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1080B1 -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1080B1
KR920011080B1 KR1019890014852A KR890014852A KR920011080B1 KR 920011080 B1 KR920011080 B1 KR 920011080B1 KR 1019890014852 A KR1019890014852 A KR 1019890014852A KR 890014852 A KR890014852 A KR 890014852A KR 920011080 B1 KR920011080 B1 KR 920011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ll
platform
predicted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216A (ko
Inventor
신타로 쓰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0000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1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3Distribution of elevator cars, e.g. based on expected future n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제1도는 전체구성도.
제2도는 군관리장치(10)의 블록회로도.
제3도는 군관리프로그램의 플로챠트.
제4도는 카위치예측프로그램의 플로챠트.
제5도는 카간격예측프로그램의 플로챠트.
제6도는 할당제한프로그램의 플로챠트.
제7도는 건물이 구역분할을 나타내는 도면.
제8도~제10도는 호출과 카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용 도면이다.
제12~제15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를 나타내고, 각각 호출과 카위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승강장호출등록수단 10C : 할당수단
10D : 카위치예측수단 10E : 카간격예측수단
10F : 대기수단 11-14 : 카제어수단
33X : 카(假)할당수단 33D : 할당제한수단
37 : 할당카선택수단
본 발명은, 복수대(福數台)의 엘리베이터가(Car)중에서 승강장호출에 대한 서비스카를 선택하여 할당시키기도 하고, 호출에 응답하도록 하기도 하며, 대기시키기도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병설되어 있을 경우는, 보통 군관리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군관리운전의 한가지에 할당방식이 있으나, 이것은 승강장호출이 등록되면 즉시 각 카가 제각기 할당평가치의 연산을 행하고, 이 평가치가 가장 좋은 카를 서비스하기 위한 카로서 선택하여 할당하고, 상기 승강장호출에는 할당카만 응답하도록 하여 운행효율의 향상 및 승강장대기시간의 단축을 도모하고 있다.
또 이와같은 할당방식의 군관리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각층의 승강장에 각 카별 및 각 방향별로 도착예보등을 설치하고, 이에 의하여 승강장대기손님에 대해 할당카의 예보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대기손님은 안심하고 예보엘리베이터 앞에서 카를 기다릴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승강장호출의 할당방식에 있어서의 할당평가치는 현재의 상황이 그대로 진전된다 가정할 경우에 어느 카에 승강장호출을 할당하면 가장 적당한다 하는 관점에 입각하여 연산되고 있다. 즉, 현재의 카위치와 카방향 및 현재 등록되어 있는 승강장호출이나 카호출에 따라 카가 상기 호출에 순차 응답하여 각층의 승강장에 도착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예측치(이하, 이것을 도착예상시간이라 한다)와, 승강장호출이 등록된다음 경과된 시간(이하, 이것을 계속시간이라함)을 구하고, 또 상기 도착예상시간과 상기 계속시간을 가산하여 현재 등록되고 있는 모든 승강장호출에 대해 예측대기시간을 연산한다. 그리하여, 이들의 예측대기시간의 총화 또는 예측대기시간의 2승치(乘値)의 총화를 할당평가치로 하여 설정하고, 이 할당평가치가 최소로 되는 카에 상기 승강장호출을 할당한다. 이와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승강장호출의 할당을 행할 경우, 현재의 상황의 연장선상에서 가장 적절한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있으므로, 그 할당이 이루어진 다음 새로 등록된 승강장호출은 장시간대기가 된다고하는 부적절함이 발생하였다. 이 부적절함의 예를 제12도~제15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A 및 B는 각각 1호기 및 2호기의 카이고, 어느 것이나 문이 닫긴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 있어서, 제13도와 같이 7층과 6층에 연속하여 하행호출(7d)와 (6d)가 등록되었다 할 경우, 상기 종래의 할당방식의 할당평가치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대기시간이 가장 짧게 되도록 A카에 7층의 하행호출(7d)를, B카에 6층의 하행호출(6d)를 할당하여 2대 모두 위쪽으로 향해 상행주행하고, 7층과 6층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방향을 반전하게 된다.
만약, 이 방향반전후에 7층으로 부터 위쪽의 층에, 예를 들어 7층에, 하행호출(8d)가 등록되었다 하면, 이 8층의 하행호출(8d)는 A카 및 B카의 배후호출(背後呼出)이 되고, 어느 것인가에 할당되었다하드라도 응답되기 까지에는 시간이 걸리고 장시간 대기가 되고마는 결과가 된다.
한편, 층의 하행호출(7d)를 A 카에 할당하고 그후 6층의 하행호출(6d)가 등록된 경우, 이 호출도 A 카에 할당했다고 하면, 제14도와 같이 되고, 같은 시기에 8층의 하행호출(8d)가 등록되었다 하드라도 1층에서 대기하고 있던 B카가 직행서비스하므로 장시간대기로 되지는 않는다.
이와같은 장시간대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까운 장래의 카배치가 어떻게 되겠느냐를 고려하고, 일시적으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할당을 하드라도 카가 한 장소에 모이는 일 없도록 승강장호출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건물을 복수의 층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마다에 카를 할당하고 승강장호출을 분담하여 서비스하는, 달리 말해서 구역할당방식을 상기 예에 적용하면 제15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같은 승강장호출 응답이 되고, 8층하행호출(8d)를 장시간대기 시키지 않게 된다. 그렇다고 하나, 상기 각 구역에 포함되는 층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예를들어 6층의 하행호출(6d)가 아니라 5층의 하행호출(5d)가 등록된 경우에는, 제14도와 같이 7층과 5층의 하행호출은 각각 A카와 B카에 따로따로 할당되어 8층의 하행호출(8d)는 장시간대기로 되고만다.
이와같이 구역할당방식은 승강장호출의 등록상황에 대해 유연성 있게 대응치 못하므로 역시 장시간대기의 호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일본국 특공소 55-3262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상기의 구역할당방식과 같이, 카가 한 장소에 모여드는 것을 방지하고 운전 효율의 향상을 꾀하기 위해 승강장호출이 등록되면 그 호출이 있는 곳에 가까운 층에 정지할 예정으로 된 카를 할당하는 할당방식이다. 이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근접층으로 정지예정이 되어 있는 카의 유무에 주목할 따름을, 정지예정카가 그 층에 도착하기 까지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되는지, 다른 승강장호출이 어떻게 분포되어 등록되어 있고 언제 응답될 수 있을 것인지, 다른 카는 어느 층에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 운행될려고 하고 있는지 등 시간경과에 따른 카위치의 변화등을 정확하게 파악한 판단을 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 경우 역시 장시간대기의 호출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남아있게 된다. 또, 일본국 특공소 62-56076호 공보에 기재된 것으로는, 엘리베이터 승차후 놓고 내린 위치에 카를 대기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새로 승강장호출이 발생하면 이 승강호출을 순차 각 카에 가할당하여 가할당카의 놓고 내리는 위치를 예상하고, 카할당카의 예상되는 놓고 내리는 위치와 기타카의 위치로부터 카의 분산도를 연산하고, 적어도 상기 분산도를 각 할당카의 평가치로 하고 분산도가 클수록 할당되기 쉽도록 하여, 각 카의 상기 평가치로부터 할당카를 결정하도록 한 할당방식이었다.
이 방식에 따라 승강장호출에 대해 서비스가 종료된후에도 분산배치된 상태로 하여, 분산대기에 의한 빈(空)카의 낭비운전을 방지하고 에너지절약에 커다란 효과를 발휘함과 아울러 건물의 거주자에 대해 불신감을 없애주는 효과도 얻을수 있다. 그러나 이 할당방식은 그 목적에서도 명백한 것과 같이 야간 같이 한산한 시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카가 모조리 빈카로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승강장호출이 하나 등록된 경우를 전체로 하고 있다. 때문에, 승강장호출이 계속하여 등록되고 각 카호출에 응답하면서 각각 운행되고 있는 교통상태에 있어서의 승강장호출할당에는 이 할당방식을 적용할수 없고 장시간대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와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빈카의 배치를 균형있게 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가할당카 이외의 카에 대해 시간경과에 따른 카위치의 변화를 고려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은(그 전제로 부터 다른 카의 카위치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일, 및 상기 가할당카를 놓고 내리는 시점의 카배치(그, 시점에서는 모든 카가 빈 카로 되어 대기상태가 된다)에만 주목하여 승강장호출할당의 판단을 하고 있음이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것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카배치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시점으로 부터 가까운 장래에 걸쳐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는,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승강장호출에 대한 복수카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 등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카를 카호출과 상기 할당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 카가 모든 호출에 대해 응답을 종료하면 응답종료한 층에서 대기시키든가 또는 소정의 층으로 주행시켜 대기시키는 대기수단을 갖춘 것에 있어서, 카위치예측수단에 의해 카가 현시점으로 부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고 소정시간 경과한 다음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고,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상기 소정시간 경과후의 각 카의 시간적 간격 또는 공간적 간격을 각각 예측연산하고, 상기 예측카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할당수단, 카제어수단, 대기수단중 적어도 한 가지의 동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는, 할당동작, 카제어동작, 대기동작 중 적어도 한 가지에 있어서, 소정시간 경과후의 각 카의 시간적 간격 또는 공간적 간격의 예측치를 사용하여, 상기 소정의 동작을 행한다.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실시예는 12층 건물에 4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이다.
제1도는 전체구성도이고, 군관리장치(10)과 이에 의해 제어되는 1호기~4호기용 카제어장치(11)~(14)로 구성되어 있다.
10A는 각 층의 승강장호출(상행호출 및 하행호출)의 등록·해소를 행함과 동시에 승강장호출이 등록된 다음의 경과시간, 즉 계속시간을 연산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10B는 각 카가 각 층의 승강장(방향별)에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예측치, 즉 도착예상시간을 연산하는 도착예상시간연산수단, 10C는 승강장호출에 대해 서비스하기에 가장 좋은 카를 한 대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으로,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과 후술하는 예측카대수(台數)에 따라 할당연산을 행한다. 10D는 카가 현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T)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는 카위치예측수단, 10E는 상기에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소정시간(T)경과후의 각 카의 시간적간격 또는 공간적간격을 예측연산하는 카간격제어수단, 10F는 카가 모든 호출에 응답완료하면 응답완료한 층 또는 특정층에 카를 대기시키는 대기수단이다.
11A는 1호기용 카제어장치(11)에 설치되고, 각 층의 승강장호출에 대한 승강장호출 취소신호를 출력하는 승강장호출취소수단, 11B는 같이 각 층의 카호출을 등록하는 카호출등록수단, 11C는 같이 각 층의 도착예보등(도시생략)의 점등을 제어하는 도착예보등제어수단, 11D는 카의 운행방향을 결정하는 운행방향제어수단, 11E는 카의 예비나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기 위해 카의 주행 및 정지를 제어하는 운전제어수단 11F는 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문제어수단이다.
또 2호기~4호기용 카제어장치(12)-(14)도 1호기용 카제어장치(1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군관리장치(10)의 블록회로도이고, 군관리장치(10)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고, MPU(마이크로 프로세싱유닛)(101), ROM(102), RAM(103), 입력회로(104) 및 출력회로(105)를 갖고 있다. 입력회로(104)에는 각 층의 승강장버튼으로 부터의 승강장버튼신호(19) 및 카제어장치(11)~(14)로부터의 1호기~4호기의 상태신호가 입력되어, 출력회로(105)로부터 각 승강장버튼에 내장된 승강장버튼등(燈)으로의 신호(20) 및 카제어장치(11)~(14)으로의 지령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는,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3도~제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군관리장치(10)을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ROM(102)에 기억된 군관리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도는 그 카위치예측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5도는 같이 카간격예측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6도는 같이 할당제한연산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7도는 건물을 복수의 층구역으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3도에서 군관리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31단계의 입력프로그램은, 승강장버튼신호(19), 카제어장치(11)~(14)로부터의 상태신호(카위치, 방향, 정지, 주행, 문개폐상태, 카부하, 카호출, 승강장호출, 취소신호등)을 입력하는 것으로 다 아는 것이다. 32단계의 승강장호출등록프로그램은, 승강장호출의 등록·해제, 승강장 버튼등의 점등·소등의 판정을 행함과 동시에, 승강장호출의 계속시간을 연출하는 것으로 다 하는 것이다.
33~36단계의 가할당평가프로그램에서는, 새로이 승강장호출(C)가 등록되면, 이 승강장호출(C)를 1호기~4호기에 각각 가할당해 보고, 그 때의 할당제한평가치 P1~P4와 대기시간평가치 W1-W4를 각각연산한다.
1호기의 가할당평가프로그램(33)에 있어서의 도착예상시간연산프로그램(33A)에서는, 새로이 등록된 승강장호출(C)를 1호기에 가할당한 경우의 각 승강장 i(i=1,2,3,… ,11는 각각 B2,B1,1,2,… 9층의 상행 승강장, i=12,13,… ,21,22,는 각각 10,9,… ,1,B1층의 하행승강장을 나타낸다)에의 도착예상시간 Aj(i)를 카 j(j=1,2,3,4)마다 연산한다.
도착예상시간은, 예를들면 카가 한 층 진행하는 데에 2초, 한번 정지하는데에 10초가 소요되는 것으로 하고, 카가 전승강장을 순차적으로 일주운전하는 것으로 연산된다. 또, 무방향(無方向)의 카는 카위치에서 각 승강장으로 직행하는 것으로 하여 도착예상시간을 연산한다. 또 도착예상시간의 연산은 이미 다 아는 바이다.
33 단계의 카위치예측프로그램에서는 상기의 신규승강장호출(C)를 1호기에 가할당한 경우의, 1호기~4호기의 소정시간(T) 경과후의 예측카위치 F1(T)~F4(T)와 예측카방향 D1(T)~D4(T)를 각 카에 대해 각각 예측연산한다. 이것을 제4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의 카위치예측프로그램(33B)에 있어서, 41단계에서 신규승강장호출(C)를 1호기에 가할당한다.
51단계, 즉 42~50단계는, 1호기가 소정시간(T)지난 다음 예측카위치 F1(T)와 예측카방향 D1(T)를 연산하는 수순을 나타낸다. 1호기가 할당된 승강장호출이 있을 경우는, 42~44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가장 먼 곳의 할당승강장호출의 전방에 있는 최종단층을 1호기의 최종호출층으로 예측하고, 그 층에서의 카의 도착방향(최상층에서는 하행방향, 최하층에서는 상행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으로하여 설정한다.
또 1호기가 할당된 승강장호출을 기다리지않고 카호출만을 기다리고 있을 경우는 42→43→45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가장 먼 곳의 카호출층을 1호기의 최종호출층으로 에측하고, 그 때의 카의 도착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강장(h1)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 1호기가 할당승강장호출도 카호출도 받지 아니한 경우에는 42→43→46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1호기의 카위치층을 최종호출층으로 예측하고, 그때의 카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로 하여 설정한다.
이와같이 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을 구하면, 다음에는 47단계에서 1호기가 빈카로 되기 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예측치(이하 빈카예측시간이라 한다)(t1)을 구한다.
빈카예측시간(t1)은,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으로의 도착예상시간 A1(h1)에 그 승강장에서의 정지시간의 예측치 Ts(=10초)를 가산하여 구한다.
또, 카위치층을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로 하여 설정한 경우는, 카상태(주행중, 감속중, 문 여는동작중, 문 열려 있는 상태, 문 닫는 동작중 등)에 따라 정지시간의 잔여시간을 예측하여, 이것을 빈카예측시간(t1)으로 하여 설정한다.
다음에는, 48~50단계에서 1호기의 소정시간(T) 다음의 예측카위치 F1(T)와 예측카방향 D1(T)를 연산한다. 1호기의 빈카예측시간(t1)이 소정시간(T)이하인 경우, 소정시간(T)를 경과하기까지에 1호기가 빈카로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48→49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에 따라 그 승강장(h1)의 층을 소정시간(T) 경과한 다음의 예측카위치(h1)(T)로 하여 설정한다. 또, 예측카방향 D1(T)를 ‘0’에 설정한다. 또 예측카방향 D1(T)는 ‘0’인 경우는 무방향, ‘1’인경우는 상행, ‘2’인 경우는 하행을 나타낸다.
한편, 1호기의 빈카예측시간(t1)이 소정시간(T)보다 클 경우는, 소정시간(T)가 경과해도 아직 빈카로 되어 있지아니한 것을 의미하므로, 48→50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승강장 i-1의 도착예상시간 Al(i-1)과 승강장 i의 도착예상시간 Al(i)가 〔Al(i-1)+Ts
Figure kpo00001
Al(i)+Ts〕로 되는 승강장 i의 층을 소정시간(T)경과후의 예측카위치 F1(T)로 하여 설정하고, 이 승강장 i와 같은 방향을 예측카방향 D1(T)로 하여 설정한다.
이와같이 하여, 51단계에서 1호기에 대한 예측카위치 F1(T)와 예측카방향 D1(T)를 연산하나, 2호기~4호기에 대한 예측카위치 F2(T)~F4(T) 및 예측카방향 D2(T)~D4(T)도 51단계에서와 같은 수순으로 된 52~54단계에서 각각 연산된다.
다시 제3도로 돌아가서, 33C단계의 카간격예측프로그램에서는, 상기 신규승강장호출(C)를 1호기에 가할당한 경우의 소정시간(T)경과한 다음의 각 카의 간격을 각각 예측연산한다.
이것을 제5도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의 카간격예측프로그램(33C)에 있어서, 61단계에서는 카위치예측프로그램(33B)로 연산된 소정시간(T)경과한 다음의 예측카위치 F1(T)~F4(T), 및 예측카방향 D1(T)~D4(T)에 따라, 또다시 이 시점으로부터의 각 승강장 i(i=1,2,3,… ,22)으로의 도착예상시간 B1(i)~B4(i)을 카마다 연산한다.
연산방법은 도착예상시간연산프로그램(33A)와 같다. 62단계에서는, 전방(前方)카의 호기(號機)번호 K를 ‘1’로, 후방카의 호기번호 m을 ‘1’로 초기설정한다. 또 63단계에서는, 최소카간격 LO,K(T)를 ‘10000’과 같이 큰 값으로 초기설정한다. 64단계에서는, 후방카(m)와 전방카(K)가 같은 카가 아님을 판정하고 65단계로 진행한다. 65단계에서는, 도착예상시간 Bm(1)~Bm(22)에 따라 후방카(m)이 전방카(K)가 있는 승강장(예측카위치 FK(T) 및 예측카방향 DK(T)에 상당한 승강장)에 도달하기까지의 도착예상시간을 구하고, 이것을 예측카간격 Lm,K(T)로 하여 설정한다.
또 전방카(K)가 빈카로 될것으로 예상되고 있을 경우는, 이 실시예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전방카(K)가 있는 승강장을 상행방향의 승강장으로 간주하고 예측카간격 Lm,K(T)를 구하는 것으로 한다.(또, 무방향카가 있는 승강장을 다른 카의 상황에 따라 상행방향의 승강장, 또는 하행 방향의 승강장으로 변경하도록하면, 한층 효과적이라는 것은 두 말할 필요없다)
66단계에서는, 최소카간격 LO,k(T)와 예측카간격 Lm,K(T)를 비교한다. 만약, Lm,K(T)<Lo,K(T)이면 67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Lm,K(T)를 최소카간격 Lo,K(T)로서 재설정하고 최소카간격(Lo,K(T)의 갱신을 행한다. 68단계에서는, 다음 후방카의 호리번호(m)을 ‘1’만큼한 갱신하고, 69단계에서 모든 카에 대해 상기 64~68단계를 처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처리되지 안한 카가 있으면(m
Figure kpo00002
4), 재차 64단계로 되돌아가서 상기와 같이 예측카간격 Lm,k(t)를 구하고, 최소카간격 LO,K(T)의 갱신을 행한다.
카 전부에 대해 처리를 완료하면 70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다음의 전방카의 호기번호(K)를 ‘1’만큼만 갱신하고, 후방카의 호기번호(m)을 ‘1’로 초기설정한다.
그리하여, 새로운 전방카(K)에 대해 63~69단계의 처리를 반복하고, 최소카간격 LO,K(T)를 구한다.
이와같이 하여 모든 전방카(K)(K=1,2,3,4)에 대해 최소카간격 LO,K(T)를 구하는 처리가 종료하면 71단계에서 K>4로 되고, 이 카간격예측프로그램(33C)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 상기 33A~33C 단계에서 가할당수단(33X)를 구성하고 있다. 제3도의 군관리프로그램(10)에 있어서의 33D단계의 할당제한프로그램에서는, 상기 최소카간격 LO,K(T)에 따라 1호기가 상기 신규승강장호출(C)에 할당되기 어렵게 하기 위한 할당제한평가치(P1)을 연산한다. 또, 카간격 LO,1(T)~LO,4(T)의 범위의 분산변동이 클수록 할당제한평가(P1)을 큰 값으로 설정한다. 이것을 제6도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의 할당제한프로그램(33D)에 있어서, 72단계에서 카간격 LO,1(T) LO,4(T)의 분산을 구한다.
즉, 카 간격 LO,1(T)~LO,4(T)의 평균치 La를
Figure kpo00003
로 연산하고, 그리하여 카간격의 분산 Lv를
Figure kpo00004
로 구한다.
73단계에서는, 카간격의 분산 Lv에 계수 Q=(=2)에 의한 관계를 집어넣어 할당제한평가치 P1=Q×Lv로서 설정한다.
이와같이 하여 1호기에 승강장호출(C)를 가할당한 경우의 할당제한평가치(P1)을 설정한다.
또, 제3도의 군관리프로그램(10)에 있어서의 33E단계의 대기시간평가 프로그램은, 신규승강장호출(C)를 1호기에 가할당한 경우의 각 승강장 호출의 대기시간에 관한 평가치(W1)을 연산한다.
이 대기시간평가치(W1)의 연산에 대해서는 다아는바 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예를들어 각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 U(i)(i=1,2,…,22:승강장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0’초로 한다)를 구하고, 이들의 2승치의 총화, 즉 대기시간평가치 W1=U(1)2+U(2)2으로써 연산한다.
이와같이 하여 1호기의 가할당평가프로그램(33)에서 신규승강장호출(C)를 1호기에 가할당한 경우의 할당제한평가치(P1)과 대기시간평가치(W1)을 연산하는 다른 호기의 할당제한평가치 P1~P4와 대기시간평가치 W2~W4도 같은 방법으로 가할당평가프로그램(34)~(36)에서 각각 연산된다.
다음에, 37단계의 할당카선택프로그램에서는, 상기 할당제한평가치 P1~P4와 대기시간평가치 W1~W4에 따라 할당카를 1대 선택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j호기에 신규승강장호출(C)를 가할당한 경우의 총합평가치 Ej를, Ej=Wj+K,Pj(K:정수)로 구하고, 이 총합평가치 Ej가 최소로 되는 카를 정규의 할당카로하여 선택한다. 할당카에는 승강장호출(C)에 대응한 할당지령과 예보지령을 설정한다.
또, 38단계의 대기동작프로그램에서는, 모든 승강장호출에 응답종료한 빈카가 발생하면, 카가 한 장소에 모여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빈카를 최종호출의 층에서 그대로 대기시키든가, 또는 특정층에서 대기시킬 것인가를 판단하고, 특정층에서 대기시키기로 판정한 경우에는 그 특정층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대기지령을 상기 빈카에 설정한다. 예를들면, 상기 빈카를 각 층에 임시로 대기시킨 경우, 소정시간(T)경과한 다음에 있어서의 각 카의 예측카간격을 상술한 바와같이 연산하고, 이들에 따라 카가 한 장소에 모여들지 않도록 하는 가대기층을 선택한다.
그리하여, 선택한 가대기층에 최종호출의 층이 포함된 경우에는, 그 최종호출의 층에 그대로 대기시키고, 상기 임시대기층에 최종호출의 층이 포함 안된 경우에는, 상기 임시대기층으로 상기 빈카를 주행시켜 거기서 대기시킨다. 최후로, 39단계의 출력프로그램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설정된 승강장버튼등신호(20)을 승강장에 송출함과 동시에, 할당신호, 예보신호 및 대기지령 등을 카제어장치(11)~(14)로 송출한다. 이와 같은 수순으로 상기 군관리프로그램(31)~(39)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군관리 프로그램(10)의 동작을 제8도~제10도에 따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알기쉽게 하기 위해서 제7도에 나타나 있는 건물에 있어서, 2대의 A카, B 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제8도에 있어서, 8층의 하행호출(8d)가 A카에 할당되고, 그 직후(1초후)에 7층하행호출(7d)가 등록되었다 한다. 이때, A카에 가할당한 경우의 8층의 하행호출(8d) 및 7층하행호출(7d)의 예측대기시간은 각각 15초와 26초가 되고, 이때의 대기시간평가치(WA)는, WA=152+262=901로 된다.
한편 B카에 가할당한 경우의 8층의 하행호출(8d) 및 7층의 하행호출(7d)의 예측대기시간은 각각 15초, 12초가 되고, 이때의 대기시간평가치(WB)는, WB=152+122=369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할당방식이면 WA<WA이므로 7층하행호출(7d)는 B카에 할당된다. 그렇다면, A카 및 B 카에 7층하행호출(7d)를 가할당한 경우의 소정시간(T) 경과후의 카위치는 각각 제9도 및 제10도와 같이 된다. 따라서, A카에 가할당한 경우의 예측카간격은 LA,B(20)=14, LB,A(20)=37로 되고, 최소카간격 LO,A(20) 및 LO,B(20)은 각각 LO,A(20)=LB,A(20)=37, LO,B(20)
Figure kpo00005
LA,B(20)=14로 되므로 카간격의 평균치 LA=(37+14)/2=25.5, 카간격의 분산 Lv=(37-25.5)2+(14-25.5)2=264.5로 된다.
한편 B카에 가할당한 경우의 예측카간격은 LA,B(20)=7, LB,A(20)=45로 되고, 최소카간격 LO,A(20) 및 LO,B(20)은 각각 LO,A(20)=LB,A(20)=45, LO,B(20)=LA,B(20)=7로 되므로, 카간격의 평균치 LA=(7+45)/2=26, 카간격의 분산 Lv=(7-26)2+(45-26)2=722로 된다.
따라서, A카에 가할당한 경우는 카가 모여 있다고는 할수 없으므로, 카간격의 분산 Lv=264.4으로 작은 값을 나타내고, 할당제한평가치 PA=2×264.5=529로 된다.
한편 B 카에 가할당한 경우는 카간격의 분산 Lv=722로 큰 값을 나타내고 할당제한평가치 PB=2×722=14444로 된다. 때문에 총합평가치는 EA=WA+PA=901+529=1430, EB=WB+PB=369+1444=1813로 되고 EA>EB로 되므로 최종적으로 7층하행호출(7d)는 A카에 할당된다.
종래의 할당방식으로 한다면 B카에 할당되어 제10도와 같이 가까운 장래에 뭉처 움직이는 운전이되어 장시간기다림호출이 발생하기 쉽게된다. 그러나 소정시간(T)(20초) 경과한 다음의 카의 배치를 고려하여 A카에 할당하게 되고, 뭉처 움직이는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가 현시점에서 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고, 또 이들에 따라 소정시간경과후의 각 카의 시간적간격을 각각 예측연산하고, 이 예측카 간격에 따라 할당동작 및 대기동작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카가 한 장소에 집중하여 모이는 일이 없게되고, 현시점에서 가까운 장래에 걸처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시간(T)경과후의 카의 위치라든가 카방향을 예측할 경우, 우선 카가 최종호출에 응답완료하고 빈카로 될 층과, 이 때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고, 그 위에서 소정시간(T)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카가 빈카로 되면 그 층에서 그대로 대기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빈카를 특정층에 필히 대기시키는 것으로 결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특정층으로 주행시키는 것으로 하여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하면 좋다.
또, 빈카로 될 가능성이 적은, 다시 말해 비교적 교통량이 많은 교통상태이면, 빈카예측시간과 최종호출예측승강장의 연산을 생략하고, 소정시간(T)가 경과되어도 빈카로 되지 않는다는 조건하에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 소정시간(T)가 경과될 때까지에 새로이 발생하게 될 호출도 고려하여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할 수도 있다. 또, 최종호출예측승강장의 연산방법도 이 실시예와 같이 간략화시킨 것이 아니라 통계적으로 구한 카호출이나 승강장호출의 발생확률에 따라 극히 세밀하게 예측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정시간경과후의 각 카의 예측카위치에서 각 카의 시간적간격을 구하고, 이 시간적간격의 분산치에서 승강장호출에 대한 할당을 제한하기 위한 할당제한평가치(20)를 각각 설정하도록 하였으나, 시간적간격이 아니고 각 카사이의 층수라든가 주행할 거리등의 공간적간격을 사용하드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소정시간경과후의 카위치의 분산상태를 ①식의 평균치(LA) 및 ②의 분산(Lv)로 정량화하여 카가 집중하느냐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였으나, 카가 집중하느냐의 여부를 판정하고 할당제한평가치를 설정하는 조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들면, 카가 집중하느냐의 여부를 퍼지집합(Fuzzy集合)으로 표현하고, 그 멤버십함수로 수치화하여 할당제한평가치를 설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강장호출로 할당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특정한 카에 대해서는 다른 카보다 큰 값을 갖는 할당제한평가치를 설정하고, 이것을 대기시간평가치에 웨이트(weight)를 부여하여 총합평가치를 구하고, 이 총합평가치가 최소인 카를 정규의 할당카로서 선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할당제한평가치를 다른 평가치와 조합시켜 총합평가하여 할당한다고 하는 것은, 할당제한평가치가 작은 카를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에 불과하다.
즉, 상기 할당제한평가치가 큰 카는 다른 카보다 할당되기 어렵게 된다. 또, 승강장호출에 대한 할당을 제한하는 수단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할당제한조건을 만족시키는 카를 미리 할당카의 후보에서 제외시키는 방식이어도 좋다. 예를들면, 할당제한평가치가 소정치보다 작은 카 중에서 소정의 기준(예를들면, 대기시간평가치최소라든가 도착시간최단 등)에 따라 정규의 할당카를 선택하는 등으로, 할당제한평가치가 큰 카를 할당후보카에서 제외시키는 방식 등이 생각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기시간평가치를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의 2승치의 총화로 하였으나, 대기시간평가치의 연산방법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등록된 복수의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의 총화를 대기시간평가치로 하였으나, 같은 방법으로 예측대기시간의 최대치를 대기시간평가치로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본 발명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분명한 일이다. 물론, 할당제한평가치와 조합시키는 평가항목은 대기시간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빗나간 예보라든가 만원 등을 평가항목으로 하는 평가지표와 조합하여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 한 종류의 소정시간(T)에 대해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 카에 대해 각각 예측하고, 이에 따라 할당제한평가치를 연산하도록 하였으나, 복수종류의 소정시간 T1,T2… Tr,(T1<T2<… <Tr)에 대해 소정시간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 카에 대해 각각 예측하고, 또 복수종류의 소정시간 T1,T2… Tr에 대해 소정시간 경과후의 예측카간격 LO,K(T1)~LO,K(Tr)(K=1,2,…)을 각각 연산한다. 그리하여, 각 조합《LO,1(T1),LO,2(T1)》… ,《LO,1(T2),LO,2(T2),… 》, … ,《LO,1(Tr),LO,2(Tr)… 》에 따라 각각 설정된 할당제한평가치 P(T1),P(T2),… ,P(Tr)을 웨이트를 부여하여 가산한다.
즉 P=K1·P(T1)+K2·P(T2)+… +Kr·P(Tr),(단 K1,K2,… ,Kr은 웨이트계수)의 산식에 따라 연산함으로써 최종적인 할당제한평가치(P)를 설정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때, 어느 한 시점(T)만의 카배치에 주목하는 것은 아니고, T1,T2,… ,Tr와 같은 복수시점에 있어서의 카배치를 대국적으로 평가하게 되는 것이므로, 현시점으로부터 가까운 장래에 걸처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다.
또, 상기 웨이트계수 K1,K2,…,Kr은, 예를들어 제11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시점의 카배치를 중시하느냐에 따라 몇가지의 설정방법을 생각할 수 있으나, 교통상태라든가 건물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소정시간경과후의 예측카간격에 따라 승강장호출 할당동작을 행하도록 하였다. 이 예측카간격은, 이 외에도 최종호출층에서 카운행방향을 결정하는 경우라든가, 문열린시간을 길게 하기도 하고 짧게 하기도 하는 경우와 같이, 카의 기본동작을 제어하여 카를 분산시켜 승강장호출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건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최종호출층에서 카의 운행방법을 결정할 경우는, 카위치예측수단에 의하여 카가 호출에 대해 응답이 종료된다고 예측된 경우, 호출에 대한 응답이 종료되면 예측된 카와 다른 카의 소정시간 경과후의 간격을, 상행방향에서 응답을 종료한 경우와, 하향방향에서 응답을 종료한 경우의 각각에 대해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예측하고, 이 카간격을 사용하여, 상행방향에서 응답을 종료한 경우의분산(Vu)와 하행방향에서 응답을 종료한 경우의 분산(Vd)를 구한다.
그리하여 Vu
Figure kpo00006
Vd이면, 상행방향에서 정지시켜야 할 카제어수단에서 의해 상행방향에 설정지령을 발신하고, Vu
Figure kpo00007
Vd이면 하행방향에 설정지령을 발신한다.
또, 문열린시간을 길게, 짧게 할 경우는, 시간경과후의 카의 간격을 사정한 복수의 문열린시간, 예를 들면 t1(=2초), t2(=4초), t3(=6초)로 하고, 그 각각에 대해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예측하고, 이 카간격에 따라 각각의 문열린시간에 대응한 분산(V1),(V2),(V3)을 구한다. 그리하여, Min(V1,V2,V3)으로 되는 문열린시간(ti)를 선택하고, 카제어수단에 의해, 이 문열린시간(ti)을 설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군관리장치는,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승강장호출에 대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 등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카를 카호출과 상기 할당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 카가 모든 호출에 대해 응답종료하면 응답종료한 층에서 대기시키든가 또는 소정의 층으로 주행시켜 대기시키는 대기수단을 갖춘 것에 있어서, 카위치예측수단에 의해 카가 현시점으로부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고 소정시간경과한 다음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고,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상기 소정시간경과후의 각 카의 시간적간격 또는 공간적간격을 예측연산하고, 상기 예측카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할당수단, 카제어수단, 대기수단 중 적어도 한가지의 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시간경과에 따라 카배치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수 있음과 동시에 현시점으로부터 가까운 장래에 걸쳐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가할당수단에 의해 승강장호출을 가할당하고, 이 가할당한 승강장호출에 각 카가 응답한다는 가정하에서, 수정시간경과후의 예측카간격에 의해, 가할당카가 정규로 할당되는 것을 제한하는 할당제한 수단을 갖추었으므로, 카가 일부의 층구역에 치우처 할당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 등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카를 카호출과 상기 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을 갖춘 군관리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현시점으로부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 응답하여 소정시간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위치예측수단 및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소정시간경과후의 각 카간격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간격 예측수단을 갖추고, 이 카간격 예측수단에 의해 예측된 카간격을 평가항목의 하나로 삼고 상기 할당수단에 의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2. 1항에 있어서, 할당수단은 할당제한수단을 가지며, 이 할당수단은,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카간격을 좁게 할 것으로 예측된 카에 대해, 이 카가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할당되기 어렵게 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할당수단에 의해 서비스할 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3. 1항에 있어서, 할당수단은 할당제한수단을 가지며, 이 할당제한수단은,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하여 카간격을 좁게 할 것으로 예측된 카에 대해, 이 카를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한 할당대상에서 제외하도록 동작하여, 잔여 카 중에서 상기 할당수단에 의해 서비스할 카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4.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 등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카를 카호출과 상기 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제어수단, 카가 모든 호출에 대해 응답종료한 다음, 그 층에서 대기 시키든가 또는 소정의 층으로 주행시킨 다음 대기시키는 대기수단을 갖춘 군관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현시점으로부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 응답하고 소정시간 경과한 다음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위치예측수단 및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소정시간경과후의 각 카의 간격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간격예측수단을 갖추고, 이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예측된 카간격을 가지고 상기 대기수단에 의해 모든 호출에 대해 응답종료한 카가 대기해야 할 층을 결정하고 그 층에서 대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5.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 등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카를 카호출과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을 갖춘 군관리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현시점으로부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 응답하고 소정시간 한 다음, 카가 호출에 대한 응답을 종료하는가 여부를 예측함과 동시에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위치예측수단, 이 카위치예측수단에 의해 카가 호출에 대해 응답을 종료할 것으로 예측된 카와 다른 카와의 소정시간경과후의 간격을, 상행방향에서 응답을 종료한 경우와 하행방향에서 응답을 종료한 경우의 각각에 대해 예측연산하는 카간격예측수단을 갖추고, 이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예측된 카간격을 가지고 상기 카제어수단에 의해 상기응답을 종료할 것으로 예측된 카운행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6.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 등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카를 카호출과 상기 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을 갖춘 군관리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복수의 문열린시간을 상정하고, 그 각각에 대해 현시점으로부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 호출에 순차 응답하여 소정시간경과한 다음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위치예측수단 및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소정시간경과후의 카간격을 상정한 복수의 문열린시간의 각각에 대해 예측연산하는 카간격예측수단을 갖추고, 이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예측된 카간격을 가지고 상기 카제어수단의 문열린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7.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복수의 카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 등의 운전제어를 행하고, 카를 카호출과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을 갖춘 군관리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현시점으로부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응답하여 소정시간 경과한 다음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위치예측수단 및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소정시간경과후의 각 카간격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간격예측수단을 갖추고, 이 카간격예측수단에 의해 카간격을 좁게하리라 예측되는카를 선택하고, 이 카를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한 할당대상에서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KR1019890014852A 1988-10-19 1989-10-16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KR9200110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3,086 1988-10-19
JP63-263086 1988-10-19
JP63263086A JPH0772059B2 (ja) 1988-10-19 1988-10-19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216A KR900006216A (ko) 1990-05-07
KR920011080B1 true KR920011080B1 (ko) 1992-12-26

Family

ID=1738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852A KR920011080B1 (ko) 1988-10-19 1989-10-16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82817A (ko)
JP (1) JPH0772059B2 (ko)
KR (1) KR920011080B1 (ko)
CN (1) CN10182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8970B2 (ja) * 1990-06-15 1997-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2583700B2 (ja) * 1991-09-18 1997-02-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割当装置
JP3059005B2 (ja) * 1992-08-31 2000-07-04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運転方法
CA2122869A1 (en) * 1993-05-05 1994-11-06 Bruce A. Powell Elevator dispatching with multiple term objective function and instantaneous elevator assignment
DE69405907T2 (de) * 1993-05-05 1998-03-19 Otis Elevator Co Ansammlungsmessung und -verminderung in einem Aufzugsverteiler mit mehrfachen Termen bei der Objektivitätsfunktion
JPH09315708A (ja) * 1996-05-29 1997-12-09 Otis Elevator Co 群管理エレベーター
KR100202720B1 (ko) * 1996-12-30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US6145631A (en) * 1997-04-07 2000-1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roup-controller for elevator
EP0997423B1 (en) * 1998-03-30 2003-06-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ler
US7014015B2 (en) * 2003-06-24 2006-03-2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cars in elevator systems considering existing and future passengers
JP4139819B2 (ja) 2005-03-23 200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4888117B2 (ja) * 2005-04-21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4657794B2 (ja) 2005-05-06 2011-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4567553B2 (ja) * 2005-08-31 2010-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782519B2 (ja) * 2005-09-20 2011-09-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4763403B2 (ja) * 2005-09-27 2011-08-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573741B2 (ja) * 2005-09-27 2010-11-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TW200722359A (en) 2005-09-27 2007-06-16 Hitachi Ltd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7137544A (ja) * 2005-11-15 2007-06-07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EP2141107B1 (en) * 2007-03-29 2016-04-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JP4997008B2 (ja) * 2007-07-20 2012-08-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2007261819A (ja) * 2007-07-20 2007-10-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US8151943B2 (en) 2007-08-21 2012-04-10 De Groot Pieter J Method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s with selected operation modes
JP4839296B2 (ja) * 2007-11-12 2011-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WO2010055563A1 (ja) * 2008-11-13 2010-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JP5347492B2 (ja) * 2008-12-25 2013-11-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JP2011144025A (ja) * 2010-01-15 2011-07-28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6542701B2 (ja) * 2016-03-28 2019-07-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装置の制御方法
CN109534118B (zh) * 2018-11-05 2020-11-10 永大电梯设备(中国)有限公司 一种电梯运行速度的智能化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2625A (en) * 1978-08-31 1980-03-07 Toshiba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synthetic resin tube
JPH0610069B2 (ja) * 1984-12-05 1994-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S61257879A (ja) * 1985-05-09 1986-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S61273476A (ja) * 1985-05-28 1986-12-03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群管理装置
JPS6256076A (ja) * 1985-09-05 1987-03-11 Eimaa Denshi Kk カラ−プリンタ
JPH0694341B2 (ja) * 1986-02-25 1994-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待時間予測装置
JPH0712890B2 (ja) * 1986-06-27 1995-0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US4838384A (en) * 1988-06-21 1989-06-13 Otis Elevator Company Queue based elevator dispatching system using peak period traffic predi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130A (zh) 1990-05-16
JPH0772059B2 (ja) 1995-08-02
US4982817A (en) 1991-01-08
CN1018263B (zh) 1992-09-16
JPH02110088A (ja) 1990-04-23
KR900006216A (ko) 199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1080B1 (ko)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KR92000129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EP0444969B1 (e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learning system predicting "Peak-Period" times for elevator dispatching
US5024295A (en) Relative system response elevator dispatcher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vary bonuses and penalties
JP450590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4098366B2 (ja) エレベータ群の制御
EP1021368B1 (en) Procedur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where virtual passenger traffic is generated
JP6974489B2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方法
KR920010415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JPH0632545A (ja) 周期的にエレベータ群を変化させるエレベータ装置
EA023522B1 (ru) Лифтовая система
KR920005182B1 (ko)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장치
KR20110098759A (ko) 엘리베이터의 군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4234296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群管理制御方法
JPH04213574A (ja) エレベータ配送システム
KR93000475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및 그 군관리방법
US5511634A (en) Instantaneous elevator up-peak sector assignment
KR20070045305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H064476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KR20070088519A (ko)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JPH0819852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064475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3461564B2 (ja) 昇降機の配車方法
JP456919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KR100548764B1 (ko)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