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083B1 - 무선 전화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083B1
KR930002083B1 KR1019900003640A KR900003640A KR930002083B1 KR 930002083 B1 KR930002083 B1 KR 930002083B1 KR 1019900003640 A KR1019900003640 A KR 1019900003640A KR 900003640 A KR900003640 A KR 900003640A KR 930002083 B1 KR930002083 B1 KR 93000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producing
charger
radiotelephone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5484A (ko
Inventor
고이찌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0001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7Identification code transf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전화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자동응답기부착 무선전화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전화장치의 한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서 유선전화회선에서 착신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제4도는 녹음재생장치를 충전기와 별체로 설치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5도는 자동응답모드 설정스위치를 충전기내에 설치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6도는 자동응답모드 설정스위치를 녹음재생장치내에 설치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7도는 재생스위치를 무선전화기내에 설치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8도는 메시지 발생회로를 주장치내에 설치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장치 2 : 무선전화기
3 : 유선전화회선 5 : 송신기
6 : 안테나 8, 14 : 수신기 : 정류안정회로
27, 42 : 충전단자 31 : 혹스위치
32 : 다이얼 접속판정장치 85 : 녹음안내 송출장치
86 : 녹음제어장치 87 : 녹음장치
100 : 녹음재생장치
본 발명은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장치의 개량에 대한 것이다.
코드레스 전화장치로 대표되는 무선전화장치가 보급됨에 따라서 자동응답 기능을 갖춘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예를들면 일본특원소 59-144366흐, 일본특원소 59-112375호, 일본특원소 62-55545호 등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무선전화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제1도는 상기 일본특원소 62-55545호에서 나타내고 있는 무선전화 장치의 자동응답기능에 관한 부분을 추출해서 나타낸 블록도이고 이 무선 전화장치는 주장치(1)와 무선전화기(2)로 구성되머 주장치(1)는 유선전화 회선(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주장치(1)에는 무선회선 접속잔정장치(84), 녹음안내 송출장치(85), 녹음제어장치(86), 녹음장치(87)가 자동응답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설치되어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주장치(1)내에 자동응답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고 무선전화기(2)를 호출할 필요가없을때 혹은 무선전화기(2)와 무선회선을 설정할 수 없다고 무선회선접속판정장치(84)가 판정했을때에, 이무선회선 판정장치(84)의 판정출력 신호로 녹음안내 송출장치(85)를 동작시켜 유선 전화회선(3)쪽으로 안내음성을 송출시키고, 안내음성의 송출이 종료되면 상대의 음성을 녹음하는 녹음제어장치(86)를 동작시켜 상대의 음성을 녹음 장치(87)에 녹음한다.
상기 일본 특원소 59-144366흐 멋 59-112375호에 나타낸 무선전화장치도 같은 양상으로 주장치측에서상대의 음성을 녹음하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자동응답동작모드에서의 상대의 음성을 주장치(l)측에서 녹음하도록 함에 따라, 주장치(1)는 상응교류전원에 의해서 동작하기 때문에 무선전화기(2)의 전지가 소모되어도 자동응답 녹음이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녹음장치(87)가 주장치(1)내에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녹음된 음성을 듣기 위해서는 주장치(1)내의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해야 한다.
여기서 주장치(l)는 유선전화회선(3)과 접속된 관켸상 그 설치장소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녹음된 음성을 듣기 위해서는 설치장소가 한정되어 주장치(1)가 있는 곳까지 가지 않으면 안되기때문에 녹음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번잡하다는 공간적인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원하는 장소에서 자동응답시의 녹음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장치로 부터 독립하여 무선전화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었기 때문에 전화기내의 전지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와, 무선전화기 및 주장치로 부터 독립되어 있고 이 충전기에서 동작용 전원전압을 받아서 음성신호의 녹음재생을 행하는 녹음재생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 무선전화기 또는 녹음재생장치에는 자동응답동작 모드로 변환하는 모드변환장치가 설치되어 자동응답동작에서 주장치로 부터 수신된 통화상대의 음성신호는 충전기를 통해서 녹음재생 장치에 전달, 녹음된다.
이때문에 충전기가 상용교류전원이 있는 장소에만 있다면 언제든지 녹음내용을 재생하여 확인할수가 있다.
이경우 무선전화기의 전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 무선전화기의 전지의 소모상대에 관계없이 녹음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주장치(1)는 무선회선을 통해서 무선전화기(2)와 접속 되어있고 동시에 유선전화회선(3)과 접속되어있다.
또 무선전화(2)와 결합되면 무선전화기(2)의 밧데리(29)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기(4)가 주장치(1) 및무선전화기(2)와는 별체로 설치되어있다.
유선전화회선(3)으로 부터 전송되어온 신호는 라인스위치(33) 및 하이브리드 회로(34)를 통해서 송신기(5)에 변조 입력으로서 제공된다.
이 송신기(5)에서 번조된 전파는 안테나(6)룰 통해 무선전화기(2)로 송출된다.
한편 무선전화기(2)에서 숭출되어오는 전파는 수신안테나(7)로 수신되어 수신기(8)에서 복조된다.
이 수신기(8)에서 복조된 신호는 하이브리드회로(34) 및 라인 스위치(33)를 통해서 무선전화회선(3)에 제공된다.
신세사이져(SYN)(9)는 무선채널(통화채널 및 제어채널)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신호를 숭신기(5) 및 수신기(8)에서 보낸다.
이 실시예의 경우, 무선채널을 구성하는 제어페널은 하나이고 통화채널은 복수이다.또한 제어채널을 복수의 채널로 구성할 수도 있다.
수신기(8)의 출력중, 하나는 수신전계 검출회로(C-DET)(10)에 입력되어 전계강도의 판정을 위해서 사용된다.
이때, 이 수신전계 검출회로(10)로서는 캐리어스킬치회로 혹은 노이즈 스켈치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수신기(8)의 또 하나의 출력은 수신복조파에 포함된 데이터신호로서 출력되어 주장치(1)와 무선전화기(2)의 조합에 의해 결정된 식별신호(IC코드)를 조합하는 식별신호 검출회로(ID DET)(11)에서 입력된다.
이들 수신전계 검출회로(10), 식별신호검출회로(11)의 출력 및 데이터 신호의 복조 출력은 제어회로(CONT)(12)에 입력되어 접속 제어에 이용된다.
제어회로(12)는 신세사이져(9)를 제어하여 무선채널의 전환제어를 행하기도 하고 송신기(5)에 송신데이터신호를 변조입력하여 송출하는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30"은 16HZ의 호출신호를 검출하는 호출신호 검출회로(16-DET)이고 그 검출출력은 제어회로(12)에 입력된다.
이 주장치(1)의 전원계는 AC플러그(24)로 부터 입력된 상응교류 전압(AC 100V)을 정류 안정화회로(25)에서 직류전압(Vcc)으로 변환하고, 이 직류 전압(Vcc)를 각회로의 전원으로서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무선전화기(2)에서도 같은 양상으로 수신안테나(13)와 수신기(RX)(14)가 설치어 있고, 수신기(14)의 복조출력은 수화기(15)에서 출력된다.
또 송화기(16)에서 입력된 음성은 송신기(17)의 변조입력으로서 제공되며, 이 송신기에서 변조된 반송파는 안테나(18)를 통해 송출된다.
신세사이저(SYN)(19), 수신전계 검출신호(C-DET)(20), 식별 신호검출회로(ID DET)(21)는 주장치(1)내의 것과 동일하며 제어회로(22)가 무선전화기(2) 전체를 제어한다.
스피커(23)는 착호시에 호출음을 발생시킨다.
또는"31"은 훅스위치, "32"는 다이얼 키보드, "35"는 수신기(14)로 수신된 통화상대의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 "36"은 자동응답작동모드로 설정하는 모드설정스위치, "37"은 녹음음성 출력단자, "38"은 녹음제어단자, "38"는 자동응답작동시의 안내 메시지를 통화상대에게 송신하기 위한 메시지용 단자이다.
이 무선전화기(2)의 각회로에 대한 전원은 밧데리(29)에서 공급된다.
무선전화기(2)를 충전기(4)와 결합시킴으로서 무선전화기(2)의 충전단자(28)와 충전기(4)의 충전단자(42)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충전기(4)내의 정류 안정화회로(40)의 직류출력전압이 전류제한저항(41)을 통해서밧데리(29)에 입력됨으로서 그 밧데리(29)가 충전된다.
한편 충전기(4)는 AC플러그(43)로부터 입력되는 상용교류전압(AC 100V)을 정류하여 무선전화기(2)의 밧데리(29)를 충전하기도 하고 충전기(4)내에 설치된 녹음재생장치(44S)를 동작 시킬 목적으로 직류전압을생성하는 정류안정화회로(40)를 가진 것외에: 자동응답동작모드에서의 통화 상대의 음성을 녹음하기도 하고 통화 상대에 대한 메시지를 재생하여 송출하기 위한 녹음재생회로(44): 재생스위치(45): 무선전화기(1)를 충전기(4)에 연결시켜 무선전화기측의 녹음음성출력단자(37), 녹음제어단자(38) 및 메시지용 단자(39)와 각각 결합하는 녹음음성입력단자(47): 녹음제어단자(48); 메시지용 단자 입력단자(49)를 가지고있다.
여기서 녹음재생장치(44S)는 녹음재생회로(44) 및 스피커(46)를 포함하며, 녹음재생회로(44)는 제1도에나타낸 종래의 녹음안내 송출장치(85) 녹음 제어장치(86), 녹음장치(87)로 구성된다.
제3도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무선전화장치가 유선전화회선(3)으로 부터 착신하였을때의 동작을 나타내는플로우챠트이다.
이하 플로우챠트를 참조해서 제2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주장치(1)는 대기시에 유선전화회선(3)으로 부터 호출신호를 호출신호 검출회로(30)에서 검출하면(스텝 60), 제어채널(D-CH)이 비어있는지를 조사해서 비어있으면 신세사이저(9)의 발진주파수를 제어채널 주파수로 설정하고, 송신기(5)를"on"으로 하여 착신신호를 송신, 시킨다(스텝 61).
이 경우 착신신호중에서 통화채널(S-CH)의 지정신호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무선전화기(2)는 대기시에 타이머회로(도시되지 않음)에 설정되어 있는 일정시간(tl) 동안 신세사이저(19)를 "on"으로 하고 그 발진 주파수를 제어채널주파수에서 설정함과 동시에 수신기(14)를 on으로 한다(스텝 80).
이때 착신신호가 수신되면(스텝 81), 송신기(17)를 on으로 하고(스텝 82), 자국의 식별신호(ID코드)를포함한 착신응답신호를 송신하고(스텝 83), 지정된 통화채널(S-CH)로 전환한다(스텝 84).
여기서 착신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일정시간(t2)동안 신세사이저(19) 및 수신기(14)를 off로 한다(스텝 85).
이 수신기(14)를 on, off해서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밧데리 세이빙이라고 부른다.
즉 수신기(14)가 off 될때 소비전류를 I of, on될때를 I on이라하면 대기시의 평균 소비전류(I)는
I= (1/t1+t2)(t1 I on +t2 I of)
로 되고, 통상 I on》 I of이기 때문에 I를 적게할 수가 있다.
주장치(1)는 무선전화기(2)로 부터의 전파를 수신전계 검출회로(10)로 검출하면(스텝 62), 착신신호의 검출을 정지한다(스텝 63).
이때 무선전화기(2)로 부터의 전파가 검출되지 않으면 일정회수(n)까지 착신신호를 계속 송신한다(스텝66).
일정회수 검출하는 것은 무선전화기(2)가 수신동작을 간헐적으로 하고 있어 t2동안은 신호를 수신할 수가없기 때문이다.
또한 n회로 중지하는 것은 무선전화기(2)가 전원과 전원사이의 거리가 떨어져 있을 경우등에서 쓸데없이 채널을 점유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이다.
다음으로 무선전화기(2)의 착신응답신호중에 포함된 ID 코드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ID코드와 일치하면(스텝 64), 착신신호로 설정된 S-CH로 전환된다(스텝 68).
여기서 ID 코드가 일치하지 많는 경우는 다른조의 무선전화기의 응답이기 때문에 유선전화회선(3)에서의없어질매까지 기다려서(스텝 65) 대기로 돌아간다.
S-CH에서 전환된 후 주장치(1)는 벨울림 신호를 송출한다(스텝 69).
무선전화기(2)는 이것을 수신하면(스텝 86), 사운드(23)에서 호출음을 송출한다(스텝 87).
그래서 이것에 응답해서 훅스위치(32)의 조작에 의해 on 혹이 행하여지면(스텝 88), 무선전화기(2)는 on혹신호를 송출하고(스텝 89), 통화상태로 된다(스텝 90).
한편 주장치(1)는 on 혹 신호를 수신하면(스텝 70), 벨울림 신호 승출을 정지하여 (스텝 71), 라인 스위치(33)를 닫고서 유전전화회선(3)과의 통학 루프를 형성해서 통화상태로 한다(스텝 72).
또한 송시회수가 n으로 됐을때(스텝 66) 유선전화회선에서의 착신이 종료된 것을 검출하고 부터(스텝67) 대기로 돌아감으로서 불필요한 착신동작을 재차 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은 통상의 착신동작이지만 무선전화기(2)에 있어서 호출음이 발생됐을때 훅스의치(3l)에 의한 off훅조작이 행하여 질수 없었던 경우는 스위치(36)에 의해 자동응답 동작모드에서 전환하고 있는지를 판정하고 자동응답모드에서 전환이 없다면 제어회로(22)는 송신기(17)에서 off훅신호를 송출하여 주장치(1)과 무선전화기(2)를 통화상태로 하다(스텝 92).
이후 제어회로(22)는 녹음제어단자(38)(48)를 통해서 충전기(4)내의 녹음재생회로(44)를 재생상태로 제어하여 미리 녹음해 놓은 안내 메시지를 재생시킨다.
이 안내 메시지의 음성신호는 단자(49)(39)를 통해서 송신기(17)에 입력되고 이 숭신기(17)에 의해 주장치(l)측으로 통화채널로 송신되고 주장치(1)의 라인스위치(33)를 통해서 통화 상대에게 송신된다(스텝 93).
이 안내 메시지에 대해서 통화상대에게서 음성이 송신되어오면 제어회로(22)는 녹음재생회로(44)를 녹음상태로 제어하고, 증폭회로(35)의 출력에서 얻어진 상대의 음성신호를 단자(37)(47)를 통해서 녹음재생회로(44)에서 입력하여 녹음시킨다(스텝 94).
이와같이 해서 녹음된 상대의 음성은 재생스위치(45)를 on 조작해서 녹음재생회로(44)에서 재생시키고 스피커(46)로 확인할 수 있다.
이 확인은 AC 를러그(43)에서 상용교류전압을 받을 수 있는 장소에 있다면 어떤 곳이어도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주장치(1)의 설치장소 가까운 곳까지 가서 녹음내용을 확인한다고 하는 귀찮은 불편함이 없어지고 무선전화기(2)의 휴대성이라 하는 특성을 살린 자동응답 기능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녹음재생회로(44) 및 스피커(46) 등의 녹음 재생기능은 충전기(4)내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지만 충전기(4)에서·동작용 충전전압(직류전압)이 공급된다면 무선전화기(2)의 밧데리(29)의전압을 사용하지 않고서 녹음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전기(4)의 외부로 부터 녹음재생기능을 독립시켜서 충전기(4)와는 전원공급라인, 음성신호라인, 녹음재생제어라인을 가진 접속케이블에 의해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4도에 나타낸다.
이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녹음 재생회로(44), 재생스위치(45), 스피커(46)를 포함한 녹음재생장치(100)가 충전기(4)에서 분리되어 무선 전화기(2)의 제어회로(22)에서 녹음제어신호는 무선전화기(2)의 단자(38), 충전기(4)의 단자(48) (48a), 녹음재생장치(100)의 단자(l01)를 통해서 녹음 재생회로(44)에 가해지고, 또 무선전화기(2)의 증폭기(35)의 출력은 무선전화기(2)의 단자(37), 충전기(4)의 단자(47)(47a), 녹음재생장치(100)의 단자(102)를 통해서 녹음재생회로(44)에 가해지고, 녹음재생장치(100)의 녹음재생회로(44)에서 출력되는 안내 메시지는 단자(103), 충전기(4)의 단자(49a)(49), 무선전화기(2)의 단자(39)를 통해서 무선전화기(2)의 송신기(17)에 가하여 진다.
다른 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양상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녹음 재생장치(100)를 충전기(4)에서 착탈 자유롭게 구성할 수가 있다.
또 제2도나 제4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응답 모드설정스위치(36)는 무선전화기측에 설치해있지만 충전기(4)내 혹은 충전기(4)에서 독립된 녹음재생장치(100)측에 설치한 것도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한 다른 실시예를 제5도 제6도에 나타낸다.
제5도에 나타낸 구성에 있어서는 자동응답모드 설정스위치(36)는 충전기(4)내에 설치되고, 이 자동응답모드설정스위치(36)의 출력은 충전기(4)의 단자(50), 무선전화기(2)의 단자(51)를 통해서 무선전화기(2)의제어회로(22)에 가하여진다.
또 제6도의 구성에 있어서는 자동응답모드 설정스위치(36)는 녹음 재생장치(100)내에 설치되고 이 자동응답모드 설정스위치(36)의 출력은 녹음재생장치(100) 단자(104), 충전기(4)의 단자(50a) (50b), 무선전화기(2)의 단자(51)를 통해서 무선전화기(2)의 제어회로(22)에 가하여진다.
다른 구성은 제2도 및 제4도에 나다낸 것과 같은 양상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자동응답모드의 설정을 충전기(4)측 혹은 녹음재생장치(100)측에 두고서 행할 수있다.
또, 재생스위치(45)에 대해서도 같은 양상으로 무선전화기(2)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제7도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다낸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재생스위치(45)는 무선전화기(2)내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재생스위치(45〉의 출력은 무선건화기(2)의 단자((52), 충전기(4)의 단자(53)를 통해서충전기(4)의 녹음 재생회로(44)에 가하여진다.
다른 구성은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양상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무선전화기(2)에 있어서 재생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더우기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안내 메시지는 녹음 재생회로(44)에 재생하고 있지만 주장치(1)내에설치해도 좋다.
제8도는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다낸 것이기 때문에 이 실시예에 의하면 안내 메세지는 주장치(1)의 메시지 발생회로(54)에서 발생되고 하이브리드회로(34), 라인스위치(33)를 통해서 통화상대에게 송신된다.
이 메시지 발생회로(54)는 주장치(1)의 제어회로(12)에 의해서 제어된다.
이 구성의 경우 녹음재생회로(44)에서 안내 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구성이 제거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응답모드 설정스위치(36)에 의해서 자동응답 동작모드로 전환해 두면 상대에게서의 링백톤등은 증폭회로(35)를 거쳐서 녹음재생회로(44)에서 녹음신호로서 입력되기 때문에 이 녹음신호를 스피커(46)에서 동시에 발음시키도록 구성함으로서 off혹 조작후에 다이얼 조작을 행하고 부터 상대가 호출해서 응답할때까지는 송수화기를 갖지 않고서 발생을 행한하다고 하는 off혹 발신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7)

  1. 유선회선(3)에 접속되며, 적어도 이 유선회선(3)을 통해 전송되어온 음성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장치(5)를 구비한 주장치(1)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장치(40)를 구비한 충전기(4)와, 상기 주장치(1)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어 상기 주장치(1)의 송신장치(5)에 의해 송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장치(14), 제어장치(22)(35), 상기 충전기(4)의 변환장치(4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에 의해 충전되어 적어도 상기 수신장치(14) 및 상기 제어장치(22)(35)에 전원 전압을공급하는 밧데리(29)를 구비한 무선전화기(2)와: 음성신호를 녹음하며, 적어도 녹음된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녹음 재생회로(44)와, 이 녹음재생회로(44)에 의해 발생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46)를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충전기(4)의 변환장치(4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을 전원으로서 수신하는 녹음재생장치(44s)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22)(35)는 상기 수신장치(14)에 의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녹음재생회로(44)에 전달하여 녹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재생장치(44S)는 충전기(4)와 일체로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4)는 접속장치(28, 37∼39, 42, 47∼53)를 통해서 상기 무선전화기(2)와착탈이 자유롭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재생장치(44S)는 충전기(4)와 별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녹음재생장치(44S)는 충전기(4)를 통해서 상기 무선전화기(2)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4)는 제1의 접속하는 장치(28, 37∼39, 42, 47∼51, 50b)를 통해서 상기무선전화기(2)와 착탈자유롭게 접속되고, 상기 녹음재생장치 (44S)는 제 2 의 접속장치(47a∼50a, 101∼104)를 통해서 상기 충전기(4)와 착탈자유롭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장치(1)는 통화시에 통화상대에 대한 소정의 메시지를 재생하여 상기 유선회선(3)을 통해 송신하는 메시지 발생장치(54)을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8. 유선회선(3)에 접속되며, 적어도 이 유선회선(3)을 통해 전송 되어온 음성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장치(5)를 구비한 주장치(1)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장치(40), 음성신호를 녹음하며 적어도 녹음된 음성신호를 발생하는 녹음발생회로(44), 이 녹음 발생 회로(44)에 의해 발생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46)를 구비한 충전기(4)와: 상기 주장치(l)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어상기 주장치(1)의 송신장치(5)에 의해 송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장치(14), 제어장치(22)(35), 상기 충전기(4)의 변환장치(4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으로 충전되어 적어도 상기 수신장치(14) 및 상기 제어장치(22)(35)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밧데리(29)를 구비한 무선전화기(2)와: 자동응답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장치(36)와: 상기 녹음재생회로(44)로 하여금 음성신호를 재생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재생지시장치(45)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22)(25)는 상기 모드설정 장치(36)에 의해 자동응답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수신장치(14)에 의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녹음재생회로(4)에 전닫하여 녹음시키는 제어를 하고, 상기 재생지시장치(45)에 의해 음성신호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적어도 상기 자동응답 동작 모드에서 녹음된 음성 신호를 상기 녹음재생회로(44)에서 재생시켜 그 재생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상기 스피커(46)로 부터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장치(36)는 상기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설정장치(36)는 상기 충전기(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지시장치(45)는 상기 충전기(4)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지시장치(45)는 상기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3. 유선회선(3)에 접속되며, 적어도 이 유선회선(3)을 통해 전송되어온 음성신호를 무선회선을 통해 송신하는 송신장치(5)를 구비한 주장치(1)와: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변환장치(40)를 구비한 충전기(4)와: 상기 주장치(1)와 무선회선으로 접속되어 상기 주장치(1)의 송신 장치(5)에 의해 송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무선회선을 통해 수신하는 수신장치(14), 제어장치(22)(35), 상기 충전기(4)의 변환 장치(4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에 의해 충전되어 적어도 상기 수신장치(14) 및 상기 제어장치(22)(35)에 전원전압을 공급하는 밧데리(29)를 구비한 무선전화기(2)와: 음성신호를 녹음하며, 적어도 녹음된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녹음재생회로(44) 상기 녹음재생회로(44)에 의해 재생된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46)를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충전기(4)의 변환장치(40)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압을 전원으로서 수신하는 녹음재생장치(l00)와: 자동응답 동작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설정장치(36)와: 상기 녹음재생회로(44)로 하여금 음성신호를 재생할 것을 지시하기 위한 재생지시장치(45)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장치(22)(35)는 상기 모드설정장치(36)에 의해 자동 응답모드가 설정되어있는 경우 상기 수신장치(14)에 의해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녹음 재생회로(44)에 전달하여 녹음시키는 제어를 하고, 상기 재생지시장치(45)에 의해 음성신호의 재생이 지시된 경우 적어도 상기 자동응답 동작 모드에서 녹음된 음성 신호를 상기 녹음재생회로(44)에서 재생시켜 그 재생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상기 스피커(46)로 부터 출력시키는 제어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무선전화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장치(36)는 상기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설정장치(36)는 상기 녹음재생장치(10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무선전화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지시장치(45)는 상기 녹음재생장치(100)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무선전화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지시장치(45)는 상기 무선전화기(2)에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무선전화장치.
KR1019900003640A 1989-03-16 1990-03-16 무선 전화장치 KR930002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852 1989-03-16
JP01-064852 1989-03-16
JP1064852A JPH02244856A (ja) 1989-03-16 1989-03-16 無線電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5484A KR900015484A (ko) 1990-10-27
KR930002083B1 true KR930002083B1 (ko) 1993-03-26

Family

ID=1327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640A KR930002083B1 (ko) 1989-03-16 1990-03-16 무선 전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81668A (ko)
JP (1) JPH02244856A (ko)
KR (1) KR9300020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09B2 (ja) * 1990-06-18 1996-03-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装置
JP3297459B2 (ja) * 1991-04-12 2002-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無線電話システム
GB2255258B (en) * 1991-04-25 1995-03-08 Technophone Ltd Radio telephone
JPH0514478A (ja) * 1991-07-01 1993-01-22 Pioneer Electron Corp 留守番機能付き車載用電話装置
JPH0511615U (ja) * 1991-07-19 1993-02-1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携帯用電話機
JPH0575694A (ja) * 1991-09-17 1993-03-26 Rohm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コードレス留守番電話機
US5337346A (en) * 1991-09-26 1994-08-09 Casio Computer Co., Ltd.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including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JP3069419B2 (ja) * 1991-11-27 2000-07-24 ローム株式会社 クロスポイントミキサ及びこれを備える電話機
JP2968887B2 (ja) * 1992-08-06 1999-11-02 ローム株式会社 クロスポイントスイッチ
JPH0746299A (ja) * 1993-07-31 1995-02-14 Nec Corp 無線電話機
US5649305A (en) * 1993-12-28 1997-07-15 Nec Corporation Memory call origina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originating a call to a calling party
US5495357A (en) * 1994-02-14 1996-02-27 Machin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transmitting, receiving and playing sounds
US5481596A (en) * 1994-05-26 1996-01-02 At&T Corp. Auxiliary baseband telephone interface for an answering machine
JPH08186624A (ja) * 1994-12-28 1996-07-16 Nec Corp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US5568538A (en) * 1995-08-18 1996-10-22 Tamir; Giora Voice message recorder for use with telephones
IL119040A (en) * 1995-08-18 2000-09-28 Tamir Giora Hands-free telephone apparatus
US6144853A (en) * 1997-04-17 2000-11-0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cordless telephony
FR2805948B1 (fr) * 2000-03-01 2002-05-31 Alain Aisenberg Socle multifonctions pour telephone cellulaire
US6658092B1 (en) 2002-06-26 2003-1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horizing re-recording
US6778639B2 (en) 2002-06-26 2004-08-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authorizing recording of a message
US7072684B2 (en) * 2002-09-27 2006-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transcribing a telephone communication
KR101952260B1 (ko) 2012-04-03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동영상 썸네일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83994A5 (ko) * 1974-08-23 1977-01-14 Compur Werk Gmbh & Co
KR840002493B1 (ko) * 1982-06-08 1984-12-31 김용원 무선전화기의 녹음기 원격제어장치
JPS5923956A (ja) * 1982-07-30 1984-02-07 Toshiba Corp 電話自動応対装置
US4481382A (en) * 1982-09-29 1984-11-06 Villa Real Antony Euclid C Programmable telephone system
JPS6025623A (ja) * 1983-07-19 1985-02-08 Toyota Motor Corp 作業進度に同期した組付け部品指示方法と装置
JPS6124335A (ja) * 1984-07-13 1986-02-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電話方式
GB2180122A (en) * 1985-08-29 1987-03-18 John Alan Frank Telephone answering machine
JP2588189B2 (ja) * 1986-03-11 1997-03-05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食品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法
DE3881422T2 (de) * 1987-03-24 1994-01-20 Hashimoto Corp Fernsprechvorrichtung mit mehreren Funktionen.
JP2664923B2 (ja) * 1988-03-04 1997-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US4881259A (en) * 1989-01-06 1989-11-14 Dynascan Corporation Answering machine with cordless tele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244856A (ja) 1990-09-28
KR900015484A (ko) 1990-10-27
US5081668A (en) 1992-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083B1 (ko) 무선 전화장치
US4761806A (en) Method and circuit for setting dialing data in a wireless telephone
US4744101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920000140B1 (ko) 무선전화장치용 확성장치와 그 확성방법
US5526405A (en) Cordless telephone apparatus with a speakerphone operation mode cordless
KR910005651B1 (ko) 무성통신장치
KR920009334B1 (ko) 무선전화장치
JPH02252329A (ja) 無線電話装置
JPH03108931A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機
JPH02241235A (ja) 無線電話装置
JPH05153036A (ja) 無線電話装置
JP2563179B2 (ja) コ−ドレス電話機
JPH0752853B2 (ja) 無線電話機
KR940009771B1 (ko) 무선전화기의 모뎀 자동선택 장치
RU2171545C1 (ru) Бесшнуровой громкоговорящий телефон
KR950003321B1 (ko) 무선전화기의 데이타 송수신장치
KR0148811B1 (ko)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3046377B2 (ja) 無線電話装置
JPH062187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100238523B1 (ko) 무선 전화기에서 휴대장치 이용 고정장치 제어방법
KR950004752B1 (ko)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KR940003840B1 (ko) 정전시 무선전화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3017975B2 (ja) 無線通信装置
JPH01190056A (ja) 無線電話装置の呼出し方式
JPH0613967A (ja) 移動電話端末の発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