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10415B1 -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415B1
KR920010415B1 KR1019900001550A KR900001550A KR920010415B1 KR 920010415 B1 KR920010415 B1 KR 920010415B1 KR 1019900001550 A KR1019900001550 A KR 1019900001550A KR 900001550 A KR900001550 A KR 900001550A KR 920010415 B1 KR920010415 B1 KR 92001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ll
cars
waiting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040A (ko
Inventor
신타로 쓰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2Up or down call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5Taking into account predicted future events, e.g. predicted future call inp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43Distribution of elevator cars, e.g. based on expected future n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30Details of the elevator system configuration
    • B66B2201/301Shafts divided into zon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방법
제1도∼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의 한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1도는 전체구성도,
제2도는 군관리장치(10)의 블록회로도,
제3도는 군관리프로그램의 플로차트,
제4도는 빈 카(空car)검출프로그램의 플로차트,
제5도는 대기동작프로그램의 플로차트,
제6도는 카위치예측프로그램의 플로차트,
제7도는 카대수예측프로그램의 플로차트,
제8도는 대기제한프로그램의 플로차트,
제9도는 건물의 구간분할을 나타내는 도면,
제10도 및 제11도는 호출과 카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평가설명도이고,
제13도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에 있어서 각각 호출과 카위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승강장호출 및 등록수단 10C : 할당수단
10D : 카위치예측수단 10E : 카대수예측수단
10F : 빈카검출수단 10G : 대기수단
11∼13 : 카제어수단 34 : 빈카검출프로그램
38 : 대기동작프로그램 62A1 : 카위치예측프로그램
62B : 카대수예측프로그램 62C : 대기제한프로그램이다.
본 발명은, 복수대의 엘리베이터의 카를 제어하여 대기시키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수대의 엘리베이터가 병설된 경우는, 보통 군관리운전이 이루어진다. 이 군관리운전의 한가지에 할당방식이 있으나, 이것은 승강장호출이 등록되면 즉시 각 카마다의 할당평가치를 연산하고, 이 평가치가 가장 적당한 카를 서비스할 카로서 선택하여 할당하고, 상기 승강장호출에는 할당카만이 응답하도록 하여, 운행효율의 향상 및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의 단축을 꾀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것을 효율좋게 하기 위하여, 카호출 및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대해 응답 완료하고 서비스를 완료한 카(이하 빈카라 함)를 적당한 계층으로 분산대기 시키는 일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들이 있다.
(가) 건물 또는 엘리베이터의 서비스계층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소정의 우선순서에 따라 각 구간에 1대 또는 2대의 카를 대기시킨다.
(일본국 특개소 53-73755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55-56958호 공보, 일본국 특개소 55-111373호 공보등)
(나) 특정층에 대한 카의 도착예상시간과, 그 특정층에 대응해서 설정된 소정시간과의 비교에 따라, 상기 소정시간 내에 도착 가능하고 또 대기 중인 빈카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대기 중인 빈카가 없으면 상기 특정층 및 상기 특정층에 상기 소정시간 내에 도착 가능한 층 중에서 어느 층인가에 상기 빈카를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일본국 특공고 61-37187호 공보)
(다) 빈카를, 이 빈카를 제외한 다른 카들의 상호간의 간격이 가장 먼 곳의 중간지점에 가장 가까운 층으로 이동시켜 대기 시킨다. (일본국 특공소 57-17829호 공보)
(라) 빈카의 각 카끼리의 간격 또는 카 정지층 사이가 소정치 이하로 되도록 상기 빈카를 이동시켜 대기시킨다. (일본국 특개소 59-48366고 공보)
(마) 빌딩 내의 교통량(승강인수)을 층계별로 수집하고, 이 교통수용에 따라 대기층과 대기대수를 결정하여, 이에 따라 카를 분산대기시킨다. (일본국 특개소 59-138580호 공보)
(바) 승강장호출의 등록개수를 수집하고, 승강장호출의 발생이 많은 층을 대기층으로 결정하고, 카를 분상대기 시킨다. (일본국 특개소 57-62176호 공보)
그러나, 상기 각 방식은 다음과 같은 점에 문제가 있다. 상기 (가)의 방식은, 분산대기층에 이 방식에 대응한 대기카가 1대 (계층에 따라서는 복수대)있지않으면, 다른 층에 대기하고 있는 카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그 대기층에 가까이 카가 있더라도 일부러 대기층까지 카를 주행시키는 결과가 된다. 이는 불필요한 주행이고 전력의 낭비를 가져온다.
따라서 상기 (나)방식이 제안되고, 대기층으로 소정시간 이내에 도착될 수 있을만치 가까운 곳에 카가 있을 경우에는 대치층까지 일부러 주행시키지 않고도 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모든 카가 빈카일 경우는 상기 (가)나 (나)의 방식과 같이 복수의 구간의 카를 미리 정해놓은 우선순서로 1대씩 분산대기 시키는 방식으로도 충분하나, 카호출 또는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응답하여 운행 중인 카가 1대라도 있는 경우에는 상기 우선 순서에 따른 분산대기가 반드시 적절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상기 운행중인 카의 가까운 장래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그리하여 빈카를 어느 층에 대기시키는 것이 좋은가의 대기층의 선정이 중요하다.
이것을 제13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1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대의 카가 설치된 검물을 3개의 Z1,구간, Z2구간, Z3구간으로 나누고, Z1→Z3→Z2의 순서로 빈카를 분산대기 시키기로 한다.
그리하여, A카와 B카가 빈카이고, C카는 6층의 하행호출과 1층의 카호출에 응답하기 위해서 운행 중이라 한다. 이런 경우 상기 (가) 방식을 적용하면, 1층 가까이에서 가까운 장래에 발생하게 될 승강장호출에 대해서는 Z1구간을 향해서 운행 중인 C카가 최단시간에 응답할 수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A카를 Z1구간으로 B카를 Z3구간으로 주행시켜 각각 분산대기 시키게 된다.
따라서 20초 후에는 1층에서 A카와 C카가 뭉쳐서 대기하게 되고,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짧게 하기에 적절한 분산대기동작이라고 말할 수 없다.
결국 A카 또는 C카를 Z2구간으로 다시 주행시켜 대기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재차 무용한 전력을 낭비 하게 된다.
상기 (나) 방식에 대해서도 같은 문제가 남게 된다. 또 상기 (다) 방식이나 (라) 방식과 같이 카간격이 균등히 되게 댁층을 정하는 방식도 있으나,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운행중인 카가 있을 경우에는 카간격은 시시각각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대기층도 변경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불필요한 주행이 증가하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는다.
또, 상기 (마) 방식이나 (바) 방식과 같이 승강장호출이 발생하기 쉬운 층 또는 그와 가까운 층을 대기층으로 정하는 방법도 있으나, 제1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층을 향해 운행 중인 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빈카를 대기시키는 것은 낭비가 된다.
또 승강장호출이 발생하기 쉽다 하더라도 그의 발생은 무작위적이므로 다른 층에 먼저 승강장호출이 발생할 경우에는 반대로 이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이 길게되는 가능성도 높다.
이와 같이 빈카를 분산대기시킬 경우, 호출에 응답하기 근해 운행 중인 카가 1대 이상 있을 경우는,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대기시간이 길게 된다든가 낭비주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하기 (사) 방식과 같이 카가 모조리 빈카로 대기하고 있을 경우에 승강장호출이 새로 발생하면, 이 승강장호출에 할당된 카가 장례 어느층에서 빈카로 될 것인지를 각각 예측하고, 상기 승강장호출에 대해 서비스종료 후에도 각 카가 분산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적적한 카를 선택하여 이것에 상기 승강장호출을 할당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할당방식은 서비스종료 후의 분산대기 동작을 필요없도록하고 빈카의 낭비운전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사) 엘리베이터카를 승차 후 내린 위치에서 대기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새로이 승강장호출이 발생하면 이 승강장호출을 순차 각 카에 가할당(假割當)시켜서 가할당카의 두고 내리는 위치를 예상하고, 가할당카의 예상되는 두고 내리는 위치와 기타의 카의 위치로부터 카의 분산도를 연산하고, 적어도 상기 분산도를 각 할당카의 평가치로서 결정하도록 하고, 이 분산도가 클수록 할당되기 쉽도록 하여 각 카의 상기 평가치로부터 할당카를 결정한다. (일본국 특공소 62-56076호 공보)
그러나, 상기 할당방식과 같이 승강장호출이 발생할 경우 장래의 카위치(상기 가할달카가 두고 내리는 시점의 카배치)가 적절히 되도록 제어하고자 하는 방식은, 승강장호출이 발생한 경우데다 또 모든 호기(號機)가 빈카인 상태로 되는 한정된 상황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전회의 승강장 호출할당의 성과가 나타나기 전(즉 기대한 바와 같은 카 배치로 되기 전)에 예상외의 승강장호출이 새로 발생하면, 전회의 승강장호출할당이 큰 장애가 되어 상기의 새로이 발생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이 길어지는 등 소정 기간 내에 있어서의 승강호출의 대기시간이 결과적으로 길게 되리라는 것도 충분히 생각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장호출할당에 의해 분산대기동작의 기능을 대행(代行)시키기에는 무리한 점이 있고, 대기 시간을 짧게하기 위해서는 승강장호출이 발생하기 전부터 빈카를 분산대기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분산대기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카배치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빈카의 분산대기를 실시함으로써, 현 시점으로부터 가까운 장래에 걸쳐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킴과 같이 낭비주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은, 운전되고 있는 카가 소정시간 경과 후에 어떤 상황에 있을 것인가를 예측하고, 또 빈카를 검출하여 이것을 대기시키는 위치를 임시로 설정하고, 그 설정위치로 주행시켜 대기시키는 조건으로 소정시간 경과 후의 빈카의 상황을 예측하고, 이들의 카의 상황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 후, 어느 층계 또는 어느 층계범위 내에 있는 카의 대수를 예측하고, 이 대수를 층계 등과 연관시켜 평가하고, 빈카가 대기해야 할 층을 선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은, 빈카를 검출한 다음, 이 빈카를 대기시킬 위치를 임시로 설정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어느 층 또는 어느 층계범위 내에 있게 될 카의 대수를 예측하고, 이 예측치를 층계 등과 연관시켜 평가하여 분산대기 시킬 층을 선택한다.
제1도∼제10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12층짜리 건물에 3대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제1도는 전체의 기능구성도이고, 군관리장치(10)과 이에 의해 제어되는 1호기∼3호기용 카제어장치(11), (12), (13)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10A는 각 층의 승강장호출(상행과 하행호출)의 등록·취소를 행함과 아울러, 승강장호출이 등록된 다음부터의 경과시간, 즉 계속시간을 연산하는 승강장호출등록수단, 10B는 각 카가 각 층의 승강장(방향별)에 도착 하기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의 예측치, 즉 도착예상기간을 연산하는 도착 예상시간연산수단, 10C는 승강장호출에 대해 서비스 하기에 가장 적당한 카를 1대 선택하고 할당하는 할당 수단이고, 승강장호출의 예측대기시간(=계속시간+도착예상시간)에 따라 할당연산을 행한다.
10D는 카가 현 지점으로부터 소정시간(T) 경과 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는 카위치예측수단, 10E는 상기 예측카위치와 예측카방향에 따라 소정시간(T) 경과 후에 소정층계범위 내에 있게 될 카의 대수를 예측연산 하는 카대수예측수단, 10F는 카호출과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응답완료 된 카를 검출하는 빈카 검출수단, 10G는 상기 예측카대수에 따라 호출에 응답완료 한층계 또는 특정층에서 빈카를 대기시키는 대기 수단이다.
11A는 1호기용 카제어장치(11)에 설치되고, 각 층의 승강장호출에 대한 승강장호출취소신호를 입력하는 승강장호출취소수단, 11B는 같이 각 층의 카호출을 등록하는 카호출등록수단, 11C는 같이 각 층의 도착예보등(도시생략)의 점등을 제어하는 도착예보등제어수단, 11D는 카의 운행방향을 결정하는 운행방향제어수단, 11E는 카호출이나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응답시키기 위해 카의 주행 및 정지를 제어하는 운전제어수단, 11F는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출입문제어수단이다.
또 2호기 및 3호기용 카제어장치(12) 및 (13)도 1호기용 카제어장치(11)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군관리장치(10)의 브록회로도이고, 군관리장치(10)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고, MPU(101), ROM(102), RAM(103), 입력회로(104) 및 출력회로(105)를 갖고 있다.
입력회로(104)에는 각 층의 승강장버튼으로부터의 승강장버튼신호(19) 및 카제어장치 (11), (12), (13)으로 부터의 1호기, 2호기, 3호기의 상태신호가 입력되고, 출력회로(105)로부터 각 승강장버튼에 내장된 승강장버튼등으로의 신호(20) 및 카제어장치(11), (12), (13)으로의 지령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은 이 실시예의 동작을 제3도∼제9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도는 군관리장치(10)을 구성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의 ROM(102)에 기억된 군관리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4도는 빈카검출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5도는 빈카가 1대인 경우의 대기동작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6도는 그 카위치예측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7도는 같이 카대수예측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8도는 같이 대기제한연산프로그램을 나타내는 플로차트, 제9도는 건물을 복수의 층계구간으로 분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제3도의 군관리방법의 개요를 설명한다. 31단계의 입력프로그램은, 승강장버튼신호(19), 카제어장치(11), (12), (13)으로부터의 상태신호(카위치, 방향, 정지, 주행, 출입문 개폐상태, 카부하, 카호출, 승강장호출취소신호 등)를 입력시키는 것이다. 32단계의 승강장호출등록프로그램은, 승장장호출의 등록·해제 승강장버튼등의 점등·소등의 판정을 행함과 동시에 승강장호출의 계속시간을 연산하는 것이다.
33단계의 할당프로그램은, 새로이 승강장호출 C가 등록되면 이 승강장호출 C를 1호기∼3호기에 각각 가할당 해 본 다음 그때의 대기시간평가치 W1∼W3을 각각 연산하고 이 대기시간평가치 W1-W3의 최소로 되는 카를 진짜할당카로서 선택하는 것이다.
이 대기시간평가치 W1∼W3의 연산에 대해서는 이미 알 수 있는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나, 예로서 승강장호출 C에 1호기를 가할당한 경우의 각 승강장호출 i의 예측대기시간 U(i)(i=1, 2‥‥‥‥22 : 승강장호출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0’초로 한다)를 구하고, 이들을 제곱한 값의 총화, 즉 대기시간평가치 W1=U(1)2+U(2)2+…+U(22)2로써 연산한다.
대기시간평가치 W1,W3도 같은 방법으로 연산한다. 34단계의 빈카검출프로그램은, 카호출과 할당된 승강장호출에 대해 모조리 응답종료하고 출입문도 닫긴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카, 즉 빈카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것을 제4도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4도의 빈카검출프로그램(34)에 있어서, 51단계의 호기번호(號機番號) j를 ‘1’로, 빈카 대수의 카운터 NAV를 ‘0’로 초기설정한다. 그리하여, 52단계에서 j카가 할당승강장호출 또는 카호출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응답해야 할 호출을 갖고 있으면 54단계에서 빈카표지 AVCj를 ‘0’에 리셋 한다.
만일 응답해야 할 호출을 갖지 않고 있다면 52단계에서 53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j카의 출입문이 닫긴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출입문이 닫긴 상태가 아니면 54단계로 진행하고, 빈카표지 AVCj를 ‘0’에 리셋한다.
만약 출입문이 닫긴 상태이면 53단계에서 55단계로 나아가고, 여기서 빈카표지 AVCj를 ‘1’로 셋하고, 빈카 대수카운터 NAV를 ‘1’만 더 증갓킨다. 그리하여 56단계에서 호기번호 j를 ‘1’만큼 증가시키고 57단계로 나아가고, 여기서 모든 카에 대해 처리 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호기번호 j가 ‘3’이하이면 재차 52단계로 되돌아가고 다음의 카에 대해 같은 처리를 반복한다. 모든 카에 대해 상기 처리를 마치면(호기번호 j>3), 이 빈카검출프로그램 (34)의 처리는 종료된다.
재차 제3도의 군관리프로그램(10)에 있어서, 빈카검출프로그램(34)의 처리가 종료되면, 35단계∼37단계에서 빈카대수 NAV를 판정하고, 그 빈카대수 NAV에 따른 대기동작프로그램(38)-(40)을 실행한다. 즉 빈카대수 NAV가 1대인 경우는 35단계에서 38단계로, 빈카대수 NAV가 2대인 경우는 35단계→36단계→37단계로, 빈카대수 NAV가 3대인 경우는 35단계→36단계→37단계→40단계로 진행한다. 빈카대수 NAV가 1대인 경우의 대기동작프로그램(38)을 제5도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의 대기동작프로그램(38)에 있어서, 도착예상시간연산프로그램(61)에 있어서는 각 승강장 i(i=1,2,3…,11은, 각각 B2, B1, 1, …, 9층의 상행승강장, i=12, 13,…, 21, 22는, 각각 10, 9,…, 1, B1층의 하행승강장을 나타낸다)에의 도착예상시간 Aj(I)를 카 j(j=1,2,3)마다에 대해 연산한다.
도착예상시간은, 예를들면 카가 1층계 이동하기에 2초, 1정지 하는데 10초는 소비하는 것으로 하고, 카가 모든 승강장을 순차로 1주운전하는 것으로하여 연산된다.
또, 도착예상시간의 연산은 다 아는 바이다. 다음에는 62단계∼67단계에서 빈카를 각각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1층계 또는 연속된 복수층계로 된 층계구간 Z1∼Z6에 임시대기 시킨 경우의 평가를 행한다.
임시 대기평가프로그램(62)의 카위치예측프로그램(62A1)∼(62A3)에서는, 빈카(1호기∼3호기 중에서 어느 것인가)를 Z1구간내의 층계 X(=1층)에 임시 대기시킨 경우 1호기-3호기의 소정시간(T)경과후에 예측 카위치 F1(T)∼F3(T)와 예측카방향 D1(T)∼D3(T)를 각 카에 대해 각각 예측연산한다.
1호기용의 키위치예측프로그램(62A1)을 제6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의 1호기용 카위치예측프로그램(62A1)에 있어서, 먼저 71단계에서 1호기가 빈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1호기가 빈카이면 (Avc2=‘1’) 78단계에 있어서 대기때의 층계 X를 최종호출층으로 하고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을 설정하고, 또 빈카예측시간(t1)으로서 A1(h1)을 설정하고, 79단계로 나아간다. 또, 만약 1호기가 빈카가 아니면 (AVC1=‘0’)71단계에서 72단계로 진행한다. 72단계에서 할당승강장호출의 유무를, 73단계에서 카호출의 유무를 판정하고, 이판정 결과에 따라 최종호출이측승강장(h1)과 빈카로 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예측치 (이하, 빈카예측시간이라 함)(t1)을 설정한다.
1호기가 할당된 승강장호출을 기다리고 있을 경우는, 72단계에서 74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가장 먼 곳의 할당승강장호출의 앞쪽에 있는 마지막 층을 1호기의 최종호출층으로 예측하고, 그 층에서의 카의 도착방향(최상층에서는 하행, 최하층에서는 상행)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으로 설정한다. 또, 1호기가 할당된 승강장호출을 기다리지 않고 카호출만을 갖고 있을 경우는 72단계→73단계→75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가장 먼 곳의 카호출층을 1호기의 최종호출층으로 예측하고, 그때의 카의 도착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 측승강장(h1)으로서 설정한다.
또, 1호기가 할당승강장호출도 카호출도 갖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72단계→73단계→76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1호기의 카위치층을 최종 호출층으로 예측하고, 그때의 카방향도 고려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b1)으로서 설정한다.
이와 같이하여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을 구하면, 다음은 77단계에서 1호기의 빈카예측시간(t1)을 구한다. 빈카예측시간(t1)은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에의 도착예상시간 A1(h1)에 그 승강장에서의 정지시간의 예측치 Ts(=10초)를 가산하여 구한다. 또, 카위치층을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으로서 설정한 경우는, 카상태(주행중, 감속중, 출입문 열림동작중, 출입문 열려 있는 중, 출입문 닫기는 동작중 등)에 따라 정지시간의 나머지시간을 예측하고, 이것을 빈카예측시간(t1)으로서 설정한다.
다음에는, 79단계∼81단계에서 1호기의 소정시간(T) 후의 예측카위치 F1(T)와 예측카방향 D1(T)를 연산한다.
또, 소정시간(T)란 가까운 장래의 예측 때문에 설정되는 것으로, 예를들어 평균대기시간(20초정도)등을 선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양호한 서비스를 얻을 수 있다.
1호기의 빈카예측시간(t1)이 소정시간(T)이하인 경우는, 소정시간(T)를 경과할 때까지에 1호기가 빈카로 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79단계→80단계로 진행하고, 여기서 최종호출예측승강장(h1)에 따라 그 승강장(h1)의 층계를 소정시간(T)경과한 다음의 예측카위치 F1(t)로서 설정한다.
또, 예측카방향 D1(T)를 ‘0’에 설정한다. 또, 예측카방향 D1(T)가 ‘0’인 경우는 무방향(無方向), ‘1’인 경우는 상행, ‘2’인 경우는 하행을 나타낸다.
또, 예측빈카표지 PAV1을 ‘1’로 설정한다.
한편, 1호기의 빈카예측시간(t1)이 소정시간(T)보다 클 경우에는, 소정시간(T)가 경과되어 아직 빈카로 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79단계→81단계로 나아가고, 여기서 승강장 i- I의 도착예상 시간 A1(i-1)과 승강장 i의 도착예상시간 A1(i)가 {A1(i-1)+Ts
Figure kpo00001
T<A1(i)+Ts}로 되는 승강장 i의 층으로 소정시간(T)경과후의 예측카위치 F1(T)로서 설정하고, 이 승강장 i와 같은 방향을 예측카방향 D1(T)로서 설정 한다.
또, 예측빈카표지 PAV1을 ‘0’에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빈카예측프로그램(62A1)에서 1호기에 대한 예측카위치 F1(T)와 예측카방향 D1(T) 및 예측빈카표지 PAV1을 연산하나, 2호기 및 3호기에 대한 예측카위치 F2(T), F3(T)예측카방향 D2(T), D3(T) 및 예측빈카표시 PAV2, PAV3도 빈카예측프로그램(62A1)에서와 같은 순설되는 빈카예측프로그램(62A2), (62A3)에서 각각 연산된다.
다시 제5도로 돌아가서, Z1구간임시대기용 카대수예측프로그램(62B)에서는, 빈카를 Z1구간 내의 대기층 X으로 임시대기시킨 경우의 소정시간(T)경과후의 Z1구간∼Z6구간에 있어서의 예측카대수 N1(T)N6(T)를 각각 연산한다.
이것을 제7도와 같이 설명한다. 제7도의 카대수예측프로그램(62B)에 있어서, 91단계에서 예측카대수 N1(T)∼N6(T)을 각각 ‘0’대로, 호기번호(j) 및 구간번호(m)을 각각 ‘1’로 초기설정한다. 92단계에서는 j호기의 예측하위치 Fj(T)와 예측카방향 Dj(T)에 따라 소정시간(T)경과후에 j호기가 Zm구간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 한다.
j호기가 Zm구간에 있다고 예측되면, 93단계에서 Zm구간의 예측카대수 Nm(T)를 1대 증가시킨다. 94단계에서는 호기번호(j)를 1호증가시켜, 95단계에서 모든 호기에 대해 판정완료 여부를 점검한다. 완료되지 않았으면 92단계로 되돌아가서 상술한 처리를 반복한다. 구간번호 m인 Zm구간에 대해 92단계 및 93단계의 처리를 모든 호기에 대해 종료하면, 다음에는 96단계에서, 구간번호(m)을 1번 증가시킴과 동시에 호기번호(j)를 ‘1’로 초기설정한다.
그리하여 같은방법으로 92단계∼95단계의 처리를 호기번호가 j>3으로 될 때까지 반복한다. 모든 구간 Z1∼Z6에 대해 상술한 처리를 마치면 97단계에서 구간번호 m>6으로 되고, 이 카대수예측프로그램(62B)의 처리를 종료한다.
제5도의 대기동작프로그램(38)에 있어서의 대기제한프로그램(62C)에서는, 상기 예측카대수 N1(T)∼N6(T)에 따라 빈카가 Z1구간의 층계 X에 대기하기 어렵게 하기위한 대기제한평가치 P1을 연산한다.
또, 카가 한 장소에 뭉치려고 할 경우 일수록 대기제한편가치 P1을 큰 값으로 설정한다.
이것을 제8도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의 대기제한프로그램(62C)에 있어서, 101단계에서 예측카대수 Nm(T)=3으로 되는 Zm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 즉 모든 카가 한 구간으로 집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구간이 존재할 때는, 102단계에서 대기제한평가치 P1을 최대 값인 ‘1600’으로 설정한다.
또, 103단계에서 예측카대수 Nm(T)=2으로 되는 Zm구간이 존재하는지 여부, 즉 대부분의 카가 한 구간에 집중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구간이 존재할 때는 104단계에서 대기제한평가치 P1을 ‘900’으로 설정한다. 또, 105단계에서 위쪽층계(Z3및 Z4구간) 또는 아래쪽 층계(Z1및 Z6구간)에 모든 카가 집중(N3(T)+N4(T)=3, 또는 N1(T)+N6(T)=3)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집중할 경우에는, 104단계에서 같은 방법으로 대기제한평가치 P1을 ‘900’으로 설정한다.
또, 106단계에서는 같은 방법으로 위쪽 층계 또는 아래쪽 층계에 대부분의 카가 집중(N3(T)+N4(T)=2, 또는 N1(T)+N6(T)=2)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부분의 카가 집중할 경우는, 107단계에서 대기제한 평가치 P1을 ‘400’으로 설정한다. 또, 108단계에서는 3개의 인접하는 Zm-1, Zm, Zm+l구간의 예측카대수 Nm-1(T), Nm(T), Nm+1(T)가 어느것이나 ‘0’으로 되는 조합이 존재하는냐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Zm-1, Zm, Zm+1구간의 조합이 존재할 경우는, 107단계에서 같은방법으로 대기 제한평가치 P1을 ‘400’으로 설정한다.
최후로, 109단계에서는 이용객이 많은 주층계(1층) 및 그 주변의 층계(Z1,Z5,Z6구간)에 카가 2대 미만(N1(T)+N5(T)+N6(T)<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주층계주변에 2대이상의 카가 없을 경우는, 110단계에서 대기제한평가치 P1을 ‘100’으로 설정하고, 2대 이상의 카가 있을 경우는 111단계에서 대기제한평가치 P1을 ‘0’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대기제한프로그램(62C)에 있어서는 Z1∼Z6의 각 구간에서의 예측카대수 N1(T)∼N6(T)에 따라 빈카를 Z1구간에 임시대기시킨 경우의 대기제한평가치 P1을설정한다.
이로써 임시대기평가프로그램(62)에 의한 Z1구간에 대한 평가가 종료된다. 제5도에 있어서 다른 구간인 Z2∼Z6구간에 대한 임시대기프로그램(63)∼(67)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각각 대기제한평가치 P2∼P6가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하여 대기제한평가치 P1∼P6가 설정되면, 제5도의 대기동작 프로그램(38)에 나타난 대기층선택프로그램(68)에서는, 상기 대기제한 평가치 P1∼P6의 값이 최소로 되는 구간을 하나 선택한다.
(또, 대기제한평가치 P1∼P6의 값이 최소로 되는 구간이 복수개 존재할 경우는, 미리 정한 우선순서에 의해 그중에서 하나만 선택하기로 하나, 예를들어 주행거리가 최단거리로 될 수 있는 구간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 등, 다른 우선조건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좋다) 그리하여 선택한 구간에 빈카의 최종호출의 층이 포함될 경우는, 그 치종호출의 층에 그대로 대기시키기 위해 대기지령을 설정치않는다.
만약, 상기와 같이 선택한 구간에 빈카의 최종호출의 층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상기와 같이 선택한 구간내의 특정층에 상기 빈카를 주행시켜 거기서 대기 시키기위하여 상기 빈카에 대해 대기지령을 설정한다. 이상이 빈카 1대 (빈카대수 NAV=‘1’)인 경우의 대기동작프로그램(38)의 작동이다.
만약, 빈카가 2대 또는 3대(빈카대수 NAV=‘2’또는‘3’)인 경우에는, 제3도의 대기동작프로그램(39) 또는 (40)이 실행된다.
이 경우, 대기동작프로그램(38)에 있어서의 도착예상시간연산, 카위치예측, 카대수예측 및 대기제한평가치의 연산과 같은방법으로 빈카를 임시대기시키는 구간의 모든 조합에 대해 대기제한평가치를 구하고, 이 대기제한 평가치가 최소로 되는, 임시대기시키는 구간의 조합에 따라 빈카를 대기시키는 구간을 정한다.
최후로, 제3도에 나타나 있는 41단계의 출력프로그램에서는, 상기와 같이하여 설정된 승강장버튼등(燈) 신호(20)을 승강장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할당신호, 예보신호 및 대기지령등을 카제어장치(11)-(13)으로 송출한다.
이와 같은 순서에 따라 상기 군관리프로그램(31)-(41)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은, 이 실시예에 있어서 군관리프로그램(10)의 동작을 제10도 및 제11도에 따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쉽게 알기 위해 제9도에 나타내는 건물에 있어서, 3대의 카 A,B,C가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 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상행주행 중인 A카에는 7층의 상행호출(7u)가 할당되고, 하행주행 중인 B카에는 1층의 카호출(1C)가 지하 1층의 카호출(B1C)가 등록되이 있는 것으로 하며, C카는 빈카상태로 된 직후라고 한다.
여기서, 제10도의 상태로부터 소정시간 T(=20)초)경과한 다음의 카위치는 각각 제11도와 같이 예측된다.
따라서, C카를 Z1∼Z6구간의 각각의 대기층에 임시대기시킨 경우의 예측카대수 및 대기제한평가치는 다음표와 같이 된다.
Figure kpo00002
따라서, 대기제한평가치 P1∼P6중에서 최소치는 P2=P5=100이므로, 구간번호가 작은 쪽의 구간이 Z2구간이 선택되고, 빈카인 C카는 Z2구간의 대기층인 4층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지령이 셋된다.
종래의 대기방식으로 하면 C카는 Z1구간의 대기층(=1층)에 대기시켜지기 때문에, 가까운 장래에 1층 부근에 2대의 카가 뭉치게 되고, 카를 기다리는 시간이 길게되는 호출이 발생하기 쉽게 되고, 이와 같은 일을 피하기 위해 재차 대기동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시간(T)경과 후의 카배치를 고려하여 Z2구간(또는 Z5)의 대기층(=4층)에 빈카 C를 대기시키므로, 상기와 같은 낭비대기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가 현지점으로부터 호출에 순차적으로 응답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고, 또 이들에 따라 각 구간에 있어서의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대수를 예측연산하고, 이 예측카대수에 따라 대기동작을 행하도록 하였으므로, 카가 한 장소로 집중하는 일 없게되고, 현시점으로부터 가까운 장래에 걸쳐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시키는 데에 있어서는 낭비 주행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시간(T)경과후의 카인치와 카방향을 예측할 경우, 먼저 카가 최종호출에 대해 응답완료하고 빈카로될 층계와, 그때가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고, 그위에 소정시간(T)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카가 빈키로 될 경우 그1층에서 그대로 대기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그렇다.
빈카를 특정층에 반드시 대기시키도록 결정된 겅우라면 특정층으로 주행시키는 것으로 하여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하면 좋다. 또, 빈카로 될 가능성이 낮은, 즉 비교적 교통량이 많은 교통상태이면, 빈카예측시간과 최종호출예측승강장의 연산을 생략하고, 소정시간(T)경화되고도 빈카로 되지 않는다고 하는 조건하에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연산하는 것도 용이하다.
또, 소정시간(T)경과하기까지에 새로이 발생하게 되는 호출도 고려하여 카위치와 카방향을 예측할 수도 있다. 또, 최종호출예측승강장의 연산방법도 이 실시예와 같이 간략화 시킨것은 아니고, 통계적으로 구한 카호출이나 승강장호출의 발생확률에 따라 세분해서 세밀하게 예측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9도에 나타나있는 바와 같은 구간으로 건물을 분할하였으나 층계수나 설치 카대수 이외에, 시간대나 각 층계의 용도(주층계, 식당층, 집회실층, 갈아타기층등)에 따라 축차 구간의 설정방법을 변경시키는 것도 용이하다.
또, 반드시 승강장의 방향을 고려하여 구간을 결정 할 필요는 없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① 소성구간의 예측카대수가 규정치 이상되는 임시대기를 설정한 경우,
② 특정구간(상행층 또는 하행층)의 예측카대수가 규정치이상으로 되는 임시대기를 설정한 경우,
③ 특정구간(주층계) 및 그 주변구간의 예측카대수가 규정치 미만으로 되는 임시대기를 설정한 경우,
④ 소정구간의 예측카대수가 0대이고, 또 그에 인접하는 구간의 예측카대수도 0대로 되는 임시대기를 설정한 경우에 가장 적당한 대기층을 선택하기 위한 대기제한평가치 (>0)를 각가 설정하도록 하였으나, 예측카대수에 따른 대기제한평가치의 설정조건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예측카대수를 사용하여 카가 집중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조건이면 어떤 조건이라 할지라도 좋다.
또, 대기제한평가치의 값도 상기 실시예와 같이 ‘1600’, ‘900’,‘400’,‘100’이라고 하는 고정치가 아니고, 상기 설정조건을 퍼지집합으로 표현하고, 그 멤버십함수치에 따라 대기제한평가치를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빈카가 2대이상 있을 경우, 빈카를 임시대기시키는 구간의 모든 조합에 대해 대기제한평가치를 구하고, 이 평가치가 최소로 되는 임시대기 시키는 구간의 조합에 따라 빈카의 대기층을 각각 결정하였으나, 빈카가 2대이상 있을 경우의 대기층의 결정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빈카의 대수가 적은 경우는 상기 방식으로도 문제가 없으나, 빈카의 대수가 많아지면 조합의 수가 극단적으로 많아지므로 많은 연신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빈카가 2대이상 있을 경우에도 임시대기시키는 빈카는 1대만으로 하고, 남은 빈카는 그대로 그 층에서 대기하는 것으로 하고 대기제한평가치를 구하고, 상기 임시대기시킨 빈카의 대기층을 결정한다. 이와 같은 것을 모든 빈카에 대해 순번으로 처리한다.
이와 같은 방식이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상기 실시예로부터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또, 빈카의 대기층을 선택하는 수단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대기제한조건을 만족시키는 대기구간(대기층)을 미리 대기층의 후보로부터 제외시키는 방식이어도 좋다. 예를들면, 대기제한평가치가 소정치보다 작은 대기구간 중에서 소정의 기준(예를들면, 대기층까지의 주행거리가 최소라든가, 도착시간이 최단이라는 등)에 따라 정규의 대기층을 선택하는 것과같이 대기제한평가치가 큰 대기구간을 대기후보구간으로부터 제외하는 방식 등이 생각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1종류의 소정시간(T)에 대해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 카에 대해 각각 예측하고, 이에따라 대기 제한평가치를 연산하도록 하였으나, 복수종류의 소정시간 T1,T2,…, Tr(T1<T2<…<Tr)에 대해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위치와 카방향을 각 카에 대해 각각 예측하고, 또 복수종류의 소정시간 T1, T2, …, Tr에 대해 소정시간 경과후의 예측 카대수 Nm(T1)∼Nm(Tr)을 각 구간 Nm(m=1,2……) 대해 각각을 연산한다.
그리하여, 각 조합{N1(T1),N2(T1),…},{N1(T2), N2(T2), …} …, {N1(Tr), N2(Tr), …}에 의해 각각 설정된 대기제한평가치 P(T1), P(T2), …, P(Tr)에 웨이트(weight)를 붙여서 가산한다.
즉 P=kP(T1)+k2·P(Tr), (단, k1, k2,…, kr은 웨이트계수)인 산식에 따라 연산함으로써 최종적인 대기제한평가치 P를 설정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 경우, 어느 한시점 (T)만의 카배치에 주목하는 것은 아니며, T1, T2, …, Tr라고 하는 복수의 시점에 대한 카배치를 대국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되므로, 현시점으로부터 가까운 장래에 걸쳐서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한층단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웨이트계수 k1, k2, …, kr은 예를들면 제12도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어느 시점의 카배치를 중시하느냐에 따라 몇 가지의 설정방법이 생각되어지나, 교통상태나 건물의 특성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또, 복수종류의 소정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교통상태에 따라 이 소정시간을 변경시키는것도 가능하게 되고 대기시간 등의 서비스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빈카를 검출하면 이 빈카를 대시기키는 위치를 임시로 설정하고, 소정시간 경과 후에 어느 층계 또는 어느 층계 범위에 있게 될 카대수를 예측하고, 이 예측치를 평가하여 분산대기 시킬 층계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카배치의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승강장호출의 대기시간을 단축동시에 낭비주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군관리방법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층계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버튼이 조작되면 승강장호출을 등록하고, 이 등록된 승강장호출에 대해 복수의 카 중에서 서비스할 카를 선택하여 할당하고, 이 카가 모든 호출에 응답완료하면 소정의 층계에 대기시키도록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 중에서 상기 카호출과 할당승강장 호출이 없는 카를 빈카로서 검출하는 빈카검출공정과, 상기 호출에 대응하여 운전되고 있는 카에 대해, 가까운 장래의 예측을 위해서 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의 카상황을 예측함과 아울러, 상기 빈카검출공정에서 검출한 빈카에 대해 대기시키는 위치를 임시설정하고, 이 임시설정한 위치로 주행대기 시킨다는 가정으로 상기 빈카의 상기 소정시간 경과후의 카상황을 예측하는 카상황예측공정과, 상기 카상황예측공정으로 예측된 소정시간 후의 카상황에 따라, 상기 소정시간 후에, 어느 층계 또는 어느층계범위 안에 있는 카대수를 예측하는 카대수예측공정과, 상기 카대수예측공정으로 예측된 카대수를 평가하고, 이 평가에 따라 상기 빈카가 대기해야 할 층계 또는 층계범위를 선택하는 대기위치선택공정을 갖춘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KR1019900001550A 1989-04-06 1990-02-08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KR920010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7547 1989-04-06
JP1087547A JPH0725491B2 (ja) 1989-04-06 1989-04-06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JP89-87547 1989-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040A KR900016040A (ko) 1990-11-12
KR920010415B1 true KR920010415B1 (ko) 1992-11-27

Family

ID=13918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550A KR920010415B1 (ko) 1989-04-06 1990-02-08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58711A (ko)
JP (1) JPH0725491B2 (ko)
KR (1) KR920010415B1 (ko)
CN (1) CN1018362B (ko)
GB (1) GB22311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3587B2 (ja) * 1989-07-17 1997-12-24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
JPH05238653A (ja) * 1992-02-27 1993-09-17 Hitachi Ltd 群管理エレベータ装置
KR100202720B1 (ko) * 1996-12-30 1999-06-15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군관리 제어방법
KR100294093B1 (ko) * 1997-04-07 2001-10-26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EP0997423B1 (en) * 1998-03-30 2003-06-25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ler
KR100548764B1 (ko) * 1998-07-24 2006-05-11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US7267202B2 (en) * 2003-05-13 2007-09-11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ing with guaranteed time performance using real-time service allocation
US7014015B2 (en) * 2003-06-24 2006-03-21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scheduling cars in elevator systems considering existing and future passengers
US7510054B2 (en) * 2004-01-29 2009-03-31 Otis Elevator Company Energy saving elevator dispatching
JP4999275B2 (ja) * 2005-02-02 201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JP4139819B2 (ja) * 2005-03-23 2008-08-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JP4980642B2 (ja) * 2006-04-12 2012-07-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112313B2 (ja) * 2006-06-27 2013-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群管理制御装置
US7882934B2 (en) * 2006-12-22 2011-02-08 Inventio Ag Elevator installation in a building with at least one transfer floor
CN101588978B (zh) * 2007-03-26 2011-12-1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系统
WO2009024853A1 (en) 2007-08-21 2009-02-26 De Groot Pieter J Intelligent destination elevator control system
DE102009049267A1 (de) * 2009-10-13 2011-04-21 K-Solutions Gmbh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fzugs und einer Aufzugsgruppe
JP5264681B2 (ja) * 2009-11-24 2013-08-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制御パラメータ設定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EP2573032B1 (en) * 2010-05-18 202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ler
JP5946268B2 (ja) * 2011-12-16 2016-07-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7373433B2 (ja) * 2020-02-26 2023-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14408688A (zh) * 2022-03-11 2022-04-29 昭通亮风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调度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5692A (en) * 1967-02-07 1975-07-22 Reliance Electric & Eng Co Elevator control
GB1420133A (en) * 1972-02-02 1976-01-07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system and process
JPS5948366A (ja) * 1982-09-07 1984-03-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の群管理制御装置
JPS59149280A (ja) * 1983-02-15 198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管理装置
JPS6137187A (ja) * 1984-07-30 1986-02-22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かみそりの内刃
JPS61257879A (ja) * 1985-05-09 1986-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
JPS6256076A (ja) * 1985-09-05 1987-03-11 Eimaa Denshi Kk カラ−プリンタ
JPH0712891B2 (ja) * 1988-02-17 1995-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US4846311A (en) * 1988-06-21 1989-07-11 Otis Elevator Company Optimized "up-peak" elevator channeling system with predicted traffic volume equalized sector assignments
US4875554A (en) * 1988-08-31 1989-10-24 Inventio Ag Dynamic selection of elevator call assignment scan dir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5491B2 (ja) 1995-03-22
GB2231173A (en) 1990-11-07
JPH02265876A (ja) 1990-10-30
GB9007755D0 (en) 1990-06-06
CN1018362B (zh) 1992-09-23
US5058711A (en) 1991-10-22
KR900016040A (ko) 1990-11-12
GB2231173B (en) 1993-09-08
CN1046138A (zh) 1990-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415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방법
KR920011080B1 (ko) 엘리베이터의 군(群)관리장치
JP4505901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509727B2 (ja) エレベ―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KR920001299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Siikonen Planning and control models for elevators in high-rise buildings
EP2183177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waiting times for destination based dispatching systems
JPH0351273A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方法及び群管理装置
JP4434483B2 (ja) 仮想乗客トラヒックを生成するエレベータ群制御方法
US5750946A (en) Estimation of lobby traffic and traffic rate using fuzzy logic to control elevator dispatching for single source traffic
US8800723B2 (en) Elevator system having floors locked from receiving service
JP4494696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装置
US5841084A (en) Open loop adaptive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JPH06156895A (ja) 複数エレベータかごの派遣方法
JPH04317966A (ja) 残り応答時間に基づくエレベータ運行方法
KR930004754B1 (ko) 엘리베이터의 군관리장치 및 그 군관리방법
JP2001335244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H0597335A (ja) 到着エレベータ通知方法
US5808247A (en) Schedule windows for an elevator dispatcher
CN101356106B (zh) 电梯控制方法及其装置
US5786551A (en) Closed loop fuzzy logic controller for elevator dispatching
JP5082215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及び群管理方法
JP6576014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456919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装置
KR100548764B1 (ko) 엘리베이터의군관리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