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752B1 -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752B1
KR950004752B1 KR1019920000954A KR920000954A KR950004752B1 KR 950004752 B1 KR950004752 B1 KR 950004752B1 KR 1019920000954 A KR1019920000954 A KR 1019920000954A KR 920000954 A KR920000954 A KR 920000954A KR 950004752 B1 KR950004752 B1 KR 95000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ortable device
output
monitorin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정장호 filed Critical 금성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0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752B1/ko

Link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무선전화장치의 착신호출시 동작흐름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무선전화장치의 발신호출시 동작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블록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착신시 휴대장치의 동작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착신시 휴대장치의 동작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착신시 휴대장치의 동작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발신시 휴대장치의 동작흐름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착신시 고정장치의 동작흐름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착신시 고정장치의 동작흐름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통화종료시 고정장치의 동작흐름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발신시 고정장치의 동작흐름도.
제13도는 제4도에 도시된 수신신호세기 감시장치의 블록구성도.
제14도는 제4도에 도시된 송신출력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가입자회선 22 : 일반전화기
23 : 라인인터페이스 24 : 제어장치
25 : 송신출력 제어장치 26 : 송신기
27 : 주파수합성장치 28 : 수신기
29 : 수신신호세기 감시장치 30 : ID코드기억장치
31 : 안테나 공용기 32 : 고정장치의 안테나
33 : 무선전화기 안테나 34 : 안테나 고용기
35 : 수신신호세기 감시장치 36 : 수신기
37 : 주파수 합성장치 38 : 송신기
39 : 송신출력 제어장치 40 : 제어장치
41 : ID코드 기억장치 42 : 핸드셋
본 발명은 다중회전용 무선전화장치에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 사이의 통신환경에 따라 휴대장치와 고정장치의 발사출력을 최적상태로 자동증감되도록 제어하는 무선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전화장치에서 휴대장치와 고정장치의 신호출력을 최적상태로 조절함으로써 통화중 휴대장치의 밧데리의 소비전력을 극소화함과 동시에 통화시의 혼선을 방지하고 주파수활용성을 증대시키도록하기 위해 무선전화장치의 고정장치 및 휴대장치에 수신신호세기 감시기능과 송신출력 제어기능을 부가한 무선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 대한 구성을 블럭도로 나타낸 것으로, 동도면에서 종래의 무선전화장치는 크게 유선의 가입자회선(1)에 접속된 고정장치(A)와 이 고정장치(A)에 대해 다중무선회선을 매개하여 접속되는 휴대장치(B)로 구성한다.
고정장치(A)는 일정한 발사출력을 갖는 송신기(5), 안테나(10)로부터 안테나 공용기(8)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7), 이들 송신기(5)와 수신기(7)의 변복조에 필요한 발진주파수를 공급하는 주파수 합성장치(6), 송신 및 수신기 공용가능한 안테나 공용기(duplexer)(8), 송신 및 수신겸용 안테나(10), 가입자회선(1)과 일반전화기가 접속되는 라인 인터페이스(3),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4), 무선회선 선택시 필요한 ID코드가 기억된 ID코드기억장치(9)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동장치인 휴대장치(B)는 상술한 고정장치(A)와 동일하게 규정된 일정한 발사출력을 갖는 송신기(15)와 수신을 위한 수신기(13) 및 이들 송·수신기(15,13)에 필요한 발진주파수를 공급하는 주파수합성장치(14), 송신 및 수신공용 안테나 공용기(12), 송수신겸용 무선전화기 안테나(1), 이 무선전화기의 고유한 ID코드가 기억된 ID코드기억장치(17),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6) 및 발신스위치와 다이얼키가 부착되어 있는 핸드셋(18)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와 제3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의 착신 호출시 동작흐름도와 발신호출시 동작흐름도를 나타낸다.
먼저, 제2도에 도시된 착신발생의 경우에 대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유선의 가입자회로선(1)을 통해 착신신호가 무선전화장치의 고정장치(A)로 인가되면 고정장치(A)는 공채널(idle channel)을 탐지하기 위해 스캐닝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공채널을 탐지하면 제어장치(4)는 주파수 합성장치(6)를 제어하여 공채널주파수에 동조시키고 송신기(5)를 동작시켜 ID코드 기억장치(9)에 있는 무선전화장치의 ID코드를 변조주파수로 변조하여 안테나공용기(8)와 고정장치용 안테나(10)를 통해 일정한 출력으로 발사한다.
수신기를 ON으로 한 상태에서 대기중인 휴대장치(B)는 스캐닝하는 중에 고정장치(A)로 부터 인가되는 ID코드가 자신의 ID코드와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하면 그 휴대장치(B)는 착신호출신호를 인지하였다는 호출신호 착신응답신호를 ID코드와 함께 고정장치(A)로 송출한다.
이어, 호출신호착신응답신호를 수신한 고정장치(A)는 재차 무선통화회선의 공채널상태를 확인한 후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에서 전송되는 착신호출신호를 고정장치(A)의 가입자회선(1)와 라인인터페이스(3) 및 송신기(5), 안테나공용기(8), 고정장치안테나(10)를 통해 미리 정해진 무선회선으로 송출하고, 착신호출신호를 수신한 휴대장치(B)는 제어장치(16)의 제어하에 착신 호출음(ringing)을 발생하게 된다.
착신호출음 발생시 핸드셋(18)에 있는 통화스위치를 켜면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16)는 주파수합성장치(14)를 제어하여 휴대장치(B)의 송신기(15) 및 수신기(13)가 미리 정해진 무선회선주파수에 동조되도록 한후, 안테나 공용기(12)와 무선전화기안테나(11)를 통하여 오프-훅(OFF-HOOK)신호를 규정된 일정한 출력으로 발사한다.
오프-훅신호를 수신한 고정장치(A)는 제어장치(4)의 제어하에 가입자회선(1)과 무선통화회선을 연결함으로써 무선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통화종료 상태가 되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4)는 국설 또는 사실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회선(1)을 단절시키고 고정장치(A) 의 송신기(5)를 OFF시킨 다음 무선회선을 찾기 위한 스캐닝절차를 개시하게 된다.
다음으로, 제3도에 도시된 발신호출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대기상태인 무선전화장치의 고정장치(A)와 휴대장치(B)는 상호 스캐닝하는 도중에 발신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장치(B)에 부착된 통화용 스위치를 ON시키면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16)는 비어있는 채널중의 한 채널을 선택한 후 송신기(15)를 ON시키고 무선전화장치마다 부여된 고유의 ID코드가 포함된 발신호출신호를 송출한다.
한편, 대가상태에서 스캐닝동작을 계속 수행하는 고정장치(A)는 휴대장치(B)로부터 발사된 발신호출신호 및 ID코드를 수신비교하여, 자신의 ID코드와 동일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 제어장치(4)는 주파수합성장치(6)와 송신기(5)를 제어하여 송신가능상태로 한 다음, ID코드가 부가된 발신호출응답신호를 안테나 공용기(8)와 고정장치안테나(10)를 경유하여 송출하고, 그에따라 휴대장치(B)는 발신호출 응답신호, ID코드 및 무선회선상태를 파악한 후 가입자회선연결요구신호를 발송한다. 가입자회선 연결요구신호를 수신한 고정장치(A)는 가입자회선(1)의 접속상태를 확인한 후 회전중계기에 가입자회선(1)을 접속시킨다. 가입자회선(1)과 고정장치(A)가 가입자회선(1)에는 다이얼톤(발신음)이 입력되며, 이 다이얼톤은 고정장치(A)의 라인인터페이스(3)와 송신기(5), 안테나 공용기(8) 및 고정장치안테나(10)를 경유하여 무선회선으로 송출된다. 다이얼톤을 수신한 휴대장치(B)는 다이얼링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다이얼링 신호가 송신기 (15)와 안테나공용기(12) 및 무선전화안테나(11)를 경유하여 무선회선으로 송출된다.
무선전화기에서 송신된 다이얼톤을 수신한 고정장치(A)는 제어장치(4)의 제어하에 고정장치안테나(10), 안테나공용기(8), 수신기(7) 및 라인인터페이스(3)를 통해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된 가입자회선(1)으로 전송한다.
통화중인 상태에서 고정장치(A)는 통화회선상태를 감시하게 되고, 그 감시중에 휴대장치(B)로부터 채널 변경요구신호가 입력되면 다른 공채널로 변경하는 한편 휴대장치(B)도 동일한 무선회선으로 변경하여 통화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한다.
통화가 종료되면 착신시의 통화종료상태와 마찬가지로 휴대장치(B)는 온-훅(ON-HOOK)신호를 고정장치(A)에 송출한 후 송신기(15)를 OFF시키고 스캐닝절차를 시작하게 되며, 온-훅신호를 수신한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4)는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된 가입자회선(1)을 단절시키고 고정장치(A)의 송신기(5)를 OFF시킨 다음 무선회선을 탐지하기 위한 스캐닝절차를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서는 무선전화장치의 고정장치(A)와 휴대장치(B)의 발사출력이 항상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장치(A)와 근거리에서 휴대장치(B)를 사용할 때에는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므로 휴대장치(B)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로서 밧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휴대장치의 사용가능시간이 단축되고, 또 통화가능한 최소전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통화폭주시 근처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른 무선전화장치에 혼선의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발사출력을 낮게 하여 사용할 경우, 부근에 위치한 다른 무선전화장치에서도 동일주파수를 재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파수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서는 발사출력을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으므로 주파수재활용성이 열화된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송수신신호의 세기에 따라 출력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휴대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밧데리를 재충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한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에 필요한 최소전력으로 통화신호를 발사하여 무선전화장치간의 혼선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한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필요 최소전력으로 통화신호를 발사하여 무선채널이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근처의 다른 무선전화장치가 동일한 무선채널을 재사용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파수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한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에 있어서, 휴대장치가 무선채널을 통해 고정장치와 통화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장치로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감지하는 제1과정, 상기 고정장치가 무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장치와 통화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장치로 부터의 수신신호 세기를 감지하는 제2과정, 상기 제1과정 수행후 휴대장치가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 상기 제2과정 수행후 고정장치가 수신 신호세기에 따라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4과정, 상기 제3과정 수행후 고정장치가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수신하여 송신출력을 조절하는 제5과정, 상기 제4과정 수행후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수신하여 송신출력을 조절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서 고정출력을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무선전화장치에서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의 발사출력을 수신감도의 세기에 따라 적정치 이상의 수신신호세기가 검출되면 이 정보를 제어장치에서 받아들여 송신기를 통해 상대장치로 송신출력감소 요구코드를 전송하고, 상대장치는 수신기에 의해 이 송신출력감소요구코드를 인식하여 송신출력제어장치에 송신출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을 계속하면서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가 서로 통화환경에 따라 적절한 발사전력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수신신호세기가 적정치 이하로 저하되는 경우 수신신호 세기감시장치는 제어장치에 이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장치는 송신기를 통하여 상대장치에 송신 출력증가요구코드를 전송한다. 송신출력증가요구코드를 수신한 상대장치의 제어장치는 송신출력제어장치를 작동시켜 송신출력을 상승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같은 과정을 계속하면서 통화를 하게함으로써 수신신호세기의 상태에 따라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는 최소한 송신출력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고정장치(A)와, 휴대장치(B)로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무선전화장치중 고정장치에 관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고정장치(A)는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회선(21)과 필요에 따라 선택되는 일반전화기(22), 가입자회선(21)과 장치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장치(24)를 연결하는 라인인터페이스(23), 송신기(26), 수신기(28), 송신기(26)와 수신기(28)에 필요로 하는 주파수를 제공하는 주파수합성장치(27), 송신기(26)의 송신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출력제어장치(25), 수신기(28)에 수신되는 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그 수신기(28)입력단에 인가되는 신호의 세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신신호세기감시장치(29), 무선전화장치 고유의 ID코드가 기억된 ID코드장치(30), 송신 및 수신신호를 동시에 입출력시킬 수 있는 안테나공용기(31), 송신과 수신시 공용할 수 있는 고정장치안테나(32)로 구성된다.
그리고, 무선전화장치의 휴대장치(B)에 관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휴대장치(B)는 DTMF신호가 발생되는 DTMF패드, 통화용 스위치 및 전원스위치를 갖춘 핸드셋(42)과, 휴대장치(B)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 무선전화장치 고유의 ID코드가 기억된 ID코드기억장치(41), 송신기(38), 수신기(36), 송신기(38)와 수신기(36)에 필요한 주파수를 공급하는 주파수합성장치(37), 송신기(38)의 발사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송신출력제어장치(39), 수신기(36)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수신신호세기를 감시하기 위한 수신신호세기감시장치(35), 무선안테나(33)를 공용하기 위한 안테나공용기(34)로 구성된다.
이어,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에서 착신이 발생된 경우 휴대장치(B)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휴대장치(B)의 전원스위치를 ON시켜 놓은 대기상태(단계 100)에서 제어장치(40)는 착신호출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는데(단계 101), 착신호출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착신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ID코드가 무선전화장치 고유의 ID코드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102). 이 확인결과 ID코드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상태(단계 100)로 복귀되는 반면, ID코드가 같으면 착신호출응답신호를 고정장치(A)측으로 송출한다(단계 103). 착신호출 응답신호를 고정장치(A)로 전송한 후 휴대장치(B)는 고정장치(A)로 부터 착신호출음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단계 104), 착신 호출음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휴대장치(B)는 발신상대방이 통화의사를 포기한 것으로 간주하고 다시 대기상태(단계 100)로 복귀되는 반면, 착신호출음신호가 수신되면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에 호출음을 발생한다(단계 105).
착신호출음신호가 수신되어 호출음이 울리고 있는 중에 휴대장치(B)의 사용자가 통화스위치를 ON시키는가를 판단하여(단계 106), 통화스위치를 ON시키지 않으면 제어장치(40)는 고정장치(A)로부터 계속 착신호 출음신호가 수신되고 있는가를 확인하면서 휴대장치(B)의 호출음이 계속 울리게 된다.
휴대장치(B)의 사용자가 통화스위치를 ON시키게 되면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오프-훅 신호를 고정장치(A)로 전송한 다음(단계 107), 휴대장치(B)는 고정장치(A)로부터 가입자회선(21)과 연결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108).
고정장치(A)로부터 통화로 접속완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휴대장치는 그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계속 확인하고, 그 연결완료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휴대장치(B)는 통화가능한 상태로 된다(단계 109).
통화상태(단계 110)에서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고정장치(A)로 부터 ID코드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게 되는데(단계 111), 고정장치(A)로 부터 30초동안 ID코드가 휴대장치(B)의 입력단에 수신되는가를 확인하여(단계 112), ID코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통화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하여 휴대장치(B)의 송신기(38)를 OFF시키고(단계 113), 휴대장치(B)에 통화상태불량의 경보음을 발생시킨후(단계 114), 대기상태로 귀환된다.
반면에 30초 이내에 고정장치(A)로 부터 ID코드가 수신되면 휴대장치(B)는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단계 115), 출력증감요구 코드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계속 확인하고,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있을 경우 출력증가요구코드인지 아닌지를 확인한다(단계 116). 출력증가요구코드를 수신하게 되면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더 높을 수 있는가를 확인하여(단계 117)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더 높을 수 있으며 휴대장치(B)에 부가되어 있는 송신출력제어장치(39)에 의해 출력레벨을 1단계 높여주고(단계 118), ID코드를 고정장치(A)로 전송한후(단계 119), 단계 111로 귀환한다.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더 높을 수 없을 경우에는 휴대장치(B)는 송신출력을 이전과 동일하게 하고(단계 123), 통화채널상태확인용 ID코드를 고정장치(A)로 전송한후(단계 124), 단계 111로 귀환한다. 한편, 단계 116에서 출력증가요구코드가 아닌 경우 제어장치(40)는 출력감소요구코드로 인식하여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더 이상 낮출 수 있는지를 확인하여(단계 120),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더 이상 낮출수 없으면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이전과 동일하게 한 후(단계 123), 무선전화장치 고유의 ID코드를 고정장치(A)로 전송하는 반면,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낮출 수 있으면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의 송신출력을 송신출력제어장치(39)에 의해 송신출력레벨을 1단계 낮추어주고(단계 121), 무선채널상태 감시를 위한 ID코드를 고정장치 측으로 전송한후(단계 122), 단계 111로 귀환한다. 한편, 통화상태에서 휴대장치(B)는 제어장치(40)에 의해 수신기(36)의 입력단에 수신되는 수신신호세기를 감시하기 위해 수신신호세기감시장치(35)를 작동시킨다(단계 125).
제어장치(40)는 수신신호세기감시장치(35)를 통해 수신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보다 큰가를 확인하여(단계 126),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보다 크면 휴대장치(B)는 고정장치(A)로 무선채널상태감시용 ID코드와 출력감소요구코드를 함께 전송한다(단계 130).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보다 작고 휴대장치(B)의 임계레벨(Threshold Level)보다 클 경우(단계 127), 휴대장치(B)는 고정장치(A)가 적절한 출력으로 송신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고정장치(A)측으로 무선채널상태감시용 ID코드만 전송하고 (단계 129),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보다 작고 휴대장치(B)의 임계레벨보다도 작을 경우에 휴대장치(B)는 고정장치(A)로 무선채널상태감시용 ID코드와 출력증가요구코드를 함께 전송한다(단계 128). 상기한 단계 128, 129, 130의 동작을 수행한 다음, 휴대장치(B)는 통화상태가 계속될 경우 상기한 동작을 최초단계부터 계속 순환하게 된다.
한편, 통화중인 상태에서 통화완료되면 휴대장치(B) 사용자는 휴대장치(B)의 통화용 스위치를 OFF시키게 되는데,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 사용자가 통화중인지의 여부를 항상 감시하게 된다(단계 131). 따라서 휴대장치(B)의 통화용 스위치를 OFF시키게 되면, 제어장치(40)는 통화종료신호(on-hook)를 고정장치(A)로 전송하고(단계 132), 휴대장치(B)의 송신기(38)를 오프시키고(단계 133), 휴대장치(B)는 대기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에, 휴대장치(B)로 발신하는 경우 휴대장치(B)의 동작에 대해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장치(B)는 통상 전원스위치를 ON한 상태에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휴대장치(B)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발신통화를 위해 통화용 스위치를 ON시키기 이전까지는 대기상태로 유지된다(단계 200). 대기상태에서 휴대장치(B)는 스캐닝동작을 하면서(단계 201), 고정장치(A)로부터 착신호출신호가 있는가를 확인하여(단계 202), 착신호출신호가 있을 경우에 제5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착신호를 처리한다. 반면에, 착신호출이 없는 상태에서 휴대장치(B)의 사용자가 휴대장치(B)의 통화용스위치를 ON시키게 되면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통화용 스위치의 ON/OFF상태를 감시하고 있다가(단계 203), 통화용스위치가 ON상태를 인지하자 마자 휴대장치(B)의 송신기(38)를 ON시키고(단계 204), 스캐닝과정에서 공채널로 등록된 무선채널을 이용하여 무선전화장치 고유의 ID코드와 함께 발신호출신호를 고정장치(A)로 전송하고(단계 205), 3초 이내에 고정장치(A)로부터 동일한 ID코드를 갖는 발신호출응답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한다(단계 206).
고정장치(A)로 부터 동일 ID코드와 발신호출응답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선택한 무선회선의 상태가 통화하는데 적당한지를 판단하여 선택된 무선회선의 상태가 불량하다고 판정되면,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가 다시 스캐닝동작하여 더 양호한 무선회선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단계 207), 무선회선상태가 양호한 경우 휴대장치(B)는 고정장치(A)측으로 통화로 연결요구신호를 전송한다(단계 208).
통화로 연결요구신호를 전송한 휴대장치(B)는 고정장치(A)로부터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되는 가입자회선(21)의 상태가 통화가능상태인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신호인 통화중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209). 통화중신호를 수신할 경우, 고정장치(A)와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회선(21)이 통화중 상태이기 때문에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의 송신기(38)를 OFF시킨다(단계 213).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에 통화중신호가 수신된 후 30초내에 통화용 스위치를 사용자가 OFF시켰는가를 판단하여(단계 214), 사용자가 통화용 스위치를 OFF하였을 경우 대기상태에서 스캐닝동작을 하도록 하는 반면, 통화중신호의 수신후 30초가 되도록 사용자가 통화용 스위치를 OFF시키지 않으면 제어장치(40)는 휴대장치(B)에 10초가 경보음을 발생시키고(단계 215), 휴대장치(B)의 통화용 스위치를 강제로 OFF시킨다(단계 216).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장치(B)를 ON시킨 상태에서 공채널로 ID코드와 발신호출신호를 함께 고정장치(A)로 전송한 다음 3초가 경과하여도 어떠한 응답신호도 없을 경우,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고정장치(A)로 ID코드와 발신호출신호를 재전송하고(단계 217), 전송후 3초 이내에 고정장치로부터 동일 ID코드를 갖는 응답신호가 수신되면(단계 218), 단계 207로 진행하여 선택된 무선회선상태를 판단한다.
또, ID코드와 발신호출신호를 재전송 후 3초가 경과하여도 고정장치(A)로 부터 동일 ID코드를 갖는 응답신호가 없으면(단계 218),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고정장치(A)가 고장이거나 통화가능 거리밖에서 사용할 경우로 판단하여(단계 219), 휴대장치(B)의 송신기(38)를 OFF시키고(단계 220), 휴대장치(B)에 경보음을 발생시킨다(단계 221). 또한 제어장치(40)는 경보음발생후 10초이내에 통화용스위치를 OFF시켰는가를 확인하여(단계 222), OFF시켰을 경우 대기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반면 OFF시키지 않았을 경우에는 통화용스위치를 OFF시킨후(단계 223), 대기상태로 복귀한다.
단계(209)에서 고정장치(A)로부터 통화중이 아닌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의 고정장치(A)로부터 다이얼톤이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210).
고정장치(A)로부터 다이얼톤이 수신되지 않으면 고정장치(A)에 대해 통화로연결요구신호를 다시 전송하여 단계 208와 209 및 210를 반복하게 된다. 다이얼톤이 고정장치(A)로 부터 휴대장치(B)측으로 전송되어 휴대장치(B)에서 수신하게 되면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40)는 핸드셋(42)에 있는 DTMF 패드에서 휴대장치(B)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생되는 DTMF신호를 송신기(38)를 경유하여 전송하는 다이얼링 동작을 한다(단계 211). 다이얼링 과정이 끝나게 되면 호출상대방의 오프-훅에 의해 통화개시상태로 된다(단계 212).
여기서, 휴대장치(B)의 통화중인 상태와 통화종료시의 동작상태는 상기 제6도와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착신시 휴대장치의 통화중 및 통화종류시의 동작상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는 제9도와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휴대장치(B)로 착신호출이 발생할 경우 고정장치(A)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휴대장치(B)의 전원스위치를 ON해 놓은 대기상태(단계 300)에서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40)는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된 가입자회선(21)으로부터 착신호출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301).
착신호출신호가 수신되면 고정장치(A)는 스캐닝과정에서 공채널로 인식된 하나의 채널을 선택하고(단계 302), 고정장치(A)의 송신기(26)를 ON시킨다(단계 303). 그 다음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무선전화장치 고유의 ID코드와 착신호출신호를 휴대장치(B)로 전송한다(단계 304). 휴대장치(B)로 착신호출신호와 ID코드를 전송한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3초이내에 휴대장치(B)로부터 착신호출응답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여(단계 305), 휴대장치(B)로부터 착신호출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장치(24)는 단계(304)로 되돌아가 ID코드와 착신호출신호를 휴대장치(B)로 재차 전송하는 반면, 휴대장치(B)로 부터 착신호출응답신호가 수신되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선택된 무선회선의 상태가 양호한지를 확인한다(단계 306). 이 확인결과 무선회선상태가 불량할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다른 공채널을 선택하고(단계 307), 상기 단계 304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선택된 무선회선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착신호출음신호를 휴대장치(B)로 전송하고(단계 308), 고정장치(A)는 휴대장치(B)로부터 오프-훅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한다(단계 309). 오프-훅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30초이내에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단계 310), 30초가 경과되지 않은 경우 단계 309로 가서 오프-훅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계속 확인하고, 30초가 경과되어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송신기(26)를 30초간 OFF시키고(단계 311), 대기상태로 되돌아간다. 휴대장치(B)로 부터 오프-훅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회선(21)과 고정장치(A)간을 연결시키고(단계 313), 무선통화회선을 개방시키고(단계 314), 통화가능상태로 된다(단계 315).
통화중인 상태(단계 316)에서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무선회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10초간격으로 ID코드를 휴대장치(B)로 전송한다(단계 317). ID코드를 전송한 후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로 부터 동일한 ID코드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게 되는데(단계 318), 30초 이내에 동일 ID코드를 수신하지 못하면(단계 324), 무선통화회선의 불량으로 판단하고(단계 336), 10초간 휴대장치(B)로 경보음을 발생하고(단계 337), 고정장치(A)의 송신기(26)를 OFF시킨 다음(단계 338) 대기상태(단계 300)로 복귀한다.
반면에, 30초 이내에 휴대장치(B)로부터 ID코드를 수신하게 되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로부터 출력증감요구 코드가 수신되는가를 반복적으로 확인하다가(단계 319)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수신되면 제어장치(24)는 출력증가요구코드인지 여부를 확인하여(단계 320), 출력증가요구코드일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고정장치(A)의 송신출력을 더 높을 수 있는가를 확인하여(단계 321), 고정장치(A)의 송신출력을 더 높일 수 있으면 고정장치(A)의 송신출력레벨을 송신출력제어장치(25)에 의해 1단계 높이고(단계 322), ID코드를 휴대장치(B)로 전송한후(단계 323), 단계 317로 귀환한다. 고정장치(A)의 출력을 더 높일 수 없을 경우 고정장치(A)의 송신출력을 전과 동일하게 유지시키고(단계 328), 휴대장치(B)로 ID코드를 전송한후(단계 329), 단계 317로 귀환한다.
반면에, 출력증가요구코드가 아닌 경우는 출력감소요구코드로 인삭하여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고정장치(A)의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있는가를 확인하여(단계 325), 고정장치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있으면 고정장치(A)의 송신출력레벨을 1단계 낮추고(단계 326), 휴대장치(B)로 ID코드를 전송한후(단계 327), 단계 317로 귀환한다. 이에 대해, 고정장치(A)의 송신출력을 더 이상 낮출 수 없을 경우, 제어장치(24)는 송신출력을 전과 동일하게 하고(단계 328), 휴대장치(B)로 ID코드를 전송하고(단계 329), 통화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통화상태에서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수신신호세기 감시장치(9)를 작동시켜(단계 330), 수신세기가 수신기(28)의 최적입력레벨보다 큰가를 확인한다(단계 331). 여기서 수신신호세기가 미리 정해진 최적입력레벨보다 높을 경우 휴대장치(B)로 ID코드와 출력감소요구코드를 전송하고(단계 335), 통화상태를 지속한다.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보다 낮을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수신신호세기가 고정장치(A)의 수신기(28)에 대한 임계레벨 보다 큰가를 확인하여(단계 332), 수신신호세기가 수신기(28)의 임계레벨 보다 클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로 ID코드만 전송한후(단계 334), 단계 317로 귀환하며, 고정장치(A)에서의 수신신호세기가 수신기(28)의 임례레벨 보다 낮을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로 출력증가요구코드와 ID코드를 전송한후(단계 333), 단계 317로 귀환한다.
통화상태에서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로부터 온-훅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항시 확인하여(단계 342), 휴대장치(B)로부터 온-훅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가입자회선(21)과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를 끊고(단계 343), 고정장치(A)의 송신기(26)를 OFF시킨 후(단계 344),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다음에, 제12도를 참조하여 휴대장치(B)로 발신호출을 수행하는 경우 고정장치(A)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휴대장치(B)의 전원스위치를 ON해 놓은 대기상태에서(단계 400),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와 연결되어 있는 가입자회선(21)에 착신호출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는 한편 스캐닝 동작을 계속하면서(단계 401), 휴대장치(B)로부터 ID코드와 발신요구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402). 휴대장치(B)로부터 발신요구신호가 발사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는 동안 고정장치(A)에 휴대장치(B)의 ID코드와 발신요구신호가 수신되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발신요구신호가 수신된 채널을 통화채널로 선택하고(단계 403), 고정장치(A)의 송신기(26)를 ON시키고(단계 404), 휴대장치(B)로 ID코드와 발신요구응답신호를 전송한다(단계 405).
휴대장치(B)로 발신요구응답신호를 전송한 다음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로부터의 통화로 접속요구신호가 1초이내에 수신되는지 확인한다(단계 406). 1초이내에 휴대장치(B)로부터 발사되는 통화로 연결요구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무선회선상태가 불량인 것으로 판단하고(단계 411), 고정장치(A)의 송신기(26)를 OFF시키고(단계 412), 대기상태로 복귀된다. 1초이내에 휴대장치(B)의 통화로 접속요구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가입자회선(21)의 접속상태가 양호한가를 확인한다(단계 407). 가입자회선(21)의 상태가 불량인 것을 통화중 상태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로 통화중 톤신호를 전송하고(단계 415), 고정장치(A)의 송신기(26)를 OFF시키고(단계 416),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가입자회선(21)의 접속상태가 양호한 경우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가입자회선(21)과 고정장치(A)를 접속시키고(단계 408), 다이얼 톤을 휴대장치(B)로 전송한 후(단계 409), 휴대장치(B)로부터 30초 이내에 다이얼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410). 그리고, 휴대장치(B)로부터 다이얼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고정장치(A)의 제어장치(24)는 휴대장치(B)측으로 경보음 발생코드를 발송한 후(단계 413), 고정장치(A)의 송신기(26)를 오프시키고(단계 414), 휴대장치(B)로부터 다이얼 신호가 수신되면 국설 또는 사설교환기의 접속작용에 의해 통화를 개시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계속되는 통화중인 상태에서의 고정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는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고정장치(A)와 휴대장치(B)의 수신부에 갖추어진 수신신호세기 감시장치(29,35)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안테나(500)를 경유하여 수신부로 입력된 고주파신호는 수신감도 및 선택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주파증폭기(501)에서 증폭되고, 이 고주파신호를 다운변환(down converting)하기 위해 주파수변환장치(507)를 사용하여 발생된 주파수변환신호를 고주파증폭기(501)에서 증폭되어진 출력신호와 혼합기(502)에 넣어 혼합시키게 되면 혼합기(502)의 출력은 혼합기(502)에 입력되는 양 주파수의 차에 해당되는 중간주파수가 출력되고, 이 중간주파수신호는 신호세기가 약화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주파증폭기(503)를 사용하여 다시 한번 증폭시킨다.
중간주파증폭기(503)에서 증폭된 출력신호는 검파기와 수신강도신호를 아날로그전압으로 변환시켜 주는 기능이 갖추어진 IC1(504)을 통과시킨다. IC1(504)을 통과한 출력은 입력되는 수신세력의 세기에 대응되는 아날로그신호 상태로 되고, 그 IC1(504)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는 예컨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로 구성된 IC2(505)에서 디지탈 변환된다. 즉, IC2(505)의 출력상태는 수신기에 입력되는 수신신호세기에 따라 디지탈 상태의 출력으로 나타나게 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용 IC(505)는 4bit 이상의 변환기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생성되는 디지탈데이터가 고정장치(A)나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24,40)로 보내어진다. 따라서, 제어장치(24,40)는 수신기의 수신레벨을 임계레벨에서의 디지탈데이터값과 적정치의 수신레벨상태에서의 디지탈데이터값을 제어장치에 기억시켜 두었다가 상대장치로부터 송신신호가 수신되게 되면 이 상태에서의 디지탈데이터값과 제어장치(24,40)의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놓은 적정수신레벨값 및 임계레벨값을 비교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신호 세기에 따라 ID코드와 출력증감요구코드를 상대장치로 전송한다.
다음에, 제14도를 참조하여 출력제어기능이 부가된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고정장치(A)와 휴대장치(B)의 송신부에 있는 송신출력제어장치(25,39)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4도에 도시된 송신출력제어장치의 구성은 크게 고주파신호로 발사하기 위한 변조부(600), 변조된 신호를 최종적으로 전력증폭하기 위한 종단전력증폭부(601), 이 종단전력증폭부(601)에서 증폭되어진 고주파신호를 손실없이 높은 효율로 발사할 수 있도록 종합처리 하여주는 공중선부(602). 제어명령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아날로그스위치(603)와, 종단전력증폭부(601)측에 각기 다른 바이어스 전압(+Vc)을 인기하는 전압제어용 저항(606)과, 제어장치(605)의 제어명령에 따라 아날로그스위치(603)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S1∼Sn)을 온/오프시키는 디지탈 로직(604), 이 디지탈 로직(604)의 상태를 파악하여 디지탈 로직(604)을 제어하는 제어장치(60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전압제어용 저항(606)은 다수의 저항(R1∼Rn)을 구비하는데, 종단전력증폭부(601)의 증폭직선성이 보장되는 범위내에서 바이어스 전압(+Vc)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저항 R1은 최대 저항치를 갖고 저항 R2, R5,…,Rn는 단계적으로 낮은 저항치를 갖는다. 제어장치(605)는 송신기의 출력을 조절하는 경우, 디지탈 로직(604)에 제어명령을 출력하여 스위치(S1∼Sn)를 선택적으로 온시켜 저항(R1∼Rn)을 종단전력증폭부(601)의 바이어스 전압 공급단지측에 연결함으로써 종단전력증폭부(601)에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변화시켜 종단전력증폭부(601)의 증폭레벨을 변화하게 하여 송신출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송신출력제어장치의 동작설명은 제6도, 제8도 및 제10도의 동작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고 관련된 사항만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무선전화장치에 구성된 고정장치(A)와 휴대장치(B)는 모두 제14도와 같은 송신출력제어장치가 구성되어 있는 바, 고정장치(A) 또는 휴대장치(B)의 제어장치에서 상대장치로부터 발사된 송신출력 증감요구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이를 수신한 제어장치(605)는 디지탈 로직(604)을 읽어 현재의 상태에서 송신기의 출력을 증감할 수 있는가를 판단하여 증감할 수 있으면 디지탈 로직(604)으로의 입력데이타변경에 의해 아날로그스위치부(603)의 연결상태를 제어하고 증감할 수 없을 경우 이전의 접속상태를 그대로 지속시킴으로써 송신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에 따르면, 통화신호의 세기에 따라 소비전력을 자동적으로 증감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휴대장치에 내장된 밧데리의 경우에 사용시간이 연장될 수 있고, 통화집중시에도 인접한 다른 무선전화장치의 혼신의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다른 지역에서 동일한 주파수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주파수의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5)

  1.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 방법에 있어서, 휴대장치가 무선채널을 통해 고정장치와 통화하는 상태에서 상기 고정장치로부터의 수신신호세기를 감지하는 제1과정, 상기 고정장치가 무선채널을 통해 상기 휴대장치와 통화하는 상태에서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수신신호세기를 감지하는 제2과정, 상기 제1과정 수행후 휴대장치가 수신신호세기에 따라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3과정, 상기 제2과정 수행후 고정장치가 수신신호세기에 따라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4과정, 상기 제3과정 수행후 고정장치가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수신하여 송신출력을 조절하는 제5과정, 상기 제4과정 수행후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수신하여 송신출력을 조절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휴대장치가 감지한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보다 큰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보다 큰 경우에 출력감소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수신신호세기가 임계레벨 보다 큰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임계레벨보다 큰 경우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만을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임례레벨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출력증가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은, 고정장치가 감지된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 보다 큰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 보다 큰 경우에 출력감소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최적의 입력레벨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수신신호세기가 임계레벨 보다 큰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임계레벨보다 큰 경우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만을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수신신호세기가 임계레벨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출력증가요구코드와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은, 고정장치가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가 소정시간내에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가 소정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소정시간동안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경보음을 발송하고 송신수단을 오프시킨후,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무선채널 상태 감시용 ID코드가 소정시간내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출력증감요구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휴대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출력증가요구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출력증가요구코드인 경우 송신출력을 더 높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높일 수 있는 경우 송신출력레벨을 1단계 만큼 높이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한후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6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높을 수 없는 경우 송신출력을 이전과 동일하게 하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한후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7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상기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출력증가요구코드가 아닌경우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있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있는 경우 송신출력레벨을 1단계만큼 낮추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전송한후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9단계, 상기 제8단계에서 고정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없는 경우 송신출력을 이전과 동일하게 하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휴대장치측으로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은, 휴대장치가 상기 고정장치로부터의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가 소정시간내에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1단계, 상기 제1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가 소정시간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송신수단을 오프시키고 통화상태 불량 경보음을 발생한후 대기상태로 진입하는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가 소정시간내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고정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출력증감요구코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고정장치로부터의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출력증가요구코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4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출력증가요구코드인 경우 송신출력을 더 높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높을 수 있는 경우 송신출력레벨을 1단계만큼 높이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한후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6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높일 수 없는 경우 송신출력을 이전과 동일하게 하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한후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7단계, 상기 제4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상기 출력증감요구코드가 출력증가요구코드가 아닌경우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제8단계, 상기 제8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있는 경우 송신출력레벨을 1단계만큼 낮추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한후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9단계, 상기 제8단계에서 휴대장치가 송신출력을 더 낮출 수 없는 경우 송신출력을 이전과 동일하게 하고 무선채널상태 감시용 ID코드를 상기 고정장치측으로 전송한후 상기 제1단계로 귀환하는 제1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 방법.
KR1019920000954A 1992-01-24 1992-01-24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KR95000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954A KR950004752B1 (ko) 1992-01-24 1992-01-24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0954A KR950004752B1 (ko) 1992-01-24 1992-01-24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752B1 true KR950004752B1 (ko) 1995-05-06

Family

ID=1932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954A KR950004752B1 (ko) 1992-01-24 1992-01-24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75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12229A (en) Multiple access radio telephone system selectively operating on full-duplex and half-duplex modes
US4415770A (en) Malfunction detection system for a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US4768219A (en) Cordless telephone
US4783844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ording signals
US4744101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US4443661A (en) Method of detecting troubles in a receiver for a common control channel of a mobile radio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stem therefor
EP0284324B1 (en) Radio telephones
US5081668A (en) Radio telephone system having recording and reproduction functions
KR920009334B1 (ko) 무선전화장치
EP0284325B1 (en) Radio telephone
AU608893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603520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telephone call quality of facsimile system with wireless telephone function
IL44474A (en) Battery saving system for duplex radio system
KR950004752B1 (ko) 무선전화장치의 출력조절방법
US5046081A (en) Radio telephone with variable attenuator for controlling modulated signal
US5243646A (en) Fast redial system for a telephone
CA2036754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radio channels to be used for cordless telephone systems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JP2609665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の識別情報登録方法
JP2752994B2 (ja) 無線電話装置
KR950004750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및 그의 핸드오버방법
EP0433166B1 (en) Cordless telephone
JPH0332122A (ja) 移動無線通信端末の送信出力制御方式
KR0148811B1 (ko)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950012580B1 (ko) 무선전화시스템 및 그의 채널변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