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7933A -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7933A
KR920017933A KR1019920004712A KR920004712A KR920017933A KR 920017933 A KR920017933 A KR 920017933A KR 1019920004712 A KR1019920004712 A KR 1019920004712A KR 920004712 A KR920004712 A KR 920004712A KR 920017933 A KR920017933 A KR 920017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platform
expansion
boom por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340B1 (ko
Inventor
미츠히로 키시
Original Assignee
미츠히로 키시
가부시끼가이샤 쟈파닉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1287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747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8336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7474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히로 키시, 가부시끼가이샤 쟈파닉쿠 filed Critical 미츠히로 키시
Publication of KR920017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7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2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승강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에 따른 승강장치의 구성의 일부분으로서 승강대가 최대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승강대가 최하위치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승강장치의 정면도.

Claims (19)

  1. 이동 가능한 차체(101)와, 차체(101) 위에 배치된 승강대(116)와, 차체(101)와 승강대(116) 사이로 연장되며그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붐체(113) 내에서 신장가능한 복수개의 붐부분(106,110,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축붐체(113)와, 차체(101)와 신축붐체(113) 사이에 놓여지고 차체(1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신축붐체(113)를 상승할 수 있는 경사수단(109) 및, 신축붐체(113)를 신축적으로 신장 및 수축할 수 있고 신축붐체(113)를 신축적으로신장 및 수축할수 있고 신축붐체(113)내에 수납되는 신장수단(150)으로 구성되며, 승강대(116), 신축붐체(113) 및 차체(101)는 그의 측면에서 보는 경우 Z자형상이 되도록 배치되고, 신축붐체(113)는 신축적으로 이동되고 차체(101)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서 승강대(116)가 차체(101)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승강대(116)는 차체(101)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승강장치에 있어서 ; 제1 및 제2권취드럼(160, 167)과, 그의 한쪽 끝단은 승강대(116)의 한쪽 하부면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단은 제1권취드럼(160)의 주위에 권취되는 제 1신장와이어(156) 및, 그의 한쪽 끝단은 승강대(116)의 다른쪽 하부면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단은 제 2권취드럼(167)의 주위에 권취되는 제2신장와이어(162)를 포함하는 추종검지기구(168)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추종검지기구(168)는 제1권취드럼(160)이 고정되는 제1축(172)과, 제2권취드럼(167)이 고정되는 제2축(174)과 각각 제1축(17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멍(173) 및 제 2축(174)을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구멍(176)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판(170, 171)과 제1 및 제2축(172, 174)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스프로켓휘일(177, 178)과, 제1 및 제2스프로켓휘일(177, 178)의 주위에 수납되는 체인(179)과, 제2축(174) 상에 지지되는 접촉판(183)과, 접촉판(183)의 양쪽에 위치하는 리미트스위치(184, 185)와, 체인(179)을 구부림가능하게 조이기 위한 스프링(180)이 마련된 아암(181)과, 제1축(172)의 한쪽 끝단에 고정되는 제3스프로켓휘일(186)과, 모우터(189)의 축의 끝단에 접속되는 제4스프로켓휘일(188) 및 제3 및 제4스프로켓휘일(186, 188)의 주위에 수납되는 체인(187)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경사수단은 차체(101)와 신축붐체(113)의 최하단 붐부분(106) 사이에서 연장 및 피버트식으로 접속되고 붐체(113)의 대향하는 평측부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유압구동식 실린더(109, 109)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승강대(116)는 붐체(113)의 최상단 붐부분(110)에 피버트식으로 접속되며, 승강대(116)를 붐체에 대해 경사지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대(116)과 최상단 붐부분(110) 사이로 연장되고 피버트식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제2유압구동실린더(118, 118)을 포함하는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붐부분(106, 110, 111)들은 각각 속이 비어 있으며 단면이 사각형이고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다른 것의 내부에서 신축가능한 것인 승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붐체(113)는 점차적으로 단면이 감소되는 동축의 하부중간 및 상부붐 부분(106, 110, 111)과 , 상부붐부분(111)의 상부 끝단부상에 배치되며 그의 벽이 하부 및 중간붐부분(106, 110)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상부붐부분(111)의 대향하는 벽과 간격을 두는 연장된 채널형상의 커버체(112)와 상부붐부분(111) 및 중간붐부분(110)이 하부붐부분(106) 내에서 신장되는 위치에 붐체(113)가 위치할 때 하부붐부분(106) 상에 상부붐부분(111)을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커버체(112) 상의 제1로울러수단(124) 및, 중간 및 상부붐부분(110, 111)이 하부붐부분(106)으로부터 신장되고 상부붐부분(111)이 중간붐부분(110)으로부터 신장된 때에 상부붐부분(111) 상에 커버체(112)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 2로울러수단(1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신장수단은 붐체(113) 내부에 수납되는 유압실린더 작동기(150)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8. 이동 가능한 차체(201)와 차체(201) 위에 배치된 승강대(216)와, 차체(201)와 승강대(216) 사이로 연장되며 그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붐체(213) 내에서 신장 가능한 복수개의 붐부분(206, 210, 2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축붐체(213)와, 차체(101)와, 신축붐체(113) 사이에 놓여지고 차체(201)에 대하여 경사지게 신축붐체(213)를 상승할 수 있는 경사수단(209) 및, 신축붐체(213)를 신축적으로 신장 및 수축할 수 있고 신축붐체(213) 내에 수납되는 신장수단(220)으로 구성되며, 승강대(216), 신축붐체(213) 및 차체(201)는 그의 측면에서 보는 경우 Z자형상이 되도록 배치되고, 신축붐체(213)는 신축적으로 이동되고 차체(101)에 대하여 경사져 있어서 승강대(116)가 차체(201)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승강대(216)는 차체(201)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도록 된 승강장치에 있어서 ; 권취드럼(263)을 포함하는 동조기(239)와, 그의 한쪽 끝단은 승강대(216)의 한쪽 하부면에 고정되고 다른쪽 끝단은 권취드럼(263)의 주위에 권취되는 검지와이어(238)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동조기(239)는 제2지지브라켓(205)에서 간격을 둔 제1지지브라켓(251)과, 지지브라켓(205, 251)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동기축(252, 253)과, 제1동기축(252) 상의 지지브라켓(205, 251)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축(254)과, 제2동기축(253)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그의 외주면을 절단함으로써 구획되는 캠홈(256)이 마련된 외부주위를 가지는 원통형 접속캠체(255)와, 제 2동기축(253)의 한쪽 끝단에 고정되는 제1기어(257)와, 상기 제1기어(257) 및 접속캠체(255)는 제 2동기축(253)과 함께 회전되며, 차체(201)에 대한 피버트식 이동을 위하여 붐체(213)를 지지하는 핀(207)에 고정되는 제2기어(258)와, 제1 및 제2기어(257, 258)의 주위에 수납되는 제1체인(259)과, 제 1동기축(252)에 고정되는 권취드럼(263) 및 원통형 비례캠체(261)와, 상기 비레캠체(261)는 주어진 피치로 주위면을 절삭함으로써 구획되는 캠홈(262)이 마련되는 외부 주위를 가지며, 지지축(254)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풀리(264)와, 풀리(264)와 접촉하며 권취드럼(263) 주위에 권취되는 검지와 이어(238)와, 제 1동기축(252)의 한쪽 끝단에 고정되며 제1지지브라켓(251)의 외부에 배설되는 제3기어(265)와, 동기축(252, 253)의 사이에 배설되는 모우터(266)의 회전축에 고정되는 제4기어(267)와, 제3 및 제 4기어(265, 267)의 주위에 수납되는 제2체인(268) 및, 지지축(252, 253) 사이에서 상호간에 평행하게 배설되는 제1 및 제2가이드레일(269, 27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269, 270)은 길며 단면이 사각형이고 보정캠(255)의 외부 주위와 비례캠체(261)의 외부 주위를 접촉하지 않도록 한 관계로 간격을 두고 배설되는 승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동조기(239)는 제1가이드레일(269) 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슬라이더(272)와 제 2가이드레일(270) 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슬라이더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슬라이더(271)는 그의 중앙부에 사각형단면을 가지며 제 2가이드레일(270)을 미끄럼가능하게 수납하는 가이드체(273)를 가지며, 상기 제2슬라이더(271)는 가이드체(273)에 의하여 제2가이드레일(27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2슬라이더(271)는 또한 가이드체(273)의 상부면상에 위치하고 그의 상부면에 L자형 앵글브라켓(275) 및 쐐기형 끝단을 가지는 긴 접촉제(274)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앵글브라켓(275)은 그의 하부 및 상부에 마이크로스위치(276, 277)을 가지며, 마이크로스위치(276, 277)는 제1슬라이더(272)로 각각 도출되는 기능적 접촉부재(278, 279)를 가지는 승강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제1슬라이더(272)는 사각형단면을 가지고 제 1가이드레일(269)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납하는 가이드체(281)와, 가이드체(281)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쐐기형상 끝단을 가지는 접촉체(282)와, 제2슬라이더(271)와 상호 마주보는 관계로 접촉체(282)의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되는 블록형상 압력부재(283, 284)를 가지는 승강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경사수단은 차체(201)와 붐체(213)의 최하단붐부분(206) 사이로 연장 및 피버트식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제1유압구동식 실린더(209, 209)를 포함하며, 한 쌍의 제1실린더는 붐체(213)의 대향하는 측부상에 배설되는 승강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승강대(216)는 붐체(213)의 최상단 붐부분(210)에 피버트식으로 접속되며, 승강대(216)를 붐체(213)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하기 위하여 최상부 붐부분(211)와 승강대(216) 사이에 연장 및 피버트식 지지되는 한 쌍의 제2유압구동식 실린더(218, 218)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붐부분(206, 210, 211)들은 각각 속이 비어 있으며 단면이 사각형이고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며 다른 것의 내부에서 신축 가능한 것인 승강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붐체(213)는 점차적으로 단면이 감소되는 동축의 하부, 중간 및 상부붐 부분(206, 210, 211)과 상부붐부분(211)의 상부 끝단부상에 배치되며 그의 벽이 하부 및 중간붐부분(206, 210)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도록 상부붐부분(211)의 대향하는 벽과 간격을 두는 연장된 채널형상의 커버체(212)와, 상부붐부분(211) 및 중간붐부분(210)이 하부붐부분(206) 내에서 신장되는 위치에 붐체(213)가 위치할 때 하부붐부분(206) 상에 상부붐부분(211)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커버체(212) 상의 제1로울러수단(224) 및, 중간 및 상부붐부분(210, 211)이 하부붐부분(206)으로부터 신장되고 상부붐부분(211)이 중간붐부분(210)으로부터 신장된 때에 상부붐부분(211) 상에서 커버체(212)를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로울러수단(2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신장수단은 붐체(213)의 내부에 수납되는 유압실린더 작동기(220)를 포함하는 승강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20004712A 1991-03-22 1992-03-21 승강장치 KR9600023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81287 1991-03-22
JP91-081287 1991-03-22
JP8128791A JPH0747472B2 (ja) 1991-03-22 1991-03-22 昇降装置
JP22833691A JPH0747474B2 (ja) 1991-08-13 1991-08-13 昇降装置
JP91-228336 1991-08-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7933A true KR920017933A (ko) 1992-10-21
KR960002340B1 KR960002340B1 (ko) 1996-02-16

Family

ID=2642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4712A KR960002340B1 (ko) 1991-03-22 1992-03-21 승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49642A (ko)
EP (1) EP0505166B1 (ko)
KR (1) KR960002340B1 (ko)
AU (1) AU652228B2 (ko)
CA (1) CA2062599A1 (ko)
DE (1) DE69216451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31B1 (ko) * 2022-10-11 2023-12-19 장석훈 수평기능이 구비된 고소작업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4037B2 (en) * 2000-12-15 2002-10-15 Delta Manlift S.A.S. Reconfigurable work platform for aerial work platform system, aerial work platform system using same,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 work platform
ITMO20040217A1 (it) * 2004-08-31 2004-11-30 Manitou Costruzione Ind S R L Dispositivo per la rivelazione del massimo carico consentito in piattaforme elevabili.
DE102006037107A1 (de) * 2006-08-07 2008-02-14 Claas Fertigungstechnik Gmbh Arbeitsbühne
US8011474B2 (en) * 2006-10-30 2011-09-06 Caterpillar Inc. Powered access device
FR2924703B1 (fr) * 2007-12-11 2010-01-15 Gimaex Internat Dispositif elevateur aerien et vehicule equipe d'un tel dispositif
CN101543411B (zh) * 2008-03-24 2014-05-28 深圳迈瑞生物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平板伸缩机构
US8915697B2 (en) * 2008-08-22 2014-12-23 Natural Power Concepts Inc. Mobile wind turbine
US9327632B1 (en) 2009-01-30 2016-05-03 Excel Industries, Inc. Translating cargo bed
US9267342B2 (en) 2012-06-14 2016-02-23 Warrior Energy Services Corporation Pip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US8899901B2 (en) * 2012-06-14 2014-12-02 Warrior Energy Services Corporation Pip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US8950996B2 (en) 2012-06-14 2015-02-10 Warrior Energy Services Corporation Pipe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GB2501776A (en) * 2012-05-05 2013-11-06 Haruo Okamoto Space saving chassis
AU2016265031A1 (en) * 2015-05-21 2017-12-14 Salita Ip Pty Ltd Scaffold unit
ITUB20155900A1 (it) * 2015-11-25 2017-05-25 Magni Telescopic Handlers S R L Piattaforma aerea semovente
US10464463B2 (en) * 2016-08-11 2019-11-05 New Heights, Llc Mobile storage device
CN106184428A (zh) * 2016-08-31 2016-12-07 华南农业大学 一种山地果园多功能电动运输机
US10632891B2 (en) * 2017-04-06 2020-04-28 Paul A. Derstine Lift-and-tilt trailer
CN107371839A (zh) * 2017-07-26 2017-11-24 郭铁琪 一种方便高处修剪操作的园林辅助用具
CN108040598A (zh) * 2017-10-23 2018-05-18 张正 一种多功能的农业采摘车
CN108494188A (zh) * 2018-04-26 2018-09-04 南京海传燕兰轨道交通科技有限公司 一种吊架式牵引电机定子翻转装置
CN110775901B (zh) * 2019-12-09 2024-04-12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昆明供电局 一种多回路垂直排列导线等电位作业专用的组合吊篮
CN114955949A (zh) * 2022-05-06 2022-08-30 国网河北省电力有限公司石家庄供电分公司 一种用于城市电网变电站设备一体化运维检修设备
CN114772513B (zh) * 2022-05-18 2023-05-09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用于装配式建筑的多功能升降装置
CN117605253B (zh) * 2024-01-24 2024-03-26 山西冶金岩土工程勘察有限公司 一种应用于房屋建筑的高稳定性脚手架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79029A (fr) * 1941-02-20 1943-02-11 Appareil de levage
US3176792A (en) * 1963-02-28 1965-04-06 Lockheed Aircraft Corp Movable work platform
US3799290A (en) * 1972-07-12 1974-03-26 Up Right Inc Cable restraint for multi-stage pneumatic lift assembly
GB1594178A (en) * 1977-10-05 1981-07-30 Smith R E Telescoping aerial lift
US4185426A (en) * 1978-01-30 1980-01-29 A-T-O Inc. Extension/elevation intra-action device for aerial lift apparatus
DE2935944C2 (de) * 1979-09-06 1985-11-28 Messerschmitt-Bölkow-Blohm GmbH, 8012 Ottobrunn Hebevorrichtung
DE3041826A1 (de) * 1980-11-06 1982-05-13 Anton Ruthmann Gmbh & Co, 4423 Gescher Fahrbare hubarbeitsbuehne
US4456093A (en) * 1981-06-16 1984-06-26 Interstate Electronics Corp. Control system for aerial work platform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erial work platform machine
DE3574862D1 (de) * 1984-05-01 1990-01-25 Hikoma Seisakusho Ashikaga Kk Hubvorrichtung.
DE3674614D1 (de) * 1985-03-28 1990-11-08 Hikoma Seisakusho Kk Hebevorrichtung.
JPS6327280A (ja) * 1986-07-18 1988-02-04 Nec Corp プリンタの自動停止機構
JPS6359959A (ja) * 1986-08-29 1988-03-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浴そうの気泡噴出装置
JPH0338194A (ja) * 1989-07-05 1991-02-19 Toshiba Corp 電話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631B1 (ko) * 2022-10-11 2023-12-19 장석훈 수평기능이 구비된 고소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62599A1 (en) 1992-09-23
EP0505166A1 (en) 1992-09-23
DE69216451T2 (de) 1997-04-30
DE69216451D1 (de) 1997-02-20
EP0505166B1 (en) 1997-01-08
US5249642A (en) 1993-10-05
AU652228B2 (en) 1994-08-18
KR960002340B1 (ko) 1996-02-16
AU1304692A (en) 1992-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7933A (ko) 승강 장치
US7413056B2 (en) Load lifting device
US4297071A (en) Weight transfer apparatus
GB2099398A (en) Elevating mechanism for platform
GB2067513A (en) Elevating platform with a pantograph linkage
KR970007462B1 (ko) 신축자재한 부움기용 캐리어 트랙 조립체
CN1177752C (zh) 用于起重机之腿部的通用移动组件
US3117652A (en) Automobile hoist
KR101479866B1 (ko) 폐자동차 처리용 차량 반전장치
US5630696A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n object
JP3631608B2 (ja) 電気式荷役車両
JPH04226298A (ja) 車両のための昇降台
US3235034A (en) Triple lift truck with continuous lift chain
JPH0859195A (ja) リフター
SU53897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ъема длинноме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960031743A (ko) 이동 작업 플로어의 점진 상승 확장 플로어 장치
KR20190090176A (ko) 다단 승강장치
JPH08218350A (ja) ゲート開閉装置
JP2882637B2 (ja) 建設用揚重装置
JPS5895100A (ja) 昇降装置の同期伸縮機構
SU1518170A1 (ru)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а машина
SU1498699A1 (ru) Опорно-поворотна часть грузоподъемного стрел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SU9759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орота длинномер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1
JPH07299103A (ja) 医療用寝台
JP2508391Y2 (ja) 高所作業車の作業台昇降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