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299B1 -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99B1
KR920001299B1 KR1019880016215A KR880016215A KR920001299B1 KR 920001299 B1 KR920001299 B1 KR 920001299B1 KR 1019880016215 A KR1019880016215 A KR 1019880016215A KR 880016215 A KR880016215 A KR 880016215A KR 920001299 B1 KR920001299 B1 KR 92000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ll
platform
allocation
c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878A (ko
Inventor
신따로 쓰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2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제1도는 내지 제10도는 이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의 한 실시예의 표시도로서, 제1도는 전체구성도.
제2도는 군관리장치(10)의 블록회로도.
제3도는 군관리프로그램의 흐름도.
제4도는 엘리베이터카위치 예측프로그램의 흐름도.
제5도는 엘리베이터카대수예측프로그램의 흐름도.
제6도는 할당제한 프로그램의 흐름도.
제7도는 건물의 구역분할 표시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호출과 엘리베이터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11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12도 내지 제15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를 나타낸것으로서, 각각 호출과 엘리베이터카위치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승강장호출 등록수단 10C : 할당수단
10D : 엘리베이터카 위치예측수단 10E : 엘리베이터카 대수예측수단
10F : 대기수단 11, 14 : 엘리베이터카 제어수단
33X : 가(假)할당수단 33D : 할당제한수단
37 : 할당 엘리베이터카 선택수단
이 발명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카(이하 단순히 카라 부른다)중에서 승강장 호출에 대한 서비스카를 선택하여 할당하거나, 호출에 대응하거나, 대기시키거나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카가 병설된 경우는, 일반적으로 군관리 운전을 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 군관리 운전의 하나로서 할당방식이 있는데 이것은 승강장 호출이 등록되면, 즉시 각 카마다 할당 평가치를 연산하며 이 평가치가 제일좋은 카를 서비스할카로서 선택하여 할당하고 상기 승강장호출에는 할당카만을 응답하도록하여 운행효율의 향상 및 승강장대기시간의 단축을 꾀하는 것이다.
또 이와같은 할당방식 군관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각층의 승강장에 각 카 및 각 방향마다 도착예보등을 설치하고 이것으로 승강장 대기 손님에 대하여 할당카의 예보표시를 하고 있으므로, 대기손님을 안심하고 예보카의 앞에서 카를 기다릴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승장장호출의 할당방식에 있어서의 할당평가치는 현재상황이 그대로 진전되면 어느카에 승강호출을 할당하면 최적한것인가 하는 관점에서 연산하고 있는 것이다.
즉 현재의 카위치와 방향 및 현재등록되어 있는 승강장호출이나 카호출을 바탕으로하여 카가 상기 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각 층의 승강장에 도착하는데 요하는 시간의 예측치(이하, 이것을 도착예상시간이라한다)와, 승강장호출이 등록된 후 경과된 시간(이하 이것을 계속시간 이라한다)을 구하고 다시 상기 도착예상 시간과 상기 계속시간을 가산시켜 현재 등록되어 있는 모든 승강장 호출의 예측대기시간을 연산한다. 그리고 이들 예측 대기시간의 총화 또는 예측대기시간의 자승치의 총화를 할당평가치로서 설정하며 이 할당평가치가 최소로 되는 카에 상기 승강장 호출을 할당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종래의 방식에서는, 승강장 호출의 할당을 할경우, 현재상황의 연장선상에서 최적여부를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그 할당후에 새롭게 등록된 승강장호출을 오랜동안 기다리게 된다는 불합리성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불합리성의 발생예를 제12도 내지 제15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2도에 있어서, A 및 B는 각각 1호기 및 2호기의 카로서 어느것이나 폐문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제13도와 같이 7층과 6층에 연속하여 하강호출(7d)와 (6d)이 등록되었다고 한다.
상기 종래의 할당방식의 할당평가치를 따르면 전체로서 대기시간이 최소가 되도록 카(A)에 7층의 하강호출(7d)을, 그리고 카(B)에 6층의 하강호출(6d)을 할당시켜 2대 모두 상방을 향하여 주행하게 되며 7층과 6층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방향반전하게된다.
만약, 이 방향반전후 7층보다 상방의 층상에, 예컨대 8층에 하강호출(8d)이 등록되게되면, 이 8층의 하강호출(8d)은 카(A) 및 (B)의 다음의 호출이 되어 어느카에 할당되었다 하더라도 응답되는 데는 시간이 걸려 장시간 대기하게 된다. 한편, 7층의 하강호출(7d)을 카(A)에 할당시켜 그 후 6층의 하강호출(6d)이 되었을 때 이 호출도 카(A)에 할당되었다고하면 제14도와 같이되며 같은 시기에 하강호출(8d)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1층에서 대기하고있던 카(B)가 직행 서비스하게되므로 장시간 대기하는 일은 없다.
이와같이 장시간의 대기를 방지하는데는 앞으로의 카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를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할당을 하였다해도 카가 1개소에 모이지 않도록 승강장 호출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건물을 복수층상구역으로 분할하고, 그 구역마다 카를 할당하여 승강장호출을 분담시켜 서비스한다. 소위 구역(zone)할당방식을 상기예에 적용시키면 제15도에 표시한것과 같은 승강장호출응답이 되며, 8층하강호출(8d)을 장시간 대기로 하지 않아도 된다.
그렇지만, 상기 구역에 포함되는 층상은 고정되어있으므로 예컨대 6층하강호출(6d)이 아닌 5층하강호출이 등록된 경우에는 제14도와 같이 7층과 5층의 하강호출은 각각 카(A)와 (B)에 별도로 할당되어 8층 하강호출(8d)은 장시간 대기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역할당방식은 승강장호출의 등록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없기 때문에 역시 장시간 대기 호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특공소 55-32625호 공보에 기재되어있는것은 상기 구역할당카 방식과 마찬가지로 카가 1개소에 모이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효율의 향상을 꾀하기 위하여 승강장호출이 등록되면 그 호출의 가까운 층상에 정지할 예정인 카를 할당하게 되는 할당방식인 것이다.
이 할당방식에 있어서도 근접층에 정지예정카의 유무에 주목할뿐이고 정지예정카가 그층에 도착할때까지 얼마만큼의 시간을 요하게 될것인지, 다른 승강장호출이 어떻게 분포되어 등록되며 언제 응답되게 되는 것인지, 다른 카는 어느층에 있으며 어느 방향으로 운행하게 되는 것인지등 시간경과에 따른 카 배치의 변화등을 정확하게 포착하는 판단을 하지 않으므로 역시 장시간 대기호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일본국 특공소 62-5607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은 승객이 다 내린 위치에 카를 대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새롭게 승강장호출이 발생하면 이승강장호출을 순차적으로 각카에 가할당하여 가할당카의 승객이 다 내리는 위치를 예상하고 가할당카의 예상위치와 다른카의 위치로부터 카의 분산도를 연산하며 적어도 상기분산도를 각할당카의 평가치로서 분산도가 클수록 할당하기 쉽도록하여 각카의 평가치에서 할당카를 결정하도록한 할당방식인 것이다.
이로 인하여 승강장호출에 서비스종료후도 분산배치된 상태가 되며 분산대기에 의한 빈카의 쓸데 없는 운전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에 큰효과를 발휘함과 동시에 빌딩거주자의 불신감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할당방식은 목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야간등 한산할때를 대상으로 한것이므로 카가 전부 빈카로서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승강장호출이 하나 등록된 경우를 전체로 하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승강장호출이 잇달아 등록되어 각카가 호출에 응답하면서 각각 운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교통상태에 있어서의 승강장호출 할당에는 이 할당방식을 적용할 수 없고 장시간대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와같은 문제가 생기는 것은 빈카의 배치를 밸런스시키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가할당카 이외의 카에 대하여 시간 경과에 수반된 카위치의 변화를 고려하는 구성이 안되어있는 (그 전제로부터 다른카의 카위치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없음)것 및 상기 가할당카가 빈카로되는 시점의 카배치(그 시점에서 전카가 빈카로 되어 대기상태가 된다)만을 착안하여 승강장호출할당의 판단을 하고있는 것이 원인이다.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시간경과에 수반된 카배치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시점에서 앞으로에 걸쳐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는 승강장 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시키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승강장호출에 대하여 복수의 카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시키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등 운전제어등을 하며 카를 카호출과 상기 할당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 카가 모든 호출에 응답이 끝나면 끝난층상에서 대기시키느냐, 또는 소정의 층상으로 주행시켜 대기시키는 대기 수단을 구비한것에 있어서, 카위치 예측수단에 의하여 카가 현시점에서 카호출과 할당 승강장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소정시간 경과한 후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 연산하고 카대수예측 수단에 의하여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을 바탕으로하여 상기 소정 시간 경과후에 소정층 혹은 소정층상구역에 있을 카의 유무 또는 대수를 예측연산하며 상기 예측카의 대수를 사용하여 상기 할당수단, 카제어수단, 대시수단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발명의 엘리베이터 군관리장치는 할당동작, 카제어동작, 대기동작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소정시간 경과후에 소정층 혹은 소정층상구역에 있을 카의 대수의 예측치를 사용하여 상기 소정의 동작을 한다.
제1도 내지 제10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12층 건물에 4대의 카가 설치되어있는 것으로 한다. 제1도는 전체구성도로서, 군관리장치(10)와 이에 대하여 제의되는 1호기 내지 4호기용 카제어장치(11)-(14)로 구성되어 있다. 10A는 각층의 승강장호출(상승호출 및 하강호출)의 등록, 말소를 행함과 동시에 승강장호출이 등록된때로부터 경과시간, 즉 계속시간을 연산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10B는 각카가 각층의 승강장(방향별)에 도착하기까지에 요하는 시간의 예측치, 즉 도착예상시간을 연산하는 도착예상시간연산수단, 10C는 승강장호출에 서비스하는데 최선의 카를 1대선택하여 할당하는 할당수단으로서,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과 후술하는 예측카 대수를 바탕으로하여 할당연산을 한다.
10D는 카가 현시점에서 소정시간 T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는 카위치 예측수단, 10E는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을 바탕으로 하여 소정시간 T경과후에 소정층상구역에 있을 카대수를 예측연산하는 카대수예측수단, 10F는 카가 전호출에 응답완료하면 응답완료한 층상 혹은 특정층에서 카를 대기시키는 대기수단이다. 11A는 1호기용 카제어장치(11)에 설치되고, 각층의 승강장호출에 대한 승강장호출 말소 신호를 출력시키는 주지의 승강장호출말소단, 11B는 각층의 카호출을 등륵시키는 주지의 카호출 등록수단, 11C는 각층의 도착예보등(도시생략)의 점등을 제어하는 주지의 도착예보등 제어수단, 11E는 카의 운행방향을 결정하는 주지의 운행방향 제어수단, 11E는 카호출이나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응답하기 위하여 카의 주행 및 정지를 제어하는 주지의 운전제어수단 11F는 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주지의 문제어수단이다. 또 2호기-4호기용 카제어장치(12)-(14)도 1호기용 카제어장치(11)과 동일하게 구성되어있다.
제2도는 군관리장치(10)의 블록회로도로서, 군관리장치(10)는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부른다)로 구성되고, MPU(마이크로 프로세싱 유니트), (101), ROM(102), RAM(103), 입력회로(104) 및 출력회로(105)를 갖고있다. 입력회로(104)에는 각층의 승강장버튼으로부터의 승강장버튼신호(19) 및 카제어장치(11)-(14)로부터의 1호기-4호기의 상태신호가 입력되며 출력회로(105)에서 각 승강장버튼에 내장된 승강장버튼등으로의 신호(20) 및 카제어장치(11)-(14)로의 지령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3도 내지 제7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군관리장치(10)를 구성하는 마이컴의 ROM(102)에 기억된 군관리프로그램을 표시한 플로차트, 제4도는 카위치 예측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5도는 카대수예측프로그램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6도는 할당제한 연산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7도는 건물을 복수의 층상 구역(zone)으로 분할시킨 상태를 표시한 도면이다.
우선, 제3도에서 군관리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스텝(31)의 입력프로그램은 승강장버튼신호(19), 카제어장치(11)-(14)로부터의 상태신호(카위치, 방향, 정지, 주행, 문개폐신호, 카부하, 카호출, 승강장호출말소신호등)을 입력하는 것으로서, 주지의 것이다.
스텝(32)의 승강장호출등록 프로그램은 승강장호출의 등록, 해제, 승강장버튼등의 점등, 소등의 판정을 행함과 동시에 승강장호출의 계속시간을 연산하는것으로서, 주지의 것이다.
스텝(33)-(36)의 가 할당평가 프로그램에서는, 새로이 승강장호출기 C가 등록되면 이 승강장호출 C를 1호기-4호기에 각각 가할당하고, 이때의 할당제한 평가치 P1-P4와 대기시간 평가치 W1-W4를 각각 연산하는 것이다. 1호기의 가할당 평가 프로그램(33)에 있어서 도착예상시간 연산프로그램(33A)에서는 새로이 등록된 승강장호출 C를 1호기에 가할당하였을때의 각 승강장i(i=1, 2, 3…, 11은 각가 B2, B1, 1…9층의 상승방향승강장, i=12, 13, …, 21, 22는 각각 10, 9…, 1, B1층의 하강방향승강장을 표기한다)로의 도착예상시간 Aj(i)을 카j(j=1, 2, 3, 4)마다 연산한다.
도착예상시간은 예컨대 카가 1층상 전진하는데 2초, 한번정지하는데 10초를 요하는 것으로 하고 카가 전승강장을 순차적으로 일주 운전하는 것으로하여 연산된다. 그리고 도착예상시간의 연산은 주지의 것이다. 스텝(33B)의 카 위치예측프로그램에서는 상기 신규 승강장호출 C를 1호기에 가할당하였을 때의 1호기-4호기의 소정시간 T경과후의 예측카위치 F1(T)-F4(T)와 예측카방향 D1(T)-D4(T)을 각 카에 대하여 각각 예측연산한다.
이것을 제4도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의 카위치 예측프로그램(33B)에 있어서, 스텝(41)에서 신규승강장호출 C를 1호기에 가할당한다. 스텝(51), 즉 스텝(42)-(50)은 1호기의 소정시간 T후의 예측카위치 F1(T)과 예측카방향 D1(T)을 연산하는 수순을 표시한다. 1호기가 할당된 승강장호출이 있을 때는, 스텝(42)-(44)으로 전진하며, 여기에서 제일 먼 할당승강장호출의 전방에 있는 종단층을 1호기의 최종호출층으로 예측하며 이층에서의 카의 도착방향(최상층에서는 하강방향, 최하층에서는 상승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 승강장 h1으로 설정한다.
또 1호기가 할당된 승강장호출은 없고 카호출만 있을때는 스텝(42)→(43)→(45)으로 전진하며 여기에서 제일 먼 카호출층을 1호기의 최종호출층으로 예측하며 이때의 카의 도착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 h1으로 설정한다. 또한 1호기가 할당승강장호출도 카호출도 없을때는 스텝(42)→(43)→(46)으로 전진하며 여기에서 1호기의 카위치층을 최종호출층으로 예측하며 이때의 카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 h1으로 설정한다.
이와같이해서, 최종호출예측승강장 h1을 구하면, 다음의 스텝(47)에서 1호기가 빈카로 되는데 요하는 시간의 예측치(이하 빈카 예측시간이라 부른다) t1을 구한다. 빈카 예측시간 t1은 최종호출예측승강장 h1으로 도착예상기간 A1(h1)에 그 승강장에서의 정지시간의 예측치 Ts(=10초)를 가산하여 구한다. 또한 카위치층을 최종호출예측승강장 h1으로 설정하였을 경우는 카의 상태(주행중, 감속중, 개문동작중, 개문중, 폐문동작중등)에 따라 정지시간의 나머지시간을 예측하여 이것을 빈카예측시간 t1으로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48)-(50)에서 1호기의 소정시간 T후의 예측카위치 F1(T)와 예측카방향 D1(T)를 연산한다. 1호기의 빈카예측시간 t1이 소정시간 T이하일때는 소정시간 T를 경과할때까지 1호기가 빈카로 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48)→(49)으로 전진하며 여기에서 최종호출예측승강장 h1을 바탕으로하여 그 승강장 h1의 층상을 소정시간 T경과 후의 예측카위치 F1(T)으로 설정한다. 또 예측카방향 D1(T)을 “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예측카방향 D1(T)는 “0”일때 무방향, “1”일때는 상승방향, “2”일때는 하강방향을 표시한다. 한편 1호기의 빈카예측시간 t1이 소정시간 T보다 클때는 소정시간 T를 경과하여도 아직 빈카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48)→(50)으로 전전하며 여기에서 승강장 i-1의 도착예상시간 A1(i-1)과 승강장 i의 도착예상시간 A1(i)가 {A1(i-1)+Ts
Figure kpo00001
T〈A(i)+Ts}로 되도록 승강장 i의 층상을 소정시간 T경과후의 예층카위치 F1(T)으로 설정하며 이승강장 i와 같은 방향을 예측카방향 D1(T)으로 설정한다.
이와같이해서 스텝(51)에서 1호기에 대한 예측카위치 F1(T)과 예측카방향 D1(T)을 연산하지만, 2호기-4호기에 대한 예측카위치 F2(T)-F4(T), 및 예측카방향 D2(T)-D4(T)도 스텝(51)과 같은 수순으로 되는 스텝(52)-(54)에서 각각 연산된다. 재차 제3도에 있어서, 스텝(33C)의 카대수 예측프로그램에서는 상기 신규 승강장호출 C를 1호기에 가할당하였을때, 소정시간 T경과후에 소정층상 혹은 소정층상구역에 있는 카의 대수, 예컨대 제7도에 표시한것과 같이 1층상 또는 연속된 복수층상으로되는 층상구역(zone)Z1-Z6에 대하여 예측카대수 N1(T)-N6(T)을 각각 연산한다.
제5도의 카대수 예측프로그램(33C)에 있어서 스텝(61)에서 예측카대수 N1(T)-N6(T)을 각각 “0”대에, 호기번호 j 및 구역번호 m을 각각 “1”로 초기설정한다. 스텝(62)에서는 j호기의 예측카 위치 Fj(T)와 예측카방향 Dj(T)을 바탕으로하여 소정시간 T경과후에 j호기가 구역 Zm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j호기가 구역 Zm에 있다고 예측되면 스텝(63)에서 구역 Zm의 예측카대수 Nm(T)를 1대 증가시킨다. 스텝(64)에서는 호기번호 j를 1개 증가시키고, 스텝(65)에서 전호기에 관하여 판정하여 끝났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종료되지 않았으면 스텝(63)으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처리를 되풀이한다. 구역번호 m의 구역 Zm에 관하여 스텝(62) 및 (63)의 처리를 전호기 종료되면 다음의 스텝(66)에서 구역번호 m을 1개 증가시킴과 동시에 호기번호 j을 “1”로 초기 설정한다.
그리고 동일하게 스텝(62)-(65)의 처리를 호기번호 j〉4로 될때까지 되풀이한다. 모든 구역 Z1-Z6에 관하여 상술한 처리가 끝나면 스텝(67)에서 구역번호 m〉6로 되며 이 카대수예측 프로그램(33C)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 스텝(33A)-(33C)에서 가할당수단(33X)을 구성하고 있다. 제3도의 군관리 프로그램(10)에 있어서, 스텝(33D)의 할당제한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예측카대수 N1(T)-N6(T)을 바탕으로 하여 1호기가 상기 신규승강장호출 C에 할당하는데 곤란하도록 하기위한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연산한다. 카가 한장소에 모일 우려가 있을수록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큰값으로 설정한다.
이것을 제6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의 할당 제한 프로그램(33D)에 있어서 스텝(71)에서 예측카대수 Nm(T)=4로 되는 구역 Zm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즉 모든카가 일개의 구역에 집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같은 구역이 존재할때는 스텝(72)에서 할당제한평가치 P1을 최대의 “1600”로 설정한다. 또, 스텝(73)에서 예측카대수 Nm(T)=3으로 되는 구역 Zm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즉, 대부분의 카가 일개의 구역에 집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같은 구역이 존재할때는 스텝(74)에서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900”으로 설정한다. 또한 스텝(75)에서 위층(구역 Z3및 Z4), 또는 아래층(구역 Z1및 Z6)에 모든 카가 집중(N3(T)+N4(T)=4, 또는 (N1(T)+N6(T)=4)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집중할때는 스텝(74)에서 동일하게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90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스텝(76)에서는 동일하게 위층 또는 아래층에 대부분의 카가 집중 (N3(T)+N4(T)=3, 또는 N1(T)+N6(T)=3) 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대부분의 카가 집중할때는 스텝(77)에서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400”으로 설정한다. 또한 스텝(78)에서는 3개의 인접하는 구역 Zm-1, Zm, Zm+1의 예측카대수 Nm-1(T), 및 Nm+1(T)가 모두 “0”으로 되는 조합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같은 구역 Zm-1, Zm, Zm+1의 조(組)가 존재할때는 스텝(77)에서와 같이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400”으로 설정한다. 최후에 스텝(79)에서는 이용객이 많은 주층상(1층) 및 그 주변층상(구역 Z1, Z5, Z6)에 카가 2대 미만(M1(T)+N5(T)+N6(T))〈2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주층상 주변에 2대 이상의 카의 없을때는 스텝(80)에서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100”으로 설정하고 2대이상의 카가 있을때는 스텝(81)에서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0”으로 설정한다.
이와같이 하여 각구역 Z1-Z6에 있어서의 예측카대수 N1(T)-N6(T)를 바탕으로 하여 1호기에 승강장호출 C를 가할당하였을때의 할당제한 평가치 P1을 설정한다. 또, 제3도의 군관리 프로그램(10)에 있어서 스텝(33E)의 대기시간 평가 프로그램에서는 신규승강장호출 C를 1호기에 가할당하였을때의 각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에 관한 평가치 W1을 연산한다.
이 대기시간 평가치 W1의 연산에 관하여는 주지의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예컨대 승강장호출 i의 예측대기시간 U(i)(i=1, 2, …, 22 : 승강장호출이 등록되어 있지않으면 “0”초로 한다)를 구하며, 이들의 자승치의 총화, 즉 대기시간 평가치 W1=U(i)2+U(2)2+…+U(22)2로서 연산한다.
이와같이하여 1호기의 가할당평가 프로그램(33)에서 신규 승강장호출 C를 1호기에 가할당하였을때의 할당제한 평가치 P1과 대기시간 평가치 W1을 연산한다. 다른 호기의 할당제한 평가치 P2∼P4와 대기시간 평가치 W2-W4도 동일하게 가할당 평가 프로그램(34)∼(36)에서 각각 연산된다. 다음에 스텝(37)의 할당카선택 프로그램에서는 상기 할당제한 평가치 P1∼P4와 대기시간 평가치 W1-W4를 바탕으로 하여 할당카를 1대 선택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j호기에 신규승강장호출 C를 가할당하였을때의 총합 평가치 Ej를 Ej=Wj+K·Pj(K : 정수)에서 구하며 이 총합평가치 Ej가 최소로 되는 카를 정규의 할당카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할당카에는 승강장호출 C를 대응하여 할당지령과 예보지령을 설정한다. 또한 스텝(38)의 대기 동작 프로그램에서는 모든 승강장호출에 응답이 끝난 빈카가 생기면 카가 한장소에 모이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빈카를 최종호출의 층에서 그대로 대기시키든지 또는 특정층에서 대기시키든지를 판정하며 특정층에서 대기한다고 판정되었을때는 그 특정층으로 주행시키기 위하여 대기지령을 상기 빈카로 설정한다. 예컨대 상기빈카를 구역 Z1-Z6에 가대시켰을때의 소정시간 T경과후에 있어서, 각 구역의 예측카대수를 상술과 같이 연산하고, 이것을 바탕으로하여 카가 위층 또는 아래층에 모이지 않도록 가대기 구역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가대기 구역에 최종호출의 층이 포함되어있을때에는 그 최종호출의 층 그대로 대기시키고 상기 가대기구역에 최종호출의 층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때는 상기 가대기 구역내의 특정층에 상기 빈카를 주행시켜 거기에 대기시킨다.
최후로 스텝(39)의 출력프로그램에서는 상기와 같이하여 설정된 승강장 버튼등 신호(20)을 승강장에 송출함과 동시에 할당신호, 예보신호 및 대기지령등을 카제어장치(11)-(14)로 송출한다. 이와같은 수순으로 상기 군관리 프로그램(31)-(39)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있어서 군관리 프로그램(10)의 동작을 제8도 내지 제10도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7도에 표시된 건물에 있어서 2대의 카 A, 및 B가 설치되어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 있어서 8층의 하강호출(8d)이 카 A에 할당된 직후(1초후)에 7층 하강호출(7d)이 등록된 것으로 한다.
이때 카 A가 가할당되었을때의 8층의 하강호출(8d) 및 7층 하강호출(7d)의 예측대기시간은 각각 15초와 26초로 되며 이때의 대기시간 평가치 WA는 WA=152+262=901된다. 한편, 카 B에 가할당되었을때의 8층 하강호출(8d) 및 7층 하강호출(7d)의 예측대기시간은 각각 15초와 12초로 되며 이때의 대기시간 평가치 WB는, WB=152+122=369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할당방식이면 WB〈WA이므로 7층 하강호출(7d)는 카B에 할당된다.
그런데 카 A 및 카 B에 7층 하강호출(7d)를 가할당하였을때의 소정시간 T경과후의 카위치는 각각 제9도 및 제10도와 같이된다.
따라서 카 A에 가할당되었을때의 예측카대수는 N1(T)=1, N4(T)=N2(T)= N3(T)=N5(T)=N6(T)=0로 되며 카 B에 가할당 되었을때의 예측카대수는 N4(T)=2, N1(T)=N3(T)=N2(T)=N5(T)=N6(T)=0로 된다. 이예에서는 무방향의 카는 상승방향으로 하였지만, 카위치에 따라 적당한 방향을 결정하면 된다. 카 A에 가할당되었을때는 카가 모여있다고는 할 수 없으므로 할당제한평가치 PA=0로 된다. 한편, N4(T)=2는 하나의 구역에 전카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6도의 할당제한 프로그램(33D)의 스텝(77)과 동일하게 생각하여 할당제한 평가치 PB=1600이 된다.
따라서, 총합평가치는 EA=WA+PA=901+0=901, EB=WB+PB=369+1600=1969, 에서 EA〈EB이므로 최종적으로 7층 하강호출(7d)는 카 A에 할당된다. 종래의 할당방식이면 카 B에 할당되어 제10도와 같이 앞으로 카는 한장소에 모이게되는 운전으로 되어 장시간 대기호출이 쉽게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소정시간 T경과후의 카배치를 고려하여 카 A에 할당하므로서 이와같은 모여지는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카가 현시점에서 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되어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며 다시 이것을 바탕으로하여 각 구역에 있어서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대수를 예측연산하고 이 예측카대수에 따라 할당동작 및 대기동작을 하도록 하였으므로 카가 한장소에 집중하는 일이 없으며 현시점에서 앞으로에 걸쳐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출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정시간 T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할때 우선, 카가 최종호출에 응답이 끝나 빈카로 되는 층상과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며 그 결과로서 소정시간 T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하도록하였다.
이것은 카가 빈카로 되면 그 층에서 그대로 대기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이다. 빈카를 특정층에 반드시 대기시키는 것으로 결정되어있는 경우이면 특정층에 주행시키는 것으로서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하면된다.
또 빈카로 될 가능성이 낮은 즉 비교적 교통량이 많은 교통상태이면 빈카 예측시간과 최종 호출예측 승강장의 연산을 생략하며 소정시간 T를 경과하여도 빈카로 되지않는 조건하에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는것도 용이한 것이다. 또한 소정시간 T를 경과할때까지 새로이 발생될 호출도 고려하여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종호출예측 승강장의 연상방법도 이 실시예와같이 간략화한 것은 아니며 통계적으로 구한 카호출이나 승강장호출의 발생확률을 바탕으로 정하여 자세하게 예측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7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구역에 건물을 분할시켰지만 층상수나 설치카대수이외, 시간대나 각층상의 용도(주층상, 식당층, 점회실층 등)에 따라 구역의 설정방법을 변경하는것도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반드시 승강장의 방향을 고려하여 구역을 결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1) 소정구역의 예측카대수가 규정치이상이 되도록하는 가할당의 경우, (2) 특정구역(위칙 또는 아래층)의 예측카대수가 규정이상이 되도록 하는 가할당의 경우, (3) 특정구역(주층상) 및 그 주변구역의 예측카대수가 규정치미만이 되도록 하는 가할당의 경우, (4) 특정구역의 예측카대수가 0대이고 이에 인접하는 구역의 예측카대수도 0대가 되도록하는 가할당의 경우에, 승강장호출로의 할당을 제한하기 위한 할당제한 평가치(〉0)를 각각 설정하도록 하였지만, 예측가대수에 의하여 할당제한 평가치의 설정조건은 이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상기 예측카대수를 사용하여 카가 집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이면 어떤 조건이어도 무방하다. 또 할당제한 평가치의 값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1600” “900” “400” “100”와 같은 고정치가 아니며 상기 설정조건을 퍼지(Fuggy)집합으로 나타내고 그 맴버쉽 함수치를 바탕으로하여 할당제한 평가치를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강장호출에 할당을 제한하는 수단으로서 특정카에 대하여는 다른 카보다 큰 값을 가진 할당제한 평가치를 설정하고 그것을 대기시간 평가치에 가중치를 붙혀서 가산하여 총합평가치를 구하며 이 총합평가치가 최소인 카를 정규의 할당카로서 선택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와같이 할당제한 평가치를 다른 평가치와 조합시켜 총합평가하여 할당한다는것은 할당제한 평가치가 작은 카를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즉, 상기 할당제한 평가치가 큰카는 다른카보다 할당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또, 승강장호출의 할당을 제한하는 수단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할당제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카를 미리 할당카의 후보로부터 제외시키는 방식이어도 된다. 예컨대 할당제한 평가치가 소정치보다 작은 카중에서 소정기준(예컨대 대기시간 평가치 최소, 도착시간 최단등)에 따라 정규의 할당카를 선택하는 것과 같이 할당제한 평가치가 큰 카를 할당후보카로 부터 제외시키는 방식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기시간 평가치를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 시간의 자승치의 총화로 하였지만, 대기시간 평가치의 연산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의 총화를 대기시간 평가치로 하거나 예측대기시간의 최대치를 대기시간 평가치로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것도 이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는것은 명백한 것이다.
물론, 할당제한 평가치와 조합시키는 평가항목은 대기시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예보, 만원등을 평가항목으로 하는 평가지표와 조합시켜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종류의 소정시간 T에 관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 카에 관하여 각각 예측하고 이것을 바탕으로하여 할당제한 평가치를 연산하도록 하였지만, 복수종류의 소정시간 T1, T2…, Tr(T1〈T2〈…〈Tr)에 관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카에 관하여 각각 예측하며 또 다시 복수종류의 소정시간 T1, T2…Tr에 관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예측카대수 Nm(T1)∼Nm(Tr)를 구역 Zm(m=1, 2,…)에 관하여 각각 연산한다. 그리고 각조합{N1(T1), N2(T1),…}, {N1(T2), N2(T2),…},…, {N1(Tr), N2(Tr), …}, 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할당제한 평가치 P(T1), P(T2),…P(Tr),를 가중치로서 가산한다. 즉 P=K1, P(T1)+K2, P(T2)+…+Kr, P(Tr). 단, K1, K2,…, Kr는 가중치 계수)로 되는 산식에 따라 연산하므로 최종적인 할당제한 평가치 P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떤 일시점 T에만 카배치를 하는것이 아니라, T1, T2,…Tr라는 복수시점에 있어서 카배치를 대국적으로 평가하게 되므로 현시점에서 앞으로에 걸쳐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일층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가중치계수 K1, K2…,Kr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어느 시점의 카배치를 중시하는 카에 의하여 몇가지의 설정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교통상태나 건물특성등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정시간경과후의 각 구역의 예측카대수를 바탕으로하여 승강장호출 할당동작을 하도록 하였다.
이 예측카대수는 이것외에도 최종호출에서 카의 운행방향을 결정하는 경우든가, 개문시간을 길게하거나 짧게하는 경우등과 같이 카의 기본동작을 제어하여 카가 분산되어 승강장호출에 응답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조건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군관리 장치는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시키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승강장 호출에 대하여 복수카중에서 서어비스 하여야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시키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 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등의 운전 제어를 하여 카를 카호출과 상기 할당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 카가 모든 호출에 응답이 끝나면 끝난층상에서 대기시키든지 또는 소정층상으로 주행시켜 대기시키는 대기수단을 구비한것에 있어서 카위치 예측수단에 의하여 카가 현시점에서 카호출과 할당 승강장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소정시간 경과한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고 카대수예측수단에 의하여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을 바탕으로하여 상기 소정시간 경과후에 소정층 또는 구역에 있을 카의 유무 또는 대수를 예측연산하며 상기 예측카대수를 사용하여 상기 할당수단, 카제어수단, 대기수단중 적어도 일개의 동작을 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시간경과에 따라 카위치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현시점에서 앞으로에 걸쳐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 가할당수단에 의하여 승강장호출을 가할당시키고 이 가할당의 승강장호출에 각카가 응답한다는 가정하에 소정층상 구역내에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예측카대수에 의하여 가할당카가 정규로 할당되는 것을 제한하는 할당제한 수단을 설치하였으므로 카가 일부의 층상구역에 치우치게 할당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시키는 승강장호출 등록수단, 승강장호출에 대하여 복수카중에서 서어비스하여야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시키는 할당수단,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등의 운전제어를 하며 카를 카호출과 상기 할당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 카가 모든 호출에 응답이 끝나면 응답이 끝난 층상에서 대기시키든지 혹은 소정의 층상으로 주행시켜 대기시키는 대기수단을 구비한 군관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현시점에서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 연산하는 카위치 예측수단 및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을 바탕으로하여 소정시간경과후에 소정층 혹은 소정층상구역에 있을 카의 유무 또는 대수를 예측연산하는 카대수예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대수예측수단이 예측한 카대수를 사용하여 상기 할당수단, 카제어수단 및 대기수단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2.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시키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승강장호출에 대하여 복수카중에서 서어비스하여야 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시키는 할당수단 및, 카의 운행방향결정, 출발, 정지 및 문개폐등의 운전제어를 하며 카를 카호출과 상기 할당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는 카제어수단을 구비한 군관리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현시점에서 카호출과 할당승강장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각 예측연산하는 카위치 예측수단, 및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을 바탕으로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에 소정층 혹은 소정층상구역에 있을 카의 유무 또는 대수를 예측연산하는 카대수예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할당수단은 승강장호출을 각 카에 가할당시키며 이가할당카가 상기 승강장호출에 응답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카위치 카대수예측수단을 사용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카에 관하여 각각 예측연산함과 동시에 상기 카대수예측수단을 사용하여 소정시간경과후의 소정층상 구역내의 카대수를 각각 예측 연산하는 가할당수단과, 이 가할당수단의 출력을 바탕으로하여 정규의 할당카를 선택하는 할당카선택수단과, 상기 소정층상 구역내의 상기 예측카대수에 의하여 대응하는 상기 가할당카를 상기 승강장호출에 정규적으로 할당되는 것을 제한하며 또는 할당대상에서 제외하는 지령을 출력시키는 할당제한수단을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수단은 각 승강장호출의 예측시간에 기준하여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에 관한 평가치를 연산하는 대기시간평가수단을 추가구비하고 상기 할당제한수단은 상기 가할당수단의 예측카대수에 기준하여서 상기 복수의 카 모두의 배치상태에 관한 평가를 연산하며, 상기 할당카선택수단은 상기대시시간 평가수단과 상기 할당제한수단의 평가치를 가산하여 총합평가치를 연산하고, 총합평가치에 의하여 정규의 할당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장치.
KR1019880016215A 1988-02-17 1988-12-06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KR920001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317 1988-02-17
JP?63-34317 1988-02-17
JP63034317A JPH0712891B2 (ja) 1988-02-17 1988-02-17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878A KR890012878A (ko) 1989-09-19
KR920001299B1 true KR920001299B1 (ko) 1992-02-10

Family

ID=1241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215A KR920001299B1 (ko) 1988-02-17 1988-12-06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20642A (ko)
JP (1) JPH0712891B2 (ko)
KR (1) KR920001299B1 (ko)
CA (1) CA1312153C (ko)
GB (1) GB2222275B (ko)
HK (1) HK73192A (ko)
SG (1) SG764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7597B2 (ja) * 1988-03-02 1997-05-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725491B2 (ja) * 1989-04-06 1995-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2633681B2 (ja) * 1989-04-12 1997-07-23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2693587B2 (ja) * 1989-07-17 1997-12-2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85596B2 (ja) * 1990-05-24 1996-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5529147A (en) * 1990-06-19 1996-06-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cars based on car delay
JPH05238653A (ja) * 1992-02-27 1993-09-17 Hitachi Ltd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US5480006A (en) * 1993-07-16 1996-01-0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ownpeak sectoring
TW428145B (en) * 1994-06-23 2001-04-01 Otis Elevator Co Elevator dispatching employing hall call assignments based on fuzzy response time logic
US6145631A (en) * 1997-04-07 2000-1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roup-controller for elevator
WO1999050164A1 (fr) * 1998-03-30 1999-10-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Organe de commande d'ascenseur
SG119203A1 (en) * 2002-12-13 2006-02-28 Inventio Ag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zonally operated elevator installation
SG137672A1 (en) * 2003-04-25 2007-12-28 Inventio Ag Device with movable door seal for a displaceable door panel of a lift installation and a lift installation with such a device
US7267202B2 (en) * 2003-05-13 2007-09-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with guaranteed time performance using real-time service allocation
DE502004010757D1 (de) * 2003-06-27 2010-04-01 Inventio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im Zonenbetrieb betriebenen Aufzugsgruppe
JP4139819B2 (ja) * 2005-03-23 200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US7882934B2 (en) * 2006-12-22 2011-02-08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US8151943B2 (en) 2007-08-21 2012-04-10 De Groot Pieter J Method of controlling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s with selected operation modes
JP5347492B2 (ja) * 2008-12-25 2013-11-20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及び装置
FI122597B (fi) * 2010-09-07 2012-04-13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WO2018016031A1 (ja) * 2016-07-20 2018-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3321A (en) * 1975-10-11 1980-03-26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system
JPS5532625A (en) * 1978-08-31 1980-03-07 Toshiba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fiber-reinforced synthetic resin tube
JPS6256076A (ja) * 1985-09-05 1987-03-11 Eimaa Denshi Kk カラ−プリンタ
JPH0755770B2 (ja) * 1986-09-30 1995-06-1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タシステムの情報伝送制御方法
US4901822A (en) * 1987-08-06 1990-02-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Group supervisory apparatus for elevator
US4790412A (en) * 1988-03-16 1988-12-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Anti-bunching method for dispatching elevator cars
US4846311A (en) * 1988-06-21 1989-07-11 Otis Elevator Company Optimized "up-peak" elevator channeling system with predicted traffic volume equalized sector assignments
US4875554A (en) * 1988-08-31 1989-10-24 Inventio Ag Dynamic selection of elevator call assignment scan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20642A (en) 1991-06-04
GB2222275A (en) 1990-02-28
HK73192A (en) 1992-10-02
JPH0712891B2 (ja) 1995-02-15
GB2222275B (en) 1992-03-25
CA1312153C (en) 1992-12-29
SG76492G (en) 1992-10-02
KR890012878A (ko) 1989-09-19
JPH01209289A (ja) 1989-08-23
GB8903087D0 (en) 198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9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KR920011080B1 (ko)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JP2509727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US6345697B1 (en) Procedure for controlling an elevator group where virtual passenger traffic is generated
JP3062907B2 (ja) 周期的にエレベータ群を変化させるエレベータ装置
KR940009411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EP0895506B1 (en) Procedure for control of an elevator group consisting of double-deck elevators, which optimises passenger journey time
KR920010415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US5750946A (en) Estimation of lobby traffic and traffic rate using fuzzy logic to control elevator dispatching for single source traffic
WO2019087249A1 (ja) 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運行管理方法
JPH035127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方法及び群管理装置
US8800723B2 (en) Elevator system having floors locked from receiving service
US5841084A (en) Open loop adaptive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JPH04213574A (ja) エレベータ配送システム
KR93000475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및 그 군관리방법
JP3650150B2 (ja) 瞬時的なセクタ割り付け方法
US5767460A (en) Elevator controller having an adaptive constraint generator
US5786551A (en) Closed loop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JPS59167463A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H0819852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S62121186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64475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S60106774A (ja)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798619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H0920468A (ja)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