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250B1 - 현상장치의 시일(seal)구조 - Google Patents

현상장치의 시일(seal)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250B1
KR930002250B1 KR1019890011771A KR890011771A KR930002250B1 KR 930002250 B1 KR930002250 B1 KR 930002250B1 KR 1019890011771 A KR1019890011771 A KR 1019890011771A KR 890011771 A KR890011771 A KR 890011771A KR 930002250 B1 KR930002250 B1 KR 930002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apparatus
seal
developing
sealing
develo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698A (ko
Inventor
마사히꼬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미타 요시히로 filed Critical 미타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4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sealing film to be ruptured or c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2/00Dispensing
    • Y10S222/01Xer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현상장치의 시일(seal)구조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단면도.
제2도(a)는 동현상장치에 설치되는 시일(seal)부재의 평면도, 동도의 (b)는 종래의 시일부재의 평면도.
제3도(a)는 동현상장치의 시일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동도의 (b)는 동구조를 나타내는 저면도.
제4도는 상기 시일부재의 피인장부의 접는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그 접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a),(b)는 상기 현상장치에 설치되는 표시시이트(sheet)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상기 시일부재를 뽑아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8도(a),(b),(c),(d)는 동시일부재가 상부하우징(housing)으로부터 떨어지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9도는 종래의 시일부재를 뽑아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현상장치 2 : 하우징(housing)
2a : 열린부분 3 : 상부하우징
3a : 칸막이판 3b : 돌출부
4 : 하부하우징 5 : 현상제 수납부
5a : 개시제수납부 5b : 토우너(tomer)수납부
6 : 시일(seal)부재 6a,6b : 잘린부분
7 : 로우너 송출로울러 8 : 토우너보급로울러
9 : 현상제교반로울러 10 : 현상로울러
11 : 토우너콘트롤센서(tomer comtrol semser)
12 : 칸막이부재 13 : 시일스펀지(seal sponge)
14 : 이삭자르기판 15 : 현상제 스크레이퍼(scraper)
16 : 시일스펀지 17 : 라벨(label)
18 : 표시시이트(sheet) 61 : 중간부분
62 : 접는부 63 : 피인장부
63a : 되접어 꺾은부분 63b : 앞끌부분
101 : 현상장치 102 : 시일부재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facsimile) 등의 화상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현상장치에 있어서 사용되는 현상제나 토우너를 애초에 밀봉해 두기위한 시일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이 화상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현상장치에서는 그 내부에 미사용의 현상제나 토우너(본 명세서에서는 일괄해서 현상제라 칭한다)가 애초에 충진되는 경우가 있다.
이경우 상기 현상제가 사용전에 열화하지 않도록 그 현상제를 밀봉할 필요가 있고, 일반적으로는 현상장치 내부에 현상제 수납실을 마련하여 이 현상제 수납실 열린부분을 예를들면 필름상의 시일부재로 막아서 상기 현상제를 밀봉하는 구조가 사용된다. 또 현상장치에 따라서는 상기 현상제 수납실을 현상장치에 대해 붙였다 떼었다 하는 것기 가능한 카아트리지(Cartridge)의 열린 부분을 같은 모양으로 시일부재로 막도록한것도 있다.
이와같이 현상제가 현상장치내에 밀봉상태로 수납되는 경우에는 사용직전에 상기 시일부재가 현상장치 외부로부터 뽑아 내지게 된다. 그런네 상기 시일부재는 그 가장자리부분이 폭방향(현상장치의 안쪽방향) 전역에 걸쳐 현상장치의 하우징에 접착되기 때문에 이 방향과 수직의 방향으로 잡아 당겨도 시일부재를 빼내기는 곤란하고 경사방향으로부터 잡아 당기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되어있다.
예를들면 종래 기술로서 제9도에 나타낸 현상장치(101)에 있어서는 그 길이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시일부재(102)를 뽑아내는 것은 곤란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성분에 추가해서 현상장치의 안쪽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사방향(화살표 X1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므로서 비교적 적은 힘으로 시일부재(102)를 그 끝부분으로부터 서서히 잡아 벗길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와같이 시일부재(102)를 잡아당기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좋지않은 상태가 발생한다.
① 뽑아내기가 용이한 잡아당기는 방향이 제조자측에서 확인되어 있어도 실제로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는 그 방향을 알수 없기 때문에 양호하게 뽑아내기를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 이와같은 뽑아내기를 행하는 때에 설명서를 참조하든가 보수요원에게 의뢰하든가 하는 것은 대단히 귀찮은 일이다.
② 시일부재(102)를 잡아당길 경우 그 인장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끝부분[현상장치(101)내에 위치하는 끝부분]에는 거의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고 이 끝부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인장시에 현상장치 내에서 주름이 생기기 쉽다. 이와같은 주름속에 현상제의 일부가 끼인 상태로 시일부재(102) 전체가 뽑아내지므로서 현상장치 외부에 현상제가 비산할 염려가 있다.
③ 시일부재(102)를 경사방향 즉,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그 잡아당겨지는 쪽의 가장자리 부분이 남아서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느슨함이 생겨 이와같은 노슨한 부분이 다른 부품등에 걸려서 뽑아내기가 곤란해 지든가, 시일부재(102)가 찢어지든가 하는 경우가 있다.
④ 상기의 뽑아내기 작업을 양호하게 행하기 위하여는 시일부재(102)에 있어서, 현상장치(101)의 외부로 도출하는 부분, (손으로 잡는부분)을 길게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마는 이와같은 도출부분을 길게할 수록 화상형성장치에의 조립시에 방해가 되고, 상기 도출부분이 화상형성 장치의 부품에 걸리기 쉽게 된다. 또, 이와같은 도출부분을 접는 식으로 해도 그 접은 부분의 전체를 현상장치의 외면등에 부착시키지 않으면 상기한 좋지 목한 상태는 해소할 수가 없기 때문에 대규모의 부착구조가 필요하게 되고 또 개봉시의 떼어내는조작도 용이하지 않다.
⑤ 일반적으로 상기 시일부재(102)는 그 뽑아내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중간 부분에서 되접어 꺾어져서 피인장부와 접은 부분과로 나누어져 피인장부만이 현상장치의 외부로 도출된 상태로 현상장치 내부에 부착된다.
이때 현상장치가 2성분계 현상제를 사용하는 것이고, 그 내부에 현상제 수납부와 토우너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어 각각에 수납되는 현상제 및 토우너를 한장의 시일부재(102)로 밀봉하고저 하는 경우에는 상기 피인장부의 앞쪽끝부분이 현상장치에 설치된 현상제 스크레이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현상제 수납부와 토우너 수납부와를 구획하는 칸막이 판등에 걸려 찢어지는 등의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므로서 현상장치에 설치한 시일부재를 좋지못한 상태가 없도록 뽑아낼 수가 있는 시일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상제 수납부를 갖는 현상장치에 상기 현상제 수납부내의 미사용 현상제를 밀봉하는 시일부재를 설비하여 이 시일부재의 일부를 현상장치의 외부로 도출해서 피인장부로 하고, 이 피인장부를 잡아 당기므로서 그 시일 부재가 현상장치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현상장치의 시일 구조에 있어서, 이 현상장치의 외부에 상기 시일부재의 인장방향으로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설비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표시부재의 표시를 주의해 보므로서 극히 용이하게 시일부재의 적절한 인장방향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경우 표시부재의 표시위치를 실제의 시일부재의 피인장부의 위치와 거의 합치시키므로서 인장방향의 표시는 보다 명료하게 되고 상기 방향의 확산은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시일부재를 그 중간부분에서 되접어 꺾어서 상기 피인장부와 접는 부분과로 나누어 이 접는 부분을 현상장치 본체쪽에 부착함과 아울러 그 접는 부분의 가장자리부분에 시일부재의 인장시에 그 시일부재에 있어서 현상장치내에 위치하는 끝부분과 다른 부분과를 분리시키는 균열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장시에 균열부를 경계로해서 시일부재가 균열하여 이 시일부재에 있어서 현상장치의 내부에 위치하는 끝부분과 그외의 부분이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끝부분이 다른 부분과 일체로 뽑아내지는 일이 없다.
즉, 상기 균열부로부터 본래 주름이 잡히기 쉬웠든 끝부분이 분리되어 다른부분만이 현상장치로부터 뽑아내지기 때문에 시일부재에는 주름이 지기 어렵고 종래와 같이 상기 주름에 끼인 현상제가 현상장치 외부로 운반되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현상장치 본체의 외부에 시일부재가 삽입가능한 시일누름부를 설비항과 아울러 시일부재의 피인장부를 중간부분에서 되접어 꺾어서 되접어 꺾는 부분을 상기 시일누름부에 삽입하고 피인장부의 앞쪽 끝부분을 현상장치 상면에 부착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피인장부의 중간부분이 시일누름에 의해 눌리고 있으므로 그 앞쪽 끝부분만을 접착한 것이라도 피인장부는 다른 부품에 걸리기 어렵다.
더구나 상기 시일누름부로서 시일부재를 빼낸 상태에서 피인장부를 잡고 잡아당기므로서 그 뽑아내기가 용이하게 행해진다. 즉, 간단한 구조로 상기 피인장부가 현상장치의 조립시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더구나 피인장부를 뻗힌 상태로 그 피인장부를 잡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시일부재를 잡아당길 수가있다.
또, 본 발명은 피인장부의 끝부분에서 시일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옆쪽 가장자리에 이르는 윤곽을 시일부재의 안쪽에 절단해서 끼운 형상을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절단해서 끼운 형상을 한쪽으로 시일부재를 잡아 당기므로서 그 시일부재를 경사방향으로 잡아당겨도 그 피인장측 가장자리부가 남지않고 이 때문에 느슨함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시일부재의 빼냄은 양호하게 행해진다. 또, 본 발명은 개시현상제 수납부와 토우너 수납부와를 갖는 현상장치에 상기 현상제 수납부재의 미사용 현상제 및 상기 토우너내의 미사용 토우너를 밀봉하는 단일의 시일부재를 설비하여 이 시일부재의 일부를 현상장치의 외부에 도출해서 피인장부로 하고 이 피인장부를 잡아 당기므로서 그 시일부재가 현상장치로부터 떼어내지도록 구성한 현상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시일부재를 그 중간 부분에서 되접어 꺾어서 상기 피인장부와 접는 부분과로 나누어 접는 부분을 현상장치 본체쪽에 부착함과 아울러 피인장부의 끝부분을 시일부재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상기 현상제 수납부와 토우너 수납부와의 경계부분보다도 시일부재의 빼내는 쪽에 위치시킨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일부재의 접는 부분의 앞쪽 끝부분이 개시현상제 수납부와 토우너 수납부와의 경계부분보다도 빼내는 쪽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앞끝부분이 시일부재를 뽑아내는 도중에 현상제 스크레이퍼등에 걸리는 일이 없고 시일부재를 양호하게 빼낼 수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있어서의 현상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동도에 나타낸 현상장치(1)은 따로 청소장치나 감광체 드럼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유니트(Processunit)의 하우징(이하 PU 하우징이라 한다)(2)내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다. 이 현상장치(1)은 상부하우징(3) 하부하우징(4)를 갖고 상기 상부하우징(3)에는 아래쪽으로 열린는 현상제 수납부(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현상제 수납부(5)는 그 중앙에 배치된 칸막이판(3a)에 의해 스타트제 수납부(개시 현상제 수납부)(5a)와 토우너 수납부(5b)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스타트제 수납부(5a)에는 토우너 및 캐리어(Carrier)가 애초에 혼합된 미사용 현상제(스타트제)가 수납되어 토우너 수납부(5b)에는 미사용 토우너만이 수납되어 있다. 그리하여 양 수납(5a)(5b)내에 있어서의 스타트제 및 토우너의 양쪽을 밀봉하도록 시일부재(6)(상세한것은 다음에 기술)이 설비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6)의 아래쪽에는 토우너 송출로울러(7) 토우너 보급로울러(8) 현상제 교반로울러(9) 및 현상로울러(10)이 배치되어 있다.
또, 현상로울러(1)의 거의 위쪽에는 토우너 콘트롤센서(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토우너 콘트롤센서(11)에 의해 현상장치(1)내의 토우너와 캐리어의 혼합비율이 검출된다, 토우너 보급로울러(8)은, 상기 칸막이판(3a)의 거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현상장치(1)내에 설치된 간막이부재(12) 및 하부하우징(4)의 내면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어, 현상장치(1)내부를 좌우로 구획하고 있다.
이 토우너 보급 로울러(8)은 상기 토우너 송출로울러(7)과 같이 연동으로 구동되어, 그 구동이 상기 토우너 콘트롤센서(11)의 출력에 따라서 제어되도록 되어 있고, 그 구동에 의한 보급에 의해 현상로울러(10)으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토우너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림에 있어서(14)는 현상로울러(10)위의 현상제의 이삭을 자르는 이삭자르기판(15)는 현상제 스크레이퍼이다.
다음에 상기 시일부재(6)에 의한 시일구조를 제2도∼제6도에 따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시일부재(6)은 제2도(a)에 나타낸 바와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동도(b)에 나타낸 종래의 시일부재(6')와 다르고, 현상장치(1)에 접착된 상태로 그 현상장치(1)의 바로앞쪽(시일부재(6)의 피인장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제2도(a)에서는 아래쪽 가장자리부]의 윤곽이 잘라서 끼워진 원호상으로 되어있고, 또한 소정의 2개소에 잘린부(균열부)(6a)(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시일부재(6)은 제3도(a)(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현상장치(1)내에 있어서 중간부분(61)에서 되접어 꺾어서 접는부(62)와 피인장부(3)과로 나누어져 있고, 상기 접는부(62)가 상부하우징(3)의 하면에 떨어질수 있는 접착력으로 접착되어[제3도(b)의 그물금친 부분이 접착영역]이것에 의해 현상제 수납부(5)내의 미사용 현상제 및 미사용 토우너가 밀봉되어 있다.
한편 피인장부(63)에 대해서는 그 일부가 상부하우징(3)과 하부하우징(4)와의 사이의 간격 및 PU하우징(2)에 마련된 열린부(2a)를 통해 바깥쪽으로 도출됨과 아울러 그 피인장부(63)의 끝부분이 그 폭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칸막이판(3a)보다도 빼내는 쪽(그림에서는 우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칸막이부재(12) 윗면에 마련된 시일스펀지(Seal Sponge)(16)과 칸막이판(3a)의 아랫면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있다.
또, 상기의 잘린부(6a)(6b)는 상기 접는부(62)의 안쪽 가장자리부 및 상기 중간부분(61)에 근접한 가장자리부분[제3도(b)에서는 아래쪽 가장자리부분 및 왼쪽 가장자리부분]의 소정위치에 마련되어 있고 그 위치는 시일부재(6)이 잡아당겨질때 이들 잘린부(6a)(6b)로부터 균열이 생겨 제2도(a)의 왼쪽위끝부분 및 오른쪽 아래끝부분이 기타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1도 및 제3도(a)에 있어서(13)은 시일부재(6)에 부착한 현상제를 훑어내기 의한 시일스펀지(Seal Sponge)이다.
상기 피인장부(63)의 끝부분은 제4도 2점 사슬금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장치 외부에서 손으로 충분히 잡을 수 있을 정도의 길이가 확보되어 있고, 사용전에는 같은 그림의 실선 및 제5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중간부분에서 되접어 꺾인 상태로 상부하우징(3)의 윗면에 부착되어져 있다.
상세하게는 제4,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상부하우징(3)의 윗면에 평면구형상의 돌출부(3b)가 형성되어 이 돌출부(3b)가 PU 하우징(2) 윗벽에 형성된 상기 열린부분(2a)로부터 외부로 면하고 있고, 이 열린부분(2a)의 가장자리 부분과 상기 돌출부(3b)의 가장자리부분과의 사이로부터 PU 하우징(2)의 아래쪽으로 피인장부(63)의 되접어 꺾은 부분(63a)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제5도의 상태) 즉 상기 열린부분(2a)의 가장자리부분에 의해서 피인장부(63)의 되접어 꺾은 부분(63a)가 눌리는 상태로 앞끝부분(63b)가 레벨(17)에 의해 돌출부(3b)윗면에 부착되어져 있다. 또한 이 현상장치(1)에는 사용전의 상태로 제6도(a)(b)에 나타낸 바와같이 표시시이트(표시부재)(18)이 마련되어 있다.
이 표시시이트(18)은 그 한쪽 가장자리부분이 PU 하우징(2)의 윗면을 덮은 것과 같은 상태로 다른쪽 가장자리부분이 PU 하우징(2)의 윗면에 떼어낼수 있도록 접착되어 있다. 같은 그림(a)의 상태로 윗쪽을 향햐는 면(18a)에는 이 표시시이트(18)의 가장자리 부분을 PU 하우징(2)로 부터 벗겨 우측으로는 여는 조작을 나타내는 표시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대해 같은 그림(b)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표시시이트(18)을 연상태로 위를 향하는 면(18b)에는 실제로 일부재(6)을 뽑아내는 수순(후술)에 대한 표시가 마련되어 있다.
더구나 이 표시는 시일부재(6)을 뽑아낼때에 그 시일부재(6)의 피인장부(63)과 실제로 거이 합치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이 시일부재(6)의 뽑아내는 요령을 제7도 및 제8도(a)-(d)를 병행하여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사용전의 상태에서는 상기 현상장치(1)은 프로세스 유니트와 일체로 복사기 본체내에 조립된 상태에 있기때문에 우선 프로세스 유니트 전체를 복사기 본체로부터 일단 빼낸다, 이때 피인장부(63)의 되접어 꺾은부분(63a)는 시일누름부인 PU 하우징(2)의 아래쪽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앞에 끝부분(63b)가 레벨(17)로 멈추어져 있는 정도의 상태에서도 피인장부(63)이 복사기내의 다른 부분에 걸리는 일이없다.
상기와 같은 프로세스 유니트를 복사기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PU 하우징(2)에 표시시이트(18)이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6도(a)]그 표면(18a)의 표시에 따라 표시시이트(18)을 벗겨서 그림의 우측에 전개하고, 제6도(b)의 상태로 한다. 그리하여 이 상태에서 위를 향하는 면(18b)의 표시에 따라 시일부재(6)의 빼내기를 행한다.
우선 라벨(17)을 제6도(a) 거의 아래쪽으로 벗겨 피인장부(63)의 앞끝부분(63(b)를 잡고 그 앞끝부분(63b)을 잡아당겨 되접어 꺾은 부분(63a)를 PU 하우징(2)와 돌출부(3a)의 사이로부터 빼낸다. [표시시이트(18)의 표시 ①참조] 그리하여 피인장부(63)을 늘려서 손으로 잡고 (제4도 2점 사슬금). 이어서 같은 도면 및 제6도(b)의 오른쪽 경사, 아래쪽 방향으로 잡아당긴다.(표시 ②참조).
이때 제2도(a)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일부재(6)의 앞쪽 가장자리부분은 안쪽으로 잘라끼운 형상을 하고있기 때문에 상기의 방향으로 잡아당겨도 제7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느슨함은 생기기 어렵다.(전기 제9도와 비교참조).
다음에 상기 시일부재(6)이 PU 하우징(2)에 있어서의 열린부분(2a)의 앞쪽 가장자리부분에 맞닿는 시점에서 이번에는 피인장부(63)을 현상장치(1)의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표시 ③참조 시일부재(6)을 완전히 뽑아낸다.
(표시 ④참조) 여기까지의 조작중 실제의 피인장부(63)의 위치와 표시시이트(18)의 표시위치와는 항상 거의 합치하고 있기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표시를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조작중 시일부재(6)은 제8도(a)-(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해서 상부하우징(3)으로부터 벗겨 떨어진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편의상 피인장부(63)가 상부하우징(3)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자유로운 상태를 그리고 있지만 실제의 현상장치(1)내에서의 빼내기에서는 상기 피인장부(63)의 끝부분은 폭방향 전체에 걸쳐 칸막이판(3a)보다도 빼내는 쪽(제2도(a)에서 우측)에 위치하고, 칸막이판(3a)와 시일스펀지(16)과의 사이에 끼어있어 접는부(62)와 거의 밀접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피인장부(63)의 끝부분이 상기 현상제 스크레이퍼(15)나 칸막이판(3a) 시일스펀지(16)등에 걸릴 가능성은 없다.
상기 제8도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상기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므로서 시일부재(6)은 같은 도면의 (a)의 오른쪽 아래구석의 부분으로부터 벗겨 떨어져 가지만 벗겨 떨어진 부분이 잘린부분(6a)에 도달하면 이 잘린부분(6a)에서 균열이 생겨 같은 도면(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도면상 오른쪽 위의 끝부분이 상부하우징(3)에 남겨져 다른 부분만이 장치바깥쪽으로 뽑혀나간다.
다시 벗겨 떨어진 부분이 잘린부분(6b)에 도달하면 이 잘린부분(6b)에서도 균열이 생겨(같은 도면(C)) 최종적으로 같은 도면(d)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오른쪽 위끝부분과 왼쪽아래끝부분이 남겨져 다른 부분이 전부 뽑혀진다.
이들 남겨진 끝부분은 시일부재(6)의 인장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가장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인장력이 작용하기 어렵고 본래는 가장 주름이 지기 쉬웠던 부분이었으나 이 부분이 분리해서 상부하우징(3)쪽에 남게되므로서 상기의 주름에 현상제가 끼어서 장치 외부에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해서 시일부재(6)이 뽑아내지므로서 현상제 수납부(5)가 그 아래쪽의 공간과 서로 연통되어 미사용 현상제(스타트제)가 토우너 보급로울러(8)의 제1도 좌측의 공간에 낙하하고, 미사용 토우너가 같은 도면 우측의 공간에 낙하한다.
따라서 이상태로 상기의 표시시이트(18)을 PU 하우징(2)로부터 잡아벗겨(동시이트(18)의 표시 ⑤참조) 현상장치(1)을 프로세스 유니트와 같이 복사기 내에 다소 조립하므로서 사용가능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또, 남겨진 시일부재(6)상에 잔류하고 있는 현상제 및 토우너는 상기의 조립시의 충격등에 의해 아래쪽의 공가능로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같은 실시예 이외에도 예를들면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영상을 취할 수도 있다.
① 상기 실시예에서는 2개소에 잘린부분(6a)(6b)를 마련하여 현상장치(1)내에 위치하는 양쪽끝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그 구조에 대해 가장 주름이 잡히기 쉬운 끝부분을 적어도 분리할수 있으면 1개소만 마련한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균열부는 상기와 같은 잘라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단순히 끊어진 자국이나 재봉틀자국에 의해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②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일부재(6)에 있어서의 앞쪽 가장자리부분의 윤곽을 원호상으로 하고 있지만 잡아 당길때에 느슨함이 생기지 않는 형상이면 다른 곡선이나 복수의 직선으로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③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유니트에 조립되는 현상장치(1)의 상부하우징(3)의 윗면에 돌출부(3b)를 마련하고 PU 하우징(2)의 윗쪽벽에 의해 시일누름부를 구성하고 있지만 피인장부(63)의 되접어 꺾는 부분(63a)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예를들면 현상장치(1)의 프로세스 유니트에 조립되지 않고 독립되어 있는 것인 경우나, 프로세스 유니트에 현상장치(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현상장치(1) 또는 프로세스 유니트의 외면에 시일부재(6)을 삽입할 수 있는 홈등을 형성하므로서 상기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④ 상기 실시예에서는 2성분계 현상제가 사용되는 현상장치(1)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출원의 청구항 18에 관한 발명 이외의 발명에 대해서는 1성분계 현상제가 사용되고 단일의 현상제 수납부만을 갖는 현상장치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 2성분계 현상제가 사용되고 토우너 수납부만을 갖는 현상장치에 대해서도 같다.
⑤ 상기 실시예에서는 현상장치(1)내에 그 장치와 일체로 현상제 수납실(15)를 설치한 것을 나타냈지만 청구항 4,18에 관한 발명 이외의 발명에서는 상기 현상제 수납실을 현상장치 본체에 대해서 붙였다 떼었다할 수 있는 카아트리지로서 구성하여 이 카아트리지의 열린부분을 시일부재로 막은 상태로 현상장치 본체를장착하고, 장착후 현상장치 외부로부터 상기 시일부재를 빼내는 구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8)

  1. 현상제 수납부(5)를 갖는 현상장치(1)에 상기 현상제 수납부(5)내의 미사용 현상제를 밀봉하는 시일부재(6)을 마련하고, 이 시일부재(6)의 일부를 현상장치(1)의 외부로 도출해서 피인장부(63)으로 하고, 이 피인장부(63)을 잡아당기므로서 그 시일부재(6)이 현상장치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한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에 있어서 : 이 현상장치(1)의 외부에 상기 시일부재(6)의 인장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재(18)을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재(18)을 실제의 시일부재(6)의 피인장부(63)의 위치와 합치하는 위치에 인장방향이 표시되도톡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재(18)의 한쪽 가장자리부분을 현상장치(1)이 장착된 프로세스 유니트의 하우징(2)의 옆 가장자리부분에 벗겨 떼어낼 수 있도록 접착하고 다른쪽 옆 가장자리부분을 상기 하우징(2)의 윗면에 벗겨 떼어낼 수 있도록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4. 현상제 수납부(5)를 갖는 현상장치(1)에 상기 현상제 수납부(5)내의 미사용 현상제를 밀봉하는 시일부재(6)을 설비하고 이 시일부재(6)의 일부를 현상장치(1)의 외부로 도출해서 피인장부(63)로 하고 이 피인장부(63)을 잡아당기므로서 그 시일부재(6)이 현상장치(1)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한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에 있어서 : 상기 시일부재(6)을 그 중간부분에서 되접어 꺾어서 상기 피인장부와 접는부(62)로 나누어, 이 접는부(62)를 현상창치 본체쪽에 부착함과 아울러, 그 접는부(62)의 가장자리부분에 시일부재(6)의 인장시에 그 시일부재(6)에 있어서 현상장치(1)내에 위치하는 끝부분과 다른부분, 과를 분리시키는 균열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균열부가 잘린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균열부가 끊어진 자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균열부가 재봉틀자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시일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균열부를 접는부(62)의 안쪽 가장자리부분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9. 제4항에 있어서, 균얼부를 시일부재(6)의 중간부분(61)의 근방위치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0. 현상제 수납부(5)를 갖는 현상장치(1)에 상기 현상제 수납부(5)내의 미사용 현상제를 밀봉하는 시일부재(6)을 마련하고 이 시일부재(6)의 일부를 현상장치(1)의 외부로 도출해서 피인장부(63)으로 하고 이 피인장부(63)를 잡아당기므로서 그 시일부재가 현상장치(1)로부터 떼어낼 수 있도록 구성한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에 있어서: 현상장치 본체의 외부에 시일부재(6)을 삽입 가능한 시일누름부를 마련함과 아울러 시일부재(6)의 피인장부(63)을 중간부분(61)에서 되접어 꺾는부문(63a)를 상기 시일누름부에 삽입하고, 피인장부(63)의 앞끝부분을 현상장치 외부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시일누름부는 현상장치(1)이 장착되는 프로세스 유니트의 하우징(2)에 설비된 열린 부분의 가장자리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다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시일누름부는 현상장치(1)이 장착되는 프로세스 유니트의 외면에 설비된 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3. 제10항에 있어서, 시일누름부는 현상장치(1)의 외면에 설비된 홈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4. 현상제 수납부(5)를 갖는 현상장치(1)에 상기 현상제 수납부(5)내의 미사용 현상제를 밀봉하는 시일부재(6)를 마련하고 이 시일부재(6)의 일부를 현상장치의 외부로 도출해서 피인장부(63)로 하고, 이 인장부(63)를 잡아 당기므로서, 그 시일부재(6)이 현상장치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한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에 있어서 : 피인장부(63)의 끝부분으로부터 시일부재(6)의 적어도 한쪽의 옆 가장자리 부분에 걸친 윤곽을 시일부재(6)의 안쪽에 잘라끼운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피인장부(63)의 끝부분으로부터 시일부재(6)의 적어도 한쪽의 옆 가장자리부분에 걸친 윤곽을 곡선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6. 제15항에 있어서, 피인장부(63)의 끝부분으로부터 시일부재(6)의 적어도 한쪽의 옆가장지리 부분에걸친 윤곽을 원호상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7. 제14항에 있어서, 피인장부(63)의 끝부분으로부터 시일부재(6)의 적어도 한쪽의 옆 가장자리 부분에 걸친 윤곽을 복수의 직선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
  18. 개시현상제 수납부(5a)와 토우너 수납부(5b)와를 갖는 현상장치(1)에 상기 현상제 수납부내의 미사용 현상제 및 상기 토우너 수납부(5b)내의 미사용 토우너를 밀봉하는 단일의 시일부재(6)을 마련하고, 이 시일부재(6)의 일부를 현상장치(1)의 외부로 도출해서 피인장부(63)로 하고, 이 피인장부(63)을 잡아 당기므로서, 그 시일부재(6)이 현상장치로부터 떨어지도록 구성한 현상장치(1)의 시일구조에 있어서 : 상기 시일부재(6)을 그 중간부분(61)에서 되접어 꺾어서 상기 피인장부(63)와 접는부분(62)로 나누어, 접는부분(62)를 현상장치 본체쪽에 부착함과 아울러, 피인장부(63)의 끝부분을 시일부재(6)의 폭방향 전역에 걸처 상기 현상제 수납부(5)와 토우너 수납부(5b)와의 경계부분 보다도 시일부재(6)의 빼내는 쪽에 위치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장치의 시일구조.
KR1019890011771A 1988-08-26 1989-08-17 현상장치의 시일(seal)구조 KR930002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13248A JP2612907B2 (ja) 1988-08-26 1988-08-26 現像装置のシール構造
JP?63-213248 1988-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698A KR900003698A (ko) 1990-03-26
KR930002250B1 true KR930002250B1 (ko) 1993-03-27

Family

ID=16635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771A KR930002250B1 (ko) 1988-08-26 1989-08-17 현상장치의 시일(seal)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7156A (ko)
EP (1) EP0356233B1 (ko)
JP (1) JP2612907B2 (ko)
KR (1) KR930002250B1 (ko)
DE (1) DE6891902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4517Y2 (ja) * 1990-10-12 1998-11-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2579385B2 (ja) * 1990-10-22 1997-02-05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2989028B2 (ja) * 1991-03-20 1999-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3165729B2 (ja) * 1992-03-23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683188A (ja) * 1992-08-31 1994-03-25 Brother Ind Ltd 電子写真装置用現像装置
US5313993A (en) * 1992-12-03 1994-05-24 Eastman Kodak Company Toner container and receiving apparatus therefor
US5264901A (en) * 1992-12-28 1993-11-23 Future Communications Corporation Toner cartridge seal
JP3236124B2 (ja) * 1993-04-28 2001-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トナーテープ取り付け方法
US5404212A (en) * 1993-09-24 1995-04-04 Laser Ink Ltd. Toner cartridge seal
US5523828A (en) * 1994-09-14 1996-06-04 De Kesel; Jan Seal for a toner cartridge assembly
US5907747A (en) * 1998-02-02 1999-05-25 Ward Sealing, Inc. Prefilled, presealed toner cartridge insert
US6018637A (en) * 1998-07-30 2000-01-25 Xerox Corporation Reproduction machine including a developer material cartridge having a label assembly reuseable as a sealing device
JP2000284582A (ja) * 1999-03-31 2000-10-13 Sharp Corp 現像剤カートリッジ
US6934487B2 (en) * 2002-02-08 2005-08-23 Cf Technologies Sealing member for toner cartridge
US7725058B2 (en) * 2007-09-14 2010-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90028388A (ko) * 2007-09-14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100034545A1 (en) * 2008-08-06 2010-02-11 Kabushiki Kaisha Toshiba Developer supply cartridge,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693448B1 (en) 2009-06-05 2010-04-06 Wazana Brothers International, Inc. Angled seal for laser toner cartridge hopper
US9128414B2 (en) 2013-03-14 2015-09-08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Seal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9654A (en) * 1972-12-13 1976-12-28 Van Dyke Research Corporation Toner cartridge
JPS6035062B2 (ja) * 1978-07-31 1985-08-12 株式会社リコー 粉体現像剤用カ−トリッジ
JPS5521029A (en) * 1978-07-31 1980-02-14 Ricoh Co Ltd Developing device
JPS5814865A (ja) * 1981-07-20 1983-01-27 Fuji Xerox Co Ltd 電子複写機における現像機用トナ−カ−トリツジ
US4491224A (en) * 1982-03-05 1985-01-01 C O D Inter Techniques Sa Weldable tear-off capping film for sealing packages
JPS5913262A (ja) * 1982-07-14 1984-01-24 Canon Inc 現像剤貯蔵容器
JPS5953868A (ja) * 1982-09-22 1984-03-28 Canon Inc 現像剤貯蔵容器
JPS59181457U (ja) * 1983-05-18 1984-12-04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カ−トリツジ容器
US4538651A (en) * 1983-07-18 1985-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locked, clean loading toner cartridge
US4524870A (en) * 1983-09-06 1985-06-25 Champion International Corporation Visible and easy accessible package
US4615608A (en) * 1983-10-31 1986-10-07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JPS60177372A (ja) * 1984-02-24 1985-09-11 Ricoh Co Ltd トナ−カ−トリツジ
JPS6235371U (ko) * 1985-08-21 1987-03-02
US4778086A (en) * 1986-02-27 1988-10-18 Mita Industrial Co., Ltd. Toner replenishing device
GB2194767A (en) * 1986-09-05 1988-03-16 Unilever Plc Labelling containers
JPH0658569B2 (ja) * 1987-07-13 1994-08-03 コニカ株式会社 現像剤容器
JP2629945B2 (ja) * 1988-02-24 1997-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US4862210A (en) * 1988-02-25 1989-08-29 Access Computer Products, Inc. Replaceable seal assembly for toner cartidges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9026T2 (de) 1995-05-24
US5027156A (en) 1991-06-25
EP0356233A3 (en) 1992-01-15
JP2612907B2 (ja) 1997-05-21
EP0356233B1 (en) 1994-10-26
EP0356233A2 (en) 1990-02-28
JPH0261676A (ja) 1990-03-01
KR900003698A (ko) 1990-03-26
DE68919026D1 (de) 199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250B1 (ko) 현상장치의 시일(seal)구조
EP0488184A2 (en) Electrostatic latent image-developing device and toner cartridge used therefor
US6484000B1 (en) Sealing member which prevents contamination when removed and container having the sealing member
US5206619A (en) Toner cartridge
JPS63187272A (ja) 現像器のトナ−補給装置
KR101030560B1 (ko) 현상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화상 형성 장치 및 현상제 수용기
JP3071850B2 (ja) 容器装置
JP4291562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175704B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replaceable photosensitive belt cartridge
US6878429B2 (en) Sealing member for developer container
JPH118484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521480B2 (ja) トナ−補給用カ−トリッジ
JPH1172999A (ja) トナー供給用開口部のシール材
JPH047574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6214461A (ja) 画像形成装置
JPS6134566A (ja) トナ−カ−トリツジ
JPH035774A (ja) 現像装置
JPH06337586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H11174801A (ja) トナーケースの封止用シール
JP3251115B2 (ja) トナー補給カートリッジ
JPH04474A (ja) 現像装置
JPH09329951A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820803B2 (ja) 現像装置
JPH08123179A (ja) 飛散防止及び清掃式のトナー収納部を有する現像装置
JPS63210974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