N-메틸-N-페닐-1, 2-디히드로-6-디메틸아미노-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m) N-(2-이미다졸일)-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n) N-(4-메톡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o) N-메틸-N-(2-피리딜)-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p) N-(4-클로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q) N-메틸-N-피라지닐-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r) N-메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s) N-메틸-N-피라지닐-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t) N-메틸-N-(2-티아졸일)-1, 2-디히드로-1, 8-에틸렌-4-히드록시-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u) N-(2-히드록시페닐)-N-메틸-1, 2-디히드로-4-히드록시-1-메틸-2-옥소-퀴놀린-3-카르복사미드.
KR8200910A 1981-03-03 1982-03-03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KR8600018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106594 1981-03-03
GB8106594 1981-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9037A KR830009037A (ko) 1983-12-17
KR860001876B1 true KR860001876B1 (ko) 1986-10-24

Family

ID=1052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910A KR860001876B1 (ko) 1981-03-03 1982-03-03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2) US4547511A (ko)
EP (1) EP0059698B1 (ko)
JP (1) JPS57171975A (ko)
KR (1) KR860001876B1 (ko)
AT (1) ATE15798T1 (ko)
AU (1) AU547849B2 (ko)
CA (1) CA1182455A (ko)
DE (1) DE3266464D1 (ko)
DK (1) DK157859C (ko)
ES (1) ES8400409A1 (ko)
FI (1) FI79532C (ko)
GR (1) GR76073B (ko)
HK (1) HK38689A (ko)
HU (1) HU186909B (ko)
IE (1) IE52670B1 (ko)
IL (1) IL65028A (ko)
NO (1) NO163130C (ko)
NZ (1) NZ199888A (ko)
PH (1) PH18520A (ko)
PT (1) PT74512B (ko)
ZA (1) ZA821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9753A (en) * 1964-08-31 1966-08-30 Data Man Inc Bookkeeping unit
IE52670B1 (en) * 1981-03-03 1988-01-20 Leo Ab Heterocyclic carboxamides,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US4400017A (en) * 1981-03-04 1983-08-23 Pendergrass Russell G Integrated budget and check record book
US4650804A (en) * 1984-03-30 1987-03-17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Quinolizinone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useful as anti-ulcerative and anti-allergic agents
DE3420116A1 (de) * 1984-05-30 1985-12-05 Bayer Ag, 5090 Leverkusen Immunstimulierende mittel
US4786644A (en) * 1987-11-27 1988-11-22 Hoechst-Roussel Pharmaceuticals Inc. 1-aryl-3-quinolinecarboxamide
IT1228293B (it) * 1989-02-06 1991-06-07 Angeli Inst Spa Benzoderivati di composti eterociclici contenenti azoto.
US5310913A (en) * 1989-06-09 1994-05-10 Kabi Pharmacia Aktiebolag Derivatives of quinoline-3-carboxanilide
SE8902076D0 (sv) * 1989-06-09 1989-06-09 Pharmacia Ab Derivatives of quinoline-3-carboxanilide
SE9000624D0 (sv) * 1990-02-22 1990-02-22 Pharmacia Ab New use
US5691350A (en) * 1990-02-22 1997-11-25 Kabi Pharmacia Ab Use of linomide for treatment of retrovirus infections specifically HIV infections
US5504092A (en) * 1990-03-27 1996-04-02 Pharmacia Ab Use of Linomide to increase hemopoietic cell precursors
SE9001111D0 (sv) * 1990-03-27 1990-03-27 Pharmacia Ab Supportive use
CA2091173A1 (en) * 1990-09-07 1992-03-08 Adriano Afonso Antiviral compounds and antihypertensive compounds
AU8665991A (en) * 1990-09-07 1992-03-30 Schering Corporation Antiviral compounds and antihypertensive compounds
WO1992004326A1 (en) * 1990-09-07 1992-03-19 Schering Corporation Antiviral compounds
US5219864A (en) * 1991-03-12 1993-06-15 Kyowa Hakko Kogyo Co., Ltd. Thienopyridine derivatives
GB9108547D0 (en) * 1991-04-22 1991-06-05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oline derivatives
SE469368B (sv) 1991-10-09 1993-06-28 Kabi Pharmacia Ab Ny anvaendning av linomide foer tillverkning av laekemedel foer behandling av multiple sclerosis (ms)
TW222276B (ko) * 1992-01-27 1994-04-11 Fujisawa Pharmaceutical Co
SE9201076L (sv) * 1992-04-06 1993-10-07 Shimon Slavin Användningen av gamla läkemedel för behandling av diabetes
GB9311562D0 (en) * 1993-06-04 1993-07-21 Fujisawa Pharmaceutical Co Heterocyclic derivatives
SE9302490D0 (sv) * 1993-07-26 1993-07-26 Kabi Pharmacia Ab New use of old drugs
GB9404378D0 (en) * 1994-03-07 1994-04-20 Fujisawa Pharmaceutical Co Quinoline derivatives
SE9400810D0 (sv) * 1994-03-10 1994-03-10 Pharmacia Ab New use of Quinoline-3-carboxamide compounds
SE9400809D0 (sv) * 1994-03-10 1994-03-10 Pharmacia Ab New use of quinoline-3-carboxamide compounds
CA2222471A1 (en) * 1996-03-27 1997-10-02 Toray Industries, Inc. Ketone derivatives and medical application thereof
US5912349A (en) * 1997-01-31 1999-06-15 Pharmacia & Upjohn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roquinimex
JPH1171351A (ja) * 1997-08-29 1999-03-16 Ss Pharmaceut Co Ltd 置換キノロン誘導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
US6077851A (en) * 1998-04-27 2000-06-20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SE9801474D0 (sv) * 1998-04-27 1998-04-27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SE9802549D0 (sv) * 1998-07-15 1998-07-15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US6133285A (en) * 1998-07-15 2000-10-17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SE9802550D0 (sv) * 1998-07-15 1998-07-15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US6121287A (en) * 1998-07-15 2000-09-19 Active Biotech Ab Quinoline derivatives
JP2000044560A (ja) * 1998-07-31 2000-02-15 Kyorin Pharmaceut Co Ltd ベンゾキノリジ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044561A (ja) * 1998-07-31 2000-02-15 Kyorin Pharmaceut Co Ltd ピロロキノリ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56323A (ja) 1999-01-08 2000-09-19 Japan Tobacco Inc 2−オキソキノリン化合物及びその医薬用途
SE0002320D0 (sv) * 1999-10-25 2000-06-21 Active Biotech Ab Malignant tumors
RS51019B (sr) 1999-10-25 2010-10-31 Active Biotech Ab. Lekovi za lečenje malignih tumora
AU1302301A (en) * 1999-11-08 2001-06-06 Sankyo Company Limited Nitrogenous heterocycle derivatives
US6525049B2 (en) 2000-07-05 2003-02-25 Pharmacia & Upjohn Company Pyrroloquinolones as antiviral agents
JP2003012667A (ja) * 2001-06-26 2003-01-15 Rrf Kenkyusho:Kk キノリンカルボキサミド骨格を有する抗菌剤
US6822097B1 (en) * 2002-02-07 2004-11-23 Amgen, Inc. Compounds and methods of uses
US6875869B2 (en) * 2002-06-12 2005-04-05 Active Biotech Ab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quinoline derivatives
SE0201778D0 (sv) * 2002-06-12 2002-06-12 Active Biotech Ab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quinoline derivatives
US7560557B2 (en) * 2002-06-12 2009-07-14 Active Biotech A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quinoline derivatives
US7893096B2 (en) 2003-03-28 2011-02-22 Novartis Vaccines And Diagnostics, Inc. Use of small molecule compounds for immunopotentiation
WO2004104000A1 (ja) * 2003-05-23 2004-12-02 Japan Tobacco Inc. トリサイクリック縮合環化合物およびその医薬用途
SE0400235D0 (sv) * 2004-02-06 2004-02-06 Active Biotech Ab New composition containing quinoline compounds
US8314124B2 (en) 2004-02-06 2012-11-20 Active Biotech Ab Crystalline salts of quinoline compounds and methods for preparing them
WO2006115509A2 (en) 2004-06-24 2006-11-02 Novartis Vaccines And Diagnostics Inc. Small molecule immunopotentiators and assays for their detection
EP2277595A3 (en) 2004-06-24 2011-09-28 Novartis Vaccines and Diagnostics, Inc. Compounds for immunopotentiation
US7228698B2 (en) * 2005-06-30 2007-06-12 Premark Feg L.L.C. Refrigeration unit
WO2007038571A2 (en) * 2005-09-26 2007-04-05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Prolyl hydroxylase antagonists
BRPI0617477A2 (pt) * 2005-10-19 2011-07-26 Teva Pharma mistura de partÍculas cristalinas de laquinimod sàdica, composiÇço, processo de cristalizaÇço de laquinimod sàdica, laquinimod sàdica, e, processo para produzir uma composiÇço farmacÊutica
EP1960363B1 (en) * 2005-12-09 2014-01-22 Amgen, Inc. Quinolone based compounds exhibiting prolyl hydroxylase inhibitory activity,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07124617A1 (fr) * 2006-04-28 2007-11-08 Institute Of Mataria Medica, Chinese Academy Of Medical Sciences Dérivés de coumarine, leurs procédés de préparation,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et utilisations
EP2035001B1 (en) 2006-06-12 2011-11-09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Stable laquinimod preparations
PL2682120T3 (pl) * 2007-12-20 2017-02-28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Stabilne preparaty lakwinimodu
PL2276740T3 (pl) * 2008-04-28 2015-01-30 Actavis Group Ptc Ehf Ulepszony sposób wytwarzania pochodnych chinolino-3-karboksyamidowych
BRPI0913518A2 (pt) * 2008-09-03 2016-07-26 Teva Pharma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método de tratamento de um distúrbio mediado por função imune
SI2349263T1 (sl) 2008-10-23 2014-09-30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Modulatorji cistiäśno-fibroznega transmembranskega regulatorja prevodnosti
WO2010059549A1 (en) * 2008-11-18 2010-05-27 Glaxosmithkline Llc Prolyl hydroxylase inhibitors
US20120009226A1 (en) * 2008-12-17 2012-01-12 Actavis Group Ptc Ehf Highly pure laquinimo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E02414B (me) * 2009-07-30 2016-09-20 Teva Pharma Tretman kronove bolesti lakvinimodom
EP3064206B1 (en) * 2009-08-10 2019-03-20 Active Biotech AB Treatment of huntington's disease using laquinimod
BR112012021905A2 (pt) * 2010-03-03 2015-09-29 Teva Pharma tratamento de nefrite lúpica usando laquinimod
PT2542080T (pt) * 2010-03-03 2016-11-16 Teva Pharma Tratamento de artrite causada por lúpus usando laquinimod
JP5819328B2 (ja) * 2010-03-03 2015-11-24 テバ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リミティド ラキニモドとメトトレキセートとの組合せによる関節リウマチの治療
AU2011274502A1 (en) * 2010-07-09 2013-02-28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5-chloro-4-hydroxy-1-methyl-2-oxo-N-phenyl-1,2-dihydroquinoline-3-carboxamide, salts and uses thereof
SG10201505236YA (en) 2010-07-09 2015-08-28 Teva Pharma Deuterated n-ethyl-n-phenyl-1,2-dihydro-4-hydroxy-5-chloro-1-methyl-2-oxoquinoline-3-carboxamide, salts and uses thereof
AU2011314411B2 (en) * 2010-10-14 2014-06-12 Immunahr Ab 1,2-dihydro-4-hydroxy-2-oxo-quinoline-3-carboxanilides as AhR activators.
FR2967353B1 (fr) * 2010-11-16 2013-08-16 Centre Nat Rech Scient Derives de quinolinone
FR2967498B1 (fr) * 2010-11-16 2015-01-02 Centre Nat Rech Scient Utilisation de derives de quinolinone comme outil de recherche
US8889627B2 (en) 2011-10-12 2014-11-18 Teva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with combination of laquinimod and fingolimod
US9206128B2 (en) 2011-11-18 2015-12-08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methyl modifying enzym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2780013A4 (en) 2011-11-18 2015-07-01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METHYL MODIFYING ENZYM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4093310A (zh) 2012-02-03 2014-10-08 泰华制药工业有限公司 拉喹莫德用于治疗一线抗TNFα疗法失败的克罗恩氏病患者的用途
CA2862289C (en) 2012-02-10 2019-11-26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methyl modifying enzym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EP2744498A4 (en) 2012-02-16 2014-12-03 Teva Pharma N-ETHYL-N-PHENYL-1,2-DIHYDRO-4,5-DI-HYDROXY-1-METHYL-2-OXO-3-CHINOLINE CARBOXAMIDE AND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TW201350467A (zh) 2012-05-08 2013-12-16 Teva Pharma N-乙基-4-羥基-1-甲基-5-(甲基(2,3,4,5,6-五羥基己基)胺基)-2-側氧-n-苯基-1,2-二氫喹啉-3-甲醯胺
TW201400117A (zh) 2012-06-05 2014-01-01 Teva Pharma 使用拉喹莫德治療眼發炎疾病
BR112015010193A2 (pt) 2012-11-07 2017-07-11 Teva Pharma sais de amina de laquinimod
KR20150143499A (ko) 2013-03-14 2015-12-23 테바 파마슈티컬 인더스트리즈 리미티드 라퀴니모드 나트륨의 결정 및 이의 개선된 제조방법
WO2014151142A1 (en) 2013-03-15 2014-09-25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Modulators of methyl modifying enzym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9969716B2 (en) 2013-08-15 2018-05-15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Indole derivatives as modulators of methyl modifying enzym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MX2016013944A (es) 2014-04-29 2017-01-09 Teva Pharma Laquinimod para el tratamiento de pacientes con esclerosis multiple recidivante-remitente (rrms) con un alto estado de discapacidad.
WO2017040190A1 (en) 2015-08-28 2017-03-09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Crystalline forms of (r)-n-((4-methoxy-6-methyl-2-oxo-1,2-dihydropyridin-3-yl)methyl)-2-methyl-1-(1-(1-(2,2,2-trifluoroethyl)piperidin-4-yl)ethyl)-1h-indole-3-carboxamide
US10457640B2 (en) 2016-10-19 2019-10-29 Constellation Pharmaceuticals, Inc. Synthesis of inhibitors of EZH2
GB202006390D0 (en) 2020-04-30 2020-06-17 Aqilion Ab Novel treatments
WO2021237112A1 (en) * 2020-05-21 2021-11-25 Stemsynergy Therapeutics, Inc. Notch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N111732540B (zh) * 2020-07-20 2020-11-13 湖南速博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罗喹美克的制备方法
WO2023039275A1 (en) 2021-09-13 2023-03-16 Eli Lilly And Company Ahr agonists
WO2024097606A1 (en) 2022-10-31 2024-05-10 Eli Lilly And Company Ahr agonists
WO2024107555A1 (en) 2022-11-15 2024-05-23 Eli Lilly And Company Ahr agonist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1784A (de) * 1966-01-26 1969-04-30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arbostyrilderivaten
US3524858A (en) * 1967-05-18 1970-08-18 Warner Lambert Pharmaceutical 1,4 - dihydro-1-substituted alkyl-6,7-methylenedioxy - 4 - oxoquinoline-3-carboxylic acid
CH578535A5 (en) 1973-05-11 1976-08-13 Ciba Geigy Ag 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s - with e.g. analgesic,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rops
CA1034124A (en) * 1973-05-11 1978-07-04 Ciba-Geigy A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new quinolines
CH578537A5 (en) 1973-05-11 1976-08-13 Ciba Geigy Ag 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s - with e.g. analgesic,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rops
CH578536A5 (en) 1973-05-11 1976-08-13 Ciba Geigy Ag 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s - with e.g. analgesic,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rops
CH578534A5 (en) 1973-05-11 1976-08-13 Ciba Geigy Ag Quinoline-3-carboxylic acid derivs - with e.g. analgesic, antinocicep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props
US3917609A (en) * 1973-06-27 1975-11-04 Minnesota Mining & Mfg Pyrroloquinoline carboxylic acids and derivatives
FR2281761A1 (fr) * 1974-08-13 1976-03-12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3-quinoleine 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
FR2340735A1 (fr) * 1976-02-11 1977-09-09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3-quinoleine carboxyliqu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
FR2482596A1 (fr) * 1980-05-19 1981-11-20 Roussel Uclaf Nouveaux derives de l'acide 4-hydroxy 3-quinoleine carboxylique substitues en 2,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comme medicament
IE52670B1 (en) * 1981-03-03 1988-01-20 Leo Ab Heterocyclic carboxamides,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47511A (en) 1985-10-15
IE52670B1 (en) 1988-01-20
IL65028A0 (en) 1982-04-30
PT74512B (en) 1983-11-08
NZ199888A (en) 1985-07-31
NO820642L (no) 1982-09-06
HK38689A (en) 1989-05-19
IL65028A (en) 1986-11-30
PT74512A (en) 1982-04-01
ZA821210B (en) 1983-01-26
DE3266464D1 (en) 1985-10-31
JPS57171975A (en) 1982-10-22
US4738971A (en) 1988-04-19
NO163130B (no) 1990-01-02
AU547849B2 (en) 1985-11-07
CA1182455A (en) 1985-02-12
KR830009037A (ko) 1983-12-17
FI820728L (fi) 1982-09-04
JPH049786B2 (ko) 1992-02-21
EP0059698B1 (en) 1985-09-25
AU8107682A (en) 1982-09-09
EP0059698A1 (en) 1982-09-08
FI79532B (fi) 1989-09-29
PH18520A (en) 1985-08-02
DK81282A (da) 1982-09-04
ES510042A0 (es) 1983-10-16
NO163130C (no) 1990-04-11
ES8400409A1 (es) 1983-10-16
FI79532C (fi) 1990-01-10
DK157859B (da) 1990-02-26
DK157859C (da) 1990-07-30
ATE15798T1 (de) 1985-10-15
IE820314L (en) 1982-09-03
GR76073B (ko) 1984-08-03
HU186909B (en) 198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876B1 (ko) 헤테로고리 카르복사미드의 제조방법
AU744518B2 (en) Novel heterocyclic compound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related diseases
US4269846A (en) Heterocyclic compounds useful as anti-allergy agents
CA1102802A (en) Benzothiazine derivatives
HU190408B (en) Process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mprising new benzimidazole-derivatives
NO151320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aktiv pyrrolidylmetyl-2-metoksy-4-amino-5-isopropyl-sulfonylbenzamider
US3266990A (en) Derivatives of quinazoline
US4299831A (en) 2-Trifluoromethyl-3-quinoline carboxamides,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compositions and methods employing them
US4518775A (en) Benzoxazine-4-one intermediates
NO147879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terapeutisk virksomme 2-substituerte benzimidazoler
KR0125938B1 (ko) 피리돈 카르복실산
HU207053B (en) Process for producing cinnolinecarboxamide derivatives and pharmaceuitcal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compounds
CA1218656A (en) Pyridothienotriazines
US5084456A (en) Oxazolopyridine compounds
EP0001175B1 (en) 4-aminoquinolin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930003613B1 (ko) 술폰아미드 유도체의 제조방법
NZ238648A (en) Substituted benzoxaz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4400382A (en) Thiazoloquinoxalin-1,4-diones for treating allergy
JPS62469A (ja) 新規キノロン誘導体、そのエステルおよびその塩
EP0790996B1 (en) Pyridazinoquinoline compounds
KR810001502B1 (ko) 4-하이드록시-2h-1, 2-벤조티아진-3-카복스아미드-1, 1-디옥사이드의 제조방법
US3433794A (en) Certain 7 - (2 - aminophenyl) - 4,5 - dihydro thieno(2,3-c)pyridines and derivatives thereof
CS203934B2 (en) Process for preparing new derivatives of 1,3 thiazino/ /3,4-b/isoquinolines
EP0088128A1 (en) Antiinflammatory and analgetic 4-pyridylpyridazin(2h)-3-ones
CZ277710B6 (en) Benzothiazine derivative, process of its preparation, its use as a medicament or as an intermediate for medica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