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1423B1 - 상하 연결식의 냉각 쇼우케이스 - Google Patents

상하 연결식의 냉각 쇼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1423B1
KR930001423B1 KR1019900014412A KR900014412A KR930001423B1 KR 930001423 B1 KR930001423 B1 KR 930001423B1 KR 1019900014412 A KR1019900014412 A KR 1019900014412A KR 900014412 A KR900014412 A KR 900014412A KR 930001423 B1 KR930001423 B1 KR 93000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case
unit
hook
wire rod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194A (ko
Inventor
요시로우 이시자까
히로시 오까모도
Original Assignee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샤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이우에 샤또시 filed Critical 산요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상하 연결식의 냉각 쇼우케이스
제1도는 본 발명의 냉각쇼우케이스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유지트부 및 쇼우케이스부의 부착전의 일부 생략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파스너부재를 걸림부재에 걸어진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파스너부재를 걸림부재에 걸기 전의 개략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걸림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유니트부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유니트부 및 쇼우케이스 부의 부착전의 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절개부인 "P"부를 발췌하여 절개하여 보인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각쇼우케이스 K : 쇼우케이스부
S : 연결장치 U : 유니트
4 : 기계실 9 : 냉각실
10 : 개구 31 : 상품진열실
40 : 파스너부재 41 : 조작부
42 : 후크 50 : 걸림부재
51 : 선재
본 발명은 유니트부와 쇼우케이스부와를 상하로 연결가능하게 구성한 상하연결식의 냉각쇼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유니트부와 쇼우케이스부와를 상하에 연결가능하게 구성한 상하 연결식의 냉각쇼우케이스로서 실공소 45-16531호 공보나 실개평 1-7887호 공보가 있다. 전자 공보에 있어서는, 보냉케이스가 진열케이스부와 대판부로 분할되며, 비스에 의하여 양부를 분리자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후자공보에 있어서는, 상부가 개구한 냉각실을 기계실의 위방향에 배치하여 형성된 기계실부와, 냉각실의 위방향에 중간부재에 의해 배설된 투명부재를 포함한 쇼우케이스부와를 가지는 냉기 순환식의 냉장쇼우케이스인 것으로, 중간부재는 냉각실의 개구를 그 위방향으로부터 덮을 수 있는 칫수의 쇼우케이스 저판부와 쇼우케이스 저판부를 둘러싸도록 그 주연으로부터 뻗는 부착부재와를 가지며 부착부재에는 그 상면측에 쇼우케이스의 투명부재를 재치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는 동시에, 그 하면측으로 기계실에 설치된 플랜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나사구멍)이 형성된 쇼우케이스가 개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전후자 어떤 것의 쇼우케이스라도 기계유니트부와 쇼우케이스부와 연결에 있어 비스등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 착탈할 수 없는 부착부재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공구없이는 유니트부와 쇼우케이스부와의 착탈작업이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구나 고장 때나 청소때에 있어서, 유니트부를 분리한 상태로 작업을 행할 경우에, 비스 등의 부착부재의 착탈작업을 개개로 행하지 않으면 분가하기 때문에, 이 착탈작업이 대단히 번거러우며 작업능률이 나빠지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유니트부와 쇼우케이스부와의 착탈작업 때에 공구를 불필요하게 한 상하연결식의 냉각쇼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계실의 상부에 냉각실을 배설한 상면에 개구를 가진 유니트부와, 그 유니트부 위에 착탈가능하게 재치되어 전기 냉각실과 연통하는 상품진열부를 가진 쇼우케이스부와를 구비한 상하연결식의 냉각쇼우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니트부 혹은 쇼우케이스부의 어느 한편으로는 상하에 회동자재로운 조작부 및 그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하 동작하는 후크부로부터 이루는 파스너부재를 설치하며, 다른 편에는 후크부와 쌍을 이루어 후크부를 걸어 유니트부와 쇼우케이스부와를 연결접속하는 선재를 가진 걸림부재를 배설하여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유니트부의 위에 쇼우케이스부를 재치시킨 상태로 파스너부재의 후크를 걸림부재의 선재에 걸리게 하여 조작부를 회동조작하는 것에 의해, 후크부가 아래방향(혹은 위방향)에 이동하며, 이 이동 때에 선재를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선재의 탄성에 의거하는 복귀력이 후크부를 위방향에 끌어당기도록 작용하며, 후크부의 고정력과 서로 작용하여 유니트부와 쇼우케이스와를 강고하게 고정시키도록 작용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실시예를 설명한다.
(1)은 연결식의 냉각쇼우케이스인 것으로 압축기(2)나 응축기(3) 등의 기계부품을 수납하는 기계실(4)을 가진 유니트부(U)와, 그 유니트부(U)위에 착탈가능하게 재치되는 쇼우케이스(K)와를 가진다.
유니트부(U)는, 기계실(4)의 상부에 단열벽(6)으로 단열적으로 구획되어 냉각기(7) 및 송풍장치(8)를 구비한 냉각실(9)을 배설하며, 냉각실(9)의 상면에는 개구(10)를 형성하고 있다. 이 냉각실(9)은, 냉각기(7)를 배설하는 측의 상면에는 냉기 귀환구로서의 제1개구(10A)를 형성하며 송풍장치(8)를 배설하는 측의 상면에는 냉기공급구로서의 제2개부(10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개구(10)를 형성하는 단열벽(6)의 상단에는 볼록부(또는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있다.
쇼우케이스부(K)는, 상면 및 하면에 각각 개구를 형성한 단열벽(21)을 가지며 이 단열벽(21)이 유니트부(U) 위에 착탈가능하게 재치되어서 사용된다.
또, 이 쇼우케이스부(K)를 유니트부(U) 위에 재치한 때 냉각실(9)의 제1개구(10A) 및 제2개구(10B)와 각각 연통하는 냉기귀환로(22) 및 이 냉기귀환로(22)와 칸막이판(24)으로 구획된 냉기 공급로(23)를 가지며, 하면개구를 형성하는 단열벽(21)의 하단에는, 유니트부(U)의 볼록부(또는 오목부)(11)와 쌍을 이루는 오목부(또는 볼록부)(25)를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오목부(25)의 고내측의 면에는, 전술한 유니트부(U)와 연결시킨 때, 그 연결부분의 시일을 행하는 시일부재(26)를 배설하고 있다.
쇼우케이스부(K)를 유니트부(U) 위에 재치시킨 때, 쇼우케이스부의 오목부(25)와 유니트부의 볼록부(11)와가 맞물리도록 결합시켜져서 양부(25), (11)의 전후 좌우의 빗나감을 방지하여 양자를 끼워맞춰지지하게 된다. 또 쇼우케이스부(K)에는 상품을 진열하는 상품진열부(31)를 배설하며 냉기공급로(23)의 취출구(27)로부터 냉기를 불어내는 동시에 냉기귀환로(22)의 흡입구(28)로부터 냉기를 귀환시켜서 상품진열부(31)의 냉각을 행하는 것이다.
유니트부(U) 혹은 쇼우케이스부(K)의 어떤 것의 한편(본 예에서는 유니트부(U))에는 수동조작에 의해 상하방향에 회동자재로운 조작부(41) 및 이 조작부(41)의 회동조작에 수반하여 상하 동작하는 후크부(42)로부터 이루는 파스너부재(40)를 설하며, 다른편(본 예에서는 쇼우케이스부(K))에는 후크부(42)와 쌍을 이루는 동시에 후크부(42) 선단을 걸리게 하는 것으로 조작부(41)를 회동조작한 때의 후크부(42)의 상하동작에 의한 아래방향에의 끌어내리는 힘에 의해 휘는(끌어당기는 상태로 이룬다) 선재(51)를 가진 걸림부재(50)를 배설하고 있다.
또한 이 파스너부재(40)와 걸림부재(50)와로 유니트부(U)와 쇼우케이스부(K)와를 연결접속하는 접속장치(S)를 구성하는 것이며, 본 예에 있어서는 이 파스너부재(40)와 걸림부재(50)와를 각각 2개씩 배설하는 2개의 접속장치(S)로 유니트(U)와 쇼우케이스부(K)와를 연결시키도록 하고 있다.
파스너부재(40)는 유니트부(U)의 단열벽(6)의 좌우측벽 상부 바깥면 대략 중앙부분에 고정부(43)로 부착고정되고 있으며, 조작부(4)는 이 고정부(43)의 축(44)에 대하여 회동자재롭게 지지하고 있으며, 후크부(42)는 이 조작부(41)의 축(45)에 대하여 회동자재롭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조작부(41)를 회동조작시킨때 그 회동에 수반하여 후크부(42)를 상하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조작부(41)를 고정위치에 회동시킴에 있어서 후크부(42)를 약간량(일예로서 6㎜ 정도로 설정하였다). 아래방향에 끌어내리며, 이 끌어내리는 힘(이것을 고정력이라고 칭한다)에 의하여, 후크부(42)를 길게 하는 것의 선재(51)를 아래방향으로 끌어당겨서 복원력을 발생시키며, 후크부(42)의 고정력 및 선재(51)의 복원력에 의하여 후크부(42)와 선재(51)와를 강고하게 연결접속시키는 것이다.
걸림부재(50)는 쇼우케이스부(K)를 유니트부(U)에 재치한 때 유니트부의 파스너부재(40)와 대치하는 쇼우케이스부 오목부(25)의 단열재 측에 내설되고 있으며, 피아노선(고장력강선)(高張力鋼線)등 탄성을 가진재료로부터 이루는 선재(51)와, 선재(51)를 삽입지지하는 부착판(52) 및 선재(51)의 일단측(선단부를 선재의 지름보다도 큰 폭으로 하여 빠지지 않게 하고 있다)을 덮어지게 하는 동시에 선재(51)의 타단측을 빠지지 않게 하도록 배설한 커버(53)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걸림부재(50)(성세하게는 부착판(52))은 단열재중에 내설되는 것이기 때문에 후크부(42)의 선단이 선재(51)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오목부(25)의 일부를 절개(55)를 설치하는 동시에 비스(56)등으로 고정시킨 부착판(52)을 덮도록 모울트 프렌 등으로 밀봉하고 있다.
여기에서 쇼우케이스부(K)의 유니트부(U)에의 고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볼록부(11)가 오목부(25)에 맞물린 형태로 쇼우케이스부(K)를 유니트부(U)위에 재치한다. 다음에 파스너부재(40)에 있어서의 후크부(42)선단을 걸림부재(50)의 선재(51)에 걸어서 조작부(41)를 고정위치가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후크부(42)를 일정거리만큼 아래방향으로 끌어내린다. 이때 후크부(42)가 아래방향에 끌어내려지는 것으로 선재(51)도 아래방향으로 끌어내려져서 휜상태(끌어당김상태)로 이루며, 선재(51)는 탄성에 의한 복귀력을 가지게 된다. 이 때문에 선재(51)의 복귀력 및 후크부(42)의 끌어내리는 힘(고정력)에 의해 선재(51)와 후크부(42) 즉, 걸림부재(50)와 파스너부재(40)와가 걸려 고정된다. 더구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쇼우케이스부(K)를 유니트부(U)위에 연결할 수 있는 동시에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쇼우케이스부(K)와 유니트부(U)의 칫수는 제7도에 있어서, A=900, B=800, C=740, D=580(단위 ㎜)이며, 중량은 각각 42㎏, 45㎏ 이다. 한편 걸림부재(50)의 칫수는 제5도에 있어서 F=200, G=160(단위 ㎜)로서 하며, 선재(51)로서 지름 H=4.5(단위 ㎜)의 강선을 사용할 때, 쇼우케이스부(K)와 유니트부(U)를 연결고정시킴에 필요한 고정력은 55㎏ 이상인 것으로, 계산에 의하면 후크부(42)를 끌어내린 상태에서 선재(51)의 중앙부분에 있어서는 휘는 량(X)(단위 ㎜(이 X
Figure kpo00001
4.5 때에 그 고정력이 얻어진다. 그래서 후크부(42)의 끌어내리는 량을 전술한 바와같이 6㎜(이때의 고정력은 계산으로 60㎏로 이루었다)으로 설정하며 후크부(42)를 끌어내려서 양자를 고정시킨 때 선재(51)도 중앙부분에서 6㎜ 만큼 휘도록 하며, 쇼우케이스(K)와 유니트(U)와를 강고하게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유니트부(U)를 연결한 상태로 쇼우케이스부(K)를 들어올려도 유니트부(U)의 중량에 의하여 그 연결이 해제되는 일은 없이 연결장치(S)가 그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쇼우케이스부(K)를 유니트부(U)위에 재치한 상태로 파스너부재(40)에 있어서의 후크부(42)의 선단을 걸림부재(50)의 선재(51)에 걸어서 조작부(41)를 고정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후크부(42)를 아래방향으로 끌어내려서 선재(51)를 끌어당기는 상태로 하며, 선재(51)의 복원력 및 후크부(42)의 고정력에 의해 파스너부재(40)를 걸림부재(50)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더구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는 일 없이 연결장치(S)는 회동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쇼우케이스부(K)를 간단한 유니트부(U)에 연결고정시킬 수 있으며, 양부(U), (K)의 착탈작업이 대단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게 이룬다. 또 이 냉각쇼우케이스(1)를 유니트부(U)와 쇼우케이스부 K와로 분해하여 라이트밴(light ran)등의 운반차의 하물대에 재치하여 반송할 수 있도록 이룬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쇼우케이스부를 유니트부 위에 재치한 상태에서 파스너부재에 있어서의 후크부의 선단을 걸림부재의 선재에 걸어서 조작부를 고정위치까지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후크부를 아래방향으로 끌어내리는 선재를 끌어당기는 상태로 하면, 선재의 복귀력 및 후크부의 고정력에 의하여 파스너부재를 걸림부재에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더구나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하는 일없이 파스너부재는 회동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쇼우케이스부를 간단히 유니트부에 연결고정시킬 수 있으며, 쇼우케이스부 및 유니트부의 착탈작업이 대단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이루며 쇼우케이스부의 청소작업 및 유니트부의 점검작업이 용이하게 행하여진다.

Claims (1)

  1. 기계실(4)의 상부에 냉각실(9)을 배설하여 상면에 개구(10)를 가진 유니트(U)와, 그 유니트부(U)위에 착탈이 가능하게 재치되어 전기 냉각실(9)과 연통하는 상품진열부(31)를 가진 쇼우케이스부(X)와를 구비한 상하연결식의 냉각쇼우케이스에 있어서, 전기 유니트부(U) 혹은 쇼우케이스부(X)의 어느 한편에는 상하로 회동자재로운 조작부(41) 및 그 조작부(41)의 조작에 의해 상하동작하는 후크부(42)로부터 이루는 파스너부재(40)를 설치하며, 다른 편에는 전기후크부(42)와 쌍을 이루어 전기후크부(42)를 걸어서 전기유니트부(U)와 쇼우케이스부(K)와를 연결접속하는 선재(線材)(51)를 가진 걸림부재(50)를 배설하여 이루는 상하연결식의 냉각쇼우케이스.
KR1019900014412A 1989-12-08 1990-09-13 상하 연결식의 냉각 쇼우케이스 KR930001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0.080 1989-12-08
JP1-320080 1989-12-08
JP1320080A JP2538363B2 (ja) 1989-12-08 1989-12-08 上下連結式の冷却ショ―ケ―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194A KR910011194A (ko) 1991-08-07
KR930001423B1 true KR930001423B1 (ko) 1993-02-27

Family

ID=1811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4412A KR930001423B1 (ko) 1989-12-08 1990-09-13 상하 연결식의 냉각 쇼우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38363B2 (ko)
KR (1) KR9300014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8314B2 (ja) * 1994-10-20 2001-05-21 西片 新治 冷蔵ショーケース
JPH0989443A (ja) * 1995-09-25 1997-04-04 Kubota Corp 低温貯蔵庫における冷却装置取付部の構造
JP2001133130A (ja) * 1999-11-02 2001-05-18 Matsushita Refrig Co Ltd 移動式冷蔵庫
KR20050008334A (ko) * 2003-07-15 2005-01-21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전기 냉동/냉장 쇼케이스
JP4859562B2 (ja) * 2006-07-06 2012-01-25 サンデン株式会社 冷却庫
DE102010050640A1 (de) * 2010-11-09 2012-05-10 Seco Kältetechnik GmbH Kühlmöbel
JP6126972B2 (ja) * 2013-11-01 2017-05-10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ョーケース
JP6902715B2 (ja) * 2017-03-22 2021-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9482U (ja) * 1982-05-26 1983-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載冷蔵庫
JPH0431512Y2 (ko) * 1984-11-26 1992-07-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38363B2 (ja) 1996-09-25
JPH03182209A (ja) 1991-08-08
KR910011194A (ko) 199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423B1 (ko) 상하 연결식의 냉각 쇼우케이스
JP2000041801A (ja) ショーケースのスライド陳列板
JP2965244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906803B2 (ja) ショーケースの仕切部材支持構造
JPH10211063A (ja) ショーケースの陳列棚
JP2623910B2 (ja) ショーケースの商品陳列棚構造
JP5491821B2 (ja) 冷却機構を備えた装置
JPS6039739Y2 (ja) オ−プンシヨ−ケ−スの前面下部構造
JPH0752547Y2 (ja) 冷蔵装置
JP4270532B2 (ja) 平型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H0814454B2 (ja)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空気整流体支持装置
JP2022047479A (ja) ワイヤーバスケット
JPH08303917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デッキパンおよびその取付け構造
JP4841975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
JP2002325660A (ja) ショーケース
JP3111475U (ja) 連結型ショーケース
JP3020802B2 (ja) ショーケースの商品・価格等表示具の取付構造
JP2001161517A (ja) ショーケースの後付け支柱
KR200146301Y1 (ko) 쇼케이스의 냉기흡입덕트 분리장치
JPH0821681A (ja) 冷気循環式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フェンス取付装置
JP2011080673A (ja) 冷却機構を備えた装置
JPH08196395A (ja) ショーケースの棚装置
JPS6129021Y2 (ko)
JP2000088454A (ja) ショーケース
JPH0666468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吸込口形成部材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