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8388A -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8388A
KR20090028388A KR1020080025617A KR20080025617A KR20090028388A KR 20090028388 A KR20090028388 A KR 20090028388A KR 1020080025617 A KR1020080025617 A KR 1020080025617A KR 20080025617 A KR20080025617 A KR 20080025617A KR 20090028388 A KR20090028388 A KR 20090028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section
developing unit
developing
photosensi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철
권세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15,006 priority Critical patent/US7725058B2/en
Priority to RU2008127428/28A priority patent/RU2008127428A/ru
Priority to CN200810135647XA priority patent/CN101387847B/zh
Priority to EP08160561.0A priority patent/EP2037331B1/en
Publication of KR20090028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8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4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sealing film to be ruptured or cut

Abstract

본 발명은 현상실의 현상제 압력을 분산시키고 현상제 비산현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현상유닛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현상유닛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제1구간과,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수단이 위치하며 현상제가 저장되는 제2구간으로 구획하는 분리가능한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이 연통됨으로써 현상제 수용부내의 과도한 현상제 압력이 해제된다.
현상유닛, 화상형성장치, 현상제 압력

Description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A DEVELOPING UNIT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사진 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현상제 압력을 분산시키고 현상제 비산현상을 억제시키는 현상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사사진 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대전과정, 노광과정, 현상과정, 전사과정, 정착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현상유닛은 현상과정에 사용되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현상유닛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현상롤러를 포함한다. 현상제 수용부에 있는 현상제는 현상롤러에 부착된다. 현상롤러와 감광체 사이에는 소정 거리의 현상갭이 형성된다. 현상롤러에 부착된 현상제는 현상롤러와 감광체 사이의 전위차에 의한 정전기력에 의해 현상갭을 지나 감광체로 이동하여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가사화상이 형성된다.
현상유닛을 초기 생산할 때,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를 충진시키지 않은 현상유닛과 현상제를 미리 충진시키는 현상유닛이 있다.
현상제를 충진시키지 않은 현상유닛의 문제점은 현상유닛을 제조 완료 후의 최종적인 불량 검증을 할 수 없다는 점이다. 즉, 현상제 수용부에 현상제가 없기 때문에, 제조된 현상유닛을 사용한 인쇄 테스트를 할 수 없다.
현상제를 미리 충진시키는 현상유닛은 제조 완료 후에 인쇄 테스트에 의하여 불량품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런 현상유닛은 유통과정을 통하여 소비자에 도달하는 동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현상제는 분체로서 자체의 응집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상유닛의 유통과정 중 현상유닛을 길이방향으로 세워 장기간 보관하거나, 장거리 운송을 한다면 현상제가 현상유닛 일측에 응집된다. 응집된 현상제는 현상제 압력을 증가시키고 현상제 이송에 필요한 토크를 과도하게 증가시킨다. 이에 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며 심한 경우 모터가 회전할 수 없어서 인쇄가 안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상유닛이 작동하는 동안에는 현상롤러가 회전하기 때문에 현상갭 사이에서 기류가 형성된다. 이에 일부 현상제는 감광체로 이동하지 못하고 현상갭 사이의 기류를 따라 현상유닛 외부로 비산할 수 있다. 또한 현상갭 사이에서 형성된 기류의 일부는 현상제 수용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현상제 수용부 내부의 공기압이 외부 공기압보다 높아진다. 이러한 현상제 수용부 내부의 공기압과 외부 공기압의 차이는 현상제의 비산을 더욱 촉진시킨다. 비산된 현상제는 화상형성장치와 인쇄매체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제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제 수용부의 공기압을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상제 수용부에 통기공(air vent hole)과 필터가 형 성된 종래 기술이 있다. 필터는 공기만을 통과시키고 현상제가 통과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필터에 형성된 통공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한 현상제는 통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현상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고정된 경우에는 이런 미세한 현상제의 유출현상이 적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상유닛이 제조되어 소비자에 도달하는 유통과정 중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현상유닛에 가해지기 때문에 미세한 현상제의 유출현상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제 압력을 분산시키고 현상제 비산현상을 억제시키는 현상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현상유닛을 구비하여 원활한 인쇄가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제1구간과,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수단이 위치하며 현상제가 저장되는 제2구간으로 구획하는 분리가능한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이 연통되어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 압력이 분산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구간은 현상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할 수 있으며, 위치를 달리하여 2개 이상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구간에는 현상제 이송장치가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현상제 이송장치는 오우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구간에는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현상제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현상유닛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와 마주하여 회전하며,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수단;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수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류에 반대되는 방향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비산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상유닛은 제1구간과 제2구간을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제1구간 또는 상기 제2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수용된 현상제가 다른 구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 압력이 분산된다.
상기 제1구간 또는 상기 제2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는 통기공이 형성되고, 현상제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현상유닛은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형성되는 통기공; 현상제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통기공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구획하는 분리가능한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상술 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현상유닛; 상기 현상유닛에 의해 현상된 감광체 상의 현상제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현상유닛 및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제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현상제 이송에 필요한 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현상유닛의 유통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현상제의 응집현상이 발생하여도 원활한 인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현상제 비산현상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현상유닛의 유통과정 중 발생할 수 있는 현상제의 유출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10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사시도, 도 2는 현상유닛(100)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현상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현상유닛(100)은 감광체(101), 현상수단(111), 비산방지부재(112), 현상제 수용부(120), 차단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현상유닛(100)은 탠덤(tandem) 방식에 의한 것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광체(101)에는 미 도시된 광주사 유닛에서 주사되는 광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현상유닛(100)은 감광체(101)를 포함하고, 각 색깔별 현상유닛(100)이 배열되어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텐덤방식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감광체가 현상유닛(100)에 위치하지 않고 현상유닛(100)의 개수보다 적은 수로 배치되어 하나의 감광체에 복수의 현상유닛(100)이 화상을 형성하는 멀티(multi)방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현상수단(111)은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현상제를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101)로 현상하며, 그 구성에 따라 원통형 고무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롤러타입이나, 벨트 혹은 튜빙타입으로도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 현상제가 자성을 띄는 경우, 일종의 자석이 포함되는 현상수단(100)의 구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현상수단(111)은 감광체(101)와 비접촉하고 있으며, 현상제인 토너가 현상제(111)에서 감광체(101)로 점핑(jumping)하여 현상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상수단(111)이 감광체(101)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비산방지부재(112)는 감광체(101)와 현상수단(111)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류 에 반대되는 방향의 기류를 발생시켜서 현상제가 현상유닛(100)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감광체(101)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현상수단(111)은 감광체(111)와 마주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감광체(101)와 현상수단(111) 사이의 현상갭에서 기류가 발생한다. 예컨대 도 3을 기준으로 감광체(10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현상수단(111)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현상갭에서 상승기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부 현상제는 감광체(101)에 형성된 정전잠상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승기류를 따라 화살표(114) 방향과 같이 현상유닛(100) 외부로 비산된다. 이 경우 비산방지부재(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현상갭에서 발생하는 상승기류에 반대되는 방향의 기류가 발생한다. 따라서 현상제가 현상유닛(100) 외부로 비산되는 현상이 억제된다.
현상제 수용부(120)는 현상유닛(100)의 내부 공간으로서, 현상수단(111), 현상제 이송장치(113) 등이 위치할 수 있고, 현상제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셔터(103)는 미 도시된 현상제 카트리지에서 현상제 수용부(120)로의 현상제 공급을 제어한다. 셔터(103)는 필수적 구성요소가 아니며, 현상제 카트리지가 현상유닛(100)과 독립하여 존재하는 경우에 필요하다.
현상제 이송장치(113)는 미도시된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현상제를 교반시키고, 현상제를 현상수단(111)으로 이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제 이송장치(113)로서 오우거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차단부재(130)는 현상제 수용부(120)를 제1구간(121)과 제2구간(122)으로 구 획한다. 제1구간(121)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제2구간(121)에는 현상수단(111)이 위치한다.
현상유닛(100)의 초기 생산시, 현상제를 현상제 수용부(120)에 미리 충진시키면, 제조 완료된 현상유닛을 사용하여 인쇄 테스트를 할 수 있다. 이런 테스트를 통하여 불량이 있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현상유닛(100)의 불량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현상제는 그 자체로 응집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통과정에서 응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현상유닛(100)을 길이방향으로 세워 장기간 보관하거나, 장거리 운송을 한다면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부(120)의 일측으로 쏠려서 응집될 수 있다. 도 4는 현상유닛을 길이방향으로 보관한 경우, 현상유닛(100) 내부의 응집된 현상제(105)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면 현상제 이송장치(113)의 구동에 필요한 토크가 증가된다. 따라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게 되며, 전력소모량이 증가된다. 심한 경우 모터가 회전할 수 없는 경우까지 발생하여, 현상제 이송장치(113)는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현상제를 이송시키지 못하게 되어 기록매체에 화상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째로,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현상제 압력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즉, 현상제가 현상제 수용부(120)에 골고루 분포되지 않고 현상제 수용부(120)의 일측에 응집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현상제의 이동에 필요한 여유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현상제가 응집된 현상제 수용부(120)의 일측에는 빈 공간이 없이 현상제로 꽉 차있게 된다. 따라서 현상제 이송 장치(113)를 구동시키는데 큰 저항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 수용부(120)를 제1구간(121)과 제2구간(122)으로 분리하고, 제1구간(121)과 제2구간(122)을 구획하는 차단부재(130)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1구간(121)은 제2구간(122)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으며 그 내부는 비워져 있다. 차단부재(130)는 제1구간(121)과 제2구간(122)을 격리시키며, 차단부재(130)에 소정의 힘을 가해지면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차단부재(130)는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구간(121)과 제2구간(122)를 격리시킬 수만 있다면 차단부재(130)로서 다양한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현상유닛(100)의 초기 생산 시에는 차단부재(130) 때문에 제1구간(121)에 현상제가 존재하지 않으며 제2구간(122)에만 현상제가 존재한다. 사용자가 현상유닛(100)을 구매하여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전에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차단부재(130)를 제거한다. 도 5는 차단부재(130)가 제거된 현상유닛(100)을 나타낸다.
차단부재(130)가 제거되면 제1구간(121)과 제2구간(122)는 연통된다. 이에 현상유닛(100)의 일측에 응집된 현상제(105)의 일부는 제1구간(121)으로 유동한다. 이러한 응집된 현상제(105)의 유동으로 인하여 현상제 수용부(120) 내의 현상제 압력이 분산된다. 또한 이러한 현상제(105)의 유동은 응집된 현상제(105)가 위치하는 제2구간(122)에 현상제가 제1구간(121)으로 유동한 양만큼의 여유 공간을 만든다. 따라서 현상제 이송장치(113)의 구동에 요구되는 토크를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완화시킨다.
현상제 수용부(120)의 제1구간(1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상유닛(100)을 장기간 보관할 때 발생하는 현상제 응집현상이 문제가 되는 경우는 특히 현상유닛(100)을 길이방향으로 보관할 때이기 때문이다. 현상유닛(100)을 가로방향으로 보관한 경우에는 현상제 응집에 따른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현상제 수용부(120)의 제1구간(121)은 현상제 수용부(120)를 가로지는 하나의 체임버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차단부재만이 필요하다. 현상유닛(100)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하나의 차단부재만을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해지고 제조가 용이해 진다. 그러나 다른 부품과의 간섭 또는 설계상 제약으로 인하여 하나의 체임버로 형성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위치를 달리하여 2개 이상의 제1구간(121)를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2개의 제1구간(121a, 121b)이 사용되었다. 하나의 제1구간(121a)는 현상유닛(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위치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의 제1구간(121b)는 셔터(103)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2개 이상의 제1구간(121)이 사용된다면 그 수에 대응되는 차단부재(130)가 필요하다. 또한 현상유닛(100)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복수 개의 차단부재(130)를 모두 제거해야 한다.
통기공(125)은 현상제 수용부(120)에 형성되며, 이 통기공(125)을 통하여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공기가 외부 공기와 연통될 수 있다. 통기공(125)에 의해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현상제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전술한 비산방지부재(112)와 통기공(125)에 의해 현상제의 비산이 크게 감소된다.
필터부재(126)는 현상제 수용부(120)에 있는 현상제가 통기공(125)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는 필터부재(126)를 통과할 수 있으나 현상제는 필터부재(126)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현상제가 통기공(125)으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진다. 현상제의 크기는 모두 균일하지 않고 소정의 분포를 형성한다. 따라서 필터부재(126)에 형성된 통공보다 작은 크기의 일부 미세한 현상제는 필터부재(126)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될 염려가 있다. 일반적으로 현상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고정된 경우에는 이러 미세한 현상제의 유출현상이 잘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현상유닛(100)이 제조되어 소비자에게 도달하는 유통과정 중에서 충격이나 진동이 현상유닛(100)에 가해진다. 따라서 유통과정 중에서 미세한 현상제가 필터부재(126)를 통과하여 현상유닛(100)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부재(130)에 의해 현상제가 저장되는 제2구간(122)과 차단된 제1구간에 통기공(125)과 필터부재(126)가 배치된다. 따라서 유통과정 중에 충격이나 진동이 현상유닛(100)에 가해지더라도 차단부재(130) 때문에 미세한 현상제가 유출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현상유닛(100)을 화상형성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전에 차단부재(130)를 제거한다. 일단 현상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고정된 후에는 미세한 현상제의 유출 현상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차단부재(130)가 제거되면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공기는 통기공(125)을 통하여 외부 공기와 연통된다. 따라서 현상제 수용부(120) 내부의 공기압이 감소하여 현상제의 비산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기공(125)과 필터부재(126)가 제1구간에 배치되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현상제 수용부(120)의 별도의 공간에 통기공(125)과 필터부재(126)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기공(125)과 현상제 수용부(120)를 구획하는 별도의 차단부재(130)가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차단부재(130)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장치(미 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차단부재(130)를 제거하지 않고 현상유닛(100)을 사용할 경우 앞서 언급한 문제점이 그대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미 도시된 감지장치가 차단부재(130)의 제거 여부를 감지하여, 현상유닛(100)의 사용전에 사용자로 하여금 차단부재(130)를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장치로서 차단부재(130)의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현상유닛(100)의 사용 전에 포토센서가 차단부재(130)를 감지할 경우, 사용자에게 차단부재(130)를 제거해 줄 것을 알려주는 기능을 디스플레이창 등을 통해 알람 형식으로 띄워줄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현상유닛(100)이 채용된 화상형성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화상형성장치(200)는 급지 유닛(210), 광주사 유닛(220), 현상제 카트리지(230), 현상유닛(100), 전사 유닛(240), 정착 유닛(250)을 포함한다.
급지 유닛(210)은 화상을 형성시킬 기록매체를 저장하고 저장된 기록매체를 화상형성장치(200) 내부로 급지시킨다. 광주사 유닛(220)은 감광체(101)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제 카트리지(230)는 현상제를 저장하고 현상유닛(100)으로 현상제를 공급한다. 현상유닛(100)은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101)를 현상제로 현상한다. 전사 유닛(240)은 현상유닛(100)에 의해 현상된 현상제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한다. 정착 유닛(250)은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현상제 화상이 정착된 기록매체는 화상형성장치(200) 외부로 배지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현상유닛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현상유닛의 단면도,
도 4는 현상유닛을 길이방향으로 보관한 경우, 현상유닛 내부의 현상제의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차단 부재가 제거된 후의 현상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현상유닛이 적용된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현상유닛 120; 현상제 수용부
121; 제1구간 122; 제2구간
130; 차단부재 111; 현상수단
113; 현상제 이송장치 125; 통기공
126; 필터부재 200; 화상형성장치

Claims (16)

  1.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제1구간과, 현상제를 감광체로 이송하는 현상수단이 위치하며 현상제가 저장되는 제2구간으로 구획하는 분리가능한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이 연통되어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 압력이 분산되는 현상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필름인 현상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현상유닛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는 현상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은 위치를 달리하여 2개 이상 있는 현상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간에는 현상제 이송장치가 위치하는 현상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이송장치는 오우거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현상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현상제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가 배치되는 현상유닛.
  10. 제1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와 마주하여 회전하며,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수단;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수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류에 반대되는 방향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비산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11. 제1구간과 제2구간을 포함하는 현상제 수용부; 및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제1구간 또는 상기 제2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 수용된 현상제가 다른 구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현상제 수용부 내의 현상제 압력이 분산되는 현상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간 또는 상기 제2구간 중 어느 하나의 구간에는 통기공이 형성되는 현상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현상제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가 배치되는 현상유닛.
  14.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수용부;
    상기 현상제 수용부에 형성되는 통기공;
    현상제가 상기 통기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부재; 및
    상기 통기공과 상기 현상제 수용부를 구획하는 분리가능한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와 마주하여 회전하며, 상기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하는 현상수단; 및
    상기 감광체와 상기 현상수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류에 반대되는 방향의 기류를 발생시키는 비산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유닛.
  16.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를 현상제로 현상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상유닛;
    상기 현상유닛에 의해 현상된 감광체 상의 현상제 화상을 기록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유닛; 및
    기록매체에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25617A 2007-09-14 2008-03-19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090028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15,006 US7725058B2 (en) 2007-09-14 2008-05-05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RU2008127428/28A RU2008127428A (ru) 2007-09-14 2008-07-04 Проявляющий бло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содержащего его
CN200810135647XA CN101387847B (zh) 2007-09-14 2008-07-07 显影单元和具有该显影单元的图像形成装置
EP08160561.0A EP2037331B1 (en) 2007-09-14 2008-07-16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3892 2007-09-14
KR20070093892 2007-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8388A true KR20090028388A (ko) 2009-03-18

Family

ID=4047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617A KR20090028388A (ko) 2007-09-14 2008-03-19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90028388A (ko)
CN (1) CN101387847B (ko)
RU (1) RU20081274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79573B2 (ja) * 2012-12-12 2015-09-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8106043A (ja) * 2016-12-27 2018-07-05 エスプリンティン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81521B2 (en) * 2017-03-30 2019-11-1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having spaced cover portion and frame
KR20190006726A (ko) * 2017-07-11 2019-01-21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현상기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2907B2 (ja) * 1988-08-26 1997-05-21 三田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のシール構造
EP1338929A3 (en) * 1995-04-20 2004-12-01 Ricoh Company, Ltd. Developing device using a toner and carrier mixture
US5749026A (en) * 1996-02-13 1998-05-05 Rti International Corporation Removable shipping seal for a toner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7847A (zh) 2009-03-18
RU2008127428A (ru) 2010-01-10
CN101387847B (zh) 201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0098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3022387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8119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EP2037331B1 (en)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0276954A (ja) 画像形成装置
KR20090028388A (ko) 현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US20100322673A1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08257213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8688017B2 (en) Image formation unit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US8233826B2 (en) Develop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15102747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の受け渡し方法
JP201118612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489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現像装置
JP5386960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80259902A1 (en) Develop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irflow controlling device
JP2014134671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633419B2 (ja) 画像形成装置
JP5534415B2 (ja) 現像装置、この現像装置を具備し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の現像装置又は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531644B2 (ja) 画像形成装置
JP6016088B2 (ja) シャッタ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83531A (ja) キャップ、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89387B2 (ja) 現像装置
US10146152B2 (en) Developing device, assembly bod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blocking member
JP691982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220935A (ja) 粉体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